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lended Group Tutoring

        김보원(Bowon kim)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6 평생학습사회 Vol.2 No.1

        Tutoring has been considered a focal point of learner-support in distance universitie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however, has had difficulty in establishing a good tutoring system due to shortages in the budget. Fortunately, it is now endowed with the opportunity to utilize its own strengths :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irst of all the new scheme is characterized by blended tutoring. The blending of on-line and off-line tutorings produced considerable synergies and presented a shortcut to the innovation of the tutoring system of KNOU. Another important aspect of the new tutoring is group tutoring. Grouping enables students to get a sense of companionship, to be motivated into competitiveness, and to share and enjoy what they have learned with other tutees. A kind of learning community is constructed within the tutoring system. Thus the new tutoring system shows a happy marriage of technology and psychology, which proposes the new tutoring system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tutoring at mega- open universities.

      • KCI등재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동료 튜터링의 목적, 어려움, 성과, 개선점에 대한 질적 연구 : 튜터의 관점에서

        정한호 한국교육방법학회 2019 교육방법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actical purposes, difficulties, achievements, and improvements of peer tutoring, and to suggest effective peer tutoring strategies. In this study, the tutoring activities of 25 tu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host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A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were collected. In this study,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tutors who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program organiz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A University. In this study, two method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and interpret collected qualitative data correctly. First, Colaizzi's analytical method was used to analyze and describe the lively voices of the tutors in the collected data and the meaning contained in them. In addition, Creswell's six-step qualitative data analysis was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rigor of the entire proces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rom coding to categorization. Through this study, we could grasp the purpose, motivation,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peer tuto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e tutoring program participation of tutors in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spects. Second, the tuto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in tutoring, coordination, and personal and administrative difficulties during peer tutoring. Third, the tuto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owed a certain outcome through sharing activities based on the tutoring process with the tutees. Fourth, the tuto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oposed the improvement methods necessary to minimize their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the process of tutoring.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conten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thods for peer tutoring conducted in university were examined. 본 연구는 튜터의 시각을 중심으로, 동료 튜터링의 현실적인 목적, 어려움, 성과,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동료 튜터링 운영 방안을 제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9학년도 1학기에 수도권 소재 A대학 교수학습지원센터 주관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터 25명의 튜터링 활동 보고서를 수집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A대학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주관하는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터 6명을 대상으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질적 자료를 올바로 분석하고 해석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방식의 질적 자료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수집된 자료 속에 있는 튜터들의 생생한 목소리와 그 속에 담겨있는 의미를 편견 없이 분석하고 기술하기 위해 Colaizzi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코딩부터 범주화 과정에 이르기까지 분석 및 해석의 전 과정에 대한 신뢰성과 엄격성을 높이기 위해 Creswell의 질적 자료 분석 6단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료 튜터링의 참여 목적이나 동기, 효과성, 만족도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튜터들의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목적은 학업적인 측면의 신장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튜터들은 동료 튜터링 과정에서의 튜티 지도, 조율, 개인적· 행정적인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 참여한 튜터들은 튜티와 함께하는 튜터링 과정에 기반한 공유활동을 통해 소정의 성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 참여한 튜터들은 튜터링의 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신들의 어려움 및 문제점을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대학에서 수행되는 동료 튜터링이 올바로 나아가기 위한 이론적, 실제적인 방안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에서의 한국어 동료튜터링(peer tutoring)의 과정과 방법-외국인 및 재외국민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선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In this paper it presented the process of peer tutoring for Korean academic writing classes and explored the proper methods for Korean learners who are foreigners and Korean oversees. Peer tutoring is interactive program that tutors who were learned previously or have more knowledge support and help tutees who have less knowledge, but tutors and tutees are not hierarchical relation but interactive and cooperative. Peer tutoring has three methods; directive tutoring, nondirective tutoring and neutral tutoring. Among those methods, neutral tutoring is much proper to Korean learners. In Korean peer tutoring program some problems came out, but it can be overcome if tutors regards peerness as important and tutors, tutees and instructors have cooperative relationship each other. 본 연구는 외국인 및 재외국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학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동료튜터링의 과정을 제시하고 이에 적합한 튜터링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동료튜터링은 선행 학습을 한 튜터가 학습자의 부족한 영역을 도와주는 학습 보조 활동으로서, 튜터링의 방법에는 튜터의 직접적 개입을 허용하는 지시적 튜터링과 그렇지 않는 비지시적 튜터링 그리고 두 튜터링 유형을 결합한 중립적 튜터링이 있다. 이 세 유형 중에서 외국인 및 재외국민 학습자에게는 오류의 유형과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에 따라 중립적 튜터링을 실시하는 것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동료튜터링의 과정 중에 튜터와 학습자 간의 관계성, 학습자의 학습 의욕 저하 등의 한계가 드러날 수 있으나 튜터가 동료성을 중시하면서 학습자를 도와주면 성공적인 튜터링을 실시할 수 있었다. 튜터와 학습자가 서로 주축이 되고 교수자가 보조적으로 도와주는 상호 협력적 관계가 한국어 동료튜터링을 이끄는 동력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 전후 사교육 영향력 비교 분석

        박소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교육 정책에서 사교육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은 학생 교육격차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대학입학제도가 기존 대학입학제도의 문제로 지적되었던 ‘사교육 영향력 강화’ 문제를 감소시켰는지를 점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대학입학전형 간소화 정책 이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비와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연구는 2012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신입생을 대상으로 회고적 방법으로 진행하는 기입식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정책 실시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는 집단차 분석을 하였으며, 계열을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의 고등학교 재학 기간 내 사교육비 총액과 사교육 의존도는 여전하거나 증가하였다. 전형요소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사교육의 영향력이 여전하거나 심화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교교육만으로 준비하기 어려운 정도에 대한 인식도 여전하거나 심화되었다. 이는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이 사교육 영향력 감소 측면에서 성공적이라고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Efforts to reduc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in educational policy is getting more significant in terms of reduction of student’s educational gap.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differences of private tutoring cost and private tutoring dependence after introducing College Admission Simplification Policy in Park Administration. College Admission Simplification Policy is implemented in order to reduce private tutoring influences in college admission because critics on College Admission Deregulation Policy under Lee Administration are about enlargement of private tutoring market.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focuses on differ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private tutoring cost and perception on private tutoring. The data is collected from 2012 to 2016 academic year considering colleg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otal private tutoring costs during high school and dependence on private tutoring are both enlarged even after College Admission Simplification Policy. This shows that College Admission Simplification Policy is not successful at least in terms of effects of private tutoring.

      • KCI등재

        대학의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튜터링의 교육적 효과

        이효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 of a tutor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writing.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A+Report Tutoring” program, a non-curricular program that has been operating since 2017 at K University, a four-year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the province, was revealed. This program trained tutors to teach new students (tutees) who are inexperienced in writing reports the competence of report writing. The most important feature is mutual growth between the tutors by adopting the peer tutoring method. The tutoring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actual tutoring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tutor and the homogeneity of the tutoring in the design process. In the 10-week program, basic grammar of writing, characteristics of academic writing, and mock tutoring were covered. Tutor maintenance education is conducted every semester for students who are working as tutors to provide uniform tutoring. It was found that students’ self-efficacy in academic writing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is program. Among them, confidence in procedural knowledge required for academic writing, such as citation and commentary, rose the most. On the other hand, items on the accuracy of sentences showed the lowest rise. Tutoring had a great influence on tutors as well; they were able to achieve self-growth by repeating the process of objectifying and reviewing texts through continuous tutoring.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술적 글쓰기 향상에 미친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지방 소재 4년제 사립대학인 K대학에서 2017년부터 운영하는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인 “A+리포트 튜터링” 프로그램의 목적과 의의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훈련된 튜터가 리포트 작성에 미숙한 신입생(튜티)에게 리포트 작성의 노하우를 알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료 튜터링방식을 택함으로써 튜터와 튜티의 상호 성장을 꾀한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튜터링 설계과정에서 튜터의 전문성과 튜터링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제 튜터링과 함께 튜터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하였다. 10주간의 튜터 양성교육에서는 글쓰기 기초 문법, 학술적 글쓰기의 특징, 모의 튜터링을 다루었다. 튜터로 활동하고 있는학생들을 대상으로 튜터 보수교육을 학기마다 실시하여 균질한 튜터링을 제공할 수있게 하였다. 튜터링 운영 결과 튜티들은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인용과 주석 등, 학술적 글쓰기에서 요구되는 절차적지식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높이 상승하였다. 반면 문장의 정확성에 대한 문항은 상승폭이 가장 저조했다. 튜터링은 튜터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튜터는 지속적인 튜터링을 통해 글을 객관화하고 검토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자기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 KCI등재

        Examining a causal effect of private tutoring in Korea: does private tutoring dama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Hyekyung Jung,Eun Hee Seo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20 No.3

        Previous fi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tutor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are inconsistent. In this study, we assumed that the inconsistency of these findings was due to a combination of methodological issues, differing definition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failure to account for the amount of time spent in private tutor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 causal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based on a social-cognitive perspective via the marginal mean weight through stratification method (MMW-S). We especially investigated if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varies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private tutoring. Based on the hours of private tutoring per week, 3750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six subgroups, and the population average causal effect of multivalued private tutoring was estimated with MMW-S. This finding indicated that private tutoring had a null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cross different levels of private tutoring, and no evidence was found that excessive private tutoring for academic subjects had a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e findings imply that private tutoring itself neither progresses nor damages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수능전형으로 진학한 학생들의 대입 준비를 위한 사교육 패턴 분석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슬기(Lee, Seul-ki),차정민(Cha, Jung-mi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1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수능전형으로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이 대입 준비 과정에서 어떠한 사교육 패턴을 보이는지 확인했다. 자료는 서울 소재 A대학교 2018학년도 입학생들의 ‘사교육 경험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참여와 시간, 비용의 면에서 두 집단 간 차이는 1, 2학년 때보다 3학년과 재수 시기에 뚜렷했다. 수능전형 집단은 학생부종합전형 집단에 비해 3학년과 재수 시기에 사교육에 더 많이 참여하고, 사교육 시간이나 비용을 크게 늘렸다. 둘째, 두 집단이 사교육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양상’도 달랐다. 학생부종합전형 집단은 1학년 때부터 교과내신 사교육에 ‘집중’하다가, 3학년이 되면 비교과 자기소개서 면접, 수능, 논술 사교육으로 참여가 ‘분산’되었다. 수능전형 집단은 1학년 때에는 수능이나 교과내신 사교육을 고루 활용하다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능과 논술 사교육에 ‘집중’하는 양상이다. 셋째, 학생들이 사교육을 동원하는 전략은 전형요소(교과내신, 수능, 비교과 면접 자기소개서, 논술)에 따라 달랐다. 학생들은 교과내신을 관리하기 위해 1학년 때부터 적극적으로 사교육을 활용하는 반면, 수능 준비를 위해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교육을 늘렸다. 비교과 면접 자기소개서나 논술 대비를 위해 사교육을 활용하는 학생들은 많지 않지만, 이들은 대입이 가까운 3학년 때 집중적으로 사교육을 활용하는 전략을 취했다. 이처럼 두 집단은 전형에 최대한 유리하게 사교육을 활용하고 있었다. 사교육이 진학 경쟁을 위해 동원되는 한, 대입전형 방식이나 정책의 변화를 통해 사교육 부담을 해결할 수 있다고 여기는 우리의 상식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in high school between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through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 for university admission” (Records group) and CSAT (CSAT group). The data are based on a survey on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of freshmen who entered A university in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private tutoring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heir first and second years. However, variations in the patterns between the groups were apparent in their senior year or repeated year when the CSAT group intensely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rate, time, and expense to private tutoring. Second, the two groups also have different private tutoring ‘mode’. The Records group usually had ‘focused’ on a private tutoring for high school GPA in the first year and took part in diverse private tutoring activities such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writing Statement of Purpose, interviews, CSAT in the senior year. The CSAT group, on the other hand, participated in private tutoring to prepare for the CSAT and GPA from the lower grades. In addition to that, as they became seniors, they ‘focused’ on private tutoring for CSAT and essay test. Third, what kind of private tutoring students had taken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criteria. While students actively had utilized private tutoring from the first grade to manage a GPA, as their grades went up, the participation rate and time of private tutoring for the CSAT increased. Students rarely participated in private educations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terviews, or essays. Even if some students received these kinds of private tutoring, they got it in the very short term when they faced a college entrance exam. The two groups maximized the advantages of private tutoring to prepare for college entrance. As long as private tutoring is treated as a tool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our common sense that the burden of private tutoring would decrease by changing college admission policies need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입체표현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 간 교수-학습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장유진,김미남 한국조형교육학회 2011 造形敎育 Vol.0 No.41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with others in children's artistic development has gained more attention from researchers. For a long time,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e focus of studies on child art has been mainly on child and his/her art product. Relatively it has been not considered seriously what happens in the process of child's art making. In fact, however, in the process of making art, children have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with others including adults and other children and their art-making can be affected by these interactions significantly.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child art more in-depth, it needs to study how children interact with others while they make art and how these interactions function in children's artistic development. Among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with others, interactions with peer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hildren's artistic development. In the art-making process, peer tutoring and learning often happen and it has been known that the effect of it, sometime, is more powerful than that of tutoring and learning between adults and children.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peer tutoring and learning by two young children, Rin and Chae, in the process of modeling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data from observations, it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peer tutoring and learning in the process of two children's modeling. Different types of peer tutoring-learning occurred according to change of body, time, space and relationship.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s: Modeling is a very useful art activity which children can share peer tutoring-learning experiences. Peer tutoring-learning appears through various processes and in different ways. It can be categorized in two types: (1)Passive and indirect peer tutoring-learning(naming, showing work to others, inner-direction tutoring-learning, acknowledgment and agreement to partner) and (2)Active and direct peer tutoring-learning(comment, suggestion, explanation, order, demonstration to partner). Moreover, the body of child is major means for peer tutoring-learning, and peer tutoring-learning shows signs of time change. Peer tutoring-learning is also affected by space and relationship with partner as well.

      • KCI등재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현정(Hyun-Jeong Park),상경아(Kyong-Ah Sang),강주연(Joo Youn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4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사용하여 학생의 배경특성과 학습심리적 특성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경험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3년간에 걸친 사교육 참여 패턴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향상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선형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교육 참여 경험이 더 많은 학생들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수학성취도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을 3년 동안의 사교육 참여 패턴에 따라 ‘지속적 사교육’ 집단과 ‘간헐적 사교육’ 집단, ‘비사교육’ 집단으로 구분한 다음에 이들 집단 간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세 집단 중에서 지속적 사교육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높고, 간헐적 사교육 집단이 그 다음이며, 비사교육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성취도 격차는 학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아서 사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은 집단이라고 해서 다른 집단들보다 성취도가 더 많이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어도 성취도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는 사교육 참여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impact of the engagemen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 achievement when the students'demographics (gender, prior achievement, parents' monthly income) and psychological traits (internal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ere controlled for, using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ing technique. Also, the effect of engagement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achievement was examined. We found that students who received more private tutoring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ho received it less in mathematics.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stude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engagement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during three years and examined trajectories of the students' achievement. These groups represent 1) students who receive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2) students who receive private tutoring one or two times at any measurement 3) students who never receive private tutoring at any measur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of mathematics were the highest when students received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The next highest group was students who had private tutoring one or two times at any measurement points and the group with the lowest scores were students who never had private tutoring. However, the group difference through the trajectories of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was consistent at all times. That is, the change scores of students who received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hange scores of other groups. Thus, we concluded that in terms of growth, there was no longitudinal effect of engagemen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achievement.

      • KCI등재

        국내 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대열(Kim, Dae Yeol),박명희(Park, Myung H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사교육 관련 연구 문헌을 수집, 분석함으로써 연구 동향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후의 사교육 관련 연구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58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사교육 관련 자료(보고서, 학술지논문, 학위논문 등)를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전자도서관사이트, 주요 국책연구기관 사이트를 통해 수집하였다. 이후 자료를 연구주제, 연구영역,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지역, 연구유형 등 기준에 따라 범주화하여 분류하고, 서술적 분석, 연도별 분석, 연구 동향 특징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교육 관련 연구 문헌 편수가 증가하고 연구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지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었다. 또한 사교육을 단순히 경감 및 억제 대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사교육의 순기능과 산업적 면모를 탐색하는 등 새로운 연구 논의가 있었으며, 심도 있는 연구가 꾸준히 시도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연구가 교육정책 수립 및 입시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사교육 연구는 교육과 사회, 정부와 시장이 고려되어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전문적인 사교육 연구자를 발굴 · 육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교육 연구는 그 범위(주제, 영역, 대상 등)를 확장시키고, 종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교육 관련 정책 수립 및 경감대책의 현실적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사교육 연구는 사교육이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보편화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하나의 학문 영역으로 인식되고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private tutoring in Korea by collecting and analyzing related literature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rivate education-related research. For this purpose, data consisting of reports, scholarly theses, and academic dissertations on private tutoring conducted in Korea for the past 58 years were collected via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the website of the Korea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website of major national policy institutions. Then, the data were categoriz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research topics, domains, methods, subjects, sites, and types; and the descriptive analysis, the annual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number of research studies related to private tutoring has increased, the research domain related to private tutoring has been diversified, and research topics, subjects, and sites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In addition, to just considering reduction in limitations on, private tutoring, there were discussions on new research studies such as exploring the positive function and vocational aspects of private tutoring, and more in-depth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iven that the research on private tutoring has an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y and reform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research on private tutoring needs to consider education, society, government, and market forces, and it is necessary to recruit and nurture professional private tutoring-related researchers. Second, by expanding the scope (topics, domains, and subjects) of research on private tutoring and implementing it comprehensively, such research should aim toward establishing private tutoring-related policy and increasing the feasibility of reducing private tutoring as a whole. Third,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and conduct, research on private tutoring as a single academic field in terms of continuing education,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private tutoring has been overgeneralized for children and adults ali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