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맞춤형 첨삭 매뉴얼을 활용한 표준 글쓰기 클리닉

        안미애(Ahn Mi-Ae),김영철(Kim Young-Chul),지현배(Ji Hyun-Bae)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7

        대학의 글쓰기 교과 과정 표준화 논의의 일환으로 교수자와 학습자를 모두 고려한, 효율적인 첨삭 지도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자의 첨삭 지도의 표준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국대 경주에서 구축하고 있는 첨삭 지도의 표준화 방안과 표준 글쓰기 클리닉에 대해 소개하는 데 있다. ‘첨삭 지도’는 특히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에서 나타나는 편차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주목할 만하다. 동국대 경주의 첨삭 지도는 <글쓰기> 교과와 연계했다는 데 다른 대학과의 차이가 있다. 또한 표준 평가표를 제시하고, 총평 제시 기준과 같은 첨삭 지도 표준 지침을 제공하여 첨삭 지도의 표준화를 모색하였다. 그러나 공통의 첨삭 지도 지침을 제시한 데도 불구하고 동국대 경주에서 시행한 2012년 글쓰기 클리닉 사례에서 관찰된 교수자 간 첨삭 조언의 격차는 교수자 첨삭 지도의 표준화에 있어 단순한 첨삭 지침 외에 고려할 요소가 더 있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국대 경주는 동국대 경주의 글쓰기 교과에 맞춘 <글쓰기 표준 첨삭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존에 운영해 온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에 탑재하고자 하였다. 즉, ‘교과 과정 맞춤형 첨삭 매뉴얼’이다. ‘맞춤형 첨삭 매뉴얼’ 개발 시 고려한 요소는 아래의 네 가지이다. 첫째, 교과 과정과 연계한 진단 요소와 비교과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공통 진단 요소의 추출이다. 둘째, 진단 항목의 구체적 제시이다. 셋째, 진단과 조언으로 이루어진 구체적인 조언문 형식의 제공이다. 넷째, 진단 항목과 구체적인 처방 사례의 제공이다. 이러한 맞춤형 첨삭 매뉴얼을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고려하고 있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첨삭 지도의 정도성 평가에 따라 연동되는 진단과 처방 문장의 유형화이다. 둘째, 첨삭 지도 점검 항목의 기능과 조건 탑재이다. 셋째, ‘처방 예시’ 탑재를 통한 구체적인 개선 방향 제시이다. 넷째, 위의 세 가지를 통합한 첨삭 조언문의 완성이다. 동국대 경주는 위의 네 가지 사항들을 고려하여 <글쓰기 표준 첨삭 모델>을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반영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정착된다면, 글쓰기 첨삭 지도에 있어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과 ‘맞춤형 첨삭 매뉴얼의 첨삭 표준화’가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Effective writing consulting system is required in the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our standards writing consulting system based on the customized writing consulting manual. Writing consulting is needed to overcome the gap of student s writing skills in the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Probably for this reason, we are operating the Writing Clinic in the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Especially We has been operating a ‘Online Writing Clinic System’ since the 1st semester of 2013. The ‘Online Writing Clinic System’ is a web-based writing correction and consulting program. But there are still exist gaps on the writing consulting advices, when we compared with the writing consulting advices of advisors. To solve this problem, we developed the customized writing consulting manual for writing advisors. And then we will develope the standards writing clinic system using the customized writing consulting manual.

      • KCI등재

        타이완 세딕민족 한글 서사체계 활용의 어휘 기반 연구

        全廣鎭(Jeon, Kwang-jin) 한국중어중문학회 2019 中語中文學 Vol.- No.77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bout 1,000 basic vocabularies of Sediq language to lay the foundation for use of the Hangeul writing systems by Sediq people and the second purpose was to verify the adaptability of the Hangeul writing systems in detail at the level of vocabularies to solidify the foundation for use of the Hangeul writing systems. The resultant achievement of such purposes is well summarized in 【Appendix】(1∼4) titled 〈Details of verification of the vocabulary foundation for use of the Hangeul writing systems by Sediq people〉. In summary, appendix (1) describes the process through which 1,291 basic vocabularies exceeding the original goal 1,000 vocabularies were collected, the vocabularies were divided into simple words (1,019 words) and compound words (272 words) to correct the Roman alphabet writing word forms to indicate actual pronunciations, and Hangeul writing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Appendix (2) shows 137 vocabularies borrowed from Japanese separately gathered and written in Hangeul. Appendix (3) shows 446 person name vocabularies, and appendix (4) shows the results of empirical Hangeul writing of 40 place name vocabularies. Another outcome of this study is that it diagnosed problems in the Roman alphabet writing system, which is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Hangeul writing system, and found out methods to correct the problems. After resolving the leading tasks as such, Hangeul writing was verified with numerals, personal pronouns, loanwords, and person name / place name vocabularies, and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the adaptability of the Hangeul writing. In addition, several new facts were found. First, matters that must be revised or supplemented were found in the writing system. It was found that three new consonants not in the list of consonant phonemes were being used in loanwords and person name vocabularies. They are initial consonants /j/ and /z/, and a final consonant /w/. Second, it was found that semi-consonant syllables included [we] and [wi]. The above-mentioned three consonants and two semi-consonant syllables were reflected on the ‘2019 Hangeul writing system’. In addition, the discovery of semi-homonyms(9 pairs), homographs(12 pairs), heteromorphic synonyms(28 pairs) can be also regarded as one of the outcomes. In particular, among the nine pairs of semi-homonyms, examples of conflicts between /l/ and /r/, or between /x/ and /h/ could not be found. This proved that the shortcoming of the ‘2017 Hangeul writing system’ that wrote each of these two pairs identically is not much problematic in reality. If these small outcomes can be one of conerstones for establishment of Hangeulology(Study of Hangeul writing system) later, it will be the Grace of God.

      • KCI등재

        글쓰기 클리닉의 운영 성과 분석과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개발 방안

        안미애(Ahn Mi-Ae),김영철(Kim Young-Chul),지현배(Ji Hyun-Bae)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6

        이 논문은 동국대학교 경주 캠퍼스에서 시행해 온 비교과 과정의 하나인 ‘글쓰기 클리닉’의 운영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의 <글쓰기 클리닉>은 2013년 1학기부터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으로 개편되어 운영되고 있다. 교과와 연계하여 시행된 2012년의 ‘글쓰기 클리닉’의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클리닉 상담 건수의 증가와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은 큰 성과였다. 그러나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첫째, 대면 방식 클리닉 진행의 비효율성, 둘째, 교수자 간 지도 조언의 격차, 셋째, 1학년에 편중된 상담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는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을 운영한 결과, 글쓰기 클리닉의 상담 건수가 2013년 5월 29일 기준으로 1,900건이 집계되어 상담 건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교수자 간의 지도 조언의 편차를 줄이고, 효과적인 첨삭 지도를 하기 위해 ‘첨삭 지도 표준 모델’을 개발하여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에 탑재함으로써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으로 클리닉 시스템을 발전시켜 운영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1학년에 편중된 상담은 추후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홍보를 통해 보완해 나갈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는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첨삭 지도 표준 모델’을 개발하여 탑재ㆍ운용함으로써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을 지향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velopment methods about the Standard Writing Clinic System based on analysis of Writing Clinic s operational performance. The Writing Clinic is a Extra program in the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We has been operating a ‘Online Writing Clinic System’ since the 1st semester of 2013. The ‘Online Writing Clinic System’ is a web-based writing correction and consulting program. Online Writing Clinic system s operat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riting counseling cas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Second, the students writing skills have improved than before. Of course, there are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ng system. When compared with existing offline, there are still exist a gap on the writing consulting advices. To solve this problem, we want to develop a standard system for writing clinic. To establish the Standard writing clinic system, we are developing the ‘Standard Model of Writing Consulting Cases’.

      • KCI등재후보

        웹 기반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표준화와 성과 ―글쓰기 교과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안미애,지현배,김영철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4 리터러시 연구 Vol.-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tandardization and operational performance on the web based writing clinic system of Dongguk University in Gyeongju, focused on the writing curriculum. The Writing clinic system of Dongguk university in Gyeongju moved ahead grew by web based writing clinic system. The writing curriculum of university aims to more standardization about writing consulting system. This writing clinic system has web based system and standardized advice manual of writing. Especially, This writing clinic system is based on writing curriculum of university. After this, the writing clinic system needs more standardized writing advice pattern. Also it is required standardized advisor's advice manual. 이 논문의 목적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에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웹 기반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표준화 과정과 그 운영 성과를 교과와 연계하여 논의하는 데 있다.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의 글쓰기 클리닉은 웹을 기반으로 한 글쓰기 첨삭 지도 시스템으로 2013년 이후 지금까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온 시스템이다. 현재 대학의 글쓰기 교육과정은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글쓰기 첨삭 지도의 표준화 또한 필수적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본교에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웹 기반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표준화 성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본교의 웹 기반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은 웹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첨삭 조언 시스템인 ‘표준 처방’과 교수자별 ‘맞춤 처방’으로 구성된 글쓰기 첨삭 지도 시스템이다. 특히 본교의 웹 기반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은 글쓰기 교과 과정과 연계한 첨삭 지도 시스템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향후, 더욱 표준화된 글쓰기 첨삭 지도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상담 원고에 대한 첨삭 결과물의 유형 분석과 이에 기반한 진단 평가 도구를 심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실제 첨삭 지도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한 진단 평가 도구를 도입하면, 더 발전된 표준 처방 산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공식문자론

        김슬옹 한글학회 2012 한글 Vol.- No.297

        This paper is a criticism of the various types of discourse, including those occurring in textbooks, which define Hunminjeongeum in the Joseon period as an unofficial writing system. Hun minjeongeum was originally created as an official writing system. It was used for writing the nation’s policies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and it even appeared in the Gyeonggukdaejeon. Only, it was a non-mainstream official writing system which was almost never used in general administrative documents. Defining the non- mainstream aspect of Hunminjeongeum, which contrasted with the mainstream official writing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as an unofficial writing system is a distortion of history. Accordingly, this paper shows that Gojong’s edict on Korean language was not a proclamation of Hunminjeongeum as the nation’s official writing system when it was previously an unofficial system, but rather a declaration to change a non-mainstream writing system into a main-stream writing system. This paper also shows that the theory which views Hunminjeongeum as an unofficial writing system stems from a deeply rooted bias and a mis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Hunminjeongeum. 이 논문은 훈민정음을 조선시대 비공식문자로 규정하는 교과서를 비롯한 각종 담론을 비판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식문자에 관한 개념을 명확히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여섯 가지 측면에서 훈민정음이 조선시대의 공식문자임을 입증했다. 첫째, 훈민정음은 최고의 공적 주체인 임금이 만들고 지배층에 의해 제도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둘째, 조선의 최고 법전인 『경국대전』에서 ‘언문’을 국가 정책 문자로 규정했다. 셋째, 『경국대전』에서 국가 정책에서 매우 중요한 국가시험 정책 문자로 언문을 설정하고 있다. 넷째, 용비어천가, 임금의 담화문인 윤음 등의 다양한 문헌이나 책자가 언문을 통해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발간되었다. 다섯째, 주요 공적 구속력을 갖는 각종 문서가 언문으로 발간되었다. 여섯째, 한자, 이두, 언문은 공적 영역에서 상보적 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공식문자론을 바탕으로 기존의 비공식문자론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훈민정음을 비공식문자로 규정하는 것보다 비주류 공식문자로 규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고 가치가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한글의 풀어쓰기와 모아쓰기에 대하여 -최현배 선생의 『글자의 혁명』을 중심으로-

        이동석 ( Dong Seok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8 청람어문교육 Vol.38 No.-

        한글 풀어쓰기는 1900년대 초부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었다. 1947년 발표된 최현배 선생의 『글자의 혁명』은 풀어쓰기를 이론적으로 완성시킨 대표적인 연구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최현배 선생은 알파벳과 유사한 풀어쓰기 글꼴을 제시하며 대문자와 소문자, 인쇄체와 필기체를 구별하고, `ㅇ`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전통적인 개념의 `딴이`를 사용하고, 활음 /w/와 `ㅢ`의 `ㅡ`를 표시하기 위해 각각 `ㅗ, ㅜ` 위에 `˘`를 표시하고 `ㅡ` 위에 `˘`를 표시하였다. 그리고 풀어쓰기에 대한 근거로서 가로글씨의 배열이 소리의 나는 차례와 일치한다는 점, 인쇄하기가 쉽다는 점, 맞춤법의 어려움을 많이 줄인다는 점을 들었다. 그러나 음절말 종성이 불파되는 우리말의 음운론적 특성을 잘 반영하는 표기는 풀어쓰기가 아니라 모아쓰기이며, 대다수의 맞춤법 규정은 모아쓰기 및 풀어쓰기 방식과 상관이 없기 때문에 풀어쓰기가 맞춤법 규정을 간소화한다고 보기가 어렵다. 인쇄상의 문제는 그 당시로서는 매우 절실한 요구였지만, 현재는 컴퓨터의 발달로 당시의 불편함이 모두 해결되어 큰 이점을 갖지 못한다. Many Korean linguists has asserted need to chnage the writing system; from phonemic writing system to syllabic writing system. And Choi, Hyeonbae has written 『The Revolution of Letters』 about the phonemic writing system in 1947. His phonemic writing system has some properties; 1) distinction a capital letters between a small letters and a print letters between a cursive letters, 2)imitation of the alphabet, 3) abolition of `ㅇ`, 4) application of conception `separate 1`, 5) use of `˘` for /w/, 6) use of `˘` for /i/ of /ii/. And he laid emphasis on the need to select the phonemic writing system for some reasons; 1) the agreement with phonetic sound, 2) the convenience of print, 3) the simplification of the rules of spelling. But these arguments are not sufficient to change present writing system from phonemic writing system to syllabic writing system.

      • KCI등재

        한국 차자표기와 아카드문자 체계의 비교론적 고찰 - 한국의 한자 차자표기와 아카드의 수메르문자 차자표기가 보이는 유사성을 중심으로 -

        이용 ( Lee Yong )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80

        이 글에서는 한국 차자표기와 아카드문자 체계를 비교해 한국 차자표기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수메르 설형문자를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수메르문자는 한자와 유사한 점이 많았지만 일군의 표음자를 가지고 있다는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수메르 설형문자가 아카드에 넘어가 아카드어를 표기하게 된 양상을 살폈다. 아카드 설형문자 체계는 훈독과 음독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표음자가 다수 존재했고 동음자와 다음자가 많았다는 점도 특징으로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자표기와 아카드문자 체계를 대비하여 둘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두 문자 체계는 훈독과 음성보충자를 가진다는 점에서는 유사성을 가지고 있으나 의미보충자의 부재(한국의 차자표기), 어순 표시의 부재(아카드문자)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In this paper, we tri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orrowing writing system by comparing Korean borrowing writing system and Akkadian writing system. Under this purpose, we briefly introduced Sumerian writing system. The Sumerian characters were similar to Chinese characters except a group of phonetic characters. And then we looked at the aspect that the Sumerian syllabic was handed to the Akkad and it was used for Akkadian language. The Akkadian writing system has Kun-reading and On-reading. There are many phonetic signs, and homophonys and polyphonys. Finally, we looked 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borrowing writing system and Akkadian writing system.

      • KCI등재

        Improving Scientific Writing Skills and Publishing Capacity by Developing University-Based Editing System and Writing Programs

        Edward Barroga,Hiroshi Mitoma 대한의학회 2019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4 No.1

        Scholarly article writing and publishing in international peer-reviewed journals can become an overwhelming task for many medical, nursing,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in a university setting, especially in countries whose native language is not English. To help improve their scientific writing skills and publishing capacity, a university-based editing system and writing programs can be developed as educational platforms. These are delivered by a team of specialist editors composed of tenured faculty members who have a strong medical background and extensive experience in teaching courses on medical research, editing, writing, and publishing. For the editing system, the specialist editors provide comprehensive editing, personalized consultation, full editorial support after peer review, guidance with online submissions/resubmissions, and detailed editorial review at different stages of the manuscript writing. In addition, the specialist editors can develop writing programs such as medical writing and editing internships, academic courses in medical writing or research study designs and reporting standards, special interactive lectures and sessions on predatory publishing, seminars on updated editorial guidance of global editorial associations, academic visits on medical writing and editing, medical writing mentoring program, networking programs in scholarly communication, and publication resources in medical writing and scholarly publishing. These editing system and writing programs can serve as integrated platforms for improving scientific writing skills and publishing capacity by providing continuing education in medical writing, editing, publishing, and publication ethics.

      • KCI등재

        한자 다시 보기

        金殷嬉(Kim, Eun-hee) 중국어문학연구회 2016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00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character types, centering around Chinese characters as discussed in Chinese linguistics since 2000, and examines the terms used in defining character types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is study, major issues concerning the terminology to define the types of Chinese characters are converged into a chosen number of pairs of constrasted concepts such as single classification versus multi-dimensional classification, logograph versus ideo-phonemic writing and word writing versus morphemic writing. Then analyses are conducted on the validity of multi-dimensional classification, the concept of logograph in contrast to the unsuitability of ideo-phonemic writing, and morphemic writing.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and complementation of the character classification criteria in Chinese lingu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dimensional classification, the criteria for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reestablished as follows: A. relation of script symbols and linguistic factors, e.g. sound and meaning, B. elements of language recorded by script symbols, C. language formation modes by script symbols D. combination method of script symbols, E. originality of writing system. According to these criteria, the Chinese characters are classified as logograph, morphemicic writing, linear letter system, syllable-based writing system, and original character type. In Chinese linguistics, discussions on the types of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described within the conceptual frame of the nature of Chinese characters. The attributes of the Chinese character system form the basis for defining the writing types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definition of terms and concepts with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attributes unique of the Chinese character system cannot retain the universality applicable to general graphonomy. Studies on the writing types of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discussed in the character typ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related concepts discussed in this study need be complemented and modified through continued research.

      • KCI등재

        문자의 정의 - 문자란 무엇인가?

        김양진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6

        What is a writing system[文字]? A writing system is often defined as “a visual marker represen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poken language (i.e., spoken language).” The ‘writing system’ formed in this way represents the ‘language’ of human beings as the unity of ‘writing’ and ‘letters.’ According to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guages, the research considered that humankind has searched for a suitable writing system for each language.As an isolated language, Chinese adopted ‘Chinese characters,’ not far from the hieroglyphic system, and has been operating the writing system continuously for thousands of years. Semitic languages such as Arabic, which are inflectional words of consonant roots, have accumulated their language knowledge for thousands of years since applying the Abjad, a consonant script. In languages that use agglutinative languages, the situation is a little different. Sumerian speakers, who first used hieroglyphs in human history, have gradually changed the way they use letters from hieroglyphs to word letters and from word letters to phonetic letters to express their language, which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Although it is a language of the same Altai family, Turkish and Uyghur lived a written life with an Arabic script and a consonant script. Mongolia and Manchu lived with an alphabetic script modified from an Arabic script. Moreover, Japanese is a native language that transforms Chinese characters into syllable characters. In the early days, Korean speakers borrowed Chinese characters and used the phonemic form as a form of syllabic characters (in the support notation) and then made the alphabetic characters ‘Hangeul.’When looking at the path the writing systems have developed, they are understood as ‘signs in an efficient way to visually express the spoken language of one’s own country (or ethnic group).’ It has an orientation that is wholly subordinated to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one’s own country. On the other hand, all writing systems have secondary characteristics, including symbolism originating from the original picture. Therefore, an additional definition - “The visuality of the characters can be represented by iconizing the ‘thinking ability of mankind” - can be added here. Also, writing systems can be comprehensively redefined as “text is a ‘tool’ that permanently reproduces the verbal communication system ‘visually.’ It could also be viewed as an iconic sign system that conveys meaning by overcoming the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of the ‘voice language’ of one’s own country (or ethnic group). 문자란 무엇인가. 문자는 흔히 문자는 “구어(즉 입말 언어)의 의사 소통 체계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지”로 정의된다. ‘문자(文字)’는 ‘writing’과 ‘letter’의 통합체로서 인간의 ‘언어’를 나타내게 되는데 본고에서는 인류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언어의 형태유형론적 특징에 따라 각 언어에 따른 적합한 문자 체계를 탐색해 왔다고 본다. 즉, 고립어인 중국어는 상형문자 체계로부터 멀지 않은 ‘한자(漢字)’를 채택하여 수천 년 동안 지속적으로 문자 체계를 운용해 왔고 자음어근형 굴절어인 아랍어 등 셈어계 언어들은 자음문자인 아브자드 방식을 적용한 이래 역시 수천 년 넘게 자신들의 언어 지식을 누적해 왔다. 교착어를 쓰는 언어들은 사정이 좀 다르다. 인류 역사에서 최초로 상형문자를 사용한 수메르어 사용자들은 교착어인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점차 상형문자로부터 단어문자로, 단어문자에서 음소문자로 문자 사용 방식을 바꾸어왔다. 같은 알타이 계통의 언어이면서 터키어나 위구르어는 자음문자인 아랍문자로, 몽골이나 만주어는 아랍문자에서 변형된 알파벳 문자로 문자 생활을 영위했으며 일본어는 한자어를 음절문자로 변형해서 자국어를 표기하고 있고 한국어 화자들은 초기에 한자를 빌어 음소문자적 형식을 절충한(받침표기에서) 음절문자의 형식으로 사용하다가 알파벳 자모문자인 ‘한글’을 만들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문자가 걸어온 길을 더듬어 볼 때, 문자란 ‘자국(혹은 자민족)의 음성 언어를 시각적으로 표기하기 위한 효율적 방식의 기호’로 이해되며 이는 철저하게 자국의 언어적 특성에 종속되는 정향성(定向性, orientedness)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모든 문자는 이러한 정향성 이외에 본래 그림으로부터 출발한 상징성을 포함하는 부차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문자란 “‘시각적’으로 구어 의사소통 체계를 항구적으로 재현하는 ‘도구’이며 ‘음성 언어’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기호 체계”라는 정의에, “‘음성 언어’의 형태유형론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탐색해 온 최적의 ‘시각 표기 체계’”라는 정의를 덧붙여 재정의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