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

        조준호(Cho, Jun H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인천체육사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선인학원의 탄생, 그리고 선인체육관의 건립과 활 용, 해체까지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 기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3공화국은 체육중심정책을 펼치며 체육을 통한 ‘건민체육’과 ‘국위선양’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은 체육중시사조와 새로운 실내체육관 건립을 시대에 요청하게 된다. 이때 제3공화국과 긴밀한 인천 선인학원이??등장한다. 선인학원은 초, 중, 고, 대학교의 계통적 학교체육을 크게 활성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선인학원은 “군인 정신으로 무기를 마련하는 심정”으로 동양최대의 체육관인 선인체육관을 건립한다. 선인체육관의 위치는 인천시??남구 도화동 235번지에 건립되었다. 선인체육관의 건립일은 1973년 10월 완공, 1975년 6월 준공된다. 선인체육관 의 면적은 14,532,32㎡였으며 2개의 강의동에는 한쪽은 1973년부터 인천체전이 자리했고, 다른 한쪽은 1976년부터??인천체고가 자리하였다. 선인체육관에서는 당대 최고의 스포츠인 프로복싱경기가 펼쳐졌다. 선인체육관에서 활약한 대표적 선수로는 홍수 환, 장정구, 박종팔, 유명우 등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선인체육관은 건물 노후화와 함께 가수들의 공연장, 씨 름과 체조 등의 비인기 종목의 경기장으로 활용되며 쇠락의 길로 접어든다. 결국 대한민국 경제의 놀라운 성장은??학교 체육시설도 변화, 발전시켰다. 이제 선인체육관 보다 더 우수한 실내체육관들이 인천시 곳곳에 등장한다. 뿐 만 아니라 선인체육관의 한쪽 강의동을 차지한 인천전문대학이 인천대학교와 통합되었다. 또 다른 한쪽 강의동을??차지하고 있던 인천체육고등학교도 청라신도시로 교사를 이전했다. 결국 인천시는 선인체육관을 체육회관으로 리 모델링하고자 했으나 그 비용이 신축비용보다 더 비싸다는 판단으로 발파, 해체를 강행하였다. 선인체육관은 인천 체육 발전의 근간이었다. 시대를 초월하며 거대한 모습으로 등장한 선인체육관, 그곳은 인천체육의 자랑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unin Gymnasium and its meaning in the sports history of??Incheon through researches on 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tried to review the backgrounds of the??contemporary times, birth of Sunin school foundation, and the history of Sunin Gymnasium including??establishment, utilization and dissolu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ird republic concentrated on ‘Physical Education for Healthy People’ and ‘Enhancement of National??Prestige’ through sports centered policy. Because of these requests of the times, sports Gymnasium became??more important and many new indoor Gymnasiums were built. At this time, Incheon Sunin Foundation emerged??which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hird republic. Sunin Foundation activated systemic school sports from??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Additionally, it established Sunin Gymnasium??which was the largest in the oriental world with “the mind to prepare weapons with the spirit of soldier.” It was??located in 235, Dohwa-dong, Nam-gu in Incheon. It was completed in October in 1973 and permitted to be??operated in June in 1975. The area of the Gymnasium was 14,532,32㎡. It had two school buildings. Incheon City??College has been located at one building since 1973 and Incheon Sports High School has been located in the??other building since 1976. In Sunin Gymnasium, professional boxing games were held which was the most popular sports at that time.??Famous boxers who played in Sunin Gymnasium include Hong Su-hwan, Chang Chung-gu, Park Cheong-pal??and You Myoung-woo. However, in 1990s, Sunin Gymnasium was used as a playground for unpopular sports??such as Korean wrestling and gymnastics as well as a performance venue of singers. Remarkable growth in??economy in Korea eventually developed sports facilities including school sports facilities. At this time, better??indoor Gymnasiums than Sunin Gymnasium appeared. Additionally, Incheon City College located in one of??buildings of Sunin Gymnasium was merged into Incheon University. Moreover, Incheon sports high school??located in the other building moved to New City of Cheong-na. Finally, it was blew up with dynamite and??dismantled, as remodeling cost was estimated higher than building cost, although the municipality of Incheon??tried to remodel Sunin Gymnasium as a sports center. Sunin Gymnasium was basis of the development of??school sports in Incheon. Sunin Gymnasium which appeared as a huge building transcending beyond the??times! It has been a pride of sports in Incheon.

      • KCI등재후보

        일제하 경성지방법원 인천지청 폐지반대운동 연구

        전병무(Jeon, Byung m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2 인천학연구 Vol.16 No.-

        이 논문은 1930년대 인천부민의 경성지방법원 인천지청폐지반대 및 복설운동을, 폐지배경, 폐지반대 및 복설운동의 전개과정, 주도세력 등을 찰하여, 이 운동이 갖는 역사적 의미와 성격을 분석한 것이다.1931년 겨울 조선총독부의 행정정리 방침에 따라 인천지청이 폐지될 이라는 소문이 돌기 시작하였다. 만약 인천지청이 폐지되면 인천부민은 물론 인천지청의 관할 하에 있던 김포, 강화, 부천군민도 재판행정 관련된 모든 업무를 서울에서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시간과 재정상 큰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이에 인천부민 등은 거세게 반발하며, 인천지청의 폐지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인천부윤을 필두로 인천부회, 인천상공회의소, 인천부세진흥회 등 인천지역의 공직자와 유지들이 앞장섰다. 특히 이운동을 주도한 단체는 인천의 일본인과 조선인 유지들이 조직한 인천부세진흥회였다. 이 단체의 구성원은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인천상공회의소와 인천부회에 참여하여 지역유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조선총독부와 정면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이른바 ‘합리적 운동방법’인 관계당국에 대한 진정과 로비를 주요 운동수단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폐지반대운동에도 불구하고 1932년 2월 15일 인천지청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이후 인천 지역민은 인천지청의 복설을 줄기차게 주장하였고, 이 과정에서 조선총독부와 인천유지 간에 복설의 조건으로 인천지청의 신청사를 건립할 것을 합의하였다. 신청사 건립비용은 대략 4만원이 예상되었다. 이에 인천유지들은 인천지청부활협의회를 개최하여 인천, 부천, 강화, 김포 등 1부 3군에 기부금액을 할당하고 기부금모집위원을 선발하여 각지에 파견하였다. 신청사 건립기부금 모집은 지역 간의 이해관계로 인하여 성과를 내지 못했다. 예컨대 김포군의 경우 거리로 볼 때 경성지방법원이 더 근접했기 때문에 굳이 인천지청의 부활을 달가워하지 않아, 기부에 반대하는 자가 많았다. 결국 김포군의 경우 기부금 할당액 5천원을 채우지 못했다. 이처럼 신청사 건립은 지역 간의 갈등을 거치면서 추진되었고, 마침내 1935년 5월경에 완공되었다. 이런 와중에 인천지청은 1934년 9월 복설되었다. 인천 지역민이 전개한 이 운동은 결과적으로 인천지청을 부활시킴으로써 성공한 ‘민원운동’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운동주체의 제한성과 지역 간의 소통재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ic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against the abolition and for the restorativ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by Incheon citizen in the 1930s by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abolition and the development and leading groups of the movements. In the winter of 1931, the rumor began to spread that the Incheon Regional Office would be abolishe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adjustment policy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was abolished, not only Incheon citizens but also all the residents in Gimpo, Ganghwa, and Bucheon Countie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had to go to Seoul for administrative services related to court trials, suffering a great loss of time and money. Therefore, opposing the policy resolutely, Incheon citizens and others waged a movement against the abolition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ayor of Incheon, public officials and interested organizations such as Incheon City Congress,??Incheo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Incheon Taxation Promotion Association took the lead of the movement. In particular, the Incheon Taxation Promotion Association, which was organized by Japanese and Korean influential persons in Incheon, was deeply involved in the campaign. The members of this organization had formed a network of local influential persons by participating in the Incheo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the Incheon City Congress representing their interests. In order to avoid head?on collision with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y chose so?called ‘rational methods of movement,’ namely, petition and lobby to relevant authorities. Despite the movement against abolition, however, the Incheon Regional Office was officially closed on February 15, 1932. From that time on, Incheon residents persistently demanded the restorativ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and in the course an agreement was reached betwee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leaders of Incheon to construct a new building for the Incheon Regional Office as a condition for restorative establishment. The estimated cost of new office building construction was 40,000 won. Thus, the leaders of Incheon held the meeting of the Commission on the Restoration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allocated amounts to be raised to a city and three counties (Incheon City, and Bucheon, Ganghwa and Gimpo Counties), appointed fundraisers, and sent them to each area. The fundraising for new office building construction was not successful due to conflict of interests among the areas. For example, Kimpo County, which was closest to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was not so active for the restoration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and many of its residents opposed fundraising. After all, Kimpo County failed to raise 5,000 won allocated to the area. The construction of the new office building was promoted through these con-flicts among the involved??areas, and was finally completed in May 1935. In the middle of the construction, the Incheon Regional Office was reestablished in September 1934. These movements waged by Incheon residents are considered successful ‘civil petitions’ that brought about the restoration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limitations such as the leaders’ limitedness and lack of communication among involved areas.

      • KCI등재

        상공인명록을 통해 본 1930년대 초 인천지역 기업 활동

        최재성(Choe, Jae-s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9 인천학연구 Vol.30 No.-

        이 글에서는 1931년 인천상공회의소에서 발행한 〈인천상공인명록〉을 대상으로 하여 업종별 외형적 파악과 기업 활동의 내면적 분석을 시도했다. 먼저 외형적 파악의 첫 단계로 인명록 정보 가운데 납부 영업세액을 살펴보았다. 고액 납세업종에 속하는 것은 금융업, 양조업, 정미업, 운수업, 무역업, 거래원업 등이었고, 50원 미만 납세 기업이 압도적 다수인데, 그만큼 규모면에서 소규모 기업이 많았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기업 소재지별로 보면, ‘리’ 단위 지역에서는 조선인 업체수가 일본인 업체수에 비해 5배 정도로 월등히 많다. 특히 외리와 내리가 조선인 기업의 밀집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정’지역에는 ‘리’보다 업체수가 월등히 많고, 또 일본인 업체가 조선인 업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세 번째로 겸업자를 민족별, 영업 종목수별로 나눠보면, 모두 일본인이 조선인 보다 많다. 그만큼 일본인이 조선인보다 기업 활동에 적극적이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은 인천의 대표적 기업인 무역업·정미업·양조업·성냥제조업을 대상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무역업 가운데는 미곡과 면제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수이출 부문을 보면, 인천에서 이출된 조선 쌀은 일본 각지로 이송되었다. 다음으로 일본으로부터 이입 중요품 가운데 ‘수입품의 백미’인 면직물을 보면, ‘면사포·마직물류 무역’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이는 이 무역을 통해 858원의 영업세를 납부했다. 이제 제조업을 보자. 먼저 정미업을 보면, 1930년대 초 인천의 공업별 생산액 중 정미와 현미 등 정미공업의 생산액은 다른 공업에 비해 압도적 위치에 있다. 영업세액 1천원 이상을 납부한 정미 기업 3곳의 영업세액 3천 9백 원이다. 두 번째는 양조업이다. 청주·소주·약주·탁주 등 술 종류 4개의 생산액은 190여만 원이다. 여기에 장유와 미소의 백여만 원을 더하면 양조업 생산액은 약 3백만 원이다. 조일양조주식회사와 野田장유주식회사 인천공장의 영업세액은 각각 1427.95원과 398.5원이다. 세번째는 성냥 제조업인데, 그 생산액은 약 33만원이다. 성냥은 조선인촌주식회사에서 독점 생산한 것으로 이 회사의 1931년 영업세액은 537.14원이다. 이들 제조업(정미업·성냥제조업)의 기업 활동 이면에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희생이 있었고, 희생을 강요당한 노동자들은 저항하면서 일부는 뜻(요구조건 관철)을 이루고, 또 일부는 해고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일제식민지기 인천지역 기업 활동의 이면에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희생과 저항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each information and analysing corporates’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list of names published in 1931 by the Incheo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amount of operating tax paid ou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first step in identifying the appearance. It was the financial industry, the brewing industry, the rice industry, the transportation industry, the trade industry, the trading business, etc. Next, in terms of location, the number of Korean companies is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companies in the area of "Ri(리, 里)".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Oe-Ri(외리)” and “Nae-Ri(내리)” are concentrated areas of Korean companies. There are far more Japanese companies outnumber Korean companies in the "Jeong(정, 町)" area than "Ri". Third, there are all more Japanese than Koreans in double job.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Japanese were more active in corporate activities than Koreans. The following was an in-depth analysis of the trade business, rice-cleaning business, the brewery business, and match manufacturing business, which are major companies in Incheon. Among the trade, rice and cotton goods were considered. First of all, the rice from the colonial Joseon, which was removed from Incheon, was transferred to various parts of Japan. Cotton fabric is the "the best of imports" that comes from Japan. Now let"s look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of all, the output of rice-cleaning busi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at of other industries in Incheon in the early 1930s. The second is brewing. It is produced by four types of alcohol, namely Cheongju, Soju, Yakju, and Takju, and Soy Sauce and Soybean paste. The third is the manufacturing of matches, which were produced exclusively by the Chosen Match Corporation. The increase in profits of these manufacturing industries was made at the expense of Korean workers, and the workers forced to sacrifice tried to defend their rights and interests.

      • KCI등재후보

        식민지기 인천상공의의 설립과정과 역할에 관한 제도주의적 고찰

        양준호(Yang, Jun-h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1 인천학연구 Vol.14 No.-

        본고는 인천상공회의소의 지역경제에 대한 인식 및 역할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식민지기의 경제조정기구로서의 인천상공회의소의 기능 개편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해방 이전 인천상공회의소가 정기적으로 발행해온 ‘統計年報’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와 仁川商工會議所(1935) 및 仁川商工會議所(1938) 등의 1차자료, 그리고 해방 이전에 발행된 국내외 신문기사 자료를 활용하여 보다 실증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단, 본고는 위의 과제를 경제사적인 관점이 아니라 이론적 관점(제도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또 모든 것을 시장(Market)에 맡겨두면 시장이 스스로 알아서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고 사회적 분쟁도 해결해준다는 ‘시장 균형’을 강조하고 또 시장은 인위적인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형성되었다는 ‘시장 자연발생론’을 고수하는 주류경제학과는 달리, 오히려 자유방임형 시장이 초래한 사회적 불균형 또는 사회적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 ‘제도로서의 경제단체’가 형성된 점과 시장은 자연적으로 발생된 것이 아니라 경제단체의 활동에 의해 구축되고 확대되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는 제도주의적 역사 방법론에 입각하여, 제도로서의 경제단체와 지역 자본축적 간의 인과관계에 대해 보다 이론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role and perception of 'Incheon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and to historically discuss it base on the process of functional reorganization of 'Incheon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as the organization of economic mediation in the colonial era. For this, this paper is tried to empirically debate it by using database such as '統計年報' which had regularly been published by Incheon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before liberation, primary data such as 仁川商工會議所(1935) & 仁川商工會議所(1938) and domestic & foreign newspaper's data published before liberation. This paper, however, is based on not the view point of historical economics but the theoretical view point(institutional economics view point). In addition, the paper is differently discussed as compared with the mainstream economics, that emphasizes 'market equilibrium' which adjusts demand and supply by market itself by leaving everything to the market, and also that sticks to 'the evolution theory of market' that market were forged as a natural result without artificial interference. On the contrary, it is theoretically discussed abou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 economic organization as institution andaccumulation of local capital, which is based on institutional history methodology, that focus on not natural occurrence of market but establishment and expansion by movement of an economic organization, and also that focus on formation of 'an economic organization as institution' to resolve social imbalance and social confrontation caused by laissez-faire of market.

      • KCI등재후보

        식민도시 인천의 거주지 분리 담론과 실제

        김종근(KIM, Jong-Geu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1 인천학연구 Vol.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인천의 식민도시 이중구조론에 대한 비판적 검증이다. 이를 위해 두가지의 분석이 진행되었는데, 첫 번째 분석은 어떻게 그리고 왜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식민도시 인천의 이중성을 구성하였는가에 초점이 맞춰졌고, 두 번째 분석은 인천 내부 구조의 다양성 분석에 초점이 맞춰졌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분석에서는 인천의 식민도시 ‘이중도시론’이 제국주의 타자담론에서 기원하여 각종 식민 담론 및 정책 등을 통해 구성된 것이었으며, 특히 이분법적인 지명 부여가 이러한 이중구조론을 강화시키기 위한 식민정부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었음이 밝혀졌다. 이렇게 식민정부가 지명부여를 통해 이중구조론을 확대 재생산한 것은 지배 및 민족 차별을 정당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피식민지민인 한국인들도 ‘남북촌’이란 개념으로 이중도시론을 받아들이고 확대 재생산하고 있었는데, 이는 민족 차별을 고발하고, 나아가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의도가 깔린 행위였다. 이 결과 식민도시 인천의 지배민족과 피지배민족 모두에게 이중도시 심상지리가 불변의 진실로 자리잡게 되었다. 두 번째 분석에서는 이러한 이분법적인 심상지리와 달리 실제 인천은 지배민족과 피지배민족 그리고 제3의 존재인 중국인 까지 섞여 존재하고 있던 도시였음을, 기존의 상이지수법의 한계점을 극복한 다양성 지수법(Diversity Index)을 통해 확인하였다. 즉 인천의 내부는 한국인과 일본인 독거지 뿐 만 아니라 잡거지가 함께 공존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기존의 식민도시 내부구조에 대한 인식론인 ‘남북촌’론을 탈피하여, 지배자와 피지배자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식민지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써 수행되었다. 즉 양쪽이 분리되어 있었다는 것은 담론에 불과하며 실제는 뒤섞여 있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했고, 이러한 잡거는 식민지적 문화 접변현상을 일으킨 배경이 되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lonial duality of Incheon critically. To achieve this purpose, two kinds of analyses are executed. First analysis is on how and why the Japanese colonizer constructed the imaginative colonial duality of Incheon. Discovering the diversity of inner structure of colonial Incheon is the second analysis. In the first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the duality of colonial Incheon is derived from imperial Other discourse and various imperial policies. Especially, it is discovered that the dual naming of the administrative unit names, machi and ri, was a kind of colonial policy to enforce the duality of the colonial city. By using this kind of policy, the colonial government tried to justify the colonization and ethnic discrimination. Paradoxically, the colonized Korean accepted the colonial duality to complain the ethnic discrimination and to enhance the ethnical identity. As a result, the duality of colonial Incheon became a constructed reality betwee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In the second analysis, the author tried to reveal the reality of colonial Incheon. By using the diversity Index, the author find that the inner structure of the colonial city was composed of not only the segregated areas but also the mixed areas. Moreover, the fact that chinese people was also an important ethnic group in the colonial city is revealed. Ultimately, this author argue that the essence of the colonial urban society is not the segregation but the interaction among the colonizer, the colonized, and the immigrants.

      • KCI등재

        1910년대 인천부의 주요 의료기관의 활동과 현황

        김영수(Kim, Young-s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고는 1910년대 인천에 존재하는 의료기관의 활동과 그 현황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인천에는 크게 거류 민 경영의 인천병원, 인천경찰서의 지휘, 감독하의 조선인을 위한 의료기관인 보건조합 시료부, 영국성공회의 선 교병원인 성누가병원이라는 의료기관이 존재하였다. 인천병원은 거류민의 경영에 의해 운영되었지만, 병원의 시 설과 사업규모에서 거류민이 부담하기에는 역부족이었기 때문에 부제가 실시되면서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보건조 합 시료부는 인천거주 조선인의 의료위생사업을 담당하기 위한 기관으로, 보건조합 사업의 일부로 담당하여 조선 인 빈민환자에게 무료진료를 행하였다. 그리고 성누가병원 역시 인천지역의 조선인 의료의 많은 부분을 담당한 기 관이었다. 1910년대 인천의 지역의료에서 이 세 의료기관은 상당히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부제가 실시되면서 인천부는 인천병원에 이어 보건조합을 인천부에 편입시키는 방안을 논의하였고, 그 결 과 보건조합은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보건조합 시료부 역시 인천부에 편입된 후, 부경영의 인천병원의 시료부의??형태로 설치되기에 이른다. 그리고 선교병원으로서 인천의 지역의료를 담당하던 성누가병원은 재정부족문제와 보 건조합 시료부의 설치 등 내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병원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그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 어 갔다. 경영문제로 인한 성누가병원의 기능 약화와 부제의 실시에 따른 인천부의 기존 의료기관의 흡수 및 재편과정은 결 과적으로 인천의 지역의료 담당기관이 부가 경영하는 하나의 공적 의료기관으로 통합되는 결과를 낳았다. In this paper, the aim is to look into the role and transition of the major medical institutions of Incheon-bu in??the 1910s. There were three major medical institutions: the Incheon Hospital run by the Japanese settlement??cooperation, the Health Union Dispensary under the supervision of Incheon police station, and St. Luke??Hospital run by the English Church Mission. Incheon Hospital was the biggest hospital in Incheon; therefore, it was difficult for the Japanese residents to??run it and pay their own expenses and levies. After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uje) was reorganized, it was??incorporated into the Incheon-bu. The Health Union Dispensary was opened as a part of Health Union, which??took charge of health and sanitation of Korean residents in Incheon and provided free medical treatment for??poor Korean residents. There was also St. Luke hospital, which was in charge of medical care in Incheon,??especially for the low-wage workers. Incheon-bu incorporated the Health Union with its sound finance following the incorporation of the Incheon??Hospital. As a result, Incheon-bu managed both the hospital and the dispensary, and it entrusted the??dispensary to the hospital. St. Luke Hospital experienced a financial crisis and other issues related to??managing the hospital; therefore, its influence was faded in Incheon. The financial crisis experienced by St. Luke Hospital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other two medical??institutions by Incheon-bu allowed local health care to be integrated into one public medical institution run by??Incheon-bu.

      • KCI등재

        식민지기 인천에서의 회사 추이와 그 분포적 특질

        박이택(Park Yi Taek)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8 인천학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조선은행회사조합요록 을 주 자료로 하여 인천의 회사 발전의 비교 도시적 특질과 인천 내 회사의 지리적 분포를 분석한 것이다. 제2절에서는 조선 전체 및 인천의 업종별 회사수와 납입자본금의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제3절에서는 조선 전체 및 17개 주요 도시의 회사수와 납입자본금의 추이를 분석한 후, 인천의 회사수와 납입자본금 추이에서 보이는 비교 도시적 특질을 고찰하였으며, 제4절에서는 조선 전체에서의 납입자본금 규모별 구성과 주요 도시에서의 1회사당 납입자본금의 추이를 분석한 후, 인천의 납입자본금 규모별 회사 구성 및 1회사당 납입자본금 추이에서 보이는 비교 도시적 특질을 고찰하였으며, 제5절에서는 인천에서 회사의 동별 분포를 동별 민족별 인구구성 및 인구규모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통상 식민지기 인천은 일본인 주도로 경제가 운영되었던 대표적인 일본인 도시로 이해되는 경향이 있지만, 본 연구에 의하면 인천의 도시적 성격은 식민지기 동안 크게 변모하였다. 인천의 일본인 인구 비중은 1914년38%에서 1938년 13%로 감소하였고, 조선인 인구 비중은 1914년 57%에서 1938년 86%로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민족별 인구 구성의 변화와 더불어, 조선인 회사와 조선인 공장도 증가하여, 인천 내 조선인 경제는 크게 강화되었다. 그러나 회사의 납입자본금 규모별 구성이나 지점이나 출장소를 가진 회사의 본점 소재지 구성으로 볼 때, 식민지기에 인천은 고차 도시로서의 성격이 매우 약한 저차 도시로 존재하였는데, 고차 도시인 경성이 인접해 있었던 점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인다. 회사 입지 상으로 볼 때, 인천이 가지는 이와 같은 비교 도시적 특질 때문에, 인천에서는 자본금이 적은 회사들이 광범하게 분포하는 형태로 회사가 발전하였다. 1938년에 인천의 동수는 35개였는데, 이중 주안정을 뺀 34개 동에는 회사가 설립된 경험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parative urban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company in Incheon, using Review on colonial Korea’s bank, firm and cooperative associations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 as the main data.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cheon tends to be understood as the representative Japanese city where the economy was run by the Japanese people. However, the urban character of Incheon changed greatly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of Koreans increased from 57% in 1914 to 86% in 1938. Depending on the ethnic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the number of Korean companies and Korean factories increased, and the economic activities of Koreans have been greatly enhanced. 2) Considering the company’s distribution by paid-in capital size or the regional composition of the main headquarters of a company with a branch or branch office, Incheon was a lower-order city with very weak characteristics as a higher-order city. 3) The company’s distribu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 Incheon shows that companies with small paid-in capital were very widely distributed. In 1938, 34 administrative districts of Incheon’s 35 administrative districts had the experience of establishing companies.

      • KCI등재

        1910년대 인천항 축항 사업과 식민자 사회 - ‘동양유일’ 이중갑문식 독의 준공 -

        이동훈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8 인천학연구 Vol.28 No.-

        본 논문에서는 인천항 축항공사를 사례로 제국 일본이 관여한 식민지도시의 형성·변용 과정을 식민자 사회와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했다. 식민지도시의 형성 과정은 종주국과 시기·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데 개항장에서 항만 도시로 성장한 인천은 제국 일본에 의해 새롭게 이식된 식민지도시 유형에 속한다. 조선에 이식된 식민지도시의 형성 과정은 당국의 식민지 경영 방침만으로 설명되기 어렵다. 식민 통치 권력이 도래하기 전 형성되었던 거류민사회가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글에서는 인천항 축항 공사를 둘러싼 재조일본인 사회의 여론을 고찰하고 그들 사이에서 공유되었던 의식을 분석했다. 축항 사업이 어떻게 구상·시행되었는지, 축항공사를 거치면서 식민지공간이 어떻게 변용했는지를 통해 식민도시 인천의 특질을 고찰했다. 개항 후 거류민사회에서는 전관 거류지가 협소하다는 이유를 들어 거류지 매립을 계획했다. ‘한국병합’전에 행해진 해안 매립 과정을 보면 거류민 단체 혹은 개인이 매립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여론을 주도하면서 영사관(이사청)의 협조를 얻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그 중 각국거류지 앞 매립의 경우 거류민단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금력을 가진 유력 인물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또한 인천항은 조수간만의 차와 토사침전으로 인해 내항 접근의 어려움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무역항으로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거류민사회에서는 축항을 구상하게 된다. 통감부 설치라는 정치적 변화를 배경으로 철도 개통과 타항의 항만 정비안 발표로 인한 위기감이 더해지면서 청원활동은 활기를 띄게 된다. 이들이 당국의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해 만들어 낸 것은 ‘國港’과 ‘國運’이라는 수사법을 동원한 논리였다. 인천항의 조수 간만의 차를 없애기 위해 채용된 방법은 이중갑문식 독이었다. 영국의 예를 제외하면 동양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건설이었으며 이후 ‘동양유일’ 이중갑문식 독은 인천항을 상징하는 건축물로 자리잡게 된다. 독의 준공과 더불어 인천항의 무역량은 증가했으며 대외무역항으로서 지위를 확고히 유지하게 된다. 또한 같은 시기 조선인 노동자가 인천항으로 유입되면서 거주 지역이 동쪽 외곽으로 확산된다. 이들 지역은 일본인이 경영하는 회사에 대한 노동력 공급처로서 기능하게 되는데 이는 식민지 공간에 지배―피지배의 사회 구조가 구현된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 종합하면 인천항 축항은 거류민 사회가 여론을 주도하는 형태로 전개되었으며 ‘한국병합’ 직후 축항 사업이 실현된 배경에는 식민지 경영상의 방침뿐만 아니라 인천항의 장래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었던 일본인 사회의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렇듯 식민자 사회의 축항론이 선행되고 식민지 통치 권력의 정책에 영향을 미친 점은 타 식민지와 비교해볼 때 주목할 만한 점이다. 조선의 식민지도시 형성 과정에 보이는 특질 중 하나는 제국 일본이 그 도시에 부여한 기능뿐만 아니라 거류민사회의 항만 ‘개발’론과 당국의 식민지 경영책이 어우러지면서 복합적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일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characteristics of colonial cities of Korea by studying on ‘Jinsen’ dock construction. Incheon, a harbor city located near the capital city Seoul of Korea has historic background as a colonial city. Colonial cities around the world has been categorized to clarify characteristics of city construction. Despite of categorization, there are diverse patterns of colonial cities. Unlike most colonial cities ruled by western empires, colonial cities in Korea transplanted by imperial Japa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Most of all, settler’s community was formed before colonial power arrives. Korean peninsula was comparatively easy to approach for Japanese including grass roots class due to geographical condition. Therefore, it would not be sufficient to examine construction process of colonial cities by plans of authorities. In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follows public opinions and consensus of Japanese settler’s community regarding coastal reclamation and harbor construction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1910’s. And also describes how colonial space changed during this period. During the protectorate period, Japanese settlers discussed on harbor construction to overcom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tide. They expressed worries about the future of the harbor after railway openings. To gain positive response from authorities, settler’s community developed logic using nationalistic rhetoric. Meanwhile, authorities also recognized geographical importance of ‘Jinsen’ as a connecting port between mainland and Dairen. These combined factors influenced ‘Jinsen’ dock construction. After the announcement of construction plan, Japanese settlers considering permanent residence increased. Dock of dual lock gate system was introduced to overcome tide difference. Had never been attempted in Eastern countries, ‘Only one in the Orient’ phrase was used constantly to inform the ‘Jinsen’ dock. Consequently, this phrase became a symbolic word for the city throughout colonial period. During 1910’s, Korean population mostly blue workers moved into eastern part of the city and it functioned as labor supplying zone. In conclusion, Japanese settler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harbor construction. Settlers discussed on harbor construction before colonial power established and their petition and lobby subsequently influenced plans of colonial authorities. This characteristic is an important factor to study colonial cities of Korea and Incheon harbor construction is one of cases. Key words : colonial city, Japanese settler, Jinsen dock, Incheon, settler colonialism

      • KCI등재

        인천감리서 터의 구성과 변천과정 연구

        손장원(Sohn, Jang-Wo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7 인천학연구 Vol.27 No.-

        감리서는 조선시대 지방행정 관서가 수행했던 기능에 외국과의 통상업무, 비자발급, 조계지관할, 외국인과 조선인 사이에 일어나는 각종 쟁송 등을 관할하던 개항장에 설치된 지방관아였다. 조선시대의 중요한 행정관서임에도 존속기간이 짧고, 감리서의 기능을 이어받은 일제가 흔적을 지워나갔기 때문에 관련 자료가 부족해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근대기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서는 감리서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료 확보가 비교적 쉬운 인천감리서를 고찰했다. 인천감리서는 개설이후 1년간 화도진사를 사용하다가 1884년 8월에 이르러 조계지 인근으로 옮겼다. 인천감리서가 신축이전한 부지는 개설이후 134년이 지난 현재에 이르러 여러 개의 필지로 나누어져 있으나, 전체 대지는 비교적 온전한 형태가 가구(街區)로 남아있다. 인천감리서가 입지했던 장소는 지리적으로 인천개항장의 중심지에 해당하는 곳이었으나, 일제가 인천을 항구와 항구인근에 세워진 일본조계지를 중심으로 도시를 운영하여, 법원 이전 전까지는 발전이 지체되었다. 인천감리서의 대지규모는 다른 지방관아에 비해 협소했으며, 향청과 객사를 설치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인천감리서 안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지방우체사인 인천우체사는 물론 법원과 검찰, 학교도 세워졌다. 결과적으로 인천감리서는 근대인천의 행정, 사법, 교육, 경찰, 행형, 통상의 시발지이다. 경성감옥 인천분감에서는 백범 김구선생이 수형생활을 했던 곳이며, 연구진행 과정에서 관련 도면을 입수하기도 했다. 아울러 근대기 외래문물의 영향으로 주로 외국인이 세운 건축물 중심의 연구가 이루어졌던 인천지역 근대건축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본 연구를 통해 감리서 터의 입지적 특성과 변천과정, 감리서 안에 세워진 각종 시설물을 살펴보았다. 추후 인천감리서를 구성했던 관아건축의 원형과 행정제도 개편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조선후기 감리서 건축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Kamni Office is a regional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established for commercial intercourse with foreign countries. The Kamni Office also took charge of the visa issuance and the charge for supervising concession and port. The Kamni Office was an important administrative org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Japan"s invasion was wiped out. Japan destroyed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Kamni Office and destroyed the building. Therefore, research was difficult due to lack of data on the Kamni Office. However, recent photos, maps, and drawings of Incheon Kamni Office have been found. The study is about Incheon Kamni Office. Incheon Kamni Office stayed for one year after its opening in Whadojin(花島鎭) in Incheon. In August, 1884, Incheon Kamni Office moved to concession near Port of Inchon. Incheon Kamni Office has been 134 years since the opening of Incheon. The building was completely gone, and an apartment was built. However, the entire land remains intact. Incheon Kamni Office was the center of Incho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cheon Kamni Office was smaller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 offices. In Incheon Kamni Office, the post office, the courts, the prosecution, and the school were built. Kim Gu was imprisoned in Incheon Kamni Office. In 1935, the Incheon Kamni Office building was completely destroyed by the construction of a new court building in 193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