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두 달 노래의 시간적 구조와 고려가요 < 동동(動動) >

        김진희 ( Jin Hee Kim ) 한국시가학회 2016 韓國 詩歌硏究 Vol.40 No.-

        이 글에서는 열두 달 노래의 시간적 구조와 고려가요 < 동동 >의 구조를 비교한다. 열두달 노래는 월별로 연이 진행되며 님에 대한 그리움의 주제를 담은 시가들에 대한 범칭인데, 이 글에서는 열두 달 민요를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고, 이에 더하여 敦煌曲 < 十二月相思 >를 함께 살핀다. 열두 달 노래는 절기와 절일의 반복적 구조를 통해 결핍되고 소외된 시적 화자의 상황을 드러내고, 반복적인 소외의식과 억압에서 야기되는 한의 정서를 표현한다. 돈황곡 < 십이월상사 >에서는 절기의 시간이 주가 되는 반면, 열두 달 민요의 경우에는 절일의 시간이주가 되는데, 공동체의 축제의 시간인 절일을 배경으로 하여 열두 달 민요는 시적 화자의 소외의식을 보다 역설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한편, 열두 달 민요는 상달 이후 시간 구조의 변화를 겪으며 결말을 향해 나아가는데, 이는 동절기의 특성이 부각되는 방향과 한해를 마감하는 계절제의 성격이 나타나는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양 방향을 통해작품의 정서는 고조되거나 전환되며, 강한 정서적 카타르시스를 유발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상이한 정서적 상황- 烈에 대한 관념적 추구, 또는 그와는 정반대로 세속적인 욕망의 추구- 에 다다르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 소외의 반복 구조 속으로 회귀하는 경우도 있다. 절기와 절일, 그리고 상달 이후의 시간적 계기들을 통해 열두 달 노래는 결핍과 소외의 시적 상황, 그리고 恨의 정서를 표현하며 여러 지역에 걸쳐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열두 달 노래의 시간적 구조는 고려가요 < 동동 >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절기와 절일을 배경으로 하여 그리움과 슬픔을 표현하고, 상달 이후의 변화를 통하여 정서를 심화하며, 마지막에는 다시 소외의 반복구조로 회귀하는 < 동동 >의 구조적 특성들은 모두 열두 달 노래와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 동동 >의 시간적 배경은 일면적이기보다는 다면적인 전개 양상을 보인다. < 동동 >에서 주된 시간 배경은 절기나 절일중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고 이 둘이 서로 뒤섞여 나온다. 이러한 복합적 시간 배경과, 비유 및 音像의 諧調 등 다채로운 표현 형식들을 통해 < 동동 >은 복합적인 정서를 표현한다. < 동동 >에는 다른 열두 달 노래에서처럼 그리움이나 슬픔만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頌禱의 내용 또한 함께 담겨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정서적 상황이 절일과 절기의 복합적시간 배경을 통해, 그리고 비유와 대조 등의 여러 가지 표현기법을 통하여 그려진다. 또한 < 동동 >의 이러한 구조적 복합성은 전체적으로 ‘발단-전개-하강-위기-절정-대단원’이라는 극적 구조를 이루며 형식미와 정서 표현을 극대화한다. 순환적 시간 구조를 통해 연모와 고독, 송도의 내용을 다채롭게 담아낸 < 동동 >은 열두달 민요와 같은 기저 장르를 활용하되 다양한 표현기법과 구조적 장치를 통해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세련되게 다듬어낸 결과물이다. 그렇기에 그것은 고려조에서 조선조 중엽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상층 문화로서 사랑받을 수 있었으며, 그 영향이 조선시대의 戀主之詞들에까지 미칠 만큼 각별한 문학사적 가치를 지닐 수 있었다. This paper compares the temporal structure of yeoldudal-norae [Song of Twelve Months] to the structure of Dongdong, a court song of the Goryeo dynasty. The poetic genre of yeoldudal-norae progresses through the calendar months and expresses longing for the beloved. Dongdong, which belongs to yeoldudal-norae, shares structural similarity with other yeoldudal-norae poems, but at the same time, has differences in its poetic structure. Yeoldudalnorae conveys the poetic speaker``s feeling of isolation and repressed desire through the temporal structure of the lunar calendar``s seasonal division and of traditional Korean feasts. In addition, the tenth month, which has religious meaning in Korean tradition, plays an especially important role in intensifying the speaker``s emotion. These temporal structures and emotional features of yeoldudal-norae are also embedded in Dongdong. However, the temporal background of Dongdong is multi-dimensioned compared to that of other yeoldudal-norae poems. Dongdong commands the temporal structure of both the lunar calendar``s seasonal division and of traditional feasts, whereas other yeoldudal-norae poems commonly make use of only one of them. The complex temporal background of Dongdong accompanies various rhetorical apparatus such as metaphor and euphony to express complex feelings such as adoration and aspiration, as well as longing and grief. In addition, the whole structure of Dongdong comprises dramatic structure: exposition, complication, falling action, rising action, climax, and resolution. Dongdong, which renders various emotions such as love and loneliness, admiration and grief through the circular temporal structure, made use of the tradition of yeoldudal-norae, but it refined its content and form with diverse rhetorical and structural features. Thus, it could be loved as high culture for hundreds of years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mid-Joseon dynasty, to influence the poetry of longing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한국어 동사, 형용사의 사건 구조에 대하여

        우창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2

        Based on the discussions between Pustejovsky (1995) and Smith (1991, 1994), this paper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nt structure of Korean verbs and adjectives. Pustejovsky (1995) and Smith(1991,1994) had been discussed how the structure of the event changed when adverbial or temporal phrase was combined with each other. This paper suggested to the below : Firstly, the ‘State’ situation had an event structure of ‘state’ and the ‘duration’ case structure of ‘Activity’ situation in the basic structure having verbs and predicative adjectives. The Second, the structures in the case of a ‘Semelfactive’ situation, had the ‘moment’ event structure. The third, in the case of a ‘Accomplishment’ situation, the focus of the event was placed on the ‘duration’ to have two event structures such as ‘duration’ and ‘state’. Finally, in the case of a ‘Achievement’ situation, the emphasis of the event was placed on the ‘state’ in having the structure of the ‘duration’ and ‘state’ events. This paper, further following, discussed the expansion of the event structure of these verbs. I also suggested that the basic event structure could be extended to a new event structure when each verb was combined with a adverb or a temporal phrase. The ‘State’ situation, nevertheless could not be assumed, so there was no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event, and the ‘Activity’ situation was changed to the ‘start of the event’ when combined with a non-verbal or temporal phrase. In the case of the ‘next completion’ situ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vent structure changed to ‘closing of the event’ through the combination of adverbial or temporal phrase. In the case of a ‘Achievement’ situation, the incident structure was changed to ‘closing of an event’ through the combination of a non-verbal or temporal phrase, and in the case of a ‘Semelfactive’ situation, the ‘moment’ incident structure could not be divided into the beginning of an event or the end of an event. 이글에서는 Pustejovsky(1995)와 Smith(1991, 1994)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동사와 형용사가 가지는 사건 구조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동사, 형용사와 시간부사구가 결합하였을 때 사건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상태’ 상황의 경우 ‘상태’의 사건 구조를 가지고, ‘행위’ 상황의 경우 ‘과정’의 사건 구조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순간’ 상황의 경우는 ‘순간’의 사건 구조를 가지고. ‘완성’ 상황의 경우는 ‘과정’, ‘상태’ 두 사건 구조를 가지는데 ‘과정’에 사건의 중점이 놓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취’ 상황의 경우는 ‘과정’과 ‘상태’의 사건 구조를 가지는데 ‘상태’에 사건의 중점이 놓인다는 사실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은 이들 동사들이 가지는 사건 구조의 확장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과정을 통해 각각의 동사들이 부사어나 시간부사구와 결합하였을 때 기본 사건 구조가 새로운 사건 구조로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먼저 ‘행위’ 상황은 부사어 혹은 시간부사구와 결합하였을 때 ‘사건의 시작’으로 사건 구조가 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음 ‘완성 상황’의 경우 부사어 혹은 시간부사구와의 결합을 통해 ‘사건의 종결’로 사건 구조가 변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성취’ 상황의 경우는 부사어 혹은 시간부사구와의 결합을 통해 사건 구조가 ‘사건의 종결’로 변화하고 ‘순간’ 상황의 경우는 ‘순간’ 사건 구조가 사건의 시작 혹은 사건의 종결로 나뉘어질 수 없어 부사어 혹은 시간부사구가 사건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송강가사의 시간성과 극적 구조

        김진희 ( Jin Hee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14 古典文學硏究 Vol.46 No.-

        본고에서는 송강가사의 시간적 구조를 前代의 가사작품들과 비교하고 이를 통하여 그 극적 속성을 파악하였다. 송강가사에 특히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 전대의 가사작품으로는 宋純(1493~1583)의 <면仰亭歌>와 白光弘(1522~1556)의 <關西別曲>을 들 수 있는데, 먼저 이들 가사 작품들의 시간적 구조와 그 장르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이후 전대 가사 작품들의 시간적 구조가 송강가사에서 개성적으로 변형되고, 이를 통해 송강가사의 극적 특성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밝혔다. 송강가사는 다양한 정서와 생각의 충돌과 갈등을 표현하고 그것의 극적 고조를 보여주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때 그러한 정서적 드라마는 시간적인 작품 구조를 통해 자연스럽게 연출된다. 전대의 <면앙정가> 및 <관서별곡>에 쓰인 순환적 시간 구조와 계기적 시간 구조를 송강가사는 수용.변용함으로써 특유의 극적 구조를 형성하였다. <성산별곡>에서는 순환적 시간의 이상적인 영원한 현재와, 부조리로 점철된 인간의 역사적 과거가 대비되면서 정서의 극적 반전이 이루어진다. <관동별곡>에서는 계기적 시간 속에 작품이 진행되는 중에도 과거와 미래, 무시간성을 향한 심리적 시간이 대위법적으로 발전.충돌한다. 그리고 <사미인곡>.<속미인곡>에서는 주체와 객체의 시간이 갈라진 분열적인 순환적 시간 속에서 고독과 그리움의 정서가 변주.심화된다. 이렇듯 송강가사 작품들은 작품의 시간적 구조 속에서 정서적 갈등을 발생.고조시키며, 이러한 극적 구조 속에서 우리는 의식과 무의식, 의지와 욕망이 얽혀 있는 인간 정신의 심층을 경험하게 된다. 송강가사의 극적 구조는 비약적 결말로 이어진다. 극적 구조를 통해 모순되고 충돌하며 고조된 시적 화자의 정신세계는 항시 어떠한 비약적인 해결을 추구한다. 그것은 술과 음악을 통해, 또는 꿈과 백일몽을 통해 이루어진다. <성산별곡>에서는 술과 음악의 힘을 빌어 이상적 시간으로 도피하며, <관동별곡>에서는 꿈에서 소망을 성취함으로써 밝은 미래를 先取하고, <사미인곡>.<속미인곡>에서는 죽음과 化身의 백일몽으로써 영원할 것 같은 비극을 초월한다. 서정 장르가 지향하는 동일성을 회복하고자 송강은 술과 음악, 꿈과 백일몽의 힘을 빌려 상상적 초월을 꾀하는 것이다. 송강의 가사는 극적 구조와 비약적 결말을 통해 전후대의 어느 가사 작품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깊이 있는 정신세계를 그려내었다. 파토스의 시인이었던 송강은 동일성을 담보할 수 없는, 불화하는 정신세계를 상상의 힘을 빌려 통합한 비전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compared the temporal structure of Songgang-kasa to the other kasa poems of the time and investigated its dramatic characteristics. Song Sun`s Myoun-ang-jeong-ga and Paik Kwanghong`s Kwan-seo-byoul-gok were selected as the kasa poems that had strong influences on Songgang-kasa. The temporal structures and generic features of these work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Songgang-kasa. Songgang-kasa represents dramatically various thoughts and emotions that collide among themselves and induce inner conflicts through its temporal structure. It transforms the circular and physical time structure of Myoun-ang-jeong-ga and Kwan-seo-byoul-gok to form its genuine dramatic structure. In Seong-san-byoul-gok, one of the kasa poems in Songgang-kasa, the ideal and eternal present of the circular time is twisted in the later part of the work and contrasted drastically with the irrational human history of the past. The events in Kwan-dong-byoul-gok, another kasa poem in Songgang-kasa, are narrated in the physical time order, while psychological time that aims towards the past or the future is developed polyphonously. In Sa-mi-in-gok and Sok-mi-in-gok, the other kasa poems in Songgang-kasa, the poetic speakers variate and deepen their solitude and longing in the ruptured circular time when the poetic subjects are isolated from the outer world. Likewise, the pieces of Songgang-kasa express and deepen the poetic speakers` emotional conflicts through the temporal structures of the works and make readers experience the depth of human mentality in which the consciousness is intertwined with unconsciousness, and intention with desire. The dramatic structure of Songgang-kasa is shifted into an emotional breakthrough at the end of the work. The poetic speakers` contradictory mentality enhanced by the dramatic structures of the poems always pursues a sort of emotional solution: Dionysian delight with music and alcohol, dream and daydream. In Seong-san-byoul-gok, the poetic speaker escapes to the ideal time by the help of alcohol and music. In Kwan-dong-byoul-gok, the speaker achieves in advance his positive future through his dream. In Sa-mi-in-gok and Sok-mi-in-gok, the female poetic speakers transcend their tragedies, which have once seemed eternal, through the daydream of death and incarnation. Jeong Cheol, the author of Songgang-kasa, intended the imaginary transcendence by the help of alcohol and music, of dream and daydream to recover the lyrical self`s identity. Songgang-kasa presented the depth of human mentality, which had never been expressed in its previous kasa poems, through the dramatic structure and transcendental ending. Jeong Cheol, the poet of pathos, offered the vision in which his contradictory thoughts and emotions went through struggles and were sublated by the power of imagination.

      • KCI등재

        西周及春秋戰國時期的狀中結构

        허웨이(He Wei),장태원(Jang, Tae-W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2

        When analyzed semantically, there are three types of adverbial in the adverbial modifier structure in the Western Zhou Dynasty and the Chunqiu and Zhanguo Period: restrictive adverbial, descriptive adverbial, and adverbial of accompanying action. These three adverbials show different temporal features in sentence structure. The restrictive adverbial is timeless, whereas the descriptive adverbial and the adverbial of accompanying action share temporal features. While the descriptive adverbialshas no significance of time starting point, the adverbials of accompanying action contains significance of time starting point. In syntactic analysis, the adverbial modifier structure in the Western Zhou Dynasty contains both the pattern AV and the pattern AOV. All three adverbials can appear in the pattern AV, butthe adverbial in the pattern AOV usually represents the accompanying action. The adverbial modifier with the restrictive has followed the pattern AV from the Western Zhou Dynasty to the Chunqiu and Zhanguo Period and the Modern Chinese. While the adverbial modifier structure with the descriptive adverbial formed the pattern A而V in Chunqiu and Zhanguo period, the adverbial modifier structure with adverbial of accompanying action made pattern AO而V in the same period. And the original form of the pattern AV and the pattern AO而V were still used in Chunqiu and Zhanguo period.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of Mencius which is analyzed by the writer, adjectival words were mostly used in the pattern AV and most of verbal words were included in pattern A而V and pattern AO而V. The western Zhou Dynasty also has the serial verb sentence in which the type of structure is ambiguous. In terms of semantic relations between verbs, the adverbial modifier structure seems to be close to the serial verb sentence. The remnant of the serial verb sentence were“望见”and “传食” used in the Chunqiu and Zhanguo Period.

      • KCI등재

        특집기획 : 기획주제 ; 지역학으로서의 한문학의 역할과 방향 모색 : 「유청평산기(遊淸平山記)」의 구조와 한문 교육 활용 방안

        권혁진 ( Hyuk Jin Kwo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2 No.1

        본고는 「遊淸平山記」를 통해 유산기의 구조를 도출하고, 그 구조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遊淸平山記」는 5단락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유산기의 일반적 구조인 준비-실행-총평을 세분화한 형태이다. 「遊淸平山記」는 시간적 구성과 공간적 구성의 형태를 띠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 이 작품은 5월 4일과 5일 이틀 사이의 산행으로 이루어졌으며, 작자의 발걸음을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유물과 자연경개를 충실하게 기록하고 있다. 단락의 구성인 章法을 살펴보면 豫伏法과 提綱法, 問答法 등의 수사법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변 경물에 대한 묘사가 두드러진 곳과, 작자의 의론이 두드러진 곳도 보이며, 시각적 이미지와 청각적 이미지를 잘 살린 단락도 있다. 「遊淸平山記」는 다양한 수사법을 동원해가면서 단락을 구성하고 있고,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작품을 이해하였을 때 심도 있는 작품의 감상과 이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개정된 교육과정의 변화 중 7차 교육과정과 다른 것 중의 하나는 산문 분야이다. ``글의 구조와 내용의 전개 방식을 활용한 글의 내용과 주제 이해``를 강조하는 교육과정에 따라 본고는 교과서에 실린 유산기를 구조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이루어진 한자의 쓰임과 어구 풀이, 문장의 구조 등을 중심으로 산문을 학습하는 것을 지양하고 글의 구조와 내용의 전개 방식을 활용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 이해를 하는 것이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데 효율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his manuscript identifies the structure of Yousangi from 「Youcheong pyeongsangi(遊淸平山記)」 and utilizing it in the class of school. 「Youcheongpyeongsangi」 is constructed with 5 paragraphs. This structure is the form subdividing the general structure of Yousangi that has preparation-practice-general review. 「Youcheongpyeongsangi」 is the form of spatial and temporal composition. The work with temporal composition deals with the hiking in two days of the May 4, 5th. According to author`s itinerary, the relics and natural landscape are faithfully recorded in the work. Rhetorical elements are applied in the paragraph structure. The rhetoric of 豫伏法, 提綱法, 問答法 is used. Some paragraphs put emphasis on the descriptions of the scenery of the season or author`s opinion. Other paragraphs show aural and visual images well. 「Youcheongpyeongsangi」 has paragraphs with different types of rhetoric. Therefore, it makes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the work to understand the work through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work. One of the differences between previous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is about prose. This manuscript analyze Yousangi in textbook through structure responding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emphasizing the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themes utilizing the structure and method of the text developing. From this, This manuscript identifies that it must be sublated to learn, focusing on Chinese characters in use, phrase explanation, form of the sentence and it is more efficient to understand contents and themes, utilizing the structures and methods of the text developing at appreciating works.

      • KCI등재

        현대중국어 시량구 분포와 특징 분석 – 긍정문의 ‘시량구+동사술어’ 구조를 중심으로

        유수경 한국중문학회 2023 中國文學硏究 Vol.- No.90

        This study analyzed the syntactical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structure of ‘temporal adverbial+verb predicate (Abbreviated as T+V below)’ in modern Chinese affirmative sentences. As a result of syntactic semantic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T+V’ was adopted when expressing unfinished actions or events because the ‘T+V’ was more free than the ‘verb predicate+temporal adverbial (Abbreviated as V+T below)’ in terms of the termination(completion) of the predicate. The two structures showed differences in funct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aspect of the verb. When combined with verbs of [-durative] and [+telic] semantic feature, the ‘V+T’ can express the continuous meaning of the resulting state. On the other hand, the ‘T+V’ was found to express the duration or period of an action. In terms of information structure, unlike the ‘V+T’, which functions as a natural focus, the ‘T+V’ sometimes functions as a presupposition or topic of a predicate-focus sentence. Sometimes it functions as a focus of a sentence and forms an argument-focus structure. The composition of this information structure is operated comprehensively with various conditions. For example, the pragmatic state of ‘temporal adverbial’, the tendency of Chinese word order for finite, the syntactic semantic importance of predicate phrase, and the focus marker. 본고는 현대중국어 긍정문의 ‘시량구+동사술어’ 구조의 통사 의미적 특징과 정보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량구+동사’ 구조는 사건의 종결성에 있어서 ‘동사+시량구’ 구조보다 자유로워서 종결되지 않은 행위 및 사건과 시간의 관계를 표현할 때 채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어순 구조는 결합동사의 상황유형에 따라 의미의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durative], [+telic] 자질의 동사류와 결합하는 경우 ‘동사+시량구’ 어순은 주로 행위로 인한 결과상태의 지속시간을 표현하는 반면, ‘시량구+동사’ 어순은 이외에도 반복적 행위의 지속시간이나 행위가 실현되어야 할 시간 범위를 설정하기도 한다. 정보구조적 차원에서 ‘동사+시량구’ 구조의 시량구는 문미 자연초점으로 기능하지만, ‘시량구+동사’ 구조의 시량구는 맥락에 따라 서술어초점구조의 전제나 화제로 기능하거나, 논항초점이 되어 논항초점구조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처럼 상이한 초점구조는 시량구의 화용적 상태, 한정성에 관한 중국어 어순의 경향성, 술어구의 통사 의미적 현저성, 초점표지 및 강세 부가 등 여러 정보구조차원의 방책이 종합적으로 활용되어 형성된다.

      • KCI등재후보

        이동 객체의 위치 추적을 위한 KDB-트리 기반의 시공간 색인구조

        서동민 ( Dong-min Seo ),복경수 ( Kyoung-soo Bok ),유재수 ( Jae Soo Yoo ),이병엽 ( Byoung-yup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5 No.4

        최근 위치기반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색인 구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제안된 색인 구조들은 이동 객체의 계속되는 위치 이동으로 인해 색인의 변경이 발생하고 색인의 빈번한 변경으로 전체적인 색인의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KDB-트리를 기반으로 하는 시공간 색인 구조인 TPKDB-트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는 갱신 비용을 최소화하여 이동 객체 검색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이동 객체를 선형함수로 표현함으로서 불필요한 갱신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노드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 객체의 변화를 시간에 대한 파라미터로 유지함으로서 효율적으로 이동 객체의 미래 위치 검색을 지원한다. 또한, 공간활용도를 최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갱신 및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통해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Recently, the needs of index structure which manages moving objects efficiently have been increased becaus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location-based techniques. Existing index structures frequently need updates because moving objects change continuatively their positions. That caused entire performance loss of the index structur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ndex structure called the TPKDB-tree that is a spatio-temporal index structure based on KDB-tree. Our technique optimizes update costs and reduces a search time for moving objects and reduces unnecessary updates by expressing moving objects as linear functions. Thus, the TPKDB-tree efficiently supports the searches of future positions of moving objects by considering the changes of moving objects included in the node as time-parameter.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we propose the new update and split methods. Finally, we perform various experiments to show that our approach outperforms others.

      • KCI등재

        대구시 지가의 시공간적 변화 탐색

        김감영(Kamyoung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4

        지가는 도시의 구조와 변화를 읽어 낼 수 있는 공간 텍스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를 대상으로 상세한 공간 및 시간 해상도를 갖는 지가의 시공간적 변화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공간구조 특성과 변동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95년부터 2011년까지 2년 단위 표준지 공시지가를 이용하여 지가면(land value surface)을 생성하였다. 시기별 지가분포 및 변동률 패턴을 비교하여 지구적 혹은 국가적 수준의 경기변동 및 정책변화, 국지적 수준의 지역 개발과 관련된 의사결정이 도시 공간구조 변화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파악하였다. 또한 음지수모형을 이용하여 도심 으로부터의 거리 변수가 지가 분포의 공간적 변이를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분석하여 교외화 추세와 도시구조의 다핵화 경향을 파악하였다. 상이한 수준의 공간 의사결정을 반영하는 지가를 이용한 도시 분석은 도시 내부구조 변화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이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시 및 지역개발 정책을 수립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 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Land price is a kind of text to read urban spati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characteristics of Daegu`s urban structure and its change in time through exploring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land price with a detailed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To achieve this, land value surfaces were represented using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every other year from 1995 to 2011. Through mapping and exploring spatio-temporal patterns and fluctuation rates of land price for this period, changes in urban structure, the effects of local decision makings such as Greenbelt adjustment, housing site development, and gentrification, and the effects of business fluctuations or policies at global or national scales could be caught. In addition, the trends for suburbanization and multi-centric urban form could be examined from the results of a negative exponential model explaining the effect of distance from an urban center on spatial variation of land pric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urban analysis using land price mirroring spatial decision making at various scales could deepen understanding for internal structure and change of a city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regional and urban development policies and evaluating their effects.

      • KCI등재

        시간적 구조 변화에 따른 피아니스트와 일반인의 양손 제어 형태 연구

        이효경 ( Hyo Kyung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4

        양손 동시 동작 수행에서 어느 한 손에만 시간적 구조를 변화시킬 때 피아노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두 손 각각에 어떠한 상호작용적 제어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아노 전공자와 비전공자 각 20명씩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된 실험은 시간적 구조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 통제조건과 한 쪽 손의 시간 구조 변화 처치 조건하에서 피험자들에게 양손 인지를 이용하여 5회의 탭핑 과제를 동시 수행하게 하여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변화가 요구되지 않은 손의 조건(500msec)에서 피아노 전공자는 요구시간과 거의 동일한 시간으로 수행한 반면, 비전공자는 주동 손(오른손) 24.82%, 비주동 손(왼손) 27.23%가 요구시간에 비해 실제 수행시간이 더 느려짐을 보였다. 변화가 요구된 손의 조건(250msec)에서 역시 피아노 전공자는 요구시간에 거의 근접한 시간의 수행을 하였으나, 비전공자는 주동 손 34.69%, 비주동 손 31.75%가 요구시간에 비해 실제 수행시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손에 시간적 구조를 달리하여 동시에 수행할 때 피아노 비전공자는 양손 모두에 간섭이 일어나 일관되게 수행시간이 느려짐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어느 한 손이 다른 손의 시간적 구조에 동화되는 것과는 다르다. 또한 피아노 전공자는 각각의 손에 서로 다른 시간적 구조에도 불구하고 요구시간에 매우 일치하는 수행을 보였다. 이는 피아노 전공자들에게는 다년간의 연습을 통하여 익힌 자동운동조절프로그램이 작동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피아노 학습이 되지 않은 일반인들은 이러한 프로그램이 생성, 내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오류 수행과 함께 결속이 일어남으로써 독립적 협응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interactional motor control characteristics appeared on pianists` and ordinary persons` left and right finger movements respectively if temporal structure of any one hand was changed when carrying out simultaneous movements with both hands. All of subjects performed five simultaneous finger tapping movements with index fingers of both hands under the control condition in which no transformation of time(500msec) in present, along with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decreased time interval(250msec) in any one hand. The results of experiment showed that changing the temporal structure of any one hand influenced time structures in two hands for ordinary persons and unchanging for pianists. These results for ordinary persons are apparently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es in which the unity of time was evidenced according to coordination of both hands at early phase of a movement in uniting type of temporal structure. But the pianists` selective activation of hand muscles to produce motion of single or multiple digits probably plays an even more important role in the dexterous control of the hand. Due to the biomechanical architecture of hand muscles, complex co-activation patterns of many muscles are required to produce individuated finger movement as well as to prevent motion at non-instructed digits.

      • KCI등재

        A Corpus-based Analysis of Clause Ordering in English Complex Sentences

        박태숙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1 영어영문학연구 Vol.53 No.3

        This study is a corpus-based analysis of ordering patterns of adverbial and main clauses in written and spoken English. The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conditional clauses tend to precede the main clause more frequently than temporal clauses, and that temporal clauses are more frequently in the sentence-initial position than causal claus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more comprehensive picture for the usages of 13 adverbial clauses. The data are from LOB representing written English and parts of BNC representing spoken English. The corpus analysis shows that till-, until-, and before-clauses representing Time before follow the main clause most frequently among temporal clauses, but that as-clauses representing Same time precede the main clause frequently. Because- clauses show a strong tendency to occur sentence-finally, and causal as-clauses follow the main verb much more frequently particularly in spoken English. If-clauses tend to occur in the sentence-initial position, whereas unless- and though-clauses tend to be in the final position. Considered an informal variant of although-clauses, though-clauses are used frequently in written English, showing a preference for the final position in both written and spoken English. The ordering patterns are explained in terms of the principles of iconicity, processing, and information structure. Pedagogic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based on these objective results of the corpus data in order to enhance the correct use of adverbial and main clauses in complex sent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