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Watersheds 기반 계층적 이진화를 이용한 단백질 반점 분할 알고리즘
김영호,김정자,김대현,원용관,Kim Youngho,Kim JungJa,Kim Daehyun,Won Yonggw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2 No.3
생물학자가 단백질을 검색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2차원 젤 전기영동(2DGE : Two 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실험을 해야 한다. 실험 결과는 2차원 영상이 생성된다. 2차원 영상에서 단백질 반점의 패턴 분석을 위해 2차원 젤 영상에 펼쳐진 단백질 반점들을 영상처리를 통해 분할하고, 대조 그룹의 단백질 패턴과 비교분석을 통해 밝히고자하는 단백질 반점을 찾아내야 한다. 단백질 반점을 분할하는 알고리즘에 있어서 기존에는 가우시안 함수를 적용하였지만, 최근 들어 형태학 분리개념에 의한 Watersheds 영역기반 분할(Watersheds region-based segmentation) 알고리즘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Watersheds 영역기반 분할 알고리즘은 크기가 큰 영상에서 원하는 영역을 신속하게 분할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영상 화소의 그레이 값이 연속적인 경우 실제 반점의 개수 에 비해 과다분할(over-segmentation)되거나 과소분할(under-segmentation)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마커(marker) 포인트의 설정에 의해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병합(merge)과 분할(split)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본 논문은 Watersheds 기반 계층적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여 마커 드리븐 Watersheds 영상분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Biologist must have to do 2DGE biological experiment for Protein Search and Analysis. This experiment coming into being 2 dimensional image. 2DGE (2D Gel Electrophoresis : two 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image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isolating of the objective protein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tein spot pattern in the gel plane. The process of protein spot analysis, firstly segment protein spots that are spread in 2D gel plane by image processing and can find important protein spo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protein pattern of contrast group. In the algorithm which detect protein spots, previous 2DGE image analysis is applies gaussian fitting, however recently Watersheds region based segmentation algorithm, which is based on morphological segmentation is applied. Watersheds has the benefit that segment rapidly needed field in big sized image, however has under-segmentation and over-segmentation of spot area when gray level is continuous. The drawback was somewhat solved by marker point institution, but needs the split and merge process.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marker search of protein spots by watersheds-based hierarchical threshold, which can resolve the problem of marker-driven watersheds.
Treadmill에서의 경사로 정상보행에 관한 동작분석
김영호,양길태,문무성,Kim, Youngho,Yang, Giltae,Mun, Museo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 의공학회지 Vol.18 No.1
Kinematic and kinetic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walking characteristics on a treadmill with various slopes at the same speed of 1.25m/sec. Six different slopes of the treadmill were selected . -4%(-$2.3^{\circ}$), 0%($0^{\circ}$), 5%($2.9^{\circ}$), 10%($5.7^{\circ}$), 15%($8.6^{\circ}$), and 20%($11.3^{\circ}$). With increased slopes of the treadmill, both hip and knee flexion angles significantly increased at initial contact, and the maximum hip flexion during swing phase and the maximum knee flexion during stance phas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nkle dorsiflexion angle at initial contact and the maximum dorsiflexion increased with increased slopes. However, the maximum plantarflexion in early swing was slightly reduced with increased slopes. Hip extension in late stance and the maximum knee flexion in early swing was not changed sigilificantly with increased slopes. As for th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compared to the yond level walking,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peak forces increased, but the mid-support force decreased.
Coupled Eulerian-Lagrangian (CEL) 방법을 이용한 Dynamically Penetrating Anchor의 동적 거동 분석
김영호,정상섬,Kim, Youngho,Jeong, Sang-Seom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3
A fundamental study of the dynamically penetrating anchor (DPA - colloquially known as torpedo anchor) embedded into deep seabed was conducted using measurement data and numerical approaches. Numerical simulation of such a structure penetration was often suffered by severe mesh distortion arising from very large soil deformation, complex contact condition and nonlinear soil behavior. In recent years, a Coupled Eulerian-Lagrangian method (CEL) has been used to solve geomechanical boundary value problems involving large deformations. In this study, 3D finite element analyses using the CEL formulation are carried out to simulat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dynamic anchors. Through comparisons with results of field measurements, the CEL method in the present study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general trend observed by in-situ measurements and thus, predicts a realistic large deformation movement for the dynamic anchors by free-fall dropping, which the conventional FE method cannot. Additionally, the appropriate parametric studies needed for verifying the characteristic of dynamic anchor are also discussed.
정수문자열의 δ-근사주기와 γ-근사주기를 찾는 병렬알고리즘
김영호,심정섭,Kim, Youngho,Sim, Jeong Seop 한국정보과학회 2017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4 No.8
반복적인 문자열은 데이터압축, 생물정보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서열이나 주가지수와 같이 정수로 표현될 수 있는 문자열에 대한 반복에 대해 연구한다. 최근 정수문자열의 최소 ${\delta}$-근사주기와 최소 ${\gamma}$-근사주기를 찾는 문제들이 소개되었고, 문자열의 길이가 n일 때, 두 문제를 각각 $O(n^2)$ 시간에 해결하는 알고리즘들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문제에 대해 각각 $O(n^2)$개의 스레드를 이용하여 O(n) 시간에 해결하는 병렬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실험결과, n = 10,000일 때,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병렬알고리즘은 순차알고리즘보다 최소 ${\delta}$-근사주기를 계산하는데 약 19.7배, 최소 ${\gamma}$-근사주기를 계산하는데 약 40.08배 빠른 수행시간을 보였다. Repetitive strings have been studied in diverse fields such as data compression, bioinformatics and so on. Recently, two problems of approximate periods of strings over integer alphabets were introduced, finding minimum ${\delta}-approximate$ periods and finding minimum ${\gamma}-approximate$ periods. Both problems can be solved in $O(n^2)$ time when n is the length of the string. In this paper, we present two parallel algorithms for solving the above two problems in O(n) time using $O(n^2)$ thread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arallel algorithms for finding minimum ${\delta}-approximate$ (resp. ${\gamma}-approximate$) periods run approximately 19.7 (resp. 40.08) times faster than the sequential algorithms when n = 10,000.
김영호(Youngho Kim)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7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9 No.1
한국은 국력의 요소로 볼 때 인구와 영토의 크기와 자원과 같은 하드파워는 주변 강대국들에 비해서 크게 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국력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외교적 역량과 같은 소프트파워를 강화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외교정책은 하드파워적 국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외교 역량의 발현이다. ‘외교정책’이란 주권국가의 정책결정자들이 자국의 국가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제정치체제의 구성원인 다른 국가들을 상대로 하여 이루어지는 대외적 행위를 말한다. 이 글은 한국 외교정책사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이 글은 기존 연구 성과에 기초하여 외교정책을 정의하고, 미국 학계를 중심으로 발전되어온 다양한 외교정책 방법론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이 글은 중요한 한국 외교 정책사 연구 성과들을 분석하고 이런 연구들이 갖고 있는 연구 방법론을 평가한다. 이런 평가를 기초로 하여 한국 외교정책사 연구는 새로운 방법론에 기초하여 건국 이후 현재 시기까지에 걸친 종합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나아가 이 글은 한국 외교의 전통과 특징이 무엇인지를 설명한 후 결론적으로 한국 외교가 안고 있는 과제 들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Republic of Korea is outstripped by surrounding great powers in terms of hard power which consists of the size of population and territory. It needs to strengthen the soft power such as diplomatic capability to overcome the power inferiority. Foreign policy is the expression of diplomatic capacity to overcome the limits of hard power. Foreign policy means external activities of policy-makers of sovereign states to achieve diplomatic objectives in interaction with other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search methods of the history of Korean foreign polic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article begins by defining what foreign policy mean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on the subject. This study will explain a variety of approached to the study of foreign policy with in the United States. Futhermore,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extant literature on the study of Korean foreign policy and evaluate its research methodologies. Based on this evaluation it will emphasize the need to comprehensively study Korean foreign policies from its foundation to the present with the help of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This study will conclude by explaining the traditions of Korean foreign policy and suggesting the research tasks for further study on the subject.
이승만의 국제정치관에 관한 연구 : 『일본내막기』를 중심으로
김영호(Youngho Kim)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6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8 No.1
이 글의 목적은 이승만의 국제정치관을 그의 대표적 저서인 『일본내막기』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 책은 그가 쓴 여러 가지 책들 중에서 그의 국제정치관을 가장 체계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국제정치관은 국제정치현실을 바라보는 이론적 전제들과 거기로부터 도출되는 구체적인 전략적, 정책적 입장을 의미한다. 국제정치현실은 현실주의와 이상주의와 같은 이 론적 전제와 시각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이승만이 제시하는 전략과 정책은 그의 국제정치관과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이 글은 이 책의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이승만의 국제정치관이 근대국가를 국제정치의 주체로 인식하는 현실주의적 입장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또한 그는 국제정치에서 여론이 갖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국인들에게 전체주의의 위협과 미국의 일본 침략이 임박했다는 사실을 깨우쳐주기 위해 이책을 집필했다. 이승만은 평화주의와 유화주의적 정책을 비판하고 ‘기독교현실주의’의 입장에 서서 전쟁과 평화의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나아가 그는 국가 간 조약이 국내정치에서 집행되는 국내법처럼 언제나 지켜지고 강 제력을 갖고 있다는 이상주의적 국제정치이론의 법리주의적 사고를 비판한다. 이 책은 미국의 여론에 호소하여 전체주의의 팽창을 막고 한국의 독립을 보장받으려는 이승만의 저술을 통한 노력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seeks to explain international political views of Syngman Rhee with specific reference to his book, entitled Japan Inside Out. His systematic perspectives of international politics can be very well found in this book. International political views can be construed as assumptions on which international political reality is perceived and from which specific strategies and policies are derived. International political reality can be conceptual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either realist and idealist perspectives. So Syngman Rhee’s international political perspectives cannot be separated from his suggestions of policies and strategies. This article will show that Rhee has a realist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the nation-state as the main actor in international politics. Rhee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ublic opin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wrote this book to enhance awareness of Americans in the threat of totalitarianism and imminent attack of Japan on the United States. Rhee is critical of pacificism and appeasement policy and seeks to understand the issue of war and peace in terms of Christian realism. He also criticizes the idealistic and legalistic idea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domestic law and international treaty. In Rhee’s book, we can find Rhee’s efforts to stem the tide of totalitarianism and promote Korea’s indepen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