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송수희(Soo Hee S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의 상관관계 및 공감능력에 대한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5세 남녀 유아 207명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다변량 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간에는 성별과 연령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기술은 숙달, 순응 순으로 나타나서, 숙달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자기조절과 자기주장에서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라 가장 영향을 갖는 사회적 기술은 남아에게는 순응, 여아에게는 숙달이었다. 연령에 따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기술은 4세에게는 숙달이며, 5세에는 자기조절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empathic abilities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The subjects consisted of 207 four- and five-year-old boys and girl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analyses were applied in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yielded four main findings.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young children`s empathic abilities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Second, a similar correlation exists concerning both gender and age. Third, the social skills that influence young children`s empathic abilities are mastery_(the most influential), and adaptability (secondly). Fourth, the social skill most influential empathic ability for a young boy`s is adaptability, and for a young girl proficiency. In four-years-old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mastery. In five-year-old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self-regulation.

      • KCI등재

        한국어 발표 교육에서 비언어적 요소 교수 방안

        송수희(Song So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이 연구는 최근 국내로 유입된 유학생들의 유학 목적이 학문 목적이나 취업 목적인 경우에는 한국어 발표 능력에 대한 부담감이 다른 능력에 비해 매우 크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그들의 발표에 대한 부담감을 낮춰주기 위한 한국어 발표 교육 내용을 보다 구체화하고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기존의 한국어 발표 교육은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일부로서의 발표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발표 교육은 유창성과 정확성을 목표로 한 내용 중심의 교육 위주였다. 여기에 비언어적 요소를 포함한 학습자 참여 중심의 상호작용적 교수를 적용 시킨다면 보다 발전된 발표 교육이 이루어 질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언어적 요소의 교수가 배제된 한국어 발표 교육의 교수 내용에 비언어적 요소를 포함시켜 스킬 중심의 교육으로의 전환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발표에 관한 스피치학의 여러 선행 연구과 한국어 발표 교육의 연구들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결과들이 한국어 발표 교육에서도 비언어적 요소를 교수해야하는 필요성을 뒷받침해 주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어 발표 교육에 비언어적 요소인 ‘표정, 시선처리, 자세, 제스처’ 네 가지 항목의 내용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네 가지 비언어적 요소 각각의 구체적인 교수 내용을 정하고 공동체 언어학습의 원리를 적용한 학습자 참여 중심의 교수법을 통한 교육 과정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The study started with the fact that if the purpose of studying abroad is to study or to get a job, the burden on the ability to present Korean language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abilities. We believe there is a need to further refine and organize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presentation education to lessen the burden on their presentatio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presentation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as part of the Korean speaking education. In addition, the existing presentation education was focused on content-oriented education aimed at fluency and accuracy. If interactive teaching centered on student participation, including non-verbal elements, is applied, we believe that more advanced presentation training will take place. In this study, we propose a shift to skills-oriented education by including non-verbal elements in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presentation education, which excludes professors of non-verbal elements. First, we looked at several prior studies of speech and Korean language presentation education on 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y supported the need to teach non-verbal elements in Korean-language presentation education. Therefore, it was proposed to include four non-verbal elements - expression, eye contact, attitude and gestures - in future Korean language presentation training. In addition, the education courses were organized and presented through learners’ participation-oriented teaching methods, which were applied with the principles of community language learning, with the specific teaching content of each of the four non-verbal elements.

      • KCI등재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인성교육 인식 변화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송수희(Soo Hee Song),신혜영(Hae Young Shin),허소영(So Young He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와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3.4.5세 남녀 유아 어머니 50명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 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어머 니들에게 인성교육의 중요성, 교육시기, 교육방법 및 부모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프로 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에게 양육효능감을 증진시켰다. 세째,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양육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양육자신감의 증가에는 영향을 주었으 나 양육불안감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on parent``s recognition change about personality education and parenting efficacy. The study group consists of 50 mothers with children at the western age of 3- to 5-year-old children. The data are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ffects recognition change about the signific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teaching period of personality education, teaching method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parent``s influence. Secon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the effects of improving parent efficacy. Thir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at improving parenting confidence, As for decreasing parenting anxiety, however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s ineffective. Furures study should seek the cause of parenting anxiety and the method of decreasing it.

      •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및 사회적 의사소통능력 간에 관계

        송수희(Song soo hee)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및 사회적 의사소통능력 간에 상관관계 및 공감능력에 대한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하위영역과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하위영역이 갖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5세 남녀 유아 207명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다변량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및 사회적 의사소통능력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공감능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은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중에서 숙달이었으며, 사회적 의사소통능력에서는 말 순서 갖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서적 공감능력에 긍정적 영향력을 주는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은 숙달, 순응, 자기주장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 공감능력에 긍정적 영향력을 주는 사회적 의사소통능력은 또래 바라보며 말하기이며, 정서적 공감능력에는 말 걸기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 empathic ability and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s &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Another purpose is to investigate relative influences of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s sub categories and social communication skills sub categories regarding empathic ability. The subjects were 207 young children which include both gender 4 years and 5 years olds, pearson s correlation and multiple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data analysi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 empathic ability and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s. secondly, proficiency is the most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empathic ability in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s. thirdly, turn taking is the most correlated in relationship between empathic ability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fourthly,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s which has positive influence on empathic ability are proficiency, adaptability and assertion, whereas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which has positive influence on empathic ability are speaking to peer, response and nonverbal behaviour promoting communication.

      •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기르는 엄마와의 동화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동화이해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송수희 ( Soo Hee Song ) 영유아교육학회 2011 영유아교육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기르는 엄마와의 동화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동화이해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아울러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기르는 엄마와의 동화읽기 활동이 어머니의 양육방식 학력 및 가정의 소득에 따라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동화이해 효능감에 나타나는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5세 유아40명과 그들의 어머니40명 이었다. 연구도구는 동화책 권 이야기 이해력 검사. 동화이해 효능감 검사와 어머니 양육태도 검사였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어머니 교육 실험처치와 사후검사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처리는 X(2)검정, 요인분석,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기르는 엄마와의 동화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동화이해 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기르는 엄마와의 동화읽기 활동이 강제적 처벌, 방임, 논리적 설명의 모든 양육방식에서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임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좀 더 의미 있게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기르는 엄마와의 동화읽기 활동이 어머니의 학력과 가정의 소득에 상관없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더 의미 있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using self-regulated abilities with reading storybooks with a mother on the improvement of storybook comprehension and efficacy. In addition,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using self-regulated abilities with reading storybooks with a mother on young children`s storybook comprehension and efficacy depending upon mothers` rearing attitude, academic background and the income of a famil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orty 5-year-old children and forty their mother. The designed program in this study consists of 8 storybooks, the investigation of storybook comprehension and efficacy and the investigation of mothers` rearing attitude. The experimental procedures consist of pre-inspection, education of a mother,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inspection. Data were analyzed by Qui squared test, factorial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use of self-regulated abilities with reading storybooks with a moth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and efficacy. The use of self-regulated abilities with reading storybooks with a moth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logical explanation, permissiveness and compulsory punishment. In case of permissiveness, the result had more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tributable to a mothers`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of a family. With the increase of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the statistics had more significance.

      • KCI등재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및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간의 관계

        송수희 ( Song Soo-h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및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의 내외통제성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및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창의적 인성 사이에 어머니의 내외통제성이 갖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4~5세 유아와 어머니 163명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의 내적통제성 사이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세째, 자기조절력 하위요인 중 충동성 감소 및 유아의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 중 독립심과 어머니의 내적통제성 사이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의 내적통제성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33.4%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내적통제성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증진 방안 및 이를 위한 부모교육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has three main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wa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ir self-regulation and mothers` locus of control. The other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 that mothers` locus of control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have over their creative personality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that mothers` locus of control exe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their self-regulation. One hundred sixty-three young children`s aged four to five years and their mothe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their self-regulation correlate positively to each other. Seco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locus of control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ird, mothers` locus of control was found to correlate positively with a sub-variable of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independence and another sub-variable of their self-regulation, the decrease in their impulsiveness. Furthermore, two main relative contributing factors towards young children`s creativity, mother`s locus of control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were found to account for 33.4%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Lastly, mothers`locus of control was shown to exer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their self-regulation.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have led to valuable discussions on ways to enhance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s well as their self-regul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parents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 KCI등재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간 관계

        송수희 ( Soo Hee S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또래유능성 및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기초학습능력과 또래유능성 및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하위영역 간에 상관관계와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4·5세 유아 152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상관분석과 다변량 회귀분석으로 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기초학습능력과 관련되는 하위변인들은 주도성, 친사회성, 숙달과 순응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읽기와 셈하기에서는 순응이, 쓰기에서는 주도성이 가장 영향력을 갖고 있는데 반해 사교성은 읽기·쓰기·셈하기 모두에서 가장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eer related social competence and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s which influence the basic learning skills of young children. This research f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basic learning skills of young children and peer related social competence and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s. As well,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inter variables` relative contribution to basic learning skil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2 young children consisting of 79 five-year-olds and 73 four-year-old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analysis regression were applied to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basic learning skills of young children and peer related social competence and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s. Secondly, Sub-variables related to the whole set of basic learning skills are initiativity, prosociality, mastery and adaptability. Of these, adaptability was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tial effect on reading and arithmetic, while initiativity had the same effect on writing. In contrast, sociability is associated with the most negative effect on reading, writing and arithmetic.

      • KCI등재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곽윤진 ( Yun Jin Kwak ),송수희 ( Soo Hee S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원아 37명이었으며,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을 19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t-test와 paired t-test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과 타인정서인식 능력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깥놀이 활동에 실천 중심의 배려교육 교수방법을 적용한 배려교육 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서 의미 있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idea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Peer Competence, and Recognition of emotions in oth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7 children under 4, from child care facility M and H. Among them, 19 from facility M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from facility H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experienced the simple outdoor playing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done for 10 weeks, followed by analysis.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done 19 times from July 2 to September 3, 2014.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ssigned the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was much more enhanced than that of the group allocated to the simple outdoor playing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Second, the peer competence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ssigned the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was much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llocated to the simple outdoor playing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Third, the recognition of emotions in others by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ssigned the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was much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llocated to the simple outdoor playing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peer competence, and recognition of emotions in others. Thus, those activities involving caring education could be applied to improve the young children``s happiness, peer competence, and recognition of emotions in others while conducting outdoor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주변 나뭇가지를 활용한 목공활동이 만5세 유아의 공간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숙희(Kim, Sook Hee),송수희(Song, Soo Hee)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주변 나뭇가지를 활용한 목공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C시에 위치하고 있는 S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5세 18명을 실험집단으로, H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5세 18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변 나뭇가지를 활용한 목공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DIY형태의 목공재료를 활용한 목공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목공활동 전후에 유아의 공간능력과 창의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변 나뭇가지를 활용한 목공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공간능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변 나뭇가지를 활용한 목공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목공활동이 유아교육현장에서 공간능력과 창의성을 기르는데 의미있는 교육활동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wood working activities on the spatial capacity and creativity of infants. For this purpose, eighteen 5-year-old infants who were enrolled in the “S” Daycare Center located in “C” city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eighteen 5-year-old who were enrolled “H” Daycare Center were compared as the control group. Tree branch materials (small diameter-log) were u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Do-It-Yourself(DIY) wood working activities were done for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by pretest and posttest with the infant’s spatial capability and creativity inspection tools.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tatistic softwear SPSS 24.0 were used. From the analysis result, it is found that wood work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patial capacity and the creativity of them. Therefore, the results are thought to provide a meaningful direction for activating wood working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