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양상 연구

        조남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Korean vowel listening education by identifying perceptual error patterns by gender, Korean proficiency, and initial consonant through listening experimen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nd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imple and double vowel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30 subjects, 15 Chinese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speak the Chinese standard language,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listening experiments by gender, Korean proficiency, and initial consonant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of Chinese learners did not affect the Korean vowel perception error. Second, /ㅗ/ and /ㅛ/ did not improve errors even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nd in the case of /ㅓ/ and /ㅕ/, the frequency of perceptual errors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as higher than that of beginners. Third, Chinese learners generally had the most simple vowel perception errors in initial consonants /ㅎ/, but in the case of simple and double vowels, there were no regularity of incorrectly perceiving certain vowels by replacing them with other vowels was found. Fourth, Chinese learners had many errors in perception of /ㅗ/, so there were many errors in perception of /ㅛ/ and since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between the simple vowels /ㅗ/ and /ㅜ/, it is also difficult to discriminate between the double vowels /ㅛ/ and /ㅠ/. Conclusions Chinese learners should be guided to listen to Korean vowels by referring to the types of vowel perceptual errors in this study.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에 대한 청취 실험을 통해, 성별, 숙달도별, 어두 자음별 지각 오류 양상을알아보고, 단순모음과 이중모음의 지각 오류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한국어 모음 청취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중국 표준어인 보통화를 구사하는 20-30대 중국인 남녀 각 15명씩 총 30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한국어 단순모음과 이중모음에 대한 성별, 숙달도별, 어두 자음별 청취 실험을 진행하였다. 청취 실험은 ZOOM을 사용하여 연구자와 중국인 학습자들이 일대일로 만나, 녹음된 한국인 여성의 발음을 듣고 받아쓰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중국인 학습자들의 성별은 한국어 모음 지각 오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순모음 /ㅗ/와 이중모음 /ㅛ/는 중급과 고급에서도 오류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ㅓ/와 /ㅕ/의 경우에는 초급보다 오히려 중급과 고급에서의 지각오류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 학습자들은 대체로 어두 자음 /ㅎ/에서 단순모음 지각 오류가 가장 많았으나 어두 자음 환경에서 특정 모음을 다른 모음으로 대체하여 잘못 지각하는 규칙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중모음의 경우 특정 어두 자음 환경에서 모음 오류가 많거나, 특정 모음을 다른 모음으로 대체하여 잘못 지각하는 규칙성이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단순모음 /ㅗ/의 지각의 오류가 많기 때문에 이중모음 /ㅛ/도 지각 오류가 많았으며, 단순모음 /ㅗ/와 /ㅜ/의 지각 변별을 어려워하기 때문에 이중모음 /ㅛ/와 /ㅠ/의 지각 변별도 어려워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모음 지각 오류 유형들을 참고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청취 지도를 해야 한다.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과 한국 문화 적응 양상 연구

        조남현,김보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3

        This study explored th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advanced level of Korean among Uzbek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he results of an in-depth interview with three Uzbek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Uzbek students learned Korean through acquaintances and media even before coming to Korea and showed strength in speaking but difficulty in writ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Second, Uzbek students regularly interacted and formed close relationships with Koreans. Third, Uzbek students had a high understanding of Korean food-related idioms and culture, tried to actively accept Korean-style personnel culture, and above all, enjoyed Korean dramas. However, they were not familiar with the culture of young Koreans who spoke informally and quickly when they became close. Fourth, Uzbek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adapt to food containing pork for religious reasons, and they felt awkward because the Korean language learned in their hometown or through the media was radically different from that used by young Koreans. They also had difficulties dealing with school administration and adapting to portal sites, and they faced substantial difficulties getting a part-time job.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유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중 한국어 고급 수준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한 한국 문화 적응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3명의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에 오기 전부터 한국어를 지인과 미디어를 통해 익혔고,말하기에 강점을 보였으나 글쓰기와 한자 습득에 어려움을 보였다.둘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인과 정기적으로 교류하며 친밀한 관계 형성하고 있었다.셋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 음식과 관련된 관용구와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편이었으며,한국식 인사 문화에도 잘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고,무엇보다 한국의 드라마를 좋아하였다.그러나 친해지면 우즈베키스탄보다 반말을 빠르게 사용하는 한국 젊은이들의 문화에는 익숙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넷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가 들어간 음식은 적응하기가 어렵다고 하였고,고향에서 배우거나 미디어를 통해 배운 한국어와 실제 한국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말이 많이 달라 어색함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이들은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부분에서는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학교 행정이나 포털 사이트 적응에 어려움을 보였다.

      • 현진건의 『무영탑』, 그 미문주의의 허실

        조남현 국립국어연구원 2000 새국어생활 Vol.10 No.3

        현진건의 장편 역사소설 『무영탑(無影塔)』은 동아일보에 1938년 7월 20일부터 1939년 2월 7일가지 연재된 것이다. 이미 1920년대에 「불」, 「운수 좋은날」, 「사립정신병원장」등의 단편소설을 통해 리얼리스트와 민족주의자 그리고 저항주의자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던 현진건이 일제통치가 절정에 달했던 1930년대 말에 그것도 역사소설을 썼던 것이니 만큼 『무영탑』은 단어 하나 문장 하나도 민족애로 반죽해 내었을 것이다. 1920년대의 발표작들은 현진건이 소설에서 정확한 묘사를 가장 중시하여 일어일물설(一語一物設)을 신봉하였음을 입증해 준다. 「빈처」, 「고향」등과 같은 1920년대의 현진건의 단편소설들은 정확한 묘사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낸 점에서 『무영탑』의 원형적 존재에 해당한다. 이런 점에서『무영탑』에서 한국적 자기동일성이 배여 있는 단어를 많이 만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 장애고등학생의 SNS와 일상언어에서의 비속어・은어 사용실태

        조남현,정진자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5 장애아동인권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장애 고등학생의 SNS와 일상 언어에서의 비속어・은어 사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 대전, 전북지역의 시각장애학교 3개교, 지체장애학교 3개교, 청각장애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장애 고등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고등학생의 SNS 사용 실태에서 장애 고등학생은 하루에 1시간 정도 SNS를 사용하며 주로 이용하는 유형은 카카오스토리로 나타났다. 또한 SNS 상에서의 비속어와 은어 사용 실태에서 SNS는 친교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단지 1.4%만이 교육과 학업목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67.7%가 SNS상에서 비속어와 은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장애 고등학생은 SNS 상에서 비속어나 은어를 재미나 습관적으로 사용하며, 60.7%가 친구를 대상으로 사용하고 있고, 15.9%는 잘 모르는 사람에게 사용하고 있다. 둘째, 일상 언어에서 장애 고등학생의 비속어․은어 사용 실태에서 일상에서의 통신상의 비속어와 은어 사용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에서 비속어·은어 사용에 대한 상대자는 또래 친구가 많고, 일상에서 비속어와 은어를 주로 사용하는 장소는 학교(55.2%)이며 여가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장애 고등학생들이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반복과 교정을 통한 지속적인 언어 지도가 필요하며, SNS 이용과 예절 및 절제 교육이 필요하고, SNS가 교육적 목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 한국 현대 문학의 어제와 오늘

        조남현 국립국어연구원 2002 한국어 연수 교재 Vol.2002 No.-

        지구상에 있는 대부분의 나라의 문학과 마찬가지로 한국 문학도 20세기를 겪는 사이에 근본적이면서도 다양한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그런가 하면 대부분의 선진국가와는 달리 한국의 현대 문학은 일본의 식민통치 아래서 형성되고 전개되는 비극적 운명을 감수해야만 했다. 이렇듯 한국 문학은 20세기에 들어서자마자 일본 식민통치로부터 해방되려는 노력을 꾸준히 해왔다. 실제로 제국주의로부터의 해방 의지는 한국 현대 문학의 성격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대전제도 여겨져 왔다. 해방 이전의 한국 문학의 특질을 바르게 밝히기 위해서는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문학적 응전의 논리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고 서양 문화의 수용과 자기화에 바친 노력의 내용에 대한 통찰도 요구된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