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전 비대면 사전실습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중등 교원양성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정한호 안암교육학회 2022 한국교육학연구 Vol.28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urpose, changes, difficulties, and opinions on improvements of pre-practicums based on the cas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e-practicums opened by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o suggest the preferred direction for the pre-practicum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86 pre-service teachers (34- males, 52 females) who completed all non-face-to-face pre-practice courses opened by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under the COVID-19 situation. Then, the ope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m and their responses were received. In this study, open online survey questions were distributed to 86 pre-service teachers (34 males, 52 females) who completed all non-face-to-face pre-practicums opened by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under the COVID-19 situation and received responses.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ased on data analysis processes such as ‘primary keyword derivation, coding and selection of unclassified data, secondary keyword derivation and coding, reliability and validity check, range, item, main meaning and frequency, and result interpretation’. Through this study, first,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fact that pre-service teachers were systematically preparing for regular practice courses through pre-practicums. Second,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as instructors, explored the teaching ability, teacher competency,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ing attitude through various programs and activities conducted in the pre-practicums. Third,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faced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preparing and carrying out lectures, task performance, communication, lack of face-to-face lectures, and insufficient feedback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pre-practicums.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related to pre-practicums such as ‘necessity of opening a pre-practicums course, necessity of preparing a plan to connect pre-service teachers with school fields and necessity of opening and support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교원양성기관에서 개설된 사전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사들의 사례들을 기반으로 사전실습 목적, 변화, 어려움 및 개선의견 등을 탐색하고 사전실습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중등 교원양성기관에서 개설한 비대면 사전실습 강좌를 모두 이수한 예비교사 86명(남34, 여 52)을 대상으로, 개방형 온라인 설문 문항을 배부하고 응답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1차 키워드 도출, 코딩 및 미분류 자료 선별, 2차 키워드 도출 및 코딩, 신뢰성 및 타당성 확인, 범위, 항목, 주요 의미의 확정 및 빈도 도출, 결과 해석’ 등의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예비교사들은 사전실습을 통해 정규실습과정을 체계적으로 준비한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사전실습 강좌에서 수행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활동을 통해, 교수자로서 수업능력, 교사역량, 교직 및 교직관 등에 대해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사전실습 강좌를 이수하는 과정에서 수업실습 및 준비, 과제수행, 소통, 대면 강의 부족, 제한적인 피드백 등 여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전실습 강좌 개설의 필요성, 예비교사와 학교현장 연결 방안 마련의 필요성, 예비교사를 위한 특별 프로그램 개설 및 지원방안의 필요성’ 등 사전실습 관련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원 원격연수에서 교수서비스, 비교수서비스, 지각된 품질, 만족도,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한호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yalty to the distance training course in the school and to suggest effective directions. This study has constructed a comprehensive model that explains teachers' loyalty to distance teacher training course. In this study, teaching service, administrative service, additional service, and user interface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Perceiv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were adopted as moderating variables, and teachers’ loyalty to distance traing course were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yalty and willing to recommendation. To pur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7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C Office of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e found that satisfaction had the greatest direct impact on loyalty to distance training course. Second, we found that teaching service indirectly influenced the loyalty of the distance training course through the perceived quality and satisfaction. Third, we found that noninstructional services such as administrative service, additional service, and user interface influence the loyalty of distance training course through perceived qual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stance training course were being discussed.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연수에 대한 초등교사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으로 이 루어지는 교원연수에 대한 초등교사의 충성도를 설명하는 종합적인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원격교육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관련 선행연구에 기 초하여, 강의서비스, 행정서비스, 부가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외생변인, 지각된 품질, 만족도를 매개변인, 그리고 충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원격연수에 대한 충성 도와 추천의향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 교육청 관내 초등학교에 근무하 는 평교사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각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만족도가 원격연수의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 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강의서비스가 지각된 품질과 만족도를 매개로 원 격연수의 충성도에 간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행정 서비스, 부가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비교수서비스가 지각된 품질과 만족도를 매개로 원격연수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인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에 관한 연구

        정한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of adult learners at special graduate school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this study, a hypothetical study model was developed to explain the intention of adult learners who are studying at special a graduate school. In this study, 289 adult learners attending special graduate schools in four metropolitan areas were collected. In order to select research subjects suitable for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sampling of convenience: 1) adult learners who study at a special graduate school, 2) adult learners who attended special graduate school for the 1st, 2nd and 3rd semester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adult learners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Second, it was found that adult learner's motivation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indirectly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dult learn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d not have a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From these conclusions, we have proposed 'practical improvement of satisfaction with adult learners in special graduate schools', 'various workshops, seminars and lectures to assist adult learners in academic performance',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social support measures to effectively support the learning of adult learners who work and study together.’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과변인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특수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있는성인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를 설명하는 가설적인 연구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4개 대학의 특수대학원에재학 중인 성인학습자 2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적합한 연구대상을선정하기 위해, 편의표집을 바탕으로, 1)특수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2)특수대학원 재학 학기가1, 2, 3학기인 성인학습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업에 대한 만족도가학업지속의도에 유의하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가 학업지속의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가 학업지속의도에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성인학습자의 자기 효능감은 학업지속의도에 직접, 간접적으로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특수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학업수행 관련 만족도를 실질적으로 높이는 방안', '성인학습자의 학업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각종 워크숍, 세미나, 특강',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를 유발시킬 수 있는 참여동기 신장 방안',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업을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 교원 원격연수에서 교수서비스, 비교수서비스, 지각된 품질, 만족도,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한호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본 연구에서는 원격연수에서의 교수 서비스와 함께 비교수 서비스가 지각된 품질과 만족도를 매개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사연수, 원격연수, 충성도 관련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강의서비스, 행정서비스, 부가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교수서비스 및 비교수서비스를 외생변인, 지각된 품질, 만족감을 매개변인, 그리고 성인학습자의 충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원격연수에 대한 초등교사의 충성도와 관련된 변인들을 도출하고 각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제작하였으며 원격연수를 통해 연수학점을 취득하고 있는 초등교사 27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원격으로 수행되는 강의서비스와 부가서비스에 의해 주 로 형성된 지각된 품질과 교수/비교수 관련 외생 변인 및 지각된 품질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만족도가 원격연수의 충성도를 결정하는 주요 변인임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 팀 학습에서의 협력적 자기 효능감,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만족도, 팀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정한호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mental model and cooperative self efficacy for group work, and the effect of the shared mental model on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In this study, based on the existing related studies, a hypothetical research model was devised to explain the team performance derived through team learning at the university. In order to select research subjects suitable for the study purpose, in this study, based on the team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e systematically explored the influence of collaborative self efficacy on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he influence of two types of shared mental model on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was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a) group work organized within the same university, b) teachers college students(sophomore and above), and teacher training course students(senior and above)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ooperative self efficacy for group wor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task related sharing mental model and the team member related sharing mental model, but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directly affect satisfaction. Second, the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both types of shared mental models significantly affected satisfaction. Third, the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satisfaction all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In addition, collaborative self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through the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were discussed to make college team learning to be activated in a desirable dir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정신모형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그리고 공유정신모형이 만족도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팀 학습을 통해 도출되는 팀 성과를 설명하는 가설적인 연구모형을 구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팀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팀 학습에서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력과 두 가지 유형의 공유정신 모형이 만족도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팀 학습 경험이 3회 이상이며 팀 학습을 수행 중인 대학생(286명)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편의표집을 수행하였으며, a)동일 대학 내에서 구성된 팀 학습만 대상, b)사범계열은 2학년이상, 교직과정생은 3학년 이상인 예비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과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만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은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두 가지 유형의 공유정신모형은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 만족도는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을 매개로 만족도,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대학 팀 학습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대학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재 개발 방안 탐색

        정한호 한국인터넷윤리학회 2019 The Digital Ethics(디지털 윤리) Vol.3 No.1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literacy materials for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and explore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digital literac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existing textbook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were examined.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digital literacy textbook of university.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igital literacy textboo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content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nd utilization situ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based on actual cases composed mainly of authentic tasks that induce students' voluntary interest, interest, and goal consciousnes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that develops and provides unstructured case examples that enable self - directed learning and reasoning of college students. Fourth, considering the major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that can be customized to be carried out in relation to content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in each major subject.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xtbooks from a constructivist point of view so that meaningful knowledge related to digital literacy can be structured from inside of college students and effectively implemented in real situations. Six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that explores the application strategies of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ach subject and finds ways to improve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from various academic perspectives.

      • KCI등재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수용의도 탐색: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태도, 지속적인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정한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敎育問題硏究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적으로 활용되는 ChatGPT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각된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그리고 태도(attitude)를 ChatGPT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Intention to continuous use)를 예측하는 변수로 추출하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소재 대학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 있는 267명의 학습자로 구성되었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기술수용모형의 핵심 변수 중 하나인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가 ChatGPT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자들의 ChatGPT 지속 사용의도에 직․간접적으로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수용모형의 핵심 변수인 지각된 용이성이 ChatGPT의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가 일상에서 ChatGPT를 사용한 경험이 교육적인 활용에서의 지속 사용의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학습자의 성별은 '지각된 용이성, 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종속 변수인 '지속적인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대학교육에서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e explored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ChatGPT, which is utilized for educational purposes. In this research, variables such a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were extracted as predictors of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ChatGPT,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were examined.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267 learners who were enrolle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validated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impact of key TAM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on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ChatGPT.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learners' continuous use intention. Secondly, perceived ease of use, a core TAM variable, was found to have limited direct impa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for ChatGPT; however, it had an indirect impact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Thirdly, learners' experiences of using ChatGPT in their daily lives significantly moderated their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it for educational purposes. However, learners' gender was not found to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dependent variable ‘continuous use inten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results and derives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use of ChatGPT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 계절학기에 참여한 학습자의 경험 및 인식 탐색: 교직과목을 중심으로

        정한호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motivation and determinants of taking seasonal semester courses, advantages and difficulties when taking seasonal semesters, solutions, and possible improvements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hen participating in a seasonal semester. The subjects were 37 students of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took the onlin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due to COVID-19. As a result, first, the purposes of participating in seasonal semesters were related to credit acqui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taking fewer credits during the regular semester, and spending meaningful vacations. Second, the participants chose higher concentration levels, shorter semester periods, faster progress, and meaningful vacations as the advantages of the seasonal semester. In particular, the study found that particiapants enthusiastically engaged in online team learning, achieving tasks, formed friendships among team members, and participated in the field experience. Third,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intensive short-term curriculum, heavy workload, team activities, and achieving tasks as the difficulties of the seasonal semeste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overcame the difficulties by putting in their best efforts, planning thoroughly thinking positively, and interacting with other students. Fourth, participants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ir experience during the seasonal semester.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se results, this paper presents operational directions related to providing teaching methods related to seasonal semesters, establishing learner adaptation programs, and reinforcing accessibility for the learner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컴퓨터 기반 평가(Computer Based Test) 경험에 대한 질적 고찰

        정한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BT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The CBT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were investigated into 4 aspects, such as evaluation preparation, evaluation environment, evaluation accomplishment, and evaluation-learning relations.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use of CBT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irs experience. Data were in-depth interviews from the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ndings indicated that the CBT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ustered into 32 specific themes, 8 themes, and 4 general structures. The results indicated the CBT has new potentialities as the process of learning for students. The activation of the CBT depends on the reliability of CBT and the efforts for minimizing the CBT system problems in school environment. The CBT systems are in need of design directions that reduce teacher's assessment workloads and specially, maximi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CBT in the right direction and furnish useful information to the CBT inter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CBT 활용경험을 기술하며 이를 평가준비, 평가환경, 평가 수행, 평가와 학습과의 관계로 정교화 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이 루어지고 있는 CBT에 대한 교사들의 체험적 경험을 탐색하고 그것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 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CBT를 활용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34개의 소주제와 8개의 주제, 그리고 이를 통해 4개의 기본 구조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BT가 학습의 한 과정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힐 수 있었다. CBT가 교육 환경에서 올바로 적용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CBT의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며 시스템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효과를 극대화시 키는 방향으로 CBT 시스템을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앞으로 학교환경에서 CBT가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수업지도안 작성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인식 분석

        정한호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lesson plan design among novic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abilities to design lesson plan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us of lesson plan desig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teach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one male teacher, three female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qualitative data from Colaizzi's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o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individual ‘correction' helps to improve their lesson plan writing skills. Second, the ‘closed nature' of school culture and ‘indifference to clas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novice teachers’ ability to design lesson plans. Third, the novice teachers felt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ir lesson ideas. Fourth, the novice teachers had difficulty creating lesson plans from ‘various school events’, ‘school authorities’ emphasis on the use of media, and ‘students' learning gap.’ Fifth, the novice teachers perceived the design forms for lesson plans currently being used in schools as a formal framework to be shown to those outside the class. Sixth, unlike experienced teachers, novice teachers created lesson plans as practical tools for preparing their lessons. Thes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초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주기 위해 수업지도안 작성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직경력 5년 미만의 초임교사(남 1, 여 3)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현상학적 분석 방법인 Colaizzi 방법으로 면담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들은 개별적으로 실시되는 ‘첨삭지도’가 수업지도안 작성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교문화의 ‘폐쇄성’과 ‘수업에 대한 무관심’은 초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수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다. 넷째, 초임교사들은 ‘각종 학교행사’, ‘학교당국의 매체사용 강조’, 그리고 ‘학생의 학습능력 차이’로 수업지도안 작성에 어려움을 겪었다. 다섯째, 초임교사들은 현재 학교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업지도안 작성 양식을 외부에 보여주기 위한 형식적인 틀로 인식하였다. 여섯째, 초임교사들은 경력교사와 달리, 자신의 수업 준비를 위한 실제적인 도구로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하여 논의하고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