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의 존엄 개념에 관한 헌법이론적 고찰 : 독일 헌법학이론을 분석하며

        이부하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성균관법학 Vol.26 No.2

        In Bezug auf den Begriff der Menschenwürde hat Kant wie folgt ge- fasst: "Handle so, dass du die Menschheit, sowohl in deiner Person, als in der Person eines jeden andern, jederzeit zugleich als Zweck, niemals bloß als Mittel brauchtest." Die Würde der Person fordert nicht nur die ein- seitig-sittliche Pflicht, sondern auch die wechselseitig-rechtliche Anerken- nung der Menschen. Und dem Einzelnen vermittelt sie einen rechtmäßigen Anspruch auf Achtung durch seine Mitmenschen. Die Objektformel Dürigs setzte sich nachfolgend durch: Hiernach ist die Menschenwürde betroffen, wenn der konkrete Mensch zum Objekt, zu einem bloßen Mittel, zur vertretbaren Größe herabgewürdigt wird. Der Mensch darf also keiner Behandlung ausgesetzt werden, die seinen verfas- sungsrechtlich geschützten sozialen Wert- und Achtungsanspruch verletzt und damit seine Subjektqualität prinzipiell in Frage stellt. Nach der sog. Kommunikationstheorie stellt sich die Würde des Men- schen nicht als Seinsgegebenheit dar, sondern als Relations- oder Kom- munikationsbegriff. Demgegenüber erkennt die sog. Mitgifttheorie, die in den Beratungen des Parlamentarischen Rates prägend gewesen ist, das Spezifische der Menschenwürde im besonderen Wert des Menschen, der ihm durch den göttlichen Schöpfer oder durch die Natur verliehen worden ist. Alexy kommt zu dem Ergebnis, dass die Menschenwürde kein abso- lutes Prinzip ist. Der Grund für den Eindruck der Absolutheit der Men- schenwürde ergebe sich nach Alexy daraus, dass es zwei Menschen- würde-Normen gibt, eine Menschenwürde-Regel und ein Menschenwürde- Prinzip, sowie daraus, dass es eine Reihe von Bedingungen gibt, unter denen das Menschenwürde-Prinzip mit hoher Sicherheit allen anderen Prin- zipien vorgeht. Die Behauptung eines abstrakten Vorrangs der Menschen- würde setzt bereits ihren Prinzipiencharakter voraus. Denn in Vorrang- relationen können nur Normen eingestellt werden, die die Dimension des Gewichts aufweisen.

      • KCI등재

        빅 데이터(Big Data) 시대 개정 개인정보 보호법에 관한 법적 고찰

        이부하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20 IT와 법 연구 Vol.0 No.21

        With the re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concept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which cannot identify a specific individual without using or combining additional information, was newly established, and it was possible to process pseudonym information without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It is meaningful that a legal basis for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ICT industry was prepared by using such pseudonymized information.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does not apply to information that can no longer be recognized by an individual, ie, ‘anonymous information’ when other information is used when reasonably considering time, cost, and technology.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anonymous information is not a definitive concept, but a tentative concept tha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level of technology available at the time of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scientific research’ is defined as “research that applies scientific method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basic research, applied research, and private investment research.” The scope of use of ‘scientific research’ in personal information is unclea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statistical preparation, scientific research, and preservation of public records recor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e limited to public works or activities for the public good. Betwee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it is limited to writing statistics, scientific research, and preserving records in the public interest to the extent that it can process pseudonymized information without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or statistics for commercial purposes. There is a difference whether writing and industrial research are also includ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stipulates that, in relation to relationship with other Acts,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all be governed by this Act, except as otherwise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other Acts.” Betwee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Bioethics and Safety Act’, ‘Medical Service Act’, and ‘Act on the Protection, Use, etc. of Location Information, there is a question as to which law should be applied first with regard to the application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processing.

      • KCI등재

        헌법적 관점에서 망 중립성과 제로레이팅 서비스 고찰

        이부하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20 과학기술법연구 Vol.26 No.3

        Network neutrality is the principle that Internet service provider(ISP) must treat all Internet communications equally, and not discriminate or charge differently based on user, content, website, platform, application, type of equipment, source address, destination address, or method of communication. Internet service providers(ISPs) can put an economic burden on content providers(CPs) or application providers(APs) in order to solve heavy traffic or explosions. This does not violate the network neutrality principle because it does not discriminate against the content provider(CP) or the application provider(AP), but charges for causing heavy traffic or explosion. In additio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was revised in 2020 to define the high-speed Internet as a ‘universal servi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high-speed Internet to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Zero-Rating denotes a tariff (or tariff option) that allows end-users to access certain content without being charged for the corresponding data consumption. Zero-rating is usually exercised in mobile networks, where it is common to sell end-user tariffs that entail a certain data allowance. Zero-rated content would then not count against that allowance. However, zero-rating is also possible in pay-per-use tariffs, where end-users would pay extra for each marginal unit of data consumption. Here, zero-rated content would incur an incremental data cost of zero. Zero-Rating services are likely to be introduced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CT industry and the Internet, broadcasting, and media markets. Even if Zero-Rating service is introduced, it should be legalized so that users cannot block access to or use of the Internet. In addition, due to the Zero-Rating service, legal regulations should be prepared for monopoly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ISPs). 망 중립성(Network Neutrality)이란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가 모든 인터넷 이용자를 동일하게 취급하여야 하며, 이용자, 콘텐츠, 웹 사이트, 플랫폼, 응용 프로그램, 웹 주소 등에 따라 차별하거나 상이한 비용 지급을 요구해서는 안된다는 원리이다.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는 콘텐츠 제공자(CP)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AP)에게 트래픽 과중이나 트래픽 폭발을 해결하기 위해 경제적 부담을 지울 수 있다. 이는 망 사용료를 콘텐츠 제공자(CP)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AP)를 차별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트래픽 과중이나 폭발을 유발한 데에 대한 부담금을 부과하는 것이므로, 망 중립성 원리에 위반되지 않는다. 또한 2020년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초고속인터넷을 ‘보편적 역무’로 규정하게 됨으로써 경제적 약자에게 초고속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제로레이팅(Zero Rating) 서비스란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가 특정 웹 사이트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거나 서비스를 광고로 후원하거나 특정 웹 사이트를 데이터 할당에서 면제하는 등 특정 조건 하에서 금전적 비용 부담 없이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제로레이팅 서비스는 ICT 산업 발전과 인터넷・방송・미디어 시장의 흐름에 따라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제로레이팅 서비스가 도입되더라도 이용자들의 인터넷 접근이나 이용에 대한 차단이 불가능하도록 법제도화해야 한다. 또한 제로레이팅 서비스로 인해 망 사업자의 독과점에 대한 법적 규제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정치자금법상 정당의 정치자금제도 개선방안

        이부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9 『選擧硏究』 Vol.1 No.10

        Whether or not a corporation or organization can donate political funds should be judged through the jurisdiction between the freedom of association of corporations or organizations to donate political funds and the opposing public interests. Firs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olitical activities through corporate donations and political donations can distort people’s thinking. Seco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donation of political funds by a corporation or an organization and the intention of a member of a corporation or a corporation may be contradicted or infringed. Thir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busive political funds donation can be exploited if the corporation or organization accepts it completely in a political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express political intention properly. In conclusion, in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up to now, the public interest to achieve through the prohibition of the contribution of the corporation or the organization to the political fund is bigger than the private interest. 법인이나 단체가 정치자금을 기부할 수 있느냐 여부는 비교형량을 통해 판단되어야 한다. 첫째, 법인이나 단체의 기탁금 기부를 통한 정치활동이 국민의 의사형성을 왜곡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둘째, 법인이나 단체의 기탁금 기부행위와 법인이나 단체의 구성원의 의사가상충되고 침해되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법인이나 단체가 소신에 따라 정치적의사를 제대로 표현하기 어려운 정치상황에서 이를 전면적으로 허용할 경우 부정한 정치자금기부의 악용 가능성이 있다. 지정기탁금 제도를 법률에 규정해야 한다. 첫째, 국민의 기탁 의사와 무관하게 다른 정당에게정치자금이 지급됨으로써 정치적 의사의 왜곡과 정치자금의 불평등한 배분으로 이어지게 된다. 둘째, 개인이 특정 정당에 기탁금 기부를 법률에서 금지하는 것은 정치적 의사표현에 대한 과도한 제한이며 침해 가능성이 높다. 셋째, 현행 정치자금법상 기탁금의 배분 ․ 지급 방식에 의하면, 특정 정당은 국가의 정치자금 지급을 통해 이중의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 KCI등재

        권력분립원리의 재고찰

        이부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법학논고 Vol.0 No.55

        Separation of powers appears as an almost impossible task. A society in which the observance of the law is not assured, nor the separation of powers defined, has no constitution at all. One can understand the separation of powers as a complex system of institutionalization, justification, limitation, distribution and conditioning of sovereignty. In ‘the Spirit of Law’ of Montesquieu find two quite different motives for the separation of powers. On one hand, the power limitations are connected with their ideal core content, on the other hand also aim at stabilizing and legitimizing powers. Separation of powers is both in terms of the functions to their differentiation, as well as with respect to the persons entrusted with the exercise of the function. It encountered a triadic model of the actual functions of the state, connected with highly differently structured organ responsibilities. The separation of powers in terms of triadic functions distinction focuses on a system of authority in the context of state law realization. It is important to adjust substantive contents, to make a distinction of functions and procedures. It connects to the separation of powers two-fold, on one hand, the idea of a separation of the functions (interfunctional separation of powers), on the other hand, the idea of a division of organ responsibilities within the same state functions (intrafunctional separation of powers). Separation of powers within the meaning of institutionalized segregation of duties takes place there, where independent control should be, not results in the check postulate from the organizational separation of powers. The law affects freedom-assurance by its content and by its superiority to other state authority. On the external -enforcement of the Act by another force or the self-enforcement by agents of the legislature, it is to difficult for the protection of freedom by Law. Bindung of rule of law is conceivable not only as a external-bindung, but also with the same content as a self-binding. The basic idea of separation of powers describes as involving different power holders of tasks within a state function. It’s about intrafunctional separation of powers to limit by personal pluralization of powers, not to the structure of different functions. It means separation of powers no longer divide of powers in the strict sense, no holding apart of functions and power subjects, but powers involvement. 국가 권력분립의 동기로, 권력의 제한에 있고, 다른 하나는, 권력의 정당성 부여에 있다. 이를 권력분립원리의 양면성이라 말할 수 있다. 권력분립을 주창한 존로크는 국가기능을 엄격하게 삼권으로 구분하지 않았다. 몽테스키외도 삼권이 기능적으로 분립되어야 하지만, 엄격한 권력분리를 주장한 것은 아니다. 권력분립에대한 분석에 있어서 기존의 삼권에 국한된 사고는 권력분립의 본질적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든다. 권력분립의 구분은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중요하게 구분할 수 있는 2가지 유형이 있다. 기능간 권력분립과 기능내 권력분립이다. 전자는 국가기관기능의 분리에 초점이 있고, 후자는 국가기관 권력의 배분에 초점이 있다. 각 국가기관에게 입법, 행정, 사법이라는 기능에 부합하게 독점적인 권한을 부여하는것이 가능할지 의문이다. 국가업무는 혼재되어 있어 일정한 기능을 독점하는 것이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정 기능 수행의 예외가 더 많다. 입법 개념과 관련하여, 실질적 개념설에서는 입법의 일반성․추상성이라는 특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입법의 일반성․추상성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성․추상성을 갖추지 못한 법률을 제외하게 만든다. 또한 국민의권리․의무와 관련없는 입법사항은 입법에서 배제하게 되는 결론에 이른다. 따라서입법이란 입법자가 형식적 의미의 법률을 정립하는 국가작용으로 봄이 타당하다. 권력분립에 관한 이론 중 기능 적합성설이 있다. 기능에 맞게 국가기관에게 국가과제를 분배할 경우, 그 기준이 마련되기 어렵다. 또한 기능 적합성설은 순환논법에 빠져있다. 권력분립원리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 첫째, 국가권력 배분과 국가권력 제한을 위해서는 균형의 측면보다는 ‘견제’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국가기능의 과제들을 더 다양한 권력소지자에게 분배해야 한다.

      • KCI등재

        헌법의 수호자로서 헌법재판소의 민주적 정당성

        이부하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외법논집 Vol.42 No.2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constitutional jurisdiction through constitutional court has proved to be insufficient to convincingly democratically legitimize the granting of a final decision-making right in questions of the compatibility of laws with fundamental rights. Functional additional considerations are therefore needed in order to justify this right of last decision. The search is for compensatory functions of constitutional jurisdiction over the political process. It is to be asked whether the democratic procedure misses certain constitutionally necessary goals, the achievement of which can be better guaranteed by a constitutional final decision-making right. In part, the constitutional court is justified as a necessary element of minority protection. Although minorities are not in dire need of protection, especially those who also have the chance to become the majority. However, other things apply to groups that are completely outside the political system or whose interests are not represented in the political process at all. Constitutional task is to protect the political process and its functional conditions and to eliminate democratic dysfunctionalities. This task could only be assumed by a judicial authority, otherwise the democratic process itself would have to provide for its functional conditions. Another legitimization strategy is to offer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role of an authoritative interpreter of a positive natural law. Because the norms of justice and reason normalized, in particular in the fundamental rights, were included in the voting procedures that are so characteristic of the majority democracy.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the task in plural democracy of maintaining the minimum of an integrative function of the constitution, which is indispensable for democracy. Plural democratic societies are then less oriented toward political, social, economic, or cultural consensus, but derive their collective democratic identity and foremost from political conflict through the majority principle. Finally, a final justification strategy is to consider constitutional review rights as necessary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since the legislator can not guarantee this by itself. In contrast, the fundamental rights act as a corrective for political decisions. The guarantor of this limitation of the political activity of the legislature should therefore not be the parliament itself, but an independent body independent of the political power competition and committed only to the constitution. 헌법재판소는 헌법 해석에 관한 최종적인 권한을 지니고 있으며, 헌법의 ‘수호자’로 기능하고 있다. 민주적 정당성은 제도적⋅기능적 민주적 정당성, 실질적⋅내용적 민주적 정당성, 인적 민주적 정당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국가기관의 행위가 실질적⋅내용적 민주적 정당성을 지닌다면, 국가기관의 공권력 행사는 민주적 정당성을 지닌 것으로 간주된다. 헌법재판권 행사에는 민주적 정당성이 필요하다. 국회가 제정한 법률의 위헌성 여부를 헌법재판소에게 최종적 판단권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헌법재판소의 민주적 정당성은 더욱 강하게 요구된다. 헌법재판권의 민주적 정당성의 헌법적 근거로서, 소수자 보호의 과제, 민주주의 보호의 과제, 이성(理性)에 근거함, 공동체 통합의 과제, 기본권 보호의 임무 등이 주장된다. 소수자 보호의 과제와 관련하여, 소수자 보호의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소수자를 헌법적으로 보호해야 하는 정당성을 부여하지는 않는다. 소수집단의 구성원이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헌법상 소수자 보호는 인정된다. 민주주의 보호의 과제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의 과제는 정치과정과 그 기능적 조건을 보호하고, 민주주의의 기능 장애를 제거하는 일이다. 민주주의 과정 그 자체에서 이러한 기능적 조건이 마련되지않는다면, 이러한 과제는 사법(司法)기관인 헌법재판소가 담당해야 할 것이다. 이성(理性)에 근거함과 관련하여, 헌법재판소는 정의와 이성이 투영된 기본권에 대한 유권적 해석자로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받는다. 또한 헌법재판권은 민주주의에 있어서 포기할 수 없는 헌법의 사회공동체 통합의 기능을 최소한으로 수행하는 과제를 부여받고 있다. 기본권 보호의 임무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제도는 기본권 보호의 효율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기본권‘제한적’ 국회와 기본권 ‘보호적’ 헌법재판권의 단면적 대립은 이 문제의 본질을 빗나가게 한다. 오히려 국회는 민주적인 입법절차에서 기본권을 형성하는 입법에 기여함으로써 입법권의 한계를 설정할뿐만 아니라, 입법절차의 구조화에도 기여함으로써 기본권을 보호하고 있다.

      • KCI등재

        인터넷상 아동・청소년 성(性) 표현물의 법률적 규제에 대한 헌법적 고찰 - 독일의 법제도를 고찰하며 -

        이부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법학논고 Vol.0 No.60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is an important legal interest in the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state’s measures against the illeg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ornography of children and youth on the Internet by the spread of the Internet. We look at the constitutional grounds of children and youth protection. In the State obligation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the restrictions are placed on the priority rather than freedom of expression. However, legislators have the problem that they can not force other state agencies to take specific actions (protection measures). According to the general personality rights view, it is obtained from general personality rights based on Article 2 (1) GCL. Parental Right of Education theory finds its basis in parental Right of Education under Article 6 (2) GCL. I think that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in the German Constitution is based on the ‘general personality rights’ in the meaning of Article 2 (1) GCL and the ‘parental Right of Education’ of Article 6 (2) GCL. The applicant for the blocking action is an access provider that provides children and youth pornography on the web content. The top legislative purpose of blocking action is i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In addition, if the law provides that the accessibility of children and youth pornography content is practically restricted and the long-term risk of unencumbered distribution of children and youth pornography content is minimized,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s is recognized. The blocking action to prevent children and youth pornography on the Internet can be regarded as the minimum necessary measur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and is not against the principle of necessity. The blocking action of children and youth pornography on the web content is the slightest restriction of job freedom by preventing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hildren and youth pornography. 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on of the victims of children and youth through the blockade of children and youth pornography internet sites and the contribution of the children and youth to a healthy personality can be said to be very enormous. 아동・청소년 보호에 대한 헌법적 근거와 관련하여, 기본권보호의무설에서는 의사표현의 자유 보다 그 제한규정을 우위에 둔다. 그러나 입법자가 다른 국가권력에게 특정 행위(보호조치)를 하도록 강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일반적 인격권설에서는 독일 기본법 제2조 제1항에 근거하고 있는 일반적 인격권에서구한다. 반면, 부모의 양육권설에서는 독일 기본법 제6조 제2항의 부모의 양육권에서 그 근거를 찾는다. 독일 헌법상 아동・청소년 보호는 독일 기본법 제1조 제1 항과 관련된 기본법 제2조 제1항의 의미에서 ‘일반적 인격권’과 독일 기본법 제6조제2항의 ‘부모의 양육권’에 근거한다고 볼 수 있다. 아동・청소년 포르노 전송 방지 또는 중단 조치에 대한 수범자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이다. 이러한 전송 방지 또는 중단 조치에 대해 헌법상 비례성 원칙 심사를해보면, 아동・청소년 포르노 콘텐츠 전송 방지 또는 중단 조치의 최우선적 입법목적은 ‘아동・청소년 보호’에 있다. 또한 법률상 전송 방지 또는 중단 조치를 통해 아동・청소년 포르노 콘텐츠의 접근 가능성이 실제적으로 제한되고 아동・청소년 포르노 콘텐츠의 방해받지 않는 배포라는 장기적인 위험이 최소화되는 경우, 수단의 적합성이 인정된다. 인터넷상 아동・청소년 포르노 위험 방지를 위한 전송방지 또는 중단 조치는 입법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조치라 할 수 있으며, 침해의 최소성 원칙에 반하지 않는다. 아동・청소년 포르노 전송 방지 또는중단 조치는 아동・청소년 포르노 제작・배포를 방지함으로써 제한되는 직업수행의 자유라는 사익은 그 피해의 미미함에 반하여, 아동・청소년 포르노 전송 방지또는 중단 조치를 통해 아동・청소년 피해자 보호와 아동・청소년이 건전한 인격체로 성장하도록 기여하는 공익은 매우 막대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법익의 균형성 원칙도 충족한다.

      • KCI등재후보

        공인(公人)의 인격권과 표현의 자유

        이부하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법학 Vol.20 No.1

        The balancing of freedom of speech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reputation has been the subject of litigation for many years. The law of defamation of public figures was settled by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in 1964 with its landmark holding in New York Times v. Sullivan. The New York Times decision only made clear that the term “public official” included elected officials, but not all public employees. The Supreme Court left the task of formulating a more specific definition for later cases, providing its best definition of public official in Rosenblatt. The Supreme Court stated that the designation “public official”, includes, “at the very least … government employees who have or appear to the public to have, substantial responsibility for, or control over the conduct of governmental affairs.”“Actual malice rule” in the United States is born by supremacy of the freedom of speech; in the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rticle 1, “Congress shall make no law abridging the freedom of speech”. Also majority of judges of supreme court agree with the inviolable freedom of speech. On the other hand, in South of Korea, there are some articles limiting fundamental rights by law (Reservation of Laws Art. 21 ④ ․ Art. 37 ②). It means the freedom of speech can be limited by that articles. So, “Actual malice rule” hards to be applicable intactly in Korea. 공인에 대한 인격권 침해의 경우 일반 사인과 다른 기준을 적용해야 할지 여부에 관하여 각국 사법부에서는 여러 판결이 있어 왔다. 그 중 미국 연방대법원의 1964년 ‘New York Times Co. v. Sullivan’ 판결은 공직자에 대한 명예훼손 내용이 현실적 악의에 의해 작성되었음을 원고인 공직자 자신이 입증해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그 후 현실적 악의 원칙이 적용되는 대상을 공직자뿐만 아니라 공적 인물에도 확대하는 판결이 나왔다. Gertz 판결에서는 공무원이나 공적 인물로의 구분을 더 세분화하여 공적 인물을 전면적 공적 인물과 제한적 공적 인물로 나누었다. 독일에서는 인격영역이론이 주장되었다. 이 이론에 의하면, 인격권의 보호영역을 내밀영역, 비밀영역, 사적 영역, 사회적 영역, 공개적 영역으로 나눈다. 공인의 내밀영역이나 비밀영역에 대한 표현보다 공인의 인격권이 우선하지만, 사회적 영역과 공개적 영역의 표현으로 인해 공인의 인격권은 제한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인의 인격권 침해에 대한 사법심사에 있어서 공인의 범위가 확정되어야 하고, 인격권의 보호영역도 확정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판례에서는 인격권 침해의 대상자가 공인인지 사인인지, 그 표현이 공적인 관심 사안인지 아니면 순수한 사적인 영역에 속하는 사안인지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와 더불어 표현매체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고, 표현행위가 공적 공간에서 이루어졌는지 아니면 사적 공간에서 이루어졌는지 여부도 구분하여 판단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매체 융합시대에 방송의 자유와 온라인 매체에 의한 방송 - 독일 헌법이론을 중심으로 -

        이부하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외법논집 Vol.41 No.4

        Freedom of broadcasting serves the purpose of free, individual and public opinion. The legal system to ensure broadcasting freedom, which is contained in Article 5 (1) 2 GCL, aims at an order which ensures that the diversity of existing views on broadcasting is expressed in the widest possible range and completeness. The forming of this legal system is the task of the legislature, which has a wide scope for forming, also for differentiation,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type of regulation.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meets the requirement of a mass-communicative element, because the recipient is ‘a large number of people’ despite hav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he ‘reporting’ requirement of the broadcasting concept requires editorial activities. The Internet broadcaster filters the information through editorial activities and selects the contents to provide Internet broadcasting. The legal aspect of the Broadcasting System is the prominent importance of broadcasting in the mass-media because of its breadth, topicality and suggestive power. Its breadth is reflected in the range and the possibility of influencing large sections of the population. For example, audiovisual mass media have long shaped the majority of citizens’ daily lives.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is not subject to program-dependent temporal restrictions, and can be mutually discussed in open and accessible forums in Internet broadcasting media programs. The content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can be transmitted quickly, even at the same time, to the recipients. The suggestive power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results in particular from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he communication forms of texts, sounds and moving pictures at a low cost, so that a wide range of effects is recognized.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has the suggestive power, becaus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ve discourse on publicly accessible forums exists.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fulfills the requirement of the suggestive power, because the user itself has to select program on the basis of a multitude of selection possibilities. 독일 기본법 제5조 제1항 2문의 방송의 자유 규정은 자유로운 개인적⋅공적 의사형성에 기여하기위한 것이다. 독일 헌법상 방송의 자유를 보장하는 취지는 가능한 한 폭넓고 완전하게 방송에 존재하는 의견의 다양성 보장에 있다. 인터넷 방송매체는 방송 개념의 중요한 징표로서 ‘기술적 전파 수단’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 또한 방송 개념의 ‘대중적 의사소통’ 요건은 수신자가 ‘다수의 대중’ 인데, 인터넷 방송매체는 이용자의 정보를 소지함에도 불구하고, 수신자가 ‘다수의 대중’이라는 점에서 이 요건도 충족하고 있다. 방송 개념의 ‘보도’ 요건은 편집행위를 요구하는데, 인터넷 방송사는 편집행위를통해 정보들을 여과하고 내용적으로 선별하여 인터넷 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에 의하면, 방송은 광범위한 효력(Breitenwirkung), 최신성(Aktualität), 잠재적 영향력(Suggestivkraft)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인터넷 방송매체에 전통적인 방송매체의 특성인 광범위한 효력, 최신성, 잠재적 영향력이 있는지를 논증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 방송의 시청은 프로그램에 실시간 종속되지 않아 시간적 제한을 받지 않으며, 인터넷 방송매체 프로그램에서 공개적이고 접속가능한 포럼에서 상호간 토론도 가능하므로 광범위한 효력이 인정된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문자, 음향, 동영상이 결합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청각 매체이므로, 광범위한 효력이 인정된다. 검색엔진이 전통적인 방송매체의 특성인 광범위한 효력, 최신성, 잠재적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지를판단해 본다. 검색엔진 업체는 정보 검색에 있어서 게이트 키퍼(gate keeper)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제공의 ‘광범위한 효력’이 인정된다. 또한 검색결과의 ‘최신성’과 관련하여, 인터넷에서 검색엔진을 통한 정보 검색은 그 내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신성 요건은 충족된다. 그러나 검색엔진은 ‘잠재적 영향력’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검색엔진은 프로그램의 제작 등 전통적인 방송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인터넷 검색을 통한 결과목록의 제공은 전통적인 방송 프로그램과 견줄만한잠재적 영향력을 지니지 못했다.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 분야 법체계 개선방안 연구

        이부하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6 IT와 법 연구 Vol.0 No.1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review of the legal systems across ICT sectors; to identify conflicting and overlapping ICT statutes enacted and amended over the year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legal systems to ensure efficient and systemic operation of ICT policies; and to propose detailed phased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s across ICT sectors. This Research seeks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review of the legal systems across ICT sectors and draw out improvements for ICT sector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target, scope, and purpose of each statute to ensure the efficient and systemic operation of ICT policies. The Research is also aimed at establishing detailed phased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s across ICT sectors, which will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CT legal systems. Phase 1: Restructure the overall system of ICT laws, and carry out a demand survey for ICT law improvement. Phase 2: Restructure the system of regulation laws. Phase 3: Restructure the system of promotion laws. Phase 4: Restructure the system of ICT convergence laws. To improve ICT legal systems, 1) the “Framework Act on ICT Convergence” needs to be enacted to identify and systematize ICTs. 2) ICT-related authorities currently distributed across various organizations need to be integrated. 3) The regulatory system under ICT laws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negative regulatory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