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게임물 등급분류제도와 자율규제

        진도왕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4 스포츠와 법 Vol.27 No.1

        As the game industry develops rapidly, requests for regulation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interest in the game rating system is increasing as the violence and sexuality implemented in games spreads social concern. In this regard, the main direction of discussion is on the extent to which the initiative should be given to game rating regulations and who should have it. In this article, as a prelude to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the gaming industry into self-regulation, we looked at the US game rating system, which is considered an exemplary example of self-regulation. The review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suming that the video games are media protected by ‘freedom of speech’, rating based on game content (content of expression) is an area where self-regulation is inevitable due to the legal limit of the governmental censorship. In other words, game rating, which is subject to regulation, is an area where government regulation cannot operate fully and directly legally in the first place, so self-regulation has no choice but to replace it. Second, even when choosing self-regulation to replace government regulation, consideration within it is still required because the spectrum of self-regulation that the game industry will adopt is relatively diverse. Among forms of self-regulation, game rating in the United States can be said to be a form of self-regulation with a relatively high level compared to other rating systems, although the government's indirect intervention actually influenced the setting and execution of self-regulation in the market. Third, given that self-regulation is also a part of regulation, an enforcement is needed to force the participants to obey self-regulation. This is also found in the ESRB rating system, where ERC, ARC, and EWC are established in each related field, and self-regulations are established and enforced based on rules (norms) agreed upon by their members. Fourth, self-regulation must be substantively proven. No matter how many advantages are expected through self-regulation, it is of no use if it is subject to impractical. The FTC and ERC evaluations of the ESRB game rating system can be seen as proving its effectiveness as self-regulation to some extent. 게임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그에 대한 규제의 요청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게임 내에서 구현되는 폭력성이나 선정성이 사회적 우려를 확산시키면서 게임물등급분류제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된 논의의 방향은 게임물 등급분류라는 규제에 있어서 어느 정도까지의 주도권을, 누구에게 쥐어 주어야 할 것인지에 있다. 이 글에서는 게임산업의 자율규제로의 편입 타당성을 위한 전초적 작업으로서 자율규제의 모범사례로 꼽히는 미국의 게임물등급분류제도를 살펴보았는데, 그 검토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물이 ‘표현의 자유’에 의해 보호되는 미디어임을 전제로, 게임내용(표현내용)에 기초한 등급분류는 정부의 검열금지라는 법적 한계 때문에 자율규제가 불가피한 영역이다. 즉, 규제대상인 게임등급분류는 애초에 법리적으로 정부규제가 전면적·직접적으로 작동할 수 없는 영역이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자율규제를 선택할 수 밖에 없다. 둘째, 정부규제를 대체하기 위해 자율규제를 선택할 때에라도, 게임산업이 취할 자율규제의 스펙트럼은 비교적 다양하기 떄문에 여전히 그 안에서의 고민이 요구된다. 미국의 게임등급분류는 자율규제의 형태 중에서도 정부의 간접적 개입이 시장의 자율적 규제 설정과 집행에 사실상 영향을 미친 경우이긴 하지만 다른 등급분류제도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자율규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자율규제도 규제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그 수범자에게 자율규제에 복종하게 하는 구속력이 필요하다. 자율규제에 있어서 구속력의 확보는 통상 단체정관 또는 약관(계약)에 의한다. 이는 ESRB 등급분류시스템에서도 발견되는데, 각 관련 분야에 ERC, ARC, EWC를 두고, 그 구성원들의 동의를 얻은 규약(규범)을 근거로 자율적 규제 설정과 집행을 하고 있다. 넷째, 자율규제의 필요성은 실증(實證)되어야 한다. 자율규제를 통해 예상되는 장점이 아무리 많더라도 거기에 실천적 의미가 결여되어 있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ESRB 게임등급분류시스템에 대한 FTC와 ERC 평가는 그 자율규제로서의 실효성이 어느 정도 증명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실증 과정은 자율규제시스템의 보완·개선에 있어서도 꼭 필요하다. ESRB의 전개과정에서 보았듯이, 연방 및 주 정부의 끊임없는 규제입법 시도는 사실상 ESRB 시스템에 대한 실증의 과정이었고, 또 ESRB 시스템의 개선노력의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 KCI우수등재

        온라인 플랫폼 자율규제에 관한 시론(試論)

        박창규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4

        Self-regulation means that members of the market become the subject of regulation and they voluntarily regulate themselves. Self-regulation can be classified into pure self-regulation, the government led self-regulation, private led self-regulation. Also, Self-regulation is based on the expertise on the area of regulation and the efficiency of regulation. Korea has recognized the need of the regulation of online platforms and has actively regulated online platforms but there are some concerns about the regulation of online platforms in Korea. First, the regulation in Korea is ex ante regulation. Second, there are the possibility of the regulatory overlap. Third, the Korean governments pay too much attention to the “gab-eul” relationship. Fourth, the understanding and the execution experience of online platforms are not sufficient. Fifth, the regulation in Korea is the unilateral command-control regulation that the governments lead (“the government led command-control regulation”). The online platform markets have the characteristics such as dynamic technical development, changes in the various business models, and market innovation. Therefore, the regulation of online platforms requires the expertise on the technology and market and it should be efficient in order not to hamper the dynamics and innovation. Self-regulation is a regulatory type suitable for online platform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self-regulation is desirable in terms of expertise of the subject of the regulation. Second, self-regulation is efficient as it can respond flexibly to the various changes in the market. Third, the government led command-control regulation is premature as the online platform markets will continue to develop. Self-regulation can make it possible to achieve the goal of establishing an online ecosystem where the collaborative cooperation between online platforms and the business users in online platforms, the maintenance of competition between online platforms, and the improvement of consumer welfare are feasible while maintaining the features of online platforms. The desirable direction of self-regulation in online platforms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self-regulation should be the business entity with proven expertise. Second, all online platform operators should participate in self-regulation, and self-regulatory organization (“SRO”)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Third, there should be no conflict of interest. Fourth, academia, citizens, and the media should actively monitor and evaluate the self-regulation of online platforms. Fifth, online platform operator should disclose its own information transparently. Sixth, online platform operators should try to settle the disputes quickly and fairly. Seventh, Korea Fair Trade Commission (“KFTC”) should monitor the market and conduct market investigation on a regular basis. Eighth, if self-regulation is successful it is necessary that KFTC provides the incentives to online platform operators. Ninth, KFTC should support the sustainable growth of online platforms. Tenth, the governments and SRO shoul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elf-regulation of online platforms in other countries, and support online platforms in Korea so that online platforms in Korea should not suffer from any competitive disadvantages due to self-regulation. In conclusion, self-regulation is effective alternative that makes online platform ecosystem grow sustainably. 자율규제는 시장의 구성원이 규제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자신을 규제하는 것이다. 자율규제는 순수한 자율규제, 정부 주도의 자율규제, 민간 주도의 자율규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전문성과 규제의 효율성을 기초로 한다. 우리나라는 온라인 플랫폼 규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규제를 추진해왔는데 다음과 같은 우려가 있다. 첫째, 사전규제 방식이다. 둘째, 중복규제의 가능성이 있다. 셋째, 거래상 지위 남용인 갑을 관계에 지나치게 주목한다. 넷째,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이해와 집행 경험이 충분하지 않다. 다섯 번째,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명령-통제 방식의 규제이다. 온라인 플랫폼 시장은 역동적인 기술발전, 다양한 사업 모델의 변화, 시장의 혁신 등의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 규제는 기술과 시장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며 역동성과 혁신이 저해되지 않도록 효율적이어야 한다. 자율규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온라인 플랫폼에 적합한 규제방식이다. 첫째, 자율규제는 규제 주체의 전문성 면에서 긍정적이다. 둘째, 시장의 다양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셋째, 온라인 플랫폼은 계속해서 발전할 시장이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명령-통제 방식의 규제는 시기상조이다. 자율규제는 온라인 플랫폼의 특징을 살리면서도 온라인 플랫폼과 입점업체의 상생, 온라인 플랫폼간 경쟁의 유지, 소비자 후생의 증진이 가능한 온라인 생태계의 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온라인 플랫폼 자율규제의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규제 주체는 전문성이 입증된 사업자가 되어야 한다. 둘째, 모든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가 자율규제에 참여하고, 독립된 자율규제기구가 설립되어 활동해야 한다. 셋째, 이해충돌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넷째, 학계, 시민, 언론 등이 온라인 플랫폼의 자율규제를 적극적으로 감시하고 평가해야 한다. 다섯째,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는 자신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여섯째,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는 분쟁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해결해야 한다. 일곱째, 공정거래위원회는 온라인 플랫폼 시장을 모니터링하고 정기적 시장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여덟째, 자율규제가 성공적일 경우 공정거래위원회는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아홉째, 공정거래위원회는 온라인 플랫폼의 지속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 열번째, 정부와 자율규제기구는 해외 온라인 플랫폼의 자율규제 현황을 파악하여 국내 온라인 플랫폼이 자율규제로 인해 경쟁상의 불이익이 없도록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자율규제는 온라인 플랫폼 생태계의 지속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대안이다.

      • KCI우수등재

        ICT 분야에서의 자율규제 ― 인터넷 포털과 게임 분야를 중심으로 ―

        황성기 한국공법학회 2022 공법연구 Vol.50 No.3

        In Korea, self-regulation is currently being applied to the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field, especially the Internet portal and game field. To be honest, it is safe to say that a ‘self-regulation experiment’ is taking place. This is because the current self-regulation is always exposed to the risk of being ‘forcibly converted’ to government regulation or legal regulation. However, various controversies are taking place over self-regulation applied to the ICT field, particularly the Internet portal and game fields. Criticism of self-regulation applied to Internet portal and game fields reveals a negative view that “Self-regulation is unreliable and less effective than government regulation or legal regulation.” Even legislative attempts to force the transition into legal regulations have already been made or are in the process of being implemented.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concept of regulation, the meaning and type of self-regu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legal regulation, and the constitutional basis of self-regulation.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self-regulation in the field of Internet portal and game among ICT fields is being investigated. Lastly, the current status of self-regulation in the field of Internet portal and game is analyzed. Today's Korea is preparing to enter a new era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new normal era, and the new green era. In order to face this new era, a paradigm shift is now required, and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must have principles and a philosophy for regulation. Government regulation or legal regulation in Korea has a very strong tendency to spontaneously solve problems in response to issues without principles and philosophy. In addition, ‘path dependence’ in regulation is very strong. Now, in particular, government regulators must recognize self-regulation as one of the regulations. Self-regulation is a complement to, not a substitute for, government or legal regulation. It is very unrealistic and anachronistic to ignore the existence and significance of self-regulation in the field of Internet portal and game in the new era.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notion, perception, and thinking about self-regulation. 우리나라에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분야, 특히 인터넷 포털과 게임 분야는 현재 자율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보다 솔직하게 이야기하면 ‘자율규제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현재의 자율규제가 항상 정부규제 혹은 법적 규제로 ‘강제 전환’될 위험성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ICT 분야 특히 인터넷 포털과 게임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자율규제를 둘러싸고 여러 가지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인터넷 포털과 게임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자율규제에 대한 비판론은 “자율규제는 믿을 수가 없고, 정부규제 혹은 법적 규제에 비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부정적 시각을 드러낸다. 심지어는 법적 규제로 강제로 전환시키려는 입법적 시도가 이미 이루어졌거나 현재 진행 중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규제의 개념, 자율규제의 의미와 유형, 자율규제와 법적 규제의 관계, 자율규제의 헌법적 근거를 검토하고, ICT 분야 중 인터넷과 게임 분야에서의 자율규제의 필요성을 규명한 다음, 마지막으로 인터넷 포털과 게임 분야에서의 자율규제의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오늘날의 한국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뉴노멀 시대, 뉴 그린 시대 등 새로운 시대로의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이제는 규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고, 특히 정부는 규제에 대한 원칙과 철학을 가져야 한다. 한국에서의 정부규제 혹은 법적 규제는 원칙과 철학 없이 그때그때 이슈에 대응하여 문제를 즉흥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또한 규제에 있어서의 ‘경로의존성’이 매우 강하다. 이제는 특히 정부의 규제당국은 자율규제를 규제의 하나로 인정해야 한다. 자율규제는 정부규제 혹은 법적 규제의 대체재가 아니라 보완재이다. 새로운 시대에서 특히 ICT 분야 중 인터넷 포털과 게임 분야에서 자율규제의 존재와 의의를 무시하는 것은 매우 비현실적이고 시대착오적이다. 자율규제에 대한 관념 및 인식,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자율규제의 법리적 구성에 관한 연구 - 일반행정법의 관점에서 -

        송시강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1

        From a fundament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as the epitome of governance required in this era. In this respect,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needs to be carefully defined. It is because we have to put the values ​​that our community is aiming for. First, self-regulation uses ‘autonomy’ as a conceptual sign. Non-interference and subjectivity implied by autonomy correspond to the view of human beings (dignified, free and autonomous human beings) of our Constitution. However, there is a limit that autonomy can be buried in collective interests, and this problem must be overcome in order to go beyond simple autonomy and fall under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Second, self-regulation uses republican ‘solidarity’ as a conceptual sign. Self-regulation, as a part of government, must have that much publicity to be given its legitimacy. To this end, the value of solidarity that goes beyond the promotion of collective interests and advances to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is required. Third, since autonomy is a conceptual counterpart of heteronomy and autonomy that does not presuppose heteronomy is not logically possible, 'partnership', which refers to the relationship that autonomy establishes with heteronomy, becomes a conceptual mark of self-regulation. However, public-private partnerships do not always equate to self-regulation. Fourth, in that self-regulation is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government, constitutional ‘restraint’ is a conceptual marker. As history has developed in the direction that state powers restrain their own powers, non-state powers are rightly requested to refrain from their powers. From this point of view, self-regulation is an unavoidable duty inherent in non-state powers.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is not heuristic but dogmatic and should have practicality at the level of general administrative law. First, in terms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law, self-regulation requires a fundamental change in the structure of administrative action centered on rule making and administrative decision.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theory on administrative contracts is urgent, and attention is needed on the so-called informal administrative action discussed in Germany. Second, in terms of the administrative remedy law, self-regulation requires a fundamental change in the structur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centered on appeal litigation. Third, in terms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aw, self-regulation requires fundamental improvement in the legal system and principles related to the delegat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y. With the current system of command and control,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ideal of self-regulation. Only when the state can recognize and accept power other than the state can genuin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take place. 자율규제는 단순히 효율적이니까 그밖에 장점이 많으니까 정당한 것이 아니다. 물론 정당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이어야 하고 그밖에 장점도 많아야 할 것이다. 근본적인 관점에서 이 시대에 요청되는 통치의 전형으로 자율규제라는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서 자율규제의 개념은 신중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우리 공동체가 지향하는 가치를 담아내야 하기 때문이다. 첫째, 자율규제는 ‘자치’를 개념적인 표지로 한다. 자치가 내포하는 불간섭과 주체성은 우리 헌법의 인간관(존엄하고 자유로우며 자율적인 인간)에 부합한다. 그러나 자치는 집단적 이익에 매몰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는바, 단순한 자치에 그치지 아니하고 자율규제의 개념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를 극복하여야 한다. 둘째, 자율규제는 공화주의적 ‘연대’를 개념적인 표지로 한다. 자율규제는 통치의 일환으로서 그 정당성을 부여받기에 그만한 공공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집단적 이익의 도모를 넘어 공공복리의 증진으로 나아가는 연대의 가치가 요청된다. 셋째, 자율은 타율의 개념적인 대구(對句)로서 타율을 전제하지 않는 자율은 논리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점에서, 자율이 타율과 설정하는 관계를 말하는 ‘합동’은 자율규제의 개념적인 표지가 된다. 그러나 민관의 합동이라고 해서 언제나 자율규제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넷째, 자율규제는 통치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하는 점에서, 헌정주의적 ‘자제’를 개념적인 표지로 한다. 국가의 권력이 자신의 권력을 자제하는 방향으로 역사가 발전한 것처럼 국가가 아닌 권력도 그 권력을 자제할 것이 마땅히 요청되는바, 이 점에서 보면 자율규제는 국가가 아닌 권력에 내재하는 피할 수 없는 의무이다. 이러한 자율규제의 개념은 휴리스틱을 넘어 도그마틱으로서 일반행정법의 차원에서 실천성을 가져야 한다. 첫째, 행정절차법의 측면에서 자율규제는 법규명령과 행정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행정작용의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행정계약에 관한 법리의 발전이 시급하고, 독일에서 논의하는 이른바 비공식적 행정작용에 관한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행정구제법의 측면에서 자율규제는 항고소송을 중심으로 하는 행정소송의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행정행위의 공정력과 무관한 법률관계가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는바, 일방적인 법률행위를 통해서 행정법상 의무를 부과하고 이에 대해서 상대방이 불복하는 것(administrative process)과 대비가 되는 형식, 다시 말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상대방에게 행정법상 의무를 부과하기 위해서 소송을 제기하는 제도(judicial process)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행정조직법의 측면에서 자율규제는 행정권한의 위임과 위탁에 관한 법제와 법리의 근본적인 개선을 요구한다. 지금과 같은 명령과 통제의 체계로는 자율규제의 이상을 실현하기 어렵다. 국가가 국가 아닌 권력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어야 진정한 참여와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 KCI등재

        과학학습에서의 자기조절의 의미, 과정, 학습과제에 대한 분석

        박상희,황나래,박진선,이서리,권승혁,권용주 한국생물교육학회 2020 생물교육 Vol.48 No.3

        Self-regul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a modernized society and learners to adjust to school and lear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cience learning, new information is accepted and explored into one's cognitive structure, and scientific knowledge is formed through steps such as assimilation, conflict, and accommodation. This study analyzes domestic and foreign papers on the meaning of self-regulation, prepares the basis for biological, cognitive psychological, pedagogical, and brain science. And we analyze the process of self-regulation, and uses it to help students' self-regulation process. From a biological point of view, self-regulation refers to the use of internal regulatory mechanisms to maintain homeostasis, and cognitive psychological self-regulation is defined as a goal-oriented process of control over one's state and function in a broad sense. Piaget viewed the process of equilibrium through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and said that the nature of learning is in self-regulation activities that attempt to equilibrate the learner's internal state and environmental pressure. In pedagogy, it is seen that through self-regulation,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learning strategies are used, and that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measure students' self-regulation process, a partially understandable and challenging task, such as looking at a mirror and writing, is necessary. In the course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problems, activities, and environments that can cause self-regulation, and provide relevant opportunities frequently. In the future, further study is needed on detailed processes and steps of self-regulation, and tasks and methods for measuring self-regulation.

      • KCI등재

        인터넷 불법・유해 정보에 대한 국외 사업자의 자율규제 : 현황과 개선 방안

        정필운(Jung, Pilwoon),심우민(Shim, Woomin),윤진희(Youn, Jinhee),강명원(Kang, Myungwon),전학선(JEON, Haksun) 유럽헌법학회 2021 유럽헌법연구 Vol.- No.35

        이 연구는 불법・유해 콘텐트에 대한 국외 인터넷 사업자의 자율규제를 향상하기 위한 법제도 현황을 조사하고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자율규제의 의의와 필요성, 유형, 그 현황과 법적 규율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Ⅱ). 그리고 국외 인터넷 사업자 자율규제를 향상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Ⅲ). 논의의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정보통신망법 제44조의4는 자율규제의 네 유형 중에서 자발적 자율규제 유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조항이 자율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는 어렵다는 비판이 국내학계에서 제기되고 있으며, KISO의 현황은 이 조항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필자들은 우리와 같이 자율규제의 전통이 상대적으로 약한 사회에서 자발적 자율규제를 취하던 영역에서 의무적 자율규제로 전환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고 정부가 사업자에게 자율규제를 법적으로 강제한다는 점에서 자율규제의 개념에 충실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의무적 자율규제는 우리 현황에서 인터넷의 유해 정보 규제에 적당한 유형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그렇다면 승인적 자율규제 또는 조건부 강제적 자율규제 중 어느 하나를 취할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KISO라는 자율규제기구가 이미 설립되어 자율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활동하고 있는 현실을 존중한다는 의미에서 조건부 강제적 자율규제를 입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내용규제에 관한 자율규제 우선 원칙 천명, 사업자의 행동강령 제정 및 시행 가능 규정, 사업자간 행동강령 제정 및 시행이 심의위원회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정부 기준 적용, 정부 또는 심의위원회의 자율규제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책 명시, 자율규제 이행 노력 공개 의무화 등을 명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국외 인터넷 사업자를 이 조건부 강제적 자율규제 유형 내에 포섭하기 위해서는 역외 적용 규정을 신설하고, 국내 대리인 제도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불법・유해정보에 대한 규제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기통신사업법」 외에 별도로 사업자 등록을 강제하는 규정 신설은 과잉 규제로 타당하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다만 국외 인터넷 사업자가 현행 「전기통신사업법」의 신고 등을 충실히 하도록 집행을 개선할 것을 권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quo of the law to improve the self-regulation of foreign Internet service providers on illegal and harmful Internet content,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significance, necessity and type of self-regulation, it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law(II). In addition,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self-regulation of foreign Internet service providers were proposed(Ⅲ). The core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evaluated that Article 44-4 of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adopts the voluntary self-regulation type among the four types of self-regulation. However, criticism has been raised in domestic academia that this provision is difficult to play a role as a means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self-regul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 Internet Self-Governance Organization(KISO) shows the limitations of this provision. We think that it is inappropriate to switch from the area of ​​voluntary self-regulation to mandatory self-regulation in a society where the tradition of self-regulation is weak, such as in our society. In addition, mandatory self-regulation is not faithful to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Therefore, mandatory self-regulation is not an option in our current situation. If so, it makes sense to choose either approved self-regulation or conditionally compulsory self-regulation. Among them, we insisted on choosing conditional compulsory self-regul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is, the following provisions were proposed to be newly established: a statement of the principle of priority for self-regulation on content regulation,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codes of conduct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and application of government standards when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codes of conduct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does not meet the government standards, clarification of specific support measures for self-regulation by the government, and mandatory disclosure of self-regulation implementation efforts. Second,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n extraterritoriality and domestic agent in order to accommodate foreign Internet service providers within this conditional compulsory self-regulation.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 of illegal and harmful content, the establishment of a new regulation for compulsory business registration other than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is not valid due to excessive regulation. However, it was recommended to improve the enforcement so that foreign Internet service providers can faithfully report according to Article 22 of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 KCI등재

        자율규제와 소비자법적 보호의 함의 - 게임, 특히 웹보드게임의 분야에 있어서 -

        심우영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외법논집 Vol.41 No.2

        자율규제란 자체적으로 형성된 조직이 구성원을 규제하는 것을 말한다. 자율규제는 자발성의 정도의 차이에 따라, 각 국가의 법적, 제도적, 시장상황에 따라 다영한 운영형태로 나타나나 보통 순수자율규제의 형태를 제외하고 법적근거에 따라 정부에 의해 승인되거나 위임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자율규제는 소비자의 권리보호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바,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환경에 대응하여새로이 등장하고 있는 상품 및 서비스의 품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처방책으로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자율규제는 시장으로 하여금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가 될 수 있는바, 이로 인하여 소비자는 더 큰 자기만족과 선택권의 행사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현대소비자법에서 의미하는 소비자 보호는 종래의 약자 보호나 정의⋅공평이라는 관점에서자기책임주의로 변화되고 있는바, 이러한 흐름에서 자율규제는 무엇보다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새로운 산업분야인 웹보드게임분야에 있어서 자율규제와 소비자의 권리에 대해살펴보기로 한다. Self-regulation refers to that an organization which was formed by itself regulates its members. Various types of self-regulation are being operated depending on voluntary effort of businesses, and in most countries, self-regulation has a legal basis except in case of pure self-regulation. Also, as self-regulation system develops, new types of self-regulation, which is approved or delegated by a government, is now coming out. Self-regulation is closely related to consumer rights. Self-regulation becomes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This is because self-regulation is now regarded as the best way to improve quality of goods and services in a rapidly changing consumer society. In addition, Self-regulation can provide a variety of products and services. This allows consumers to get more satisfaction and options. In particular, consumer protection, which is defined in the Consumer Law, is changing from self - responsibility to protection of the weak, justice and fairness. In this trend, self-regul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From this point of view, we will look at self-regulation and protectionof consumer rights in the field of web-board game, which is a new industrial field.

      • KCI등재

        유아 관련 변인과 어머니의 영역별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백지희 ( Baek Jee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는 만 4-5세 유아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유아 관련 변인은 유아의 성별과 연령, 그리고 형제자매관계의 특성(형제유무, 출생순위, 형제자매관계의 유형)이 조사되었으며,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에서는 영역별 양육효능감(훈육, 놀이, 애정, 일상체계조직, 교육)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일부 정서조절에서 차이를 보였다. 외동의 유아는 형제가 있는 유아보다 일부 정서조절이 높았으며, 첫째의 인지조절이 둘째보다 높았다. 또, 자매 관계의 유아는 남매나 형제 관계의 유아보다 일부 인지 및 정서조절이 낮았다. 유아 관련 변인보다는 양육효능감의 자기조절에 대한 설명력이 높았으며, 인지조절에는 일상체계조직 효능감이, 정서조절에는 교육과 애정 효능감이 각각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의 측정방법과 구성요인에 따라 유아 관련변인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밝히고 유아의 자기조절 향상을 위하여 초점을 두어야 할 부모교육의 내용적 측면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Self-regulation generally refers to a variety of capacities to control one’s actions and responses and it can be divided into two constructs: emotional regulation such as control of negative emotionality and cognitive regulation such as planning and evaluating behavior.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children’s own personal factors and family are considered as a key facet. Specifically, skills underlying self-regulation emerge throughout early childhood, but are integrated into self-regulation by parenting inpu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e the differences among children’s personal factors and to test which mother’s self-efficacy in different parenting contexts contribute uniquely to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ex of young children between 4 to 5-years-old did not reveal any differences in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s. Age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was found only in emotional regulation. Presence and types of siblings and birth order of children showed differences of self-regulation in part. Mother’s self-efficacy in instrumental care and teaching relatively predicted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in nurturance showed negative effect on both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 significant different impacts of mother’s self-efficacy depending on parenting contexts,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instrumental care and teaching for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독일 공법상 규제된 자율규제제도 - 우리의 지방공기업법과 지방자치법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

        서보국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9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9 No.1

        신고전학파와 신자유주의자의 ‘작은 정부론’으로 인한 민영화, 민관협력 및 보장국가라는 개념이 발전되어 왔고 사인에 의한 국가임무 수행에 있어서 공무수탁사인이나 행정보조자가 아닌 ‘규제된 자율규제’가 등장하였다. 환경법과 미디어법에서 시작하여 제조물관리법과 경제법에서도 시대의 변화에 따른 규제의 형태가 규제완화와는 차원을 달리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고권적 타율규제와 사회적 자율규제가 혼합된 형태를 가진 규제된 자율규제는 질서국가에서 급부국가를 거쳐 보장국가로 나아가는 국가의 역할 변화에 따라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는 형태로 진화된 것이다. 독일에서는 규제된 자율규제의 일반론으로 사후적 평가개념이자 총괄개념인 보장국가에서의 제도적 수단인 규제된 자율규제에 대해 여러 문헌에서 총론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설득력 있는 견해로 규제된 자율규제에서도 그 규제의 중심은 국가에 머물러 있으며, 효율성의 증대를 위해 민영화된 국가임무에 대해 계속적으로 국가가 조종권한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한 특별한 국가적 조종전략으로서의 규제의 전치화라는 견해도 존재한다. 이러한 일반론을 바탕으로 분야별로 청소년보호를 위한 미디어법, 제조물안전인증을 위한 제조물안전법 및 환경감사를 위한 환경법에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민영화로 인한 자율규제로 지방공기업법과 지방자치법과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공영화와 전통적인 규제의 영역에 머물러 있었다면 지방의회의 권한에 포함되어야 할 사안들이 자율규제의 영역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2003년부터 현재까지 대중교통정산업무는 공법상 계약을 통해 사업시행자의 자율규제의 형태로 맡겨져 있는 상태다. 대중교통카드 사업이 공공사업의 성격이 명확함에도 불구하고 예산상의 부족을 이유로 민자사업으로 추진되면서 민영화의 한계와 공공성 확보 및 규제된 자율규제의 논란이 없어지지 않고 있다. 구 지방공기업법에서 지방자치단체가 50%미만을 출자하는 주식회사의 형태인 ‘제3섹터’도 지방공기업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구 지방공기업법 제77조3에서 ‘출자’의 의미에 무상양여도 포함되는지의 문제였다. 그러나 현재는 이 조항이 삭제되어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지방자치법 제41조 및 동법 시행령 제42조에 따라 총 자본금의 25% 이상을 지방자치단체와 소속 공기업 등이 출연·출자한 경우 감사 대상이며 법제처의 유권해석에도 불구하고 행정사무감사를 거부한 ㈜한국스마트카드에 대해 서울시에 과태료 부과를 의뢰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법제처의 유권해석에는 앞에서 설명한 출자와 출연의 정의에 맞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규제된 자율규제는 기존의 고권적 규제의 약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민영화된 영역에서도 전략적으로 국가적 조종의 전치화를 가능케 한다는 시사점이 도출된다. 대중교통정산사업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민자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보장책임은 어디까지이며, 어떤 형태로 충족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앞으로 자율규제의 논의에서 지방자치권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시작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a new legal figure on “regulated self-regulation” in neoliberal privatization. Regulated self-regulation has its origins in environmental and media law. In addition, it is used, for example, in product safety law for product certification and in commercial law in the form of controlling the accounting. Regulated self-regulation is the combination of imperative regulation and social self-regulation. Under imperative regulation is the sovereign external regulation by the stat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regulated self-regulation” is changing the role of the state away from hierarchical control towards the modulation of social processes. If the state now only ensures that this task is performed by private individuals in areas in which it formerly took over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the term “guarantee state” is used. In the state of guarantee, administrations and social actors are pursuing strategic goals in ever closer cooperation networks. Regulated self-regulation is not about law-enforced social governance but about a specific governmental control strategy. Unlike in Germany, self - regulation in Korea has caused problems i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and the local government law. From 2003 onward, the public transportation settlement work has been entrusted to the contractor in the form of self-regulation of the project owner through contracts. Despite the clear nature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business, the public transportation card business is being promoted as a private business due to lack of budget, so that the controversy over privatization, securing of publicity and regulated self-regulation remains. In the former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the 'third sector', which is a type of corporation in which local governments invest less than 50%, was also classified as being included in local public enterprises. Therefore, in Article 77-3 of the former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it was a matter of whether ‘Provided free of charge’ was included in the meaning of ‘Investment’. At present, however, this provision is removed and is not a problem. In accordance with Article 41 of the Local Government law and Article 42 of the it’s Enforcement Decree, the company is audited by local council, if more than 25% of the total capital amount is invested by a local government or affiliated public corporation. The privatization and self-regulat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business have resulted in the power and conflicts of the local councils. There has been a case of requesting a penalty charge to KSCC, which refused to be audited by local council, despite the legal interpretation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MOLEG does not conform to the definition of Contribution and Investment described above. In conclusion, regulated self-regulation not only compensates for the weaknesses of the regulatory regime, but also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strategically transform the national control in the privatized area. As can be seen from the case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settlement business, it is difficult to find a solution to the extent to which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ensuring the publicity of the private-sector business and how to meet them. In this mean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regulated self-regulation, using the example of the Public Transport Fare System in Seoul and KSCC (Korea Smart Card Co., Ltd.), is considered to be systematic analysis.

      • KCI등재

        방송·통신 영역에서 자율규제와 법제도 구성에 관한 고찰

        이부하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과학기술과 법 Vol.14 No.2

        Self-regulation can be defined as “an organized business group self-regulating the actions of its members to protect users.” If there is a need to respect the autonomous discipline of the business organization itself in a specific field, it would be good to introduce a self-regulation system. In newly emerging areas, areas that are rapidly changing or areas that require specialized or policy considerations, would be appropriate for business organizations in those areas to self-regulate because existing legal regulations do not reflect reality or cannot properly reflect reality. Even if a self-regulation system is introduced, the degree of legal intervention in the self-regulation system of business organiza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If the scope of the area is diverse or subject to frequent change, the scope of self-regulation may be narrowed due to strong legal intervention, and in areas dealing with detailed, technical, and specialized matters,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able to demonstrate efficiency and expertise.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degree of legal intervention through self-regulation. In relation to freedom of speech, due to the constitutional order to guarantee the public’s freedom of expression as much as possible, state regulation should be minimized, and self-regulation by business organizations to replace it is judged to be effective. In addition, due to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the field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regulation by the existing positive system for industries in this field makes efficient industrial development difficult. However, as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Internet news, OTT services etc., the side effects caused by digital media exceeded a certain level and reached a level of social conflict and infringement of other people’s rights,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started to regulate illegal information through national legal regulations. Self-regulation was judged to be insufficient to prevent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false information, hate speech, etc. In order for a self-regulatory system to operate properly,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self-regulatory organizations, operational transparency, independence, and enforcement of regulations. The German self-regulatory organization for multimedia service providers is the German Self-Regulation Organization for Multimedia Service Providers(FSM). The German Youth and Media Protection Committee approved FSM, a self-regulatory organizationy, to protect youth from media content. The United States is a country that operates a representative private self-regulation system. However, direct administrative regulations have recently become more prominent in th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fields due to issues such as unfair trade or monopoly. The UK's self-regulatory organization is the Internet Watch Foundation(IWF). IWF carries out tasks such as deleting posts related to child sexual abuse, blocking access, and preventing search/access, and is operating a hotline as the most basic activity to make this possible. The Australian Communications and Media Authority(ACMA) is th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regulator. ACMA is a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 and is a co-regulation model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that supports and cooperates in the establishment of industry codes. The self-regulation system stipulated in Kore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is actually close to administrative regulation. It is appropriat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rganizations to determine and implement a code of conduc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rather than a matter to be stipulated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and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rganizations to make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