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청교체기 인평대군 시문학 연구

        이현지(Lee, Hyun-jee)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2

        Royal families were supposed to live idle lives, but the life of Prince Inpyeong was an exceptional case. Prince Inpyeong"s role has been evaluated as the absolute peace in the King Hyojong era. To solve sensitive diplomatic issues between Choson-Qing smoothly, Inpyeong took the critical role of an envoy. He took on almost all the difficult tasks in diplomacy. All his diplomatic journeys and achievements had the source in the close loving relationship with the king. The prince played a crucial role to cause the fall of Ming Dynasty and watched Qing Dynasty during the journeys. He provided information of the internal affairs of Qing Dynasty to King Hyojong. It was a significant source to make Hyojmg’s Plan to Conquer the North possible. His poetry was mainly to communicate with King Hyojong. The poems seek after a hero, enjoy the feeling of freedom elegantly, show sentiment of friendship and loyalty for his king and brother, Hyojong.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창"의 의미

        이현지 ( Hyun Jee Lee ),문철 ( Chul M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4

        그림책의 여러 특징 중 아동들을 상상의 세계로 이끌고, 언어를 통해 현실 세계와 연계시켜주는 기능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는, 그림으로 보여지는 것을 그대로 설명하는 것이 아닌 보여지는 것을 다른 것으로 상상하게 하는 구조가 계속 연구되고 있는 이유이다. ``창``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필수적인 건축 요소로서, 역사적으로 다양한 예술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어져 왔다. 예술분야의 성격에 따라 창을 건축물의 부수적 요소로서 별 의미 없이 등장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작품의 성격에 따라 창이 가진 기본적인 기능 이상의 여러 가지 상징적인 의미, 알레고리적 역할을 통해 작품의 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아동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교육적 가치가 높은 그림책에 나타난 ``창``은 창이 가진 본연의 기능과 창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기능 이외에, 일종의 알레고리로서 작용하며 작품에 깊이를 더해주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출간된 그림책 중 ``창``이 주된 소재로 쓰이고 창의 상징적 의미가 잘 드러난 그림책 4권을 선정하여, 그림책 속에서 ``창``이 어떤 다른 의미를 가지고 그 내용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소통하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창``이라는 소재는 무대, 매개체, 분위기 조성이라는 상징적 의미 외에, 작품에 따라 매우 독창적인 알레고리로서 작용하며 아동들의 상상력을 키워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창``과 같은 평범한 소재에 작가의 독창적인 해석을 더하면, 그림책을 통해 상상력과 관찰력을 자극하여 아동들의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그림책을 수준 높은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e various aspects of picture books language features, It is most important to children led to a world of imagination, and help them in connection with the real world.. Therefore, instead of explain what it looks like, structures that seem to imagine something else has continued research on. ``Window`` is easily accessible in our daily life as an essential architectural element, from a variety of art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aspects. There are the window of a building as collateral elements, by no means. But sometimes windows Undertake an important role through different symbolic meanings, and the allegorical theme to deliver the message more effectively. Shown in the picture books with high educational value, ``Window`` not only has a general symbolic meaning, but also an allegorical meaning. In this study, four picture books were chosen that was published in Korea, which used ``Window`` as the main material, and look for what window means in these picture book. As a result, I realized that the window have not only a symbolic meaning - stage , mediators, and mood - but also an allegory function. Through this study, I got a conclusion that through picture books to stimulate children`s imagination and observant can help them improve their creative possibilities, and can be a help to high-level work of art by adding the artist`s creative interpretation of such as in an ordinary adding like ``Window`` ,

      • KCI등재

        아동ㆍ청소년 성범죄의 물리적 도시환경 영향요인 분석

        이현지(Lee, Hyun-Jee),정성원(Jung, Sung-Won)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1

        Although many researchers are mentioning about content on significance of physical environment for crime prevention, it is true there is lack of empirical researches dealing about inter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physical urban environment. This research studi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exual crime targeted on children and teenagers and physical urban environment factors with Seoul being the background where crime occurs most frequently. Percentage of children and violence showed negative interrelationship, and percentage of single parent household and rate of sex crime targeted on children and teenagers showed positive interrelationship. In contrast to the fact the rate of sex crime targeted on children and teenagers showed positive interrelationship with industrial areas. The more the number of schools the higher the rate of sex crime targeted on children and teenagers. The meaning of the major result lies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urban design which had been insufficient in conventional studies, by showing a new result of the role of urban design in of preventing sex crime targeted on children and teenagers for efficient strategies and measures of crime prevention.

      • KCI등재

        復齋 鄭摠의 삶과 시세계

        이현지(Lee Hyun-jee) 대동한문학회 2003 大東漢文學 Vol.19 No.-

        본고는 여말선초 역사적 전환기에 활동한 復齋 鄭摠의 삶과 시세계를 연구한 논문이다. 鄭摠(1358~1397)은 자가 曼碩, 호가 復齋이다. 고려말 문명을 날린 조부 鄭??와 부친 鄭樞를 이어 그는 문학적 재능과 외교적 역량으로 신망을 얻어 국가의 문장을 주관하였다. 외교문서를 작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역사서 편찬에 관여하는 등 당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시대의 주역으로 함께 활약한 鄭道傳이나 權近과 달리, 정총은 그동안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왕조교체에 대한 이해와 이 시기 지식인의 실체에 보다 근접하기 위해 이제는 관심의 대상을 넓힐 필요가 있다. 정총은 史官의 現實眼을 지니고 恒産과 恒心을 잃은 민생들의 삶을 형상화함으로써 고려말 내우외환의 혼란스러운 정치 현실을 비판하였다. 또 그는 백척간두에 처한 국가적 위기를 전환시킬 방법이 인재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것이 '觀風'과 '用人'이다. 급변하는 고려말 정세 추이 속에서 정총은 出處行藏의 문제에 대해 '隱'과 '顯'이라는 양면적 사고 방식을 보이며 은거와 출사를 반복하였다. 『周易』 '復卦'에 근거하는 '復齋'라는 호는 올바른 처신에 대한 고민으로 전전긍긍하는 심정을 반영한 것이었다. 여기에서 출처의 단서를 천도에서 찾고자 고심한 면모가 구체화되었다. 이것이 '肥遁'과 '復志'이다. 새 나라를 건국하는데 공을 세우고 조선과 명 사이에 쉽게 풀리지 않는외교적 문제를 文章報國의 정신으로 풀어보려 했던 그는 태조의 誥命과 印章을 청하러 명에 갔다가 表辭가 불손하다는 이유로 예기치 않게 그곳에 억류되었다. 이로 인해 哀愁를 표출하기도 하지만, 고난과 고뇌 끝에 처한 현실을 수긍하고 나아가 機心을 잊는 것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 이것이'哀愁'와 '忘機'이다. 宋風이 주류를 이루고 있던 당시 정총은 선명하면서도 함의가 깊은 唐風을 지향하였다. 唐詩의 표현기법과 의경을 차용하여 당풍을 표현하고자 했던 그의 노력은 선대로부터 이어져 온 가학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이기도 하였다. 본고는 정총이 당면한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현실 대응의 고민을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가 지향한 시학을 통해 문학사적 위치를 가늠해보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life of and his poems. He had great abilities in literature and diplomacy like his grandfather and his father. He died in Myung as he was involved in the PyoJeon(表箋) problem which was occurred because of MunJaOk(文字獄). He haven't got much attention compare to Jung DoJeon(鄭道傳), Kwon Geun(權近) who were his companies as well as leaders of Chosun dynasty. We have to concern him much more to understand the exchange of Dynasty from Korea to Chosun and the intellectuals of those days. He made the 'Korean history' and he implied his cognition about reality in his poems. In his poems, he expressed the people's cry in a war and the helplessness as a poet, at the same time he said 'using people' was the wa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nd this is the lesson of Sangseo(商書) and the praise of Jusong(周頌). He considered both sides of 隱(eun), 顯( hyun). He expressed his individual literate character as called 'ChungShin(淸新)' in his pastoral poems. And also he had the will to involve the realistic world. This is the longing for 'Bideun(肥遁)' and expectation of 'Bokji(復志)' He went to Myung to resolve the diplomatic problems between Chosun and Myung and to help the establishment of Chosun dynasty however he was detained there for reason of being rude. Those situations made him to express his nostalgia. What he was wrong was he didn't act so reasonably that he couldn't resolve the realistic problems. Dalgwan can be said another source of expressing his literate character. And this is the expression of nostalgia and the shape of Manggi(忘機)

      • KCI등재

        효종 시문학 연구

        이현지 ( Hyun Jee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왕자로서의 처신을 고민하던 孝宗은 병자호란 직후 인질로 끌려가 武를 숭상하는 淸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장수의 기질을 타고난 자신을 재발견했을 뿐만 아니라 인질로서 겪는 고난에 하늘의 뜻이 있다는 것을 통찰했다. 북벌에 대한 집념은 이로부터 지속되었다. 효종의 처세는 대명의리, 복수설치, 왕권강화의 차원을 넘어 조선 군주로서의 ‘사명감’과 중원에서 오랑캐를 전멸하고 천하를 통일하려는 ‘영웅심’에 기반을 두었다. 효종의 이 마음을 알아주는 지기는 아우 麟坪大君이었다. 효종은 인평대군과 시를 수창하는 시간 속에서 생기를 찾곤 했다. 朝淸 관계에서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해결자로 파견되었던 인평대군은 효종에게 더없이 고마운 존재였다. 효종은 한계 상황의 심리적 고통을 시에 의지했는데, 시를 창작한 것은 물론 시를 되뇌는 행위를 통해 고뇌에서 벗어나려는 면모를 보였다. 시는 그에게 귀의처였고 기도문이었다. 현실에 대한 개탄, 북벌을 향한 일념, 우애를 위한 정성 등으로 집약되는 효종의 시는 당대 문풍을 주도했던 것으로 보인다. 효종은 자신의 북벌 의지와 문예 취향에 부합되는 정두경의 시를 혹애함으로써 시의 표준을 정했다. 효종의 의지와 취향은 독서 경향에도 영향을 미쳐 張維가 精選한 『戰國策』이 필사되어 널리 읽혔다. 효종이 갈구한 인간형이 선진의 복수 이야기인 『전국책』에 실려 있었던 것이다. 100 works of King Hyojong’s poems are recorded in 『Yeolseong Eoje(列聖御製)』but any examination of the King Sejo’s literature hasn’t been performed. This study analyzed his recognition and view of poetry. Hyojong’s poems is packed produce a “sense of mission” Joseon monarch as the sentiment of ‘effectiveness’. If he has a ‘heroism’ overlooking the world. Hyojong desire presupposes the recognition of the Civilized nation. Bukbeol not in his assignment, but this is not without personal mind for a royal realized as soon monarch’s Civilized nation. Hyojong did defy poetry as a medium of politics. King Hyojong is a poem to his most intimate inner brother. He has functions as a means to govern the mind.

      • KCI등재

        그림책 속 도깨비의 시각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

        이현지 ( Hyun Jee Lee ),이화 ( Hwa Lee ),손현 ( Hyun Jung Soh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우리나라 전통 민담, 설화 중에는 도깨비가 등장하는 이야기가 많은데, 이 중 몇몇은 작가들의 손에 의해 그림책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그런데 많은 그림책 작가들이 실제 설화에서는 도깨비의 형상이 고착화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제 강점기에 잘못 전해진 이미지를 그대로 답습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되고 있다. 도깨비의 일반적인 모습은 머리에 뿔이 나 있고 넝마를 입고 있으며 피부색은 푸르며 가시방망이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인식되곤 한다. 하지만 이런 모습은 일본에서 들어 온 오니의 형상이다. 일제 강점기에 내선일체 정책으로 우리나라 교과서에 일본의 오니 이야기인 ``혹부리 영감`` 이야기를 실었는데, 이 이야기에 사용된 삽화에 그려진 오니의 형상이 도깨비의 형상으로 잘못 전해져 지금까지 도깨비를 오니의 형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의 독창적인 정신적 산물인 도깨비가 오니의 이미지로 굳어지고 말았다. 이에 우리나라의 전통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하는 일의 중요성을 알리고, 그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우리 민족의 정신적 유산인 도깨비의 특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도깨비의 모습이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도깨비의 특징인 무정형성이 그림책 속에 거의 드러나지 않고 있는 실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해 도깨비의 시각적 정체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주장하고자 한다.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Dokkebi in Korean traditional folk tales, and consequently some of that story born again a picture book. However, many picture book writers has followed as it is an image that was reported incorrectly in the Japanese colonial forced occupation period in many cases, It is becoming a problem. General appearance of Dokkebi, It is known to the figure you have a visible bat in blue color of the skin in rags corner is grows in the head. However, such a figure is in the form of sludge that came in from Japan.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force period, putted the Japan`s "hump old man", that story of Oni, in the textbook of Korea., so the shape of sludge drawn illustration that was used in this story is the shape of the Dokkebi the transmitted by mistake in, to represent until now. And, Dokkebi is a spiritual product ingenious of Japan had solidified the image of Oni. Therefore, important it is to express illustrations tradition of Korea, and in an attempt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oncrete, began this study. I will explain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kkebi is a spiritual heritage of our nation, andI tried to analyze how the figure of Dokkebi to see whether it is represented in the picture book illustration. Then, did not appear in most of this picture book amorphous.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Dokkebi`s visual identity is a need for ongoing research and various attempts to argue that.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선화(Line Drawing)의 운동성이 갖는 치료적 메커니즘 고찰

        이현지(Hyun-Jee Lee),정여주(Yeo-Ju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9

        선(lines)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시각적 요소이자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됐으며, 동굴벽화나 바위에 선으로 그려진 그림 및 기호는 인간의 생존을 위한 대체 이미지로 존재해 왔다. 미술에서 선은 단시간내에 대상의 핵심을 드러내며, 미술치료에서는 내담자의 심리적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된다. 그러나 선 그리기, 즉 선화(line drawing)는 진단뿐 아니라 과정상에서 치료적 중요성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그 효용성과 치료적 특성을 고찰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에서 선화와 연관된 국내외 문헌을 이론 삼각검증, 질적 내용분석, 공통부분 찾아내기를 통해 우선 도출한다. 그 결과 선화의 핵심적인 치료적 요소인 운동성을 뇌 구조와 연결하여 살펴본다. 이를 통해 선화의 운동성이 신체, 뇌, 마음에 미치는 치료적 메커니즘을 고찰하고 미술치료 안에서 어떻게 치료적으로 활용 가능한가를 검토 및 제안하는 데 학문적 의의를 둔다. Lines are the oldest visual elements in human history and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nd drawings and symbols drawn with lines on cave paintings and rocks have existed as alternative images for human survival. In arts the line reveals the core of the object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in art therapy it becomes a medium that can diagnose the client’s psychological state and intervene therapeutically. However although line drawing has therapeutic importance in the process as well as diagnosis studies on its effectiveness and therapeutic characteristic have not been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line art in art therapy are first derived through ‘Triangular Verification of Theor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Finding Common Parts’ i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s a result I will examine the Movement which is a key therapeutic element of line drawing in connection with the brain structure. Through this I will examine the therapeutic mechanisms that affect the body, brain and mind of the movement of line drawing and examine and suggest how it can be used in art therap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찰스 키핑의 그림책에 나타난 양가적 표현의 고찰

        이현지 ( Lee Hyun Jee ),문철 ( Moon Chu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양가성이라는 개념을 그림책에 적용해, 양가성 특징이 그림책의 커뮤니케이션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양가성은 가치의 이중적 양상을 일컫는 말로, 현대에 접어들면서 이분법적인 도식의 틀을 해체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프로이드는 심리학자 블로일러가 제시한 양가감정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인간의 본능에 대해 고찰했는데, 그 과정에서 인간의 심리는 사랑과 미움 등 서로 양가적인 대립항에 지배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문학평론가 페터 V. 지마는 프로이드의 양가감정에서 비롯된 양가성이라는 개념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을 해석하는 중요한 키워드로 사용하기도 했다. 양가성은 근대 문학의 이분법적인 대립을 해체하려는 탈중심주의적 사유의 표출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으로 양가성 개념을 그림책의 분석에 적용하였다. 현대의 그림책은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담아내며 경계가 흐려지고 있는데, 그림책에 나타나는 양면 가치나 반대 감정의 병존을 양가성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실험적인 표현방식으로 영국의 3대 그림책 작가인 찰스 키핑(Charles Keeping)의 작품 속에서 양가성의 의미가 조형적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찰스 키핑은 양가적 속성을 가진 오브제의 사용, 자의적이고 과장된 색채 사용, 서로 대조되는 대상의 공존이라는 세 가지 유형의 표현을 통해 작품에 양가적인 의미를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the concept of ambivalence to picture book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eature of ambivalence on the communication of picture book. Ambivalence is a memo referring to the dual aspects of value. It also means dismantling the framework of dichotomous schemes as they enter modern times. The concept of ambivalence that psychologist Bloyler asserted what emerges in the process. Freud analyzed the process of human instinct with the concept of this ambivalence. In the process, he discovered that human psychology is dominated by ambivalent opposites such as love and hateLiterary critic Peter V. Zima has used the ambivalence as an important keyword to interpret postmodern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 ambivalence can be seen as a manifestation of a de-centralist thought to dismantle the dichotomical confrontation of modern literature. The concept of ambivalence can also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picture books. Contemporary picture books contain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society and break down boundaries, this is because the coexistence of two-sided values and oppositional emotions in picture books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ambivale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how the meaning of ambivalence is expressed in a formative way in the work of Charles Keeping, a British picture book writer who has broadened the horizon of children`s picture book as an experimental expression method. As a result, Charles Keeping found that he gives an ambivalent meaning to his work through three types of expressions: the use of objects with ambivalent attributes, the use of arbitrary and exaggerated uses of life, and the coexistence of contrasting o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