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지자체 에너지정책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시범 적용을 중심으로 -

        고재경,예민지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0 GRI 연구논총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energy policy evaluation indicators for Gyeonggi-do,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using them as a means of integrating energy policies for the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s. With the expansion of distributed energy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energy decentralization, debate about the necessity of linking energy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with that of local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Monitoring and evaluation are key tools to increase policy integration and coherence,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For analysis, an evaluation model was established and indicator data were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energy evaluation indicators. The evaluation model was largely divided into ‘energy policy outcomes and capabilities’ and ‘energy self-reliance efforts’, and included general purpose indicators and indicato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gi-do’s policy objectives. As a result of standardizing the indicator values and calculating the composite index, Ansan City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Suwon City, Anyang City, Gwangmyeong City, and Seongnam City. Ansan City received excellent scores in energy production, institutional basis, and energy self-reliance efforts. The analysis shows the gap of energy policy capacity and infrastructure among municipalities is larg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dicators that indicate the level of effort as well as the performance indicators to motivate local governments and expand the investment in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he evalu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evaluation at other regional governments and at the national level.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ocal government related to citizen participation for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energy demand management, and energy prosumer, it is necessary to regularly construct and investigate statistics to support it.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를 대상으로 기초지자체 에너지정책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시범적으로 적용하고, 이를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 에너지 정책 통합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분산형 에너지 확대와 에너지분권에 대한 요구 증가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자체 에너지 정책의 연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모니터링과 평가는 정책통합과 일관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수단이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분석을 위해 에너지 평가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가모형을 구축하고 지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기초지자체 에너지통계가 공식적으로 작성되지 않아 에너지원별 기관 협조를 얻어 통계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평가모형은 크게 ‘에너지 정책성과 및 역량’과 ‘에너지자립 실천 노력’ 부문으로 구분하여 범용 지표와 경기도 정책목표 특성을 반영한 지표를 함께 포함하였다. 지표 값을 표준화하여 종합지수를 산정한 결과 에너지 생산, 제도적 기반, 에너지자립 실천 노력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은 안산시의 순위가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수원시, 안양시, 광명시, 성남시 순으로 높았다. 분석 결과 에너지 정책 추진을 위한 시군 역량과 인프라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결과지표뿐 아니라 노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함께고려하여 정책추진 동기를 부여하고, 제도적 기반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역량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제시한 평가모형은 다른 광역지자체 및 국가 차원에서도 평가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수요관리, 에너지 프로슈머로서 시민참여 관련 지자체 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이를 뒷받침할수 있는 통계 구축과 조사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시민과학의 잠재력 : 적응 지식 간극을 중심으로

        고재경,예민지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2 GRI 연구논총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citizen science as a means to promote citizen participation and fill the gap in adaptation knowledge in order to enhance adaptive capacity to climate change and the effectiveness of adaptation policie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adaptation policy, the importance of science-based adaptation and participatory governance has been emphasized, but an approach or specific program that combines the two issues is lacking. Citizen science, characterized by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scientific element’ and ‘openness’, has a great potential as an approach to support scientific and evidence-based policies for climate risk reduction. Globally, citizen science is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for climate change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adaptation expert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Korea’s adaptation policies was generally insufficient, and the knowledge gap between the country and the local area was also large. Compared to the absolute lack of knowledge or information,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knowledge transfer and use are recognized as more serious problems. Experts expect that citizen science would contribute to reducing the adaptation knowledge gap, and the cost-effectiveness of citizen science was also highly evaluated. In particular, at the local level, its utility was high enough to offset the cost in all categori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citizen science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adaptation knowledge gap and adaptation information for each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gap between the knowledge required for policy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by adaptation field and the adaptation goal, and to identify priorities with high utility and opportunities for use of citizen science based on the mapping analysis of climate change-related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engage local stakeholders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adaptation knowledge gap. 이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 적응능력 향상 및 적응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시민참여를 촉진하고 적응 지식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수단으로서 시민과학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국가 기후변화 적응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지 10년 이상이 지났고 과학에 기반한 적응, 시민참여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지만 두 이슈를 접목하는 접근이나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부족하다. ‘자발적 시민참여’, ‘과학적 요소’와 ‘개방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과학은 기후변화위험 저감을 위한 과학 및 증거 기반 정책을 지원하는 도구로서 잠재력이 높다. 전 세계적으로도 기후변화의 추이, 원인, 영향 및 대응을 이해하는 수단으로서 시민과학은 기후변화 정책 수립 및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적응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우리나라 적응정책 수립과 이행을 위한 지식과 정보 수준은 전반적으로 부족하며 국가와 로컬 간 정보 격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이나 정보의 절대적인 부족보다 상대적으로 지식의 통합, 지식 이전과 사용이 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민과학이 적응 지식 간극을 줄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으며, 시민과학의 비용 대비 효용성도 높게 평가되었다. 로컬 차원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비용을 상쇄할 만큼 시민과학의 효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분야별로 적응 지식 간극 유형 및 적응정책 정보의 세부 항목에 따라 시민과학의 효용성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적응 분야별로 정책 수립과 이행에 필요한 지식과 적응 목표와의 격차를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기후변화 관련 시민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매핑 분석을 토대로 시민과학의 효용성이 높은 우선순위와 활용 기회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적응 지식의 간극을 파악하는 과정에 지역의 이해당사자 참여가 중요하다.

      • KCI등재

        면역친화성 컬럼을 이용한 특수용도식품 중 비타민B<sub>12</sub>와 비오틴 분석 연구

        오보영,예민지,허수정,이혜영,방수진,Oh, Bo-Young,Ye, Min-Ji,Hu, Soo-Jung,Lee, Hye-Young,Bang, Soo-Jin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특수용도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B<sub>12</sub>와 비오틴에 대하여 식품의 복잡한 매질 특성에 특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현행 식품공전 시험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식품공전에서 비타민B<sub>12</sub>와 비오틴의 시험법에 항체반응을 통해서 분석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그 외의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면역친화성 컬럼을 도입하여 시험용액을 정제 및 농축함으로써 전처리 과정을 개선하였다. 식품 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밸리데이션(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도, 정밀도)을 수행하고 개선된 시험법을 이용하여 유통 중인 특수용도식품의 대상 품목에 대해 시험법 적용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사업의 수행으로 시험·검사의 정확성을 증대시켜 특수용도식품 품질관리에 대한 신뢰성을 더 높일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tandard method for vitamin B<sub>12</sub> and biotin contained in foods for special dietary uses to ensure the specificity of the complex matrix properties of foods. For the food code, the test method was improved to determine vitamin B<sub>12</sub> and biotin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UV using column-switching after concentration using immunoaffinity column. The immunoaffinity columns contain a gel suspension of monoclonal antibody specific to the vitamin of interest so that it can be used to concentrate the vitamin B<sub>12</sub> and biotin and remove interferences from the food extracts. Moreover, validation of advanced new methods was carried out to support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analytical procedure (specificity, linearity, detection limits (LOD), quantitative limits (LOQ), accuracy, and precision). The improved analytical method is being used to monitor relevant food items on s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ew analytical method is suitable and appropriate for managing food intended for special dietary 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