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수검 영향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8기(2019) 자료 이용 –

        장형숙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secondary primary cancer(SPC) screening practice in female cancer survivors.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data were used and 187 female cancer survivors were analyzed out of 8.110 respon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5.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creening rate for SPC among female cancer survivors was 78.6%,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PC screening practice in female cancer survivors were divorce or widow(OR=1.775, 95% CI: 1.055-2.989), national health screening( OR=15.380=, 95% CI: 0.000-0.008) and taking oral contraceptives OR=4.301, 95% CI: 0.000-1.974). These variables explained 86.6% (Hosmer & Lemeshow=4.278 Nagelkerke R2=0.866).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individual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strategy should be sought to improve the screening rate for secondary cancer among female cancer survivors, and guidelines for secondary cancer screening for female cancer survivors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health status and physical changes. 본 연구는 여성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수검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9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전체 응답자 8,110명 중 여성 암생존자 187명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수검률은 78.6%였고, 일반적 특성에서 결혼상태가 이혼 혹은 사별일 경우, 건강관련 특성에서 국가건강검진 수검을 이행하는 경우, 여성관련 특성에서 경구피임약 복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 일수록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이혼 혹은 사별)(OR=1.775, 95% CI:1.055-2.989), 국가건강검진 수검(OR=15.380, 95% CI: 0.000-0.008), 경구피임약 복용 (OR=4.301, 95% CI: 0.000-1.974)은 여성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수검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수를 단계적으로 투입하였을 때 최종 모형의 설명력은 86.6%(Hosmer & Lemeshow=4.278 Nagelkerke R2=0.866, 분류정확도 96.8%)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여성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수검률 향상을 위한 개별적이고 체계적인 이행전략을 모색하고, 신체변화 등을 고려한 여성 암생존자 맞춤형 이차암 검진 가이드라인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년기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미수검 관련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제7기(2013-2017) 자료 이용

        장형숙 융복합지식학회 2019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7 No.3

        본 연구는 중년기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미수검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제6기,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전체 응답자 39,225명 중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암생존자 652명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활용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중년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미수검 영향요인은 질병 관련 요인인 규칙적 운동, 활동제한 여부, 흡연, 스트레스를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 18.6%로(Hosmer and Lemeshow p-value=0.252, Nagelkerke R2 =0.186) 나타났다. 중년 암생존자를 위한 이차암 검진 미수검률은 소인성 요인 측면에서 남성, 농촌 거주자, 사별이나 이혼대상자, 질병 관련 요인 측면에서 평소 스트레스 인지정도가 매우 높은 대상자 일수록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토대로 하여, 발생 가능한 이차암의 종류나 발생 빈도, 연령대 별 신체변화 등을 고려한 중년기 암생존자 맞춤형 이차암 검진 가이드라인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secondary primary cancer (SPC) screening practice in middle-aged cancer survivors. The 6th and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were used and 652 cancer survivors aged 40 and under 65 were analyzed out of 39,225 respon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the influence of secondary cancer screening in middle-aged cancer survivors, showed that the disease-related factors such as regular exercise, Limitation of general activity, smoking, and stress were 18.6 percent (Hosmer and Lemeshow p-value=0.252 Nagelke R2 =0.186). The SPC screening non-practice rate for middle-aged cancer survivors is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among men, rural dwellings, people who are widowed or divorced, and those who have a very high level of stress recognition in terms of disease-related factors in terms. The guidelines for SPC screening to cancer survivors in middle age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possible types of SPC frequency of occurrence, and body changes by age group.analyze the defective.

      • KCI등재

        국내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처가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장형숙,김정순 융복합지식학회 2019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7 No.4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 of gender role stereotype, self-esteem, stress cop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A convenience sample of 169 students was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The sexual assertiven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ender role stereotype, self-esteem, stress coping.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were gender role stereotype (β=-.25, p=.008), self-esteem (β=.35, p<.001), stress coping (β=.22, p=.033), gender (β=-.17, p=.007), and age (β=.18, p=.008). These variables explained 34.8% of the variance in sexual assertiveness.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o increase the essential sexual assertiveness in the intimacy formed with their sexual rights and reason, and take advantage of useful data for a variety of programs and courses developed to improve sexual assertive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국내 남녀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처, 성적자기주장 정도를 파악하고,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C시에 재학중인 남녀대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측정 변인 중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처, 성별, 연령 등이 성적자기주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인과적 요인이었다. 특히 성역할 고정관념(β=-.25, p=.008), 성별(여학생)(β=-.17, p=.007)은 성적자기주장에 음의인과관계를 보였고, 자아존중감(β=.35, p<.001), 스트레스 대처(β=.22, p=.033), 연령(β=.18, p=008)은 양의 인과관계를 보였으며, 이들 변수들의 성적자기주장에 대한 총 설명력은 34.8%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신의 성적권리 보호와 이성과의 친밀감 형성에 필수적인 성적자기주장을 높이기 위한 요인을 파악하였고, 향후 국내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교과목 개발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장형숙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mpassion fatigue(CF), compassion satisfaction(CS) and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F and CS. A survey was conducted of 102 nursing students with more than 6 months of clinical practic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by Sobel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as CF decreased, resilience and CS increas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CF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resilience(β=-.38, p=.001) and CS(β =-.41, p<.001). CF and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S(β=.77, p<.001). CF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CS through mediation of resilience, and resilienc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Z=-3.65, p<.001). Resilience b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F and CS improves CS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F that nursing students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공감피로, 공감만족, 자아탄력성을 파악하고,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C지역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들 중 6개월 이상의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1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는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공감피로가 감소할수록 자아탄력성과 공감만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공감피로는 자아탄력성(β=-.38, p=.001)과 공감만족 (β=-.41, p<.001)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공감피로와 자아탄력성을 동시에 투입하여 분석하였을 때 공감만족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β=.77, p<.001). 공감피로는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공감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자아탄력성은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Z=-3.65, p<.001). 결론적으로, 자아탄력성은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사이의 관계를 중재함으로써 간호학생의 공감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학생들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게 되는 공감피로, 공감만족과 이들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자아탄력성의 속성을 고려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겠고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우리나라 청소년의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실태

        장형숙,김현철,신경선,전상남,김은경 대한가정의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7 No.7

        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Education in School 연구배경: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은 청소년들의 각 시기별 특성, 흡연경험 유무, 흡연의 지각정도의 차이에 따라 제공되는 맞춤식 교육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시행되는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의 실태에 대한 조사와 이에 따른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학생들이 생각하는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의 선호형태에 대해 분석하여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이 되기 위한 보건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방법: 조사는 2005년 7월 1일~15일 동안 서울, 인천, 부천, 목포, 포항 및 주변 읍면지역에 있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시군 안에서는 임의 추출을 하되 협조가 가능한 학교 중에서 선정하였으며 대상자는 총 15,310명을 기획하였다. 표본추출은 선택편의(selection bias)를 줄이기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의 대도시/중소도시/읍면지역 비율, 남/여 비율, 고등학교의 경우 인문계/실업계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대상을 선정하였다. 결과: 흡연율은 중학교 4.1%, 인문계 고등학교는 9.6%, 실업계 고등학교는 25.2%로 나타났고 청소년이 흡연을 시작하는 시기는 대부분 중학교 2~3학년이었다. 고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이 금연교육이 청소년 흡연예방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현재 학교에서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교육과 가장 영향을 받은 교육은 중학생, 고등학생 모두 ‘비디오’라고 응답하였다. 흡연 교육의 적절한 시기는 중․고등학생 모두 ‘초등학교 4~6학년’이라고 하였다. 학교에서 받은 교육을 받은 후 생각 변화는 중학생일수록 ‘고려이전단계’와 ‘종결-유지단계’가 높았으며 고등학생으로 갈수록 ‘고려단계’와 ‘종결-실패단계’가 높게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결론: 청소년들은 흡연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흡연자의 흡연교육의 만족도는 낮다. 또한 연령에 따라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후의 인식 변화 정도가 다르다. 교육의 시기에 있어서 조기에도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이 청소년들에게 가장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한·중 과거(科擧) 경의문(經義文) 비교 -조선시대 사서의(四書疑)·오경의(五經義)와 명·청대 팔고문(八股文)을 중심으로-

        윤선영 ( Yoon¸ Sun-young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본고는 한국과 중국 양국의 과거에서 經義를 시험하기 위해 치러진 과목들의 답안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들여다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의 四書疑ㆍ五經義 과목과 명ㆍ청시대의 八股文에 대해 주자설 인용 방식과 의존도 변화 양상에 대해 비교하였다. 조선의 경의문은 주로 주자학파의 설을 직접적으로 인용하였으며, 자신의 설은 내세우지 않은 채 선유들의 설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팔고문은 주자설을 위주로 하였으나 이를 문장 속에 간접적으로 녹여냈으며, 후기로 갈수록 주자설 의존도가 점차 약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건륭제 이후의 답안에서 古註를 근거로 하여 주자설의 미진한 부분을 보충하거나 자신만의 의견을 개진하는 답안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답안들이 시관들의 좋은 평가를 받고 모범 답안으로 선정되었다는 점에서 19세기 이후에도 여전히 주자설을 엄혹히 견지했던 조선시대 과장의 분위기와는 사뭇 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civil service examination answers subject about meaning of Chinese classics in Jo-seon and MingQing dynasty. To compare both countries, the author collected sample answers of Questioning on the Four books(Saseoui, 四書疑), Questioning on the Five classics(Ogyungyi, 五經義) and Eight legged essay(baguwen, 八股文). Many answers of Joseon distinctly show aspect of respect for Zhu-Xi(朱熹). They directly quoted his word, strongly rely on older scholar’s opinion. On the other side, Ming-Qing dynasty’s answers also based Zhu-Xi’s learning, but they expressed indirectly from Saint's point of view. In addition, a few answers of Ming-Qing shows different opinion or supplement Zhu-Xi’s word through old explanatory notes after King Qiánlóng[乾隆帝]. These answers got good reviews and grades from contemporary test supervisors, so seleted model answer. This tendency show completely different aspect with late Joseon’s mood firmly include his learning.

      • KCI등재

        대학생의 팀 기반 학습에서 공유리더십,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효능감 간의 관계 -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장형숙(Jang Hyung Suk) 한국웰니스학회 202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유리더십,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및 학업탄력성을 파악하고, 공유리더십,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C지역 일개 대학의 학생들 중 학습공동체 활동 혹은 팀 기반 수업에 참여했던 경험이 있는 1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는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공유리더십,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업탄력성이 증가할수록 팀 효능감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공유리더십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학업탄력성(β=.42, p<.001).과 팀 효능감(β=.43, p<.001)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공유리더십,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탄력성을 동시에 투입하여 회귀분석하였을 때 팀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β=.62, p<.001). 공유리더십,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학업탄력성을 매개로 팀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고,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Z=2.75, p<.001). 결론적으로, 학업탄력성은 팀 기반 수업에서 학생들의 공유리더십,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간의 관계를 중재함으로서 팀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팀 기반 수업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공유리더십,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팀 효능감과 이들의 관계에서 중재역할을 하는 학업탄력성의 속성을 고려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고, 학업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hared leadership(SL), self-efficacy for group work(SEG), team efficacy(TE), and academic resilience(AR) in university team based learning,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A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L, SEG and TE. A survey was conducted of 142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or team-based learn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by Sobel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as SL, SEG, AR increased, TE increas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AR, SEG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AR(β=.42, p<.001) and TE(β=.43, p<.001). AR, SEG and A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β=.62, p<.001). AR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E through mediation of AR and SEG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Z=2.75, p<.001). In conclusion, AR improves TE b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L, SEG and TE of students in team learning.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intervention programs of academic resilienc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승희,장형숙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3

        This study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study to identify the degree of self-esteem, ego-resilience, academic resilience, and problem-solving skill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blem-solving skill. A survey was conducted on 1st to 4th graders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 located in C ctiy, and 152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academic resilience, and problem-solving skill is higher as the degree of self-esteem increases, the higher the degree of ego-resilience, the higher the degree of academic 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problem-solving skill was hig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grade and major satisf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variables tha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ego-resilience, academic resilienc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odel's F statistic value was 18.87 and explained 41.0% of the total change in problem-solving skill. The independent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s problem-solving skill is ego-resilience, academic resilience, 4th grade group, high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was not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problem-solving skill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elf-esteem that respects and values themselves, ego-resilience to positively cope with and adapt to their environment, and academic resilienc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학업 탄력성 및 문제해결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C지역에 위치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152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존감과 자아탄력성, 학업 탄력성, 문제해결능력 정도와의 상관관계는 자존감 정도가 높을수록(r=.41, p<.001), 자아탄력성 정도가 높을수록(r=.39, p<.001), 학업 탄력성 정도가 높을수록(r=.48, p<.001) 문제해결능력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존감, 자아탄력성, 학업 탄력성과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인 학년, 전공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모형의 F 통계값 18.87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문제해결능력 총 변량의 41.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자아탄력성(ß=.32, p =.005), 학업탄력성(ß=.21, p =.012), 4학년 군(ß=.25, p =.003), 높은 전공 만족도(ß=.36, p <.001)이었고, 자존감은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바람직하게 여기는 자존감과 자신이 처한 환경에 긍정적으로 대처 및 적응할 수 있는 자아탄력성 및 학업 탄력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이승희(Lee, Seung Hee),장형숙(Jang, Hyung Suk),양영희(Yang, Young Hee) 한국간호과학회 201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6 No.5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women.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103 middle-aged women was selected from the commun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wo-sample t-test, one-way ANOVA, Kruskal Wallis test, Pearson correlations, Spearma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2.0 program. Results: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were post-traumatic growth and social support. This regression model explained 48% of the variance in successful aging.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the concept ‘post-traumatic growth’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women. In addition, social support from friends/co-workers had greater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than social support from family. Thus, we need to consider the positive impact of post-traumatic growth and increase the chances of social participation in a successful aging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