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계 Package를 이용한 보건통계실습 모형 개발 : 새로운 교육방법의 시도 Trial on New Educational Method

        하은희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6 EMJ (Ewha medical journal) Vol.19 No.2

        연구목적 :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지역사회 보건의료 사업지역은 1982년부터 의과대학의 학생실습을 위한 교육과 지역사회 보건의료 시범사업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왔다. 이러한 지역사회 보건실습은 해당 지역사회의 보건문제를 보다 근거리에서 느끼게 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그 방법론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수 작업의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정해진 기존의 총 실습시간인 36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할애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 현 시점에 적합한 새 실습방법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보건통계실습이 예방의학의 한 과정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졸업 후 연구나 대학원 논문 작성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컴퓨터를 이용한 보건통계 실습 모형을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학생들의 기존 예방의학실습에 대한 평가와 컴퓨터 실습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하여 의학과 3학년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1995년 8월과 11월에 설문조사를 하였다. 1995년 겨울방학동안 의학과 2학년 학생 1명에게 SAS에 대한 기본적인 강의를 실시한 후 자료의 정리 및 분석을 시행하게 하여 통계 실습모형의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사옹된 컴퓨터는 주 기억용량 8MB, 중앙처리장치(CPU)속도 234.9MHz, 486DX급의 IBM-PC호환 기종이며 사용 프로그램은 SAS DOS version 6.04한글 문서작성프로그램 version 3.0을 사용하였다. 이를 다시 전체 학생에 대한 실습모형으로 다시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 많은 학생들이 기존의 보건통계실습에 있어서 자료수집, 자료정리, 표만들기 과정, 보고서 작성과정에서 유익하였지만, 시간낭비가 많았다고 하였다. 현재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아는지 앞으로 컴퓨터 교육을 실습교육내 도입할 경우에 대한 생각을 물어본 결과, 현재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아는 경우가 86.1%였으며 이들은 모두 컴퓨터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앞으로의 실습에 컴퓨터 이용시 word process에서는 86%가 찬성하였고 통계 package에 대하여는 61.8%가 찬성하고 있어 학생들이 컴퓨터 실습도입에 대하여 대부분이 동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보건 통계 실습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겨울 방학을 이용, 학생 1인이 예방의학 교실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1대를 활용하여 의학과 2학년 보건통계 실습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실습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다시 80~90명의 학생들을 조직하여 팀을 구성하고 이를 실습시간내에 적절히 배정하여 학생들이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모형을 재구축하였다. 결론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실습의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먼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던 바 학생들의 대부분은 computer를 사용하여 실습을 수행하는데 찬성하였던 것을 토대로 컴퓨터를 이용한 보건통계 실습모형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컴퓨터 실습에 대하여 부정적인 반ㅇ을을 나타내는 학생들이 있었던 바 이 부분에 대하여는 향후 의예과 교과과정에서 com-puter강의ㅡ이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대폭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Recently Computers are more and more widely used in many aspects of medicine, including education, and using computers to assist in traditional learning has many advantag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modeling of computer learning program in health statistics. Method : The author analysed the present program and then surveyed the student's need by self administrated questionnaires. By one student modeling, the computer learn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and then the program was remodeled into the whole(80-90) students program. Results : The students thought that the current health statistical experiment was useful but laborius. And they wanted to try to new program with computer statistical package. In the aspect of trial on new educational method, the model of computer learning program in Health Statistics has been developed. Conclusion : The computer learning program will be implemented in this second semester(1996) but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will be devoted to the program. And then it will be succeeded.

      • SCOPUSKCI등재

        해방 이후 우리나라 산업보건관리에 관한 문헌분류 및 연구동향

        하은희,박혜숙,김영복,송현종,Ha, Eun-Hee,Park, Hye-Sook,Kim, Young-Bok,Song, Hyun-Jong 대한예방의학회 1995 예방의학회지 Vol.28 No.4

        산업보건관리영역의 범위를 정하고 이를 분류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저자들이 정의한 산업보건관리영역의 범위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재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보건관리문헌을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정기간행물기사색인에 수록된 21종의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산업보건관리내용에 대한 우선순위 및 향후 산업보건관리 연구 방향을 조명함으로써 앞으로 산업보건관리의 방향설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산업보건을 전공하고(71.6%) 있었고, 대학에서 근무하고 있었으며(68.3%), 남자가 많았고 연령은 40세 이상이었다. 산업보건관리영역의 분류에 대찬 의견으로는 분류가 필요하다는 찬성의견이 70.0%였고 반대의견은 100.0%였다. 2. 응답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재분류한 산업보건 관리영역을 크게 산업보건사법과 산업보건사업을 지지해 주는 산업보건관리체계 및 이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는 여러 가지 방법론들로 구분하였다. 3. 산업보건관리 문헌 총 510편을 연도별로 살펴본 결과 연도별로 서서히 증가하다가 1986년 이후에 급격 히 증가하고 있었으며, 학술지별 분포는 대한산업의학회지(18.2%), 한국의 산업의학(15.1%), 예방의학회지(15.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내용별로는 산업보건관리체계에 대한 연구는 33편(6.5%)에 지나지 않았으며 산업보건사업에 대한 연구가 477편(93.5%)으로 주를 이루고 있었다. 산업보건관리체계에 대한 연구는 산업보건자원체계에 대한 연구가 15편(45.5%), 산업보건재원조달체계 8편(24.2%), 산업보건관리운영체계 6편(18.2%), 산업보건조직체계 3편(9.1%), 산업보건서비스전달체계 1편 (3.0%)의 순이었으며 산업보건사업에 대한 연구는 질병관리 269편(57.2%),보건관리 116편(24.7%),작업환경관리 85편(18.1%)으로 질병관리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별로는 일반근로자 대상이 185편(71.1%)으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근로자, 전문직, 서비스근로자 순이었다. 4. 산업보건관리내용의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으로는 산업장근로자들에 대한 건강관리, 작업환경관리, 보건교육 등의 산업보건사업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고 다음으로는 산업보건인력에 대한 교육훈련 및 직무내용, 성인병 및 직업병 의뢰체계, 산업보건조직 등에 관한 산업보건의료체계에 관한 분석 등을 순위로 제시하였다. 5. 산업보건관리영역의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병의 응답자가 48건의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산업보건사업에 관한 실제적인 연구가 31.3%로 가장 많았으나 조직, 체계에 대한 연구(27.1%), 정보망구축에 관한 연구(8.3%) 등 산업보건체계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건강진단에 대한 비용-편익분석 (10.4%), 산업보건사업평가(4.2%), 유해물질폭로평가(2.1%), 노동조건에 관한 연구(6.2%)등 다양한 새로운 분야의 연구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보건관리에 관한 연구는 1945년부터 서서히 증가하다가 1986년 이후부터 활발히 진행되어졌고, 대부분의 연구가 산업보건사업에 치중되어 있으며 산업보건관리체계에 대한 연구는 미약함을 알 수 있었다 산업보건사업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도 직업병 실태와 건강관련행태 및 실태를 파악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산업보건관리체계의 경우도 대부분 인력의 실태 파악에 그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the scope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and to classify occupational management by review of related journals from 1945 to 1994 in Korea. The step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earch of secondary reference; (2) Collection and review of primary reference; (3) Survey; and (4) Analysis and discu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ost of the respondents majored in occupational health(71.6%), and were working in university (68.3%), males and over the age 40. Seven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agreed with the idea tha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s necessary, and 10% disagreed. 2. After integration of the idea of respondents, we reclassified the scope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t was defined 3 parts, that is , occupational health system, occupational health service and others (such as assessment, epidemiology,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d so on). 3. The number of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was 510. It was sightly increased from 1986 and abruptly increased after 1991. The kinds of journals related to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were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18.2%), Several Kinds of Medical Colloge Journal(17.0%), The Korean Journal Occupational Health(15.1%), The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15.1%) and others(34.6%). As for the contents, the number of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s was 33(6.5%) and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477(93.5%). Of the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s, the number of journals on the occupational health resource system was 15(45.5%), occupational finance system 8(24.2%),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6(18.2%), occupational organization 3(9.1%) and occupational health delivery system 1 (3.0%). Of the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the number of journals on disease management was 269(57.2%), health management 116(24.7%), working environmental management 85(18.1%). As for the subjects, the number of journals on general workers was 185(71.1%), followed by women worker, white coiler workers and so on. 4. Respondents made occupational health service(such as health management, working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health education) the first priority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Tied for the second are quality analysis(such as education, training and job contents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r) and occupational health systems(such as the recommendation of systems of occupational and general disease and occupational health organization). 5. Thirty seven respondents suggested 48 ideas about the future research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udy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40.5%; (2) Study of organization system 27.1%; (3) Study of occupational health system (e.g. information network) 8.3%; (4) Study of working condition 6.2%; and (5) Study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analysis 4.2%.

      • SCOPUSKCI등재

        일부 여자대학교 학생들의 영양지식, 태도, 식행동 및 식품섭취상태와 그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1학년, 4학년 중심으로 -

        하은희,김선희,강지용,Ha, Eun-Hee,Kim, Sun-Hee,Kang, Ji-Yong 대한예방의학회 1990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3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nutritional knowledge, nutrional attitude, eating practice and total nutritional diagnosis and also to fi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m. The survey was done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0 to June 1990 and the target population were Ewha Womans University students (freshmen and senior) of whom 1,354 peoples were surveyed.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 1. For the teaming environment, the percentage of completion on nutritional knowledge course was 28.6% and among them the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had the highest score(100.0%) and the next was dept. of medicine (53.4%). 2. To find the relation which the nutritional knowledge, nutritional attitude, eating practice and the total nutritional diagnosis influence on one another, the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The attitude and the practice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otal nutritional diagnosis, but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total nutrional diagnosis was not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and nutritional knowledge which we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ttitude respectively was positive but not significant. 3. The difference which were analyzed by department, grade and completion on knowledge course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 eating practice were significant (p<0.01) by ANOVA. 4. The significant variables on nutritional diagnosis are the eating practice points, the grade, the knowledge course, the breakfast and the attitude ($r^2=10.3%$)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it did not consider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dietary life such as dietary culture, family environment, cultural habit. Therefore important points of these dietary studies are to extend to the practical nutritional education and dietary improvement for the national health not restricted to the local area or local population.

      • SCOPUSKCI등재

        철강제조업 생산직 남성 근로자의 건강행태에 관한 연구

        하은희,임현술,위자형,곽정옥,Ha, Eun-Hee,Lim, Hyun-Sul,Wie, Cha-Hyung,Kwak, Jung-Ok 대한예방의학회 1996 예방의학회지 Vol.29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lations among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work-related behaviors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in a steel industry with 1,134 workers in Poha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workers was 50 years old and working duration was 15 years and over. Most of them were married(94.5%) and had studied beyond high school (53.0%). They performed three shift work and most of them(63.0%) had experienced industial accidents. The frequency of noise and dust exposure was defined by a minimum of 6 hours per day, and workers complained about noise exposure(62.9%) and dust(55.6%). There were current smokers(67.7%), current drinkers(74.3%) and current exercising workers(32.3%) in the industry. The number of cigarette consumption in current drinkers was significantly high $(13.6{\pm}8.4\;pieces/day)$ and the alcohol consumption in current smokers was significantly high$(104.5{\pm}113.5\;g/wk)$. And the number of cigarette consumption of exercisers was significantly low and the alcohol consumption of exercisers was higher than non-exercisers. 3. The ratio of current smokers on frequent noise in exposed workers versus non-exposed workers was not significantly high but the current drinkers in frequent noise and dust exposed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exposed. 4. The normal levels of SGOT workers in non-smo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urrent smokers, and the normal levels of LFT (SGOT, SGPT, $\gamma-GTP$ workers in nondrinkers were significantly high. The normal levels of SBP and DBP workers in current smokers were not significantly high but were significantly high in non-drinkers. 5. The ratio of current smokers in voters unsatisfied with their job and working condition was higher than non-smokers, but the ratio of current drinkers in workers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working condition were higher. 6. The significant factors for SGOT and $\gamma-GTP$ were age, the drinking amount and BMI. But the only significant factor for r-GTP was BMI. The significant factors for DBP were age, the alcohol consumption and BMI. And the significant factors for SBP were age, BM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