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인천일본인 고타니 마스지로의 삶과 활동

        김윤경(Kim Youn-Ky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6 인천학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재인천일본인 고타니 마스지로(小谷益次郞)에 대한 인물연구다. 고타니는 1889년 4살 무렵 어머니의 품에 안긴 채 인천에 건너와 살다가 일제 패망 후 일본으로 철수해간 식민1세이다. 그는 고베(神戶) 출신으로, 개항 초기 가족 단위로 이주해온 드문 경우에 속한다. 미장이 신분의 고타니 토메요시가 부친으로 추정되는바, 일본의 하층계급 출신이었다. 고타니의 본격적인 사회 진출은 일본 메소디스트 교회 신자로서 인천 일본 기독교청년회를 통해서였다. 그는 1926년경 기독교청년회 주사로서 당시 새로이 등장한 ‘사회사업’을 결합한 다양한 활동으로 사회에 알려졌다. 그 후 1931년 6월 『인천부사』 편찬자로 위촉되어, 실질적으로 편찬을 주도함으로써 다른 지역들에 비해 빠른 기간 내에 완성했다. 이후 고타니는 인천제2공립보통학교와 인천중학교 설립에 큰돈을 기부함으로써 일본천황의 감수포장을 수여하는 등 인천 사회의 유력자로 부상했다. 1935년 5월 인천부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이때 그의 직업은 대가업자(貸家業者)였다. 1937년 전시체제기에는 정회(町會)의 총대 및 보호관찰소의 촉탁보호사를 겸직했다. 1945년 8월 15일 패전 후에는 인천부회 부의장으로서 재인천일본인의 철수작업을 이끌었고, 그 과정을 『인천 인양(철수)지』로 남겼다. 고타니는 스스로 “조선의 풍토와 자연이 키워준 인천아(仁川兒)”라고 칭했다. 미장이 집안의 하층계급 출신이 식민지 이주 40년 만에 인천 사회의 유력자가 됨으로써 인생역전의 기회를 얻었으니 그럴 만하다. 그러나 그가 4살 때부터 57년간 살았던, 그래서 꿈에도 그리운 땅 仁川은 인천이 아니라 진센(Jinsen)이었으니, 기실 그는 인천아가 아니라 진센코(Jinsenko)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Kotani Masujiro(小谷益次郞), the Japanese settler in Incheon under the Colonial Period. In 1889, maybe four, he had came to Incheon in his mother’s arms. Ever since he had lived in there till back to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He was from Kobe(神戶), his father was a plasterer that was the lower class in Japan. He came to with all of the family members in the Opening Port Era, the case was rare. At the age of early forties, he went out the society as a chief manager of the Japanese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He belonged to the Japanese Methodist church. He was known for ‘Choseon social work’, as he had combined the activities of a Christian youth group with the social works, and had done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In June 1931, he was requested to publish Incheonbusa(仁川府史, the history of Incheon Prefecture), he led to the publication as a chief compiler, and published it successfully faster than other area’s case. And then, he had donated for establishment of High Normal School (普通学校) in the end of 1932, and Incheon Middle School in April 1934. In return for donations, he received an award by the Emperor of Japan in February 1937. In May 1935, he was elected the member of Incheon Provincial Council(仁川府會), and at that time he was a housing lease businessman. Two years later, he was appointed a JungChongdea(町總代, the representative of the neighborhood) and a Part-time Probation Officer(囑託保護司). But when Imperial Japan eventually surrendered in August 15 1945, he had to be repatriated. Being a vice chairman of Incheon Provincial Council, he negotiated with U.S. Military Command and had led the phased withdrawal of the Japanese settlers in Incheon. He went away Incheon on March 2, 1946, and settled in Nagasaki(長崎), Japan. Two years later, he wrote the record of the Japanese Pullout from Incheon (仁川引揚誌). He called it the message of condolence for Incheon. He called himself “a son of Incheon(仁川兒)”, because of growing up in nature and climate of Incheon since the age of four. During 57 years living there, he moved up a powerful influence away from the lower class in Japan. Because of achieving a chance of life there, he deserved to called himself “a son of Incheon”. However, that was not Incheon but Jinse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인천의 주택난과 조선대가조합령

        김윤경(Kim Youn Ky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9 인천학연구 Vol.30 No.-

        이 글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주택난을 인천의 사례와 조선대가조합령을 통해 살피는 실증적 연구이다. 조선대가조합령은 전시체제기에 일제가 도시의 주택난 해결을 위해 내놓은 마지막 주택관련 법령으로 지금까지 주목받지 않았는데, 이 글에서 처음 조명했다. 또한 귀속재산불하서류를 통해 극심한 주택난에도 일본인과 일본인 대가업자들이 다수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음을 규명했다. 한국 사회의 주택난은 1920년대에 시작되어 1930년대에는 전 도시의 문제가 되었다. 인천의 주택난은 이때 시작되었다. 그 원인은 일제의 공업화정책에 있었다. 도시 주변에 공장들이 세워지면서 노동인구의 유입이 급속히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또 중일전쟁으로 전선이 확대되면서 물자부족과 배급의 불원활, 자금난 등으로 주택난은 더 극심해졌다. 건축자재는 중요 군수물자이기도 했기 때문에 가옥의 신축은 물론 증개축과 보수·수선도 수월치 않았다. 주택난은 지대와 가임 폭등으로 이어졌고, 이는 곧 생활난이 되었다. 일제와 조선총독부는 심화되는 주택난에 ‘무대책’으로 일관했으나, 주택난에 따른 생활의 불안정이 군수물자 생산·보급의 부진으로 이어지자 1939년 총독부 안에 주택대책위원회를 설치하는 한편 지대와 가임을 고정하는 통제령을 발동했다. 주택관련 법령도 만들었다. 1941년의 조선주택영단령과 1942년의 조선대가조합령이다. 대가조합령은 민간 대가조합을 법인화하여 도지사의 통제·감독 아래 두어 가임을 적절히 받게 하되, 건축자재와 자금 등을 계획화하여 필요에 따라 할당함으로써 가옥의 신축과 증개축 등을 원활히 한다는 것이었다. 인천부대가조합은 1942년 10월 19일 법인으로 등기 설립되었다. 대가조합 임원은 13명으로 대가업자 외에 상업·제조공업 등을 운영하는 사업가들로 구성되었다. 1938년 말경 인천의 대가업자는 160명이었으며, 그들 중에는 부회의원으로서 부정에 간여한 사람도 있었다. 1945년 8월 해방 후 일본정부와 일본인들의 재산은 미군정에 귀속되었다가 3년 뒤 대한민국의 국유재산으로 돌아왔다. 국가기록원에 존안된 인천의 국유재산불하서류는 5,000~7,300여 건이다. 필자가 수집 정리한 인천 중앙동과 송학동의 국유주택불하서류 증 330건은 주택(대지와 점포 포함)이고, 전 일본인 소유자는 144명이었다. 인천부대가조합 임원 4명이 그 중 33채(10%)를 소유했고, 2채 이상 소유자 59명이 246채(74.5%)를 소유하고 있었다. 또 시가지계획으로 송현동과 화평동에서 조선인 가옥 900여 호가 헐려 나갔는데, 그 2개동의 국유재산불하서류는 1,961건으로 헐려나간 가옥의 두 배가 넘었다. 극심한 주택난에도 불구하고 일본인과 일본인 대가업자들은 다수의 가옥을 소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바탕에는 일제와 총독부 당국의 ‘무대책’한 주택정책과 대가조합에 대한 ‘특혜’가 있었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부역자 처벌 군법회의의 문제점 -노천명·조경희·이인수의 판결을 중심으로

        김윤경(Kim, Youn-Kyeo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서강인문논총 Vol.0 No.57

        이 글은 노천명·조경희·이인수의 판결사례를 통해 한국전쟁기 부역자 처벌과 군법 회의의 문제점을 규명한 실증적 연구이다. 노천명과 조경희는 좌익 문학가동맹에 가입 활동한 혐의로 군법회의에서 징역20년형을 선고받았는데, 조경희는 판결장관 심사에서 남편이 남로당 간부 체포에 협조했다는 사유로 징역7년으로 감형되었다. 그리고 형집행정지 조치에 따라 조경희는 2개월여, 노천명은 6개월여 만에 석방되어 곧 사회로 복귀했다. 이인수만은 구제되지 못하고 사형판결을 받은 지 5일 뒤 처형되었다. 당시 부역자 처리방침에 6・25 전 좌익경력이 없고 대한민국에 협조한 경력이 있으며, 생존을 위해 불가피한 경우 선처한다고 했지만 이인수에게는 적용되지 않았다. 당시 서울에 남아있던 유명 인사들 중에 부역하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었지만, 그들은 대부분 반성문을 쓰고 불문에 붙여졌다. 그런데 왜 세 사람은 군법회의에 회부되었을까. 일종의 희생양이었다고 생각한다. 노와 조 두 사람은 재판이 공개리에 진행되어 일간신문에 대서특필함으로써 유명 여성 지식인도 부역죄 처벌을 면할 수 없다는 경고로서 일벌백계의 역할을 했다. 이인수의 경우 통치자에게 호응하지 않은 데 따른 박해적 성격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부역자 처벌은 전시의 형법이지만, 그것은 국가공권력에 의한 과도한 법집행으로서 명백한 인권침해이다.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Collaborator’s punishment through three cases of Roh Chunmyung, Cho Kyunghee, and Lee Insoo in the Military Trial. Roh and Cho were sentenced to 20 years imprisonment at a Military trial on charges of joining the Literature League, while Cho was reduced to seven years due to her husband"s cooperation with the police in arresting a senior member of the Namro-Party. In the review of the sentence, Cho was released in about two months and Roh was released in about six months, and they returned to the society. But only Lee was not saved. He was executed five days after sentenced to death. 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of the collaborators, there were considered three points like as no left-wing experience before the June 25, contribution to the Republic of Korea, and due to the threat of life. But those not applied to Lee. Few of the prominent figures left in Seoul during the war had not cooperated with the People"s Army, but most of them didn’t take issue with them after writing their reflection. By the way, w hy w ere the three persons sent to the military court? I think they were kind of a scapegoat. The trials of Roh and Cho played as a symbolic warning on the public. Their trials showed that there could be no exception on the punishment of the collaborators. In the case of Lee Insoo, I think that there was a persecutionary character caused by not responding to the ruler. Someone say that “the resentment” of Shin Sungmo who was the justice minister, but I think President Syngman Rhee"s intention was behind it. Under the Articles for the Government of Korean Constabulary, the President"s confirmation is essential for the execution of the death sentence(Article 96 of the same law). Actually Lee Insoo was not a person who Rhee did not know at all. In 1948 and 1949, Rhee tried to hire Lee, but Lee refused it twice because he wanted to remain a scholar. Even at war, their trials were the obvious violation of human rights as an excessive law enforcement by the state authority.

      • KCI등재후보

        경성의 주택난과 일본인 대가업자들 - 본정대가조합을 중심으로

        김윤경(Kim, Youn-Kyeo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0 서울학연구 Vol.- No.78

        이 글은 일제말 경성의 주택난 해결책으로 시행된 지대가임통제령의 문제, 그리고 조선대가조합령 시행 전후의 대가조합과 그 조합원인 대가업자들의 존재를 본정대가조합을 중심으로 규명한 것이다. 조선대가조합령은 1942년 3월 23일 공포 시행되었다. 貸家는 빌려주는 사람편에서는 대가이지만, 빌리는 쪽에서는 借家 곧 셋집이다. 대가조합령은 대가소유자 및 대가경영자들을 법인조직으로 묶어 이를 통해 주택공급을 원활히 한다는 것이었다. 일본인 대가업자들의 존재와 그들 소유대가에 대해서는 국가기록원에 소장된 서울 중구 21개동의 귀속재산불하문서(2,672건)에 기재된 ‘전 일본인 소유자명’에서 확인했다. 본정대가조합 임원 19명 중 14명의 소유가옥은 198건이고, 5건 이상 대가소유자는 126명 1,315건, 10건 이상 소유자는 44명 849건이었다. 그 중 3명은 50건 이상 소유한바 대가소유의 집중도는 매우 높았다. 대가업자들은 대개 재조일본인 유력자로서 여러 개의 사업체를 직접 경영하거나 주주로서 경영에 참여하는 사업가들이었다. 재조일본인 2세로서 부친의 재산과 대가를 물려받아 이를 경영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드물지만, 대가경영으로 축적한 재산을 장학사업에 희사한 사례도 있다. This paper is studied the problem of the Land Rental Control Rule, which was implemented as a solution to the housing shortage in Kyungsung, and the existence of the House-Renter Union and its’ members before and after the Regulation on the House-Renter Union in Joseon. The Regulation on the House-Renter Union was enacted on March 23, 1942. The purpose of the Regulation was to tie the rental house owners and it’s managers into a corporate organiza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supply of housing. The existence of the Japanese housing renters and their rental houses were confirmed by the former Japanese owner’s name listed in the Disposal Documents of State-Reverted Property (21,672 cases) in 21 districts in Jung-gu, Seoul, which is hous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Of the 19 executives of the Housing Renter Union, 14 owned 198 houses, more than 5 owners were 126 persons, 1,315 houses, and more than 10 owners were 44 persons, 849 houses. Three persons of them owned more than 50 houses, so the concentration of ownerships was very high. The Japanese House-Renters were mostly Japanese businessmen who directly managed several businesses or participated in management as shareholders. As a second-generation Japanese, he often inherits his property from his father and runs it. In rare cases,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money accumulated through the management of rental houses was donated to a scholarship project.

      • SCOPUSKCI등재

        콩기름 저장 중 휘발성분에 대한 LED와 형광등 광원 조사의 영향

        박인선(In-Seon Park),최덕주(Duck-Joo Choi),윤예리(Aye-Ree Youn),이윤정(Youn-Jung Lee),김윤경(Youn-Kyeong Kim),김문호(Mun-Ho Kim),최소례(So-Rye Choi),김기화(Ki Hwa Kim),동혜민(Hyemin Dong),한현정(Hyun Jung Han),노봉수(Bong Soo Noh)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는 전자코를 이용하여 시판 콩기름의 휘발성분이 파장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암실과 형광등 및 파장이 다른 LED 광원을 PE 용기에 조사하면서 12주 동안 변화되는 휘발성분의 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 콩기름의 휘발성분의 변화는 저장기간 동안 암실 처리구에서 가장 적고 천천히 일어났으며, 형광등 처리구에서 가장 크고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저장 초기인 4주에는 형광등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미세한 변화가 일어났으며, 저장 12주에는 형광등 처리구 다음으로 파란색과 백색 LED 처리구에서 큰 변화를 보여준 반면 초록색 LED 처리구에서는 변화가 적었다. 파란색과 흰색 LED 처리구는 저장 12주째에서 급격한 휘발성분의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빨간색과 초록색 LED 조사 시에는 8주째에 급격한 휘발성분이 생성된 것에 비하여, 저장 12주째에는 휘발성분의 변화가 매우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초록색 LED 처리구에서 가장 적은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초록색 LED 광원에서 콩기름을 전시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광등과 파란색, 백색 LED 광원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시 판매가 아니라면 암실에서 저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다. Soybean oil was stored in polyethylene for 12 weeks at 20oC. The influence of LED (light emitting diode) irradiation on four different wavelengths and fluorescent light was investigated. The pattern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in soybean oil was analyzed by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er. The obtained data from electronic nose were analyzed by discrimination function analysis. Under fluorescent light, the discriminant function first score (DF1) was significantly moved from positive position to negative one after 4-12 weeks. It means that the volatile compounds related to quality of lipid. It was shown to increase slowly due to green light of LED treatment, while blue and white LED light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as well as fluorescent light irradiation. Selection of LED irradiation would provide to keep good quality of soybean oil under distribution chain system.

      • KCI등재

        과수육종 역사, 현황과 전망

        정경호(Kyeong Ho Chung),남은영(Eun Young Nam),권정현(Jung Hyun Kwon),허윤영(Youn Young Hur),권순일(Soon Il Kwon),김윤경(Yoon Kyeong Kim),마경복(Kyeong Bok Ma),윤수현(Su Hyun Yun),이목희(Mock Hee Lee),박영식(Young Sik Park),이석호(Seo 한국육종학회 2020 한국육종학회지 Vol.52 No.S

        Although small-scaled breeding programs for apples, pears, and grapes were conducted in the 1930s and 1940s, national fruit breeding programs by the Korean government were commenced after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Horticultural Technical Institute on May 20, 1953, and the programs were confined to apples and pears. Peach and grape breeding programs were star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with th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as its affiliated research organization in 1962. However, because of insufficiencies in breeding infrastructure, manpower, and funds during the 1960s and 1970s, most efforts were devoted to the collection and selection of wild Akebia and Actinidia, local varieties of astringent persimmons, jujube, and apricot, and adaptability tests of foreign fruit varieties. Fruit breeding programs became more activat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pple Research Institute, the Pear Research Institute and the Citrus Research Institute as subsidiary organizations of the Fruit Research Institute, RDA, in 1991, and with Fruit Experiment Stations for grapes, persimmons, and peaches as affiliated provincial research organizations in early 1990s to cope with the domestic agricultural market opened by Uruguay Round Agreements. The legislation of the Seed Industry Law in 1995 and joining the UPOV in 2002 contributed to fruit breeding activation in the private sector. The results of such breeding programs include the development of the ‘Danbae’ pear as the first fruit variety in 1967, the ‘Yumyong’ peach in 1977, the ‘Hongro’ apple, and the ‘Cheongsoo’ grape. After the Korea-Chile FTA, effective in 2004, research projects for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linked to disease resistance in fruit trees and seedless grapes have been carried ou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fruit industry.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a molecular breeding system based on genome sequence inform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research organizations are required for competition in domestic and foreign fresh fruit markets. In this review, we analyze the achievement from the fruit breeding programs operated by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since 1945, and propose future directions and strategies.

      • KCI등재

        Evaluation of immunogenicity of the 2008–2009 seasonal influenza vaccines by microneutralization test

        Seung Youn Kim,김윤경,Byung Wook Eun,김남희,Eun Kyeong Kang,Byong Sop Lee,임중섭,이준아,김동호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5 No.12

        Purpose: For evaluating the immunogenicity of an influenza vaccine,the microneutralization (MN) test has a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s compared to the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I) test. However, the MN test is more time consuming and is difficult to standardize. We performed the MN test to determine its usefulness as an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test to the HI test for evaluating the immunogenicity of influenza vaccines. Methods: We compared the MN test with the HI test using 50 paired samples taken from a previous clinical study (2008–2009) in Korean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Results: The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2 tests for H3N2,H1N1, and influenza B were 0.69, 0.70, and 0.66, respectively. We identified a high index of coincidence between the 2 tests. For an influenza vaccine, the postvaccination seroprotection rates and seroconversion rates determined by the MN test were 78.0% and 96.0%, 90% and 42.0%, and 42.0% and 48.0% for H3N2, H1N1,and influenza B, respectively. Geometric mean titer fold increases of H3N2, H1N1, and influenza B were 2.89, 5.04, and 4.29, respectively,and were 2.5-fold higher. We obtained good results in the evaluation of the immunogenicity of the 2008–2009 seasonal influenza vaccines.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MN test was as effective as the HI test.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MN tes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test to the HI test for evaluating the immunogenicity of influenza vaccines.

      • KCI등재

        전처리 당절임 방법 차이에 따른 더덕된장의 저장 중 품질특성

        최덕주,이윤정,김윤경,김문호,최소례,차환수,윤예리,Choi, Duck-Joo,Lee, Yun-Jung,Kim, Youn-Kyeong,Kim, Mun-Ho,Choi, So-Rye,Cha, Hwan-Soo,Youn, Aye-Re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0 No.6

        We preprocessed and pickled Deodeok with Doenjang to improve its preservability and to distribute it widely, and we stored Deodeok for 3 weeks at $7^{\circ}C$ and measured its quality. The sample pre-treated with 20% of dextrin retained its early texture better than the samples pre-treated with other methods after 3 weeks of storage (p<0.05). The samples pre-treated with other controls showed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but Doenjang pre-treated with 20% of dextrin or sugar showed less increase in the water content. The microorganisms count in samples pre-treated with other controls was 4.0 log CFU/g after 3 weeks of storage, but the microorganisms count in the sample pre-treated with 20% of dextrin was 2.2 log CFU/g; in other words,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was minimized in the sample pre-treated with 20% of dextrin (p<0.05). In the investigation of the preferences, this D-20 sample showed maximum improvement in color, smell, taste, and other general preferences factors. Thus, the best processing method for the optimal quality maintenance of Deodeok is to sugarize it with 20% of dextrin before pickling with Doenjang. The product prepared using with this process can be preserved for 3 weeks at $37^{\circ}C$; that is, this product is expected to have a refrigerator shelf life of 3 months. 더덕을 전처리하여 된장절임을 함으로써 저장성을 높여 폭넓게 유통시키기 위해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을 측정하였다. 조직감은 저장 3주 후 D-20 처리구의 변화가 초기에 비해 7.6%의 감소율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잘 유지되었으며(p<0.05), 수분함량의 경우 정제수(CT) 처리구는 65.1%로 다른 처리구보다 된장의 수분함량이 높아 저장 중 미생물 번식에 영향을 주었지만 S-20 처리구는 56.2%, D-20 처리구의 경우 53.8%로 저장 중 된장의 수분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의 색 변화의 경우 저장 3주 후 D-20 처리구 된장의 L값은 각각 37.5 value, b값은 15.0 value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미생물의 경우도 CT는 log 4.0 CFU/g이었던 반면, D-20 처리구는 log 2.2 CFU/g으로 나타남에 따라 다른 처리구보다 저장 중 미생물 번식이 가장 최소화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p<0.05). 기호도 조사 또한 D-20처리구가 색, 향미, 조직감, 맛, 씹힘성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더덕을 덱스트린 20%로 절임한 후 된장절임을 하였을 때 저장 중 품질유지에 가장 좋은 처리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37^{\circ}C$에서 3주까지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냉장 유통 시 3개월까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밀양산 꾸지뽕 나무(Cudrania tricuspidata Bureau)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최덕주,이윤정,김윤경,김문호,최소례,김성수,윤예리,Choi, Duck-Joo,Lee, Yun-Jung,Kim, Youn-Kyeong,Kim, Mun-Ho,Choi, So-Rye,Kim, Soung-Soo,Youn, Aye-Re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4

        밀양산 꾸지뽕 나무의 부위별(잎, 줄기, 뿌리, 열매) 건조 시료의 분석을 통해 꾸지뽕 나무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 물질 등의 기능적인 부분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꾸지뽕 나무의 부위별 일반성분의 경우 지방은 1.3~5.9 g/100 g, 단백질은 6.3~18.7 g/100 g, 회분은 2.8~9.0 g/100 g 이었다. 식이섬유 함량은 줄기가 69.2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뿌리 부분이(49.9 g/100 g), 잎(45.5g/100 g), 열매(15.6 g/100 g) 순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성분(Ca, Fe, Mg, Na, P, Zn)은 전반적으로 잎 부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잎이 571.3 mg%로 다른 부위보다 유의적으로 큰 함량을 보였고, 뿌리 311.7 mg%, 열매 183.4 mg%, 줄기 162.1 mg%로 나타났다.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에도 잎이 가장 높았으며, 뿌리, 열매,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p<0.05). 전자공여능 또한 잎의 경우 83.55%로 다른 부위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뿌리 부위로 67.76%, 열매 58.27%, 줄기 56.44%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분석 결과 꾸지뽕 나무의 잎, 열매, 줄기, 뿌리 모두에서 항산화 활성이 55% 이상 이었으며, 특히 잎 부위의 무기성분, 폴리페놀과 항산화 물질의 함량이 다른 부위에 비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꾸지뽕 나무를 부위별로 이용하여 제품화된 차나 건강보조식품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성 식품과 의약품 등으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Various parts of Kkujippong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tree (leaves, stems, roots, and fruit)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ir properties. The general components of Kkujippong tree were fat 1.3-5.9 g /100 g, protein 6.3-18.7 g /100 g, and ash 2.8-9.0 g /100 g. The fiber content of the stem was the highest amount at 69.2 g/100 g, followed by protein in the roots (49.9), leaves (45.5), and fruit (15.6). In addition, Kkujippong tree was found to contain high concentrations of several minerals (Ca, Fe, Mg, Na, P, Zn) in the leav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aves than in other areas at 571.3 mg% (p<0.05).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also highest in the leaves at 83.55% (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