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항공단 근로자의 산업안전교육 실태분석

        김도희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63

        포항공단 근로자의 산업안전 교육실태분석 金 度 希 嶺南大學校 工學大學院 産業安全學科 産業安全 專攻 要 約 본 논문은 포항지역 공단 근로자 1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안전의식 수준과 실태를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산업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에 관한 의식 수준, 안전교육의 실태 및 필요성, 안전교육의 법적, 제도적 문제점 등 다양한 각도에서 산업안전보건 교육에 대한 현 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안전교육이 안전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실효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교육방법을 강의식 보다는 시청각교육과 경험담 위주의 교육으로 변화를 주어 더욱 실효성 있는 교육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리고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사업주의 마인드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같은 개선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산업안전 보건교육관련 법적 제도적 정비를 통해 근로자 모두가 교육을 이수하여 산업재해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둘째,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작업환경 개선을 통해 효과적인 시청각교육과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셋째, 산업안전 보건교육 방법론의 변화이다. 피교육자가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령, 학력, 근무연수등을 고려한 경험과 사례발표 위주의 교육과 시청각을 활용한 교육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관계부처, 전문가, 사업주, 근로자들의 공동의 노력과 효과적인 교육시스템 개발을 통해 현재 산업안전교육의 이론교육과 현장실무의 차이를 줄여나간다면 형식적인 업무상 절차가 아닌 안전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 전국체전 개최에 따른 경기장시설의 적정수요에 대한 연구

        김도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전국체육대회 개최에 따른 경기장시설의 적정수요에 대한 연구 김도희 동신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 정성필) 이 연구는 전국체육대회의 개최에 따른 대회시설의 종목별 규모에 대해 살펴보고, 전국체전을 준비하는데 필요시설의 규모를 분석하며, 적정한 추가 시설의 수요를 검토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국체전을 준비하고 있는 목포시의 지역 내 생활체육시설, 전문체육시설, 학교체육시설 등을 단위 공간으로 변수화하고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기 위한 각 종목별 경기장의 규모와 이용수요에 대한 실증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전국체전 종목의 경기장 규격을 기준으로 전국체육대회가 열리는 지역의 실태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위하여 활용이 가능하거나 신축(증설)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한 시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그 결과 리모델링 또는 신축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된 시설의 필요 면적 합계는 약 521,925㎡으로 조사되었으며, 신축되어야 할 종목에 대한 필요면적은 약 6,167㎡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체육시설의 안정성, 노후도, 생활체육시설의 미래상 등을 고려하면 노후도가 심한 경기장의 이전 신축(증설)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트랙 종합경기장 1개소, 실내 종합경기장 1∼2개소가 신설될 경우 대회 개최가 안정적일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체육시설의 규모 선정과 효율적 체육시설의 설치에 대한 결과 값 비교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단순한 지역 논리에 의해 체육시설을 신설 또는 개보수 하기 보다는 다양한 지역 여건을 고려하여 지역에 맞는 맞춤형 정책으로 변화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전국체육대회가 개최되는 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선정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요정책을 시행함으로써 각 실제 지역의 시설물의 활용 가능성과 효율적 관리의 방안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의 순기능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하며 정책 신뢰도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빛과 공간의 표현 특성을 활용한 미디어 퍼포먼스 공간연출 효과

        김도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빛을 활용한 공간 연출은 극적으로 공간에 생명력과 역동성을 불어 넣는다. 공간에서 빛의 중요성은 "공간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빛을 디자인하는 것이다."라는 칸의 말을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다. 빛과 공간예술(Light and Space Art)은 빛 자체에 집중하여 빛을 독립적 매체로 인식하였고, 빛의 특성을 살려 시각적 이미지와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였다. 빛과 공간예술과 미디어 퍼포먼스는 다른 예술장르이지만 관람자에게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고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 점에서 빛과 공간의 본질적인 역할이 서로 통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빛 자체가 독립 매체로서 작품의 재료로 사용되기 시작한 배경을 라이트아트(Light Art)와 빛과 공간예술(Light and Space Art)을 통해 기술하고, 아돌프 아피아(Adolphe Appia)와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의 조명 미학을 통하여 미디어 퍼포먼스에서 독립된 매체로서의 빛(조명)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빛과 공간의 표현 특성 연구를 바탕으로 빛과 공간을 표현 수단으로 하는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과 올라퍼 앨리아슨(Olafur Eliasson), 앤소니 맥콜(Antony McCall)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빛이 작품과 관객의 소통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빛이 독립된 표현 매체로서 활용 되었을 때 미디어 퍼포먼스 공간 연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빛을 무대를 비추는 보조수단이 아닌 독립된 매체로 활용하고 있는 미디어 퍼포먼스, 제니퍼 로페즈(Jennifer Lopez)의 'Feel the Light'과 비의 '최고의 선물' 그리고 본 연구자가 참여한 작품 '겨울의 사랑'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빛과 공간의 표현적 특성을 활용한 미디어 퍼포먼스의 공간연출 효과를 현장감, 관객과의 소통 그리고 몰입, 세 가지 요소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포먼스를 연출함에 있어 조명 즉, 빛을 다른 대상을 비추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수단이 아닌 독립된 매체로서 활용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함이며, 빛을 통한 무대공간의 확장이 공간의 변화, 창조 가능성을 풍부하게 하여 퍼포먼스의 발전에 많은 영향 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Creation of space using light gives life and dynamics to space dramatically. As Louis Kahn said ""Designing a space is designing a light." , light accounts for a great part of space. Light and Space Art recognized a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focusing on the light itself and created visual images and new spaces, making the best use of its characteristics. Light and Space Art and media performance are different genres but they have in common in that they provide viewers with visual experience and induce them to be immers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described the background in which the light itself began to be used as an independent medium and a material for a work through Light Art and Light and Space Art and proposed a direction of the utilization of lighting as an independent medium through the lighting aesthetics of Adolphe Appia and Robert Wilson.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i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expressions of light and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produced by James Turrell, Olafur Eliasson and Antony McCall, which use the light and space as a means of expression.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light could be utilized as a means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k and the audience, and it was interpret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of expression could bring about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a media performance space. In order to ascertain the aforementioned argument, a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edia performances that utilize the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instead of an aid that shines the stage, Jennifer Lopez’s Feel the Light, Pop Singer Rain's The Best Present and the work in which this researcher participated, Winter Love. Based on this, the effect of media performances utilizi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light and space on the space produc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elements, including the sense of realism,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immers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lighting, that is, the light can be utilized as an independent medium, instead of an aid used to shine other objects in directing a performanc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xpansion of the stage space through the light will enrich the possibility of creation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 클릭 반응을 통한 64Cu 표지 엑소좀의 림프절 이미징 연구

        김도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Exosomes are double-layered lipid vesicles which are generated from endosomes and released outside cells. Recently, drug delivery and development of biomarker using exosomes are actively studied by many researchers. Although establishment of biodistribution of exosomes is required for clinical use of exosomes, difficulty in bioimaging of exosomes and damage to exosome viability remain challenges in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exosomes. For biomedical application of exosomes, we need safer and more accurate method monitoring biodistribution of exosomes. Meanwhile, tumor-derived exosomes can present antigen to immune cells, which are localized to lymph node. Dendritic cells are activated to antigen-presenting cells, when they meet tumor-associated antigens. Antigen-presenting cells induce formation of cytotoxic CD8+ T cells. Thus, visualizing distribution of exosomes to lymphatic system is important to research on immunotherapy. In this study, we performed lymph node imaging using exosomes labeled with radioisotope via click reaction in mouse. 엑소좀은 세포의 엔도좀에서 기원하여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지질 이중층 막 소포체이다. 최근 나노 수송체로서의 엑소좀을 활용한 약물 전달 연구와 엑소좀의 특정 단백질 또는 유전자를 질병 진단을 위한 생체지표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엑소좀이 임상에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엑소좀의 생체 내 거동 평가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영상화의 어려움과 시각화를 위한 표지 과정에서의 엑소좀 활성 손상 등 엑소좀의 체내 동태 파악에 있어 아직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남아 있다. 엑소좀의 생의학적 응용을 위해서는 엑소좀의 효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엑소좀의 체내 분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비침습적이고 정확한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종양 세포 유래 엑소좀은 항원 제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다수의 면역세포들이 폐색되어 있는 림프로 이행 가능하다. 수지상세포는 종양 관련 항원을 만나면 항원을 T세포에 교차 제시할 수 있는 항원제공세포로 활성화되며, 항원제공세포는 종양 세포를 죽일 수 있는 종양 항원 특이성 CD8+ T세포의 생성을 유도한다. 따라서 종양 세포 유래 엑소좀의 림프 이행을 시각화하는 일은 면역 요법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클릭 화학을 통하여 엑소좀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한 후 마우스 체내에 주입하였을 때 림프 이행 여부를 PET/CT로 모니터링하였다.

      • 청년 여성의 ‘비혼 공동체(community)’ 경험을 통해 본 지역 정주의 의미와 실천

        김도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local young women construct their life courses through communities of against marriage. The explicit regional hierarchy of Korean society has contributed to marginalizing the lives of residents of‘local’spaces and veiling their existe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young women’s construction of life course based on a premise that the status of‘local young women’are the constructions of intersections between region and gender and on an intersectional approach. The study unfolds as the following. The area is a place where young women live and where their experiences are created and composed simultaneously. As segregated narratives of immigration and settlement of local young people create images of‘Seoul’as a destination and ‘local’as a place to be left behind, young people left in the local seek the meaning of living in a‘local’space. Feminism is considered a necessary resource for local young women to reflect on their social positions and the ways to live. Among them, ‘against marriage’ is considered the most popular feminist practice for young women. Within the new wave of feminism, against marriage is meant as a strategic resistance to patriarchy. Young women in the local area who view their community as‘conservative’and who have experienced pressure from marriage norms in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workplace appear to accept against marriage as a strategic resistance without much hesitance. However, the‘local’represented as maintaining gendered labor market and traditional familialism and possessing less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than‘Seoul’ is recognized as an inappropriate place for against married young women. This is because local communities with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feminism are considered to be places where young women cannot voice feminist desires and agendas they pursue. Local against marriage communities maintain their‘homogeneity’by accepting only those who‘meet the standards’as members that they have set. The standards presented by the communities are‘subjective understanding of feminism' about‘against marriage’or‘4B movement.’Therefore, not all women who pursue against marriage are accepted as members; those who are considered to have different understanding of feminism cannot join the communities. This boundary that distinguish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munities serves as a key tool for research participants to recognize their communities as a ‘safe’ space as well as a place where against marriage can be practiced together. Participants of this study expect activities of making‘against marriage friends’or to strengthen their determination to against marriage within the communities. This is because they imagine that‘against married women’are easily isolated in local communities that define‘against married women' as‘different beings’and that pressure gendered Independence and marriage norms. Community activities are planned within a wide range, from trivial things like sharing their daily lives to more public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ng in protests together and planning projects funded by public institutions. Through these activities, against marriage women feel a strong sense of belonging to their communities that accept‘young feminist and against married selves’. Although local against marriage communities do not occupy and share specific residential spaces but are maintained through mutual faith in ‘against marriage practice’, the loose sense of solidarity and belonging felt by members from the aforementioned activities contribute to forming a sense of places of the communities. Local young women reconstruct the meaning of lives as‘against marriage’ in where they live by finding a‘place’to which they finally feel they belong. Settlement in the local is considered as a construction that continues to form and reform in their life courses while crossing the dichotomy between migration and settlement, rather than as a completed narrative.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re-existing academic literature on local and gender that have tended to be discussed in dichotomized manner through its attempts to analyze how‘local’and‘gender’connects by looking at the categories of local young women from intersectional perspectives. 본 연구는 지역 청년 여성들이 비혼 공동체를 경유하며 자신의 생애 과정을 기획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지역은 청년 여성들이 살아가는 공간임과 동시에 이들의 경험이 만들어지고 구성되는 장소이다. 이들은 서울과 지방으로 대표되는 한국 사회의 공간 위계 속에서 ‘지역’ 에서 정주하며 살아가는 것의 의미를 모색하게 된다. ‘페미니즘’은 지역 청년 여성들이 자신의 위치성과 생애 과정을 기획하는 것에 있어 필요한 자원으로 여겨진다. 그 중에서도 ‘비혼’은 청년 여성들에게 가장 대중적인 페미니즘의 실천이다. 새로운 페미니즘의 흐름 속에서 '비혼'은 가부장제에 대한 전략적인 저항으로 의미화된다.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 사회를 ‘보수적’으로 평가하고 가족과 직장의 인간 관계에 있어 결혼 규범의 압박을 경험한 지역 청년 여성들은 전략적 저항으로써의 비혼을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성별화된 노동시장이나 전통적 가족주의가 남아 있으며 물적·인적 자원이 ‘서울’보다 부족한 곳으로 표상되는 ‘지방’은, 청년 여성들이 비혼으로 살아가기에 적절하지 않은 공간으로 인식된다. 페미니즘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지역 사회는 청년 여성들에게 있어 원하는 페미니즘 의제를 발화할 수 없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보다 지속적이고 정치적인 비혼 실천을 위해 지역 청년 여성들은 ‘비혼 공동체’를 구성·가입하게 된다. 연구 참여자들은 비혼 공동체 속에서 ‘비혼 친구’를 만들거나 비혼 결심을 단단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활동 등을 기대한다. 공동체의 활동은 일상을 공유하는 사소한 일부터 함께 시위를 나가거나 공공기관의 지원을 받아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일까지 다양한 범위 속에서 기획된다. 이러한 활동 등에서 비혼 여성들은 페미니스트이자 비혼이자 청년 여성으로서 ‘나’를 받아주는 공동체를 자신의 ‘장소’로 여기게 된다. 지역 비혼 공동체들은 특정한 주거 공간을 점유·공유하지 않고 ‘비혼 실천’에 대한 상호 간의 믿음을 통해 유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성원들이 느끼는 느슨한 연대감과 소속감은 공동체의 장소감을 형성하는 것에 기여 한다. 지역 청년 여성들은 자신이 마침내 소속되었다고 느끼는 ‘장소’를 찾음으로써 지역 사회에서 ‘비혼’으로 살아가는 것의 의미를 재구성한다. 지역에서의 정주는 완결된 서사이기보다는 이주와 정주의 이분법을 넘나들며 그들의 생애 과정 속에서 계속해서 구성되는 것으로 의미화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지역 청년 여성의 경험을 교차적 관점으로 바라봄으로써 이전까지 단절적으로 논의된 경향이 있는 ‘지역’과 ‘젠더’가 연결되는 지점을 파악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환경교재의 적합성과 효과성 연구 : ‘수원청개구리환경이야기’를 중심으로

        김도희 광운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환경교재 ‘수원청개구리환경이야기’를 통하여 환경 교육을 실시하여 환경교육의 인식이 얼마나 변화하였는지를 지식, 정서, 기능, 행동 등의 4개영역으로 나누어 환경소양변화를 통해 효과성을 알아보고 3-4학년 수준에 맞는 교재구성에 대한 짜임새와 적합성을 분석하여 교재의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환경교육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5%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환경소양평가와 4개영역을 빈도분석 하여 실시한 환경소양변화에서 녹지 유무에 따른 환경소양변화를 비교하였는데 정서영역의 경우 사회 환경 교육 후에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이는 녹지 유⦁무와 상관없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기대했던 것 만큼의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하지만 4개영역의 사전-사후 비교는 수원시 환경교재 내용에 구성되어 있던 에너지, 먹거리, 하천오염도와 관련해서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교재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는 전문강사 보다는 교사가 효율성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향후 환경소양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활용도가 높은 통합적 교재가 개발되길 바라며 이후 만들어지는 수원시 환경교재 ‘수원청개구리 환경이야기’ 개발에 기여할 수 있고 나아가 초등학생들에게 환경교재로 써 적극 활용 되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changes in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conduc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xtbook titled, "environmental story of Suwon tree forg"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xtbook through changes in environmental literacy by dividing it into four areas of knowledge, emotion, function and behavior and examining the efficiency of the textbook by analyzing the configuration and appropriateness of the teaching materials suitable for 3-4 grade levels. Towards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12.0 software, and it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no change after the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emotional area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environmental literacy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green space, which was implemented by conducting the frequency analysis of four areas and evalua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indicating that the environmental literacy turned out to be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f green space, and its comparison did not derive significant results against the expectations of the researcher. However, the pre-post comparison of four area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relation to energy, food and river contamination level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s from Suwon. With respect to the evaluation on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materials, higher evaluation was obtained from teachers compared to that from professional instructor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help to develop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with high utilization that can promote environmental literacy in the futur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xtbook titled, "environmental story of Suwon tree forg", and furthermore to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to ensure active utilization of the textbook as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PDGF-AB가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의 성장인자 조절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ES Cell)는 무한증식이 가능하고, 다양한 조직의 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세포로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임상적인 치료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에 있어 자가재생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심장질환의 치료를 위해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에서 5''-azacytidine을 제외한 분화유도 물질이나 관련 성장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최근 유사분열 인자로만 알려진 PDGF-AB가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식에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으나,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있어서는 그 영향이나 기전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가 심근세포로 분화하는데 있어 PDGF-AB가 5‘-azacytidine에 의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어떠한 신호전달기작을 통하여 PDGF-AB의 신호를 세포내로 전달하는가를 확인코자 하였다.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5''-azacytidine을 처리하였으며, 심근세포 분화에 관한 PDGF-AB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5''-azacytidine, 5''-azacytidine 및 PDGF-AB 그리고 PDGF-AB 와 heparin 처리구의 세 처리구로 나누어 2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심근세포로의 분화유도 후 심근 특이적 표지인자인 troponin-I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5''-azacytidine 처리구와 5''-azacytidine 및 PDGF-AB 처리구에서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하였다. PDGF-A의 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는 PDGF-A의 발현이 PDGF-AB 처리에 의한 영향 뿐 아니라 5‘-azacytidine에 의한 심근세포 분화유도에 의해서도 유도되고, PDGF-AB 처리 및 심근세포 분화에 따라 PDGF-A의 발현에 부가적 영향(additive effect)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DGF-B의 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분화유도 후기에 확인되었으며, VEGF의 발현은 5''-azacytidine과 PDGF-AB를 동시에 처리해 준 처리구에서만 확인되었다. 한편 TGF-β의 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일정하게 나타남으로써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있어 직접적인 작용보다는 paracrine을 통해 분화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의해 조성되는 환경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5’-azacytidine을 이용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있어 PDGF-AB의 처리는 PDGF-A의 발현을 조절하고, 이는 혈관신생에 필수적 성장인자인 VEGF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특히 PDGF-AB와 heparin 처리구에서 troponin-I의 발현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PDGF-A, -B 및 β-actin의 발현은 확인 되었으며, 이는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가 heparin과 PDGF-AB에 의해 근세포로 분화하였을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PDGF-AB의 영향은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주로 PI3K와 MAPK 신호전달기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JAK-STAT 신호전달기작에 의한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DGF-AB는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직접적으로 유도할 수는 없으나 심혈관계 세포로의 분화에 있어 성장인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practical benefits with respect to immune rejection and teratogenesi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many researches have utilized MSCs in stem cell therapy to cure cardiac diseases. However, because of limited self-regenerative capability of cardiomyocytes in vivo, there were very few reports on the differentiation of MSCs to cardiomyocytes using growth factors and other chemicals. Very recently, there was a report that PDGF-AB was involved in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when mouse MSCs were transplanted into cardiac tissues in mouse. But, there was no trial report using a human origin. In this study, therefore, the effects of PDGF-AB on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and its signal transduction in human MSCs (hMSCs) were investigated. Human MSCs were treated with 5''-azacytidine only, 5''-azacytidine+PDGF-AB, and PDGF-AB+heparin, respectively. After 2-weeks of treatment, cardiomyogenic differentiation of hMSCs was analyzed by RT-PCR using PDGF-A, PDGF-B, VEGF and TGF-β primers and immunocytochemistry using cardiac specific troponin-I antibody. The expression of PDGF-A was regulated by both PDGF-AB and 5''-azacytidine treatment, and their effects were additive. In contrast, PDGF-B expression was confirmed in all treatment groups. VEGF was only expressed in 5''-azacytidine+PDGF-AB treated group, whereas TGF-β was expressed analogously in all treatment groups, which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differentiation via paracrine effect. Although the microenvironment induced by differentiated cardiomyocytes was not precisely characterized, addition of PDGF-AB to differentiated cardiomyocytes by 5''-azacytidine induced the expression of PDGF-A and VEGF, implying the indirect involvement of PDGF-AB in angiogenesis. Especially, PDGF-AB+heparin treated group showed expression of PDGF-A, -B, and β-actin except troponin-I, indicating that PDGF-AB+heparin treatment might induce myocyte differentiation. Furthermore, PDGF-AB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hMSCs mainly through PI3K and MAPK signal pathways (P<0.05) but not through JAK-STAT signaling route. Taken together, PDGF-AB did not directly induce cardiomyogenic differentiation of hMSCs but regulate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during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 Acupuncture point is one form of neurogenic inflammation in skin : 혈자리는 피부에서 신경성염증의 한가지 유형이다

        김도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부학적으로 생리학적으로, 생리적인 형태적인 혈자리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려는 상당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혈자리의 본질에 대해 아직 작 알려져 있지 않다. 관련통에 의해 정의된 특정부위는 부드럽다는 특징이 있고, 에반스블루 염료의 전신투여로 인해 피부의 그 부위는 눈에 보이게 된다. 관련통 부위에서 눈에 보이는 신경성포인트가 전통적인 혈자리와 유사한지 알아보기 위해 부동으로 유도된 스트레스 모델을 이용하였다. 우리는 신경성포인트의 해부학적 위치가 전통적인 혈자리와 비슷한지 비교 하였고,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고혈압에서 신경성포인트가 실제 혈자리와 같은 효능이 있는지 실험해보았다. 부동으로 스트레스를 유도하고 한 시간 후에 에반스 블루 염료를 투여하였을 때 대부분의 신경성포인트는 PC6, HT7 자리에 많이 나타났고, 사람의 실제 혈자리 위치와 비슷하였다. 또한 신경성포인트는 근처 부위 보다 높은 전기 전도도를 보였다. 신경성포인트의 침처리는 부동의 스트레스로 유도된 고혈압의 증가를 상당히 억제 하였으며, 오피오이드 리셉터의 안타고니스트인 날록손을 rVLM 에 투여함으로 인해 그 효과가 블락되었다. 신경성염증에 캡사이신의 투여로 인한 C-fiber의 자극은 침의 효과와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신경성포인트는 침해수용 C-fiber의 신경분포 영역에서 삼출액이 분출 되었다. 마지막으로 해당장기인 심장에 신경추적자(Fluoro gold) 를 투여하고, 신경성포인트에 신경추적자(DiI)를 투여 하였을때, 등쪽신경절(dorsal root ganglion) 에서 신경추적자의 여부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조사하였다. 5-7%의 신경추적자가 겹치는 것으로 보아 신경성포인트-척추신경-장기가 관계되어 있음이 밝혀졌고, 이는 ‘혈자리가 밖으로는 사지와, 안으로는 장기와 연결되어 있다’는 문헌의 이론을 증명한다. 위의 내용들을 종합하면, 이러한 결과들로 부동의 스트레스로 유도된 쥐의 고혈압 모델에서 신경성포인트는 전통적인 혈자리의 유형이라 볼수있다. Although considerable efforts have focused on explaining the essence of acupoints anatomically and physiologically, the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upoints remain unknown. Visceral pain is often referred to certain somatic regions. Within the areas of referred pain, well defined, localized, and tender points are found and can be visualized experimentally in the skin by systemic injection of Evans blue dye. To investigate if the neurogenic points in referred pain area are classical acupoints, the present study compared anatomical locations of neurogenic point with classical acupoints, measured skin electrical conductance at neurogenic point and explored the effects of acupuncture at neurogenic point on hypertension in a rat model of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hypertension. When Evans blue was administered one hour after immobilization, most neurogenic points were found in skin over PC6 and HT7, although some points were also seen in the area inconsistent with human acupoints. Neurogenic points showed higher skin electrical conductance than adjacent skin. Acupuncture at neurogenic point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hypertension and the effects were blocked by RVLM injection of opioid receptor antagonist naloxone. Stimulation of C-fiber by injection of capsaicin into neurogenic point produced the effects. And, neurogenic points are extravasated only in innervations area of nociceptive C-fibers.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neurogenic points in a rat model of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hypertension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cupoints.

      • 임신부의 영양섭취상태 및 건강위험요인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임신부들의 영양 섭취 실태와 건강 위험 인자를 조사하고, 임신부의 영양 상태와 건강 위험인자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서울 소재 3개의 종합병원을 내원한 평균 연령 30.1±3.5세의 임신부 564명이었다. 조사 대상 임신부의 일반사항, 신체 계측치, 과거 임신 결과, 식습관 등은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영양소 섭취량은 반정량식품섭취빈도법(semiquant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을 이용하였으며, 임신 결과는 병원의 의료기록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 임신부의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량은 각각 2519.7±804.8kcal와 98.2±38.8g이었으며, 칼슘과 철분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권장량을 상회하고 있었다. 신생아 Apgar score를 7점 미만과 7점 이상의 두 군으로 나누어 조사 대상 임신부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5분에 측정한 Apgar score가 높은 군의 비타민 B_(2) 섭취량이 점수가 낮은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조사 대상자의 신체 계측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신생아 출생 체중은 임신부의 신장(p<0.05), 임신 전 체중(p<0.001), 임신 중 총 체중 증가량(p<0.001)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임신부의 임신 전 BMI는 임신 중 총 체중증가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신생아 출생 체중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 임신 전 BMI로 조사 대상자를 저체중군(<18.5), 정상체중군 (18.5∼22.9), 과체중군(≥23)으로 분류하여 과거 임신 결과를 비교한 결과, 저체중군의 자연 유산 경험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OR 0.43, Cl 0.22∼0.82). 과체중군에서는 사산 경험(OR 4.21, Cl 1.19∼14.93), 저체중아 출산 경험(OR 6.24, Cl 1.03∼38.00)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과체중군은 재태기간도 유의적으로 짧았다(p<0.01). 또한 과체중군은 정상체중군보다 제왕절개수술 방법으로 분만하는 경우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OR 1.80, Cl 1.13∼l,89), 과체중군의 반 이상인 52% 제왕절개수술 방법으로 분만하고 있었다. 흡연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흡연군의 제왕절개수술 대응비가 비흡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OR 1.80, Cl 1.02∼3.17), 다른 임신결과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음주 경험이 있는 임신부가 출산한 신생아의 1분에서 측정한 Apgar score는 음주 경험이 없는 임신부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본 연구 결과 서울 지역 임신부는 영양상태가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체중 ·저체중과 같은 부적절한 임신 전 BMI와 음주, 흡연 등과 같은 건강 위험 요인이 임신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 사산, 낮은 Apgar 점수와 같이 좋지 않은 임신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임신 전부터 체중관리를 하고, 술과 담배와 같은 건강 위험 요인들은 피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effects of maternal nutritional status and risk factors on pregnancy outcome. The subjects were 564 pregnant women aged 30.1±3.5 years in Seoul from 2001 through 2002.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eating habits were surveyed by trained interviewers. Nutrient intakes were collected using the method of semiquant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regnancy outcome collected after delivery. The mean energy and protein intakes of pregnant women were 2519.7±804.8kcal and 98.2±38.8g, respectively. Mean intakes of all nutrients except calcium and iron exceeded 100% of RDA for pregnant women. And the positive association has been found between vitamin B_(2) intake and Apgar score at 5 minutes (p<0.05). Pregnant total weight gain was 14.4±4.4kg, which was showed normal weight gain. The mean birth weight of neonates was 3.25±0.46kg. Infant weight at bir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height (p<0.05), pre-gravid weight(p<0.001), and total weight gain(p<0.001) of pregnant women. Maternal pre-gravid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weight gain(p<0.01), and pre-gravid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ant birth weight(p<0.05).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n pre-gravid BMI: low weight(pre-gravid BMI≤18.5), normal weight(18.5<pre-gravid BMI<23.0),over weight(pre-gravid BMI≥23.0). Maternal overweight was a higher risk of sitll birth(OR 4.21, CI 1.19∼14.93), low birth weight(OR 0.43, CI 0.22∼0.82) and cesarean deliveries(OR 1.80, CI 1.13∼1.89).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during pregnancy were associated with adverse outcomes. Smoking experienc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esarean deliveries (OR 1.80, CI 1.02∼3.17). And alcohol consumption group showed lower Apgar scores at Imin than control (p<0.0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utritional status of pregnant women was adequate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etus. Pre-gravid counseling about reducing smoking or alcohol consumption, and optimizing maternal weight is needed to decrease adverse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