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법분야 투고논문 : 마그나 카르타와 저항권

        윤정인 ( Jeong-in Yun ),김선택 ( Seon-taek Kim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2 No.4

        1215년 6월 15일 영국의 러니미드 초원에서 40인의 봉신들의 압박하에 존 왕이 날인함으로써 마그나 카르타가 탄생하였다. 이후 마그나 카르타는 몇 차례의 개정과 왕들의 반복된 승인을 통해, 그리고 영국의 실정법 속에 반영됨으로써, 영국 헌정에 깊이 뿌리내리게 되었다. 나아가 마그나 카르타에 담긴 - 이후에 매우 중요한 헌법적 원리 및 제도로 발전된 - 원칙들은 영연방, 미국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의 헌법제정에 참고가 되었고, 세계인권선언 등 보편적 차원의 인권보장규범의 제정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이 글에서는 마그나 카르타에 포함되었던 저항권의 의의와 내용, 후대에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저항권이란, 국가권력에 의해 헌법질서에 중대한 침해가 이루어졌을 때 국민이 자신의 자유와 권리를 지키기 위하여 국가권력에 대하여 실력으로 저항하는 주관적 권리를 의미한다. 마그나 카르타가 성립될 당시 존 왕은 반복된 패전과 과도한 세금 징수로 봉신들과 일반 백성들의 반란 위협을 받고 있었고, 결국 봉신들과 귀족들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양해각서인 마그나 카르타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마그나 카르타는 종래 법의 지배 바깥에서 권력을 행사하며 봉건적 의무를 남용하였던 왕을 국가의 법과 마그나 카르타의 효력에 기속시키게 된최초의 문서였다. 심지어 그러한 내용의 문서를 왕에게 직접 날인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마그나카르타는 그 자체로서 이미 폭정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마그나 카르타는 효력을 관철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제61조를 두고 있었는데, 동 조항은 마그나 카르타를 위반하여 봉신들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한 왕에게 25인의 봉신들이 실효적으로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었다. 즉 왕이 봉신들의 자유와 권리를 함부로 침해할 경우 봉신들이 왕을 제재할 권리를 명시적으로 규정하였다는 점에서 저항권조항이 헌법적 문서에 규정된 최초의 사례로 볼 수 있다. 현대 입헌민주주의 국가들에서, 전제왕정에 대항하여 전개되었던 고전적 저항권사상이나 저항권 논리는 그 현재적 적실성을 의심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부당한 국가권력 행사에 대하여 저항하고, 자신에게 보장된 존엄과 자유와 권리의 보장을 관철할 수있는 수단으로서의 저항권은, 초실정법적 권리로서, 국민주권의 구체적 징표로서 그리고 정법(正法)을 지향하는 인간의 권리로서 여전히 중요성을 가진다. 800 years ago, Magna Carta was sealed by King John under the pressure of forty barons on 15 June 1215. Over time, Magna Carta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English laws and deeply embedded in the constitutional tradition of the Commonwealth states. The clauses in the Magna Carta, which later developed int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institutions, gave great influence on constitution-making in many countries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s such a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significance and contents of the right of resistance contained in Magna Carta and its influence today. The right of resistance refers to the subject right of the people against the exercise of state power when it violated to a great degree constitutional order. In 1215, King John faced with a serious threat of rebellion by barons and other subjects over recurrent defeat in the war and excessive tax burdens. King John had no choice but to make concessions that he should not infringe on the liberties and rights of barons and nobles. Magna Carta made the king’s power bound to the laws of the lan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humankind. In that the king could not help sealing on the Magna Carta against his own will, Magna Carts itself can be called a kind of resistance against tyranny. Moreover, the Clause 61 of the Magna Carta provided that the barons could distrain and distress the king and its possessions when he violated the liberties and rights of the barons enshrined in the Magna Carta. So, the Clause 61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s the first clause of sanction against the king in the constitutional document ever. In modern constitutional democratic states, in which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nd its mechanisms are well established, it could be doubted that the right to resistance against the king is still useful. However, the right of resistance is still important because it is a right of resistance against the unjust act of government and a right of asserting own’s dignity, liberty and rights. And it also implies the people’s sovereign power.

      • KCI등재

        마그나 카르타와 저항권

        윤정인,김선택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2 No.4

        800 years ago, Magna Carta was sealed by King John under the pressure of forty barons on 15th June, 1215. Over time, Magna Carta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English laws and deeply embedded in the constitutional tradition of the Commonwealth states. The clauses in the Magna Carta, which later developed int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institutions, gave great influence on the constitution-making in many countries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s such a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significance and contents of the right of resistance contained in Magna Carta and its influence today. The right of resistance refers to the subject right of the people against the exercise of state power when it violated to a great degree constitutional order. In 1215, King John faced with a serious threat of rebellion by barons and other subjects over recurrent defeat in the war and excessive tax burdens. King John had no choice but to make concessions that he should not infringe on the liberties and rights of barons and nobles. Magna Carta made the king’s power bound to the laws of the lan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humankind. In that, the king could not help sealing on the Magna Carta against his own will, Magna Carts itself can be called a kind of resistance against tyranny. Moreover, the Clause 61 of the Magna Carta provided that the barons could distrain and distress the king and its possessions when he violated the liberties and rights of the barons enshrined in the Magna Carta. So, the Clause 61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s the first clause of sanction against the king in the constitutional document ever. In modern constitutional democratic states, in which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nd its mechanisms are well established, it could be doubted that the right to resistance against the king is still useful. However, the right of resistance is still important because it is a right of resistance against the unjust act of government and a right of asserting own’s dignity, liberty and rights. And it also implies the people’s sovereign power. 1215년 6월 15일 영국의 러니미드 초원에서 40인의 봉신들의 압박하에 존 왕이 날인함으로써 마그나 카르타가 탄생하였다. 이후 마그나 카르타는 몇 차례의 개정과 왕들의 반복된 승인을 통해, 그리고 영국의 실정법 속에 반영됨으로써, 영국 헌정에 깊이 뿌리내리게 되었다. 나아가 마그나 카르타에 담긴 - 이후에 매우 중요한 헌법적 원리 및 제도로 발전된 - 원칙들은 영연방, 미국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의 헌법제정에 참고가 되었고, 세계인권선언 등 보편적 차원의 인권보장규범의 제정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이 글에서는 마그나 카르타에 포함되었던 저항권의 의의와 내용, 후대에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저항권이란, 국가권력에 의해 헌법질서에 중대한 침해가 이루어졌을 때 국민이 자신의 자유와 권리를 지키기 위하여 국가권력에 대하여 실력으로 저항하는 주관적 권리를 의미한다. 마그나 카르타가 성립될 당시 존 왕은 반복된 패전과 과도한 세금 징수로 봉신들과 일반 백성들의 반란 위협을 받고 있었고, 결국 봉신들과 귀족들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양해각서인 마그나 카르타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마그나 카르타는 종래 법의 지배 바깥에서 권력을 행사하며 봉건적 의무를 남용하였던 왕을 국가의 법과 마그나 카르타의 효력에 기속시키게 된 최초의 문서였다. 심지어 그러한 내용의 문서를 왕에게 직접 날인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마그나 카르타는 그 자체로서 이미 폭정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마그나 카르타는 효력을 관철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제61조를 두고 있었는데, 동 조항은 마그나 카르타를 위반하여 봉신들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한 왕에게 25인의 봉신들이 실효적으로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었다. 즉 왕이 봉신들의 자유와 권리를 함부로 침해할 경우 봉신들이 왕을 제재할 권리를 명시적으로 규정하였다는 점에서 저항권조항이 헌법적 문서에 규정된 최초의 사례로 볼 수 있다. 현대 입헌민주주의 국가들에서, 전제왕정에 대항하여 전개되었던 고전적 저항권사상이나 저항권 논리는 그 현재적 적실성을 의심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부당한 국가권력 행사에 대하여 저항하고, 자신에게 보장된 존엄과 자유와 권리의 보장을 관철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저항권은, 초실정법적 권리로서, 국민주권의 구체적 징표로서 그리고 정법(正法)을 지향하는 인간의 권리로서 여전히 중요성을 가진다.

      • KCI등재

        피에르 쥐리외(Pierre Jurieu)의 정치사상

        김충현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2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political thought of a Huguenot in the 17th century, that is Pierre Jurieu. And To try to think relevance between his political thought and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 Jurieu, calle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Huguenot's political thought, set off his own political thought through Lettres pastorales aux fidèles qui gémissent sous la captivité de Babylone. They were the letters to the Huguenots who were persecuted by Louis XIV while he was in exile to the Netherlands. Through three letters, he defended the rights of the people referring to the miserable lives of the Huguenot and their resistance at that time. To defend the right of resistance, firstly he set forth “popular sovereignty.” He indicates that the sovereignty is on the people born free and equal in God's creation. Accordingly, the sovereignty to put up the king and put him down is on the people. Secondly, when the people put up the king, they conceded the sovereignty to him. It means the mutual contract is established between the people and the king. According to this contract, the responsibility is established mutually, which means the people voluntarily give up some rights in return for the protection of the king for them. If one of them neglects the responsibility, the contract will be dismissed. Accordingly, the sovereignty of the king is not unlimited, it is valid in the condition that the king protects the people. If the king doesn't protect the people, the contract will be dismissed and the people will not need to obey the king. As the alternative, they can resist to protect their rights. This political thought of Jurieu is similar to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 in French Revolution. The essential contents, Article 1, 2, 3 are the examples. In French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 Article 1 gives the clear demonstration about the right of freedom and the equal right(Men ar born and remain free and equal in rights). And Article 2 demonstrates cleary about the right of resistance(The aim of all political association is the preservation of the natural and imprescriptible rights of man. These rights ar liberty, property, security and resistance to oppression). And also Article 3 demonstrates about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The principle of all sovereignty resides essentially in the nation). Such articles are similar to Jurieu's sovereignty of the people, mutual contract and the right of resistance. But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between Jurieu's thought and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 Jurieu's thought has periodical limits on the aspects such as its neglecting of the right of private possession, its absence of recognition on the freedom of conscience, its recognition about the monarchy as the best system and its putting the public interest before the individual freedom. Certainly, through Jurieu's political thought, it became very clear that Sovereignty of the people, the right of resistance, the freedom and the equal right were not the products of the 18th century. But we will be able to make sure whether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Huguenot represented by Jurieu's thought is the origin of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 or not, after studying how it overcame the limit of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observation on the events and the thoughts from 1689 to 1789.

      • KCI등재후보

        한국헌법의 개정에 관한 연구- ‘정보기본권’, 저항권, 정부형태, 대통령의 임기를 중심으로 -

        김정완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18 比較法硏究 Vol.18 No.3

        국민은 국가권력구조의 개편을 위한 헌법개정보다는 사회적 논란이 야기되고 있는 현행헌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재정립하여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는 헌법개정을 원하고 있다. 헌법개정을 하려면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과 요구를 수렴하고 국민의 의사가 개헌안에 반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개헌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개헌의 필요성에 관한 국민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 국민적 합의가 도출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권에서 개헌안을 발의하는 것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그래서 개헌논의의 공론화를 통한 국민적 합의의 도출을 위해서는 정당, 학계, 언론기관 그리고 시민단체들이 여론조사와 공청회 그리고 토론회를 개최하여 공론화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헌법개정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회가 주도하여 개헌안의 발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지만, 그 과정에 국민의 활발한 참여가 보장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는 정보기본권과 저항권, 정부형태 그리고 대통령의 임기에 관하여 헌법개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정보기본권은 정보이용자의 보호를 위해 고려될 수 있는 기본적 권리이고 새로운 기본권이다. 정보이용자들은 문화적 참여권 등의 문화적 기본권을 누리게 되기 때문에 정보이용자들은 적극적으로 국가에 대해 문화적 기본수요에 대한 충족을 요구할 수 있는 근거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필자는 정보기본권이 헌법상의 권리로 규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필자는 헌법 제1조 제3항을 신설하여 국가권력이 헌정질서를 위협할 정도로 침해가 있고 침해받은 2인 이상의 국민이 있는 경우에 모든 국민은 다른 구제수단이 불가능할 때에는 국가권력에 저항할 권리를 가진다 라고 저항권을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현행헌법의 제일 큰 문제점은 대통령제 정부형태를 취하고 있으면서도 대통령제의 장점을 발휘할 수 없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대통령 단임제는 과거와 같은 1인 장기집권의 폐해를 방지하는 면에서는 순기능적이지만 조기 레임덕 현상으로 안정적인 국정수행이 어렵게 된다. 또한 국정의 연속성 및 유기적 운영 그리고 책임정치의 구현이라는 측면에서도 재임의 가능성을 열어놓아야 한다. 특히 집권여당이 국회의 소수당일 때 대통령단임제의 권력행사가 얼마나 제한되며 소모적이 될 수 있는지는 우리가 잘 경험한 바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통령의 임기를 규정한 헌법 제70조는 대통령의 임기는 5년으로 하며, 중임할 수 없다. 라고 규정되어 있는데, 필자는 이러한 대통령의 단임제는 국정의 연속성, 책임정치의 구현을 실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통령의 단임제의 채택여부에 관해서 강력히 문제를 제기하는 바이다. 필자는 대통령의 임기를 5년 단임제에서 4년 중임제로 개헌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만약 우리나라가 헌법개정이 필요하다면 지금까지 나온 헌법개정안을 분석하고 새로운 외국법을 참조하여 앞으로의 국가발전을 위하여 국회는 헌법연구를 해야 한다. 그리고 헌법개정을 해야 한다면 국회가 중심이 되는 헌법을 만들어야 할 것이요, 제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헌법을 개정해야 할 것이다. What people want is not the revision which solve the problem of the constitution in force which causes social controversy, resolving unnecessary social conflict in order to amend the Constitution. However, what people want is not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for restructuring state power system, but the revision which solve the problem of the Constitution in force which causes social controversy, resolving unnecessary social conflict. In order to amend the Constitution, various opinions and demands of the people should be collected and the will of the people should be reflected in the constitution. In order for the amendment to be justified, a national consensus on the necessity of amendment should be premised. It is difficult to justify the proposal for a constitutional amendment in the political circle in the absence of national consensus. Therefore, political parties, academics, media organizations, and civic groups should hold public opinion surveys, public hearings and debat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ublic debate in order to draw public consensus through the public discussion of the constitutional debate. In order to secure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initiate the initiative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proposal, but it is important that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is guaranteed in the process. Writer thinks that the Constitution should be revised with respect to the fundamental right of information, right of resistance, a form of government and presidential term. To put it concretely the fundamental right of information is a fundamental right that can be considered for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 users and it is a new fundamental right. Since information users enjoy cultural fundamental rights such as cultural participation rights, information users have a basis for actively demanding the fulfillment of basic cultural needs of the nation. And writer thinks that the fundamental right of information should be defined as constitutional rights. In addition writer thinks that if there are two or more people whose powers are violated and whose two or more people are violated by the establishment of Article 1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all people have the right to resist state authority when it is impossible. The main problem of the current Constitution is that it can not take advantage of the presidential system while taking the form of the presidential system. And the president's single - term system is purely functional in terms of preventing the abolition of long - term power such as the past, but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stable government due to premature lame duck phenomenon.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reappointment should be opened in terms of continuity of state affairs, organic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responsible politics. In particular, we have experienced how limited and unnecessary the exercise of the power of the unilateral presidency can be when the ruling party is a minority party of the National Assembly. Article 70 of the Constitution, which prescribes the term of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tipulates that the term of the President shall be five years and that it can not be redeemed . It is difficult to do so, and it poses a serious problem. Writer thinks the reform of the president 's term from a five - year term to a four - year term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 current lawmakers' right to unblock is recognized, but if the case is bound by the consent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is bound by the court, the authority shall be suspended until a final judgment is reached. If Korea needs to revise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should be analyzed and the Constitutional Law should be studied by the National Assembl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nation by referring to the new foreign law. And a constitutional amendment is to be made,...

      • KCI등재

        현대적 저항권 개념의 일고찰

        김정훈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In today’s society, characterized by the age of new media, the age of information, and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traditional right of resistance governed under the democratic constitution has no longer been reduced to useless power. Thus, the need for a new modern concept of resistance to overcome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sistance is emerging. It should be expanded to the concept of the right to resist the unfair exercise of state power in life, such as the civil disobedienc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This paper examined the theory of resistance along with the ideological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sistance, demonstrated its uselessness under the modern constitutional order of law and democracy, suggested the need to redefine the concept and theory of resistance.

      • KCI등재

        5.18의 법적 재현에서 나타난 대중봉기와 헌정

        김정한(Kim Jung H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서강인문논총 Vol.0 No.57

        5.18재판에서 사법부의 판결은 1) 서울지방법원 판결문(1996. 8. 26.), 2) 서울고등법원 판결문(1996. 12. 16.), 3) 대법원 판결문(1997. 4. 17.)으로 이루어져 있다. 5.18재판은 12.12 군사반란과 5.17 내란에 초점을 맞추고 5.18의 학살은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고등법원의 판결은 5.18을 가장 급진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서울고등법원은 5.18에서 국민의 저항이 헌법제정권력이자 헌법기관이며, 학살자들의 국헌문란이 1987년 6월 항쟁에서 종료된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급진적인 재현은 대법원에서 기각된다. 이는 대법원이 국민의 저항권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고등법원과 대법원 간의 판결의 차이에서 드러난 중요한 쟁점은 국민의 저항권을 어떤 차원에서 수용하느냐에 있다. 현행 헌법에 국민의 저항권은 구체적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며, 4.19 민주 이념의 계승이라는 표현에서 유추해석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저항권을 명문화하는 것과 유추해석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또한 헌법재판소의 판례처럼 일정한 조건의 제약이 있는 소극적인 저항권만이 아니라 적극적 저항권까지 헌법에 수용되어야 한다. 이것은 5.18 당시 국민의 결집된 저항을 헌법제정권력이자 헌법기관으로 승인했던 서울고등법원의 급진적 재현을 복원하는 일이기도 하다. 사법부의 판결은 5.18을 헌법수호운동으로 재현하고 있으며, 이는 비록 5.18이 1987년 헌법의 전문에 명문화되지는 않았지만 이미 대한민국 헌정체제의 일부로 인정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5.18의 법적 재현은 헌법에 국민의 저항권이 명시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남기고 있다. The judiciary"s ruling in the 5.18 trial consists of 1) the Seoul District Court"s ruling (1996. 8. 26.), the Seoul High Court"s ruling(1996. 12. 16.), and 3) the Supreme Court"s ruling (1997. 4. 17.). The May 18 trial focused on the 12.12 military rebellion and the 5.17 civil war, but the massacre of the 5.18 was not handled properly. Nevertheless, the Seoul High Court"s ruling represents the 5.18 uprising most radically. The Seoul High Court ruled that the people"s resistance is constitutional power and a constitutional institution, that constitutional disorder crime of the massacres ends in the June 1987 uprising. But it was rejected by the Supreme Court. This is because the Supreme Court does not actively accept the theory of people"s right to resistance. An important issue revealed in the differences in rulings between the Seoul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 lies in what dimension the people"s right to resistance is accepted. The people"s right to resistance is not specifically registered in the current Constitution, and it is only being inferred from the expression of inheriting the 4.19 democratic ideal.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pecifying the right to resist and interpreting it in analogy. Also, as in the Constitutional Court"s case, not only the right to passive resistance with certain conditions of constraints, but also the right to active resistance should be accepted by the Constitution. This is to restore the radical representation of the Seoul High Court, which approved the people"s united resistance of the 5.18 as a constitutional power and a constitutional institution. The May 18th Trials shows that the 5.18 uprising is not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but already forms a part of the constitutional system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legal representation of the 5.18 uprising leaves the task that the people"s right to resistance should be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 판소리계 小說에 나타난 抵抗性

        金昌辰(Kim Changjin) 세계한국어문학회 2010 세계한국어문학 Vol.3 No.-

        이 글은 판소리계 소설을 抵抗性의 觀點에서 살펴본 논문이다. 판소리계 소설들은 抵抗性의 觀點에서 세 가지 類型으로 나눌 수 있다. “支配層에 對한 抵抗型”을 살펴본 결과, 〈토끼전〉에서 토끼는 국민의 목숨이 支配層에 의해 不當하게 威脅당하지 않을 권리, 곧 안정된 生存權을 요구하고 있다. 〈赤壁歌〉에서 軍士들도 〈토끼전〉의 토끼와 똑같은 권리, 곧 안정된 生存權을 요구하고 있다. “男子에 對한 抵抗型”을 살펴본 결과, 〈春香傳〉에서 春香은 自由戀愛權 및 配偶者 選擇權을 요구하고 있다. 〈裵裨將傳〉에서 愛娘은 妓生이라는 직업인으로서 존중받을 권리 곧 職業的 人格權을 요구하고 있다. “運命에 對한 抵抗型”을 살펴본 결과, 〈沈淸傳〉에서 심봉사는 障碍人도 인격적으로 대접받고 살 권리, 곧 社會福祉權을 요구하고 있다. 또 〈興夫傳〉에서 興夫는 食糧權的 生存權을 요구하고 있다. 〈변강쇠가〉에서 변강쇠는 굶어죽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살 권리를 요구하고 있다. 종합하면 판소리계 소설들에는 弱者인 被支配層 · 女子 · 없는 자들이 ‘더불어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권리’, 곧 ‘共存共榮權’을 요구하는 抵抗精神이 貫通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興夫傳〉의 興夫 · 〈春香傳〉의 春香 · 〈토끼전〉의 토끼, 이 세 인물이 보여준 抵抗精神은 오늘날 韓國人들도 본받아 영원히 지켜 나가야 할 훌륭한 抵抗性이라 평가한다. 곧 興夫의 ‘家長으로서 責任感’ 및 ‘더불어 살기 및 베풀기 정신’, 春香의 ‘自主的 態度’와 ‘强靭한 精神力’, 토끼의 ‘智慧’와 ‘不屈의 精神力’은 韓國人이 永遠히 지녀 나가야 할 價値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seven pieces of Pansori novels in terms of resistance. Pansori novel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resistance to the ruling class” in 〈Tokki-jeon〉 and 〈Jeokbyeok-ga〉; “resistance to the male” in 〈Chunhyang-jeon〉 and 〈Baebijang-jeon〉; and “resistance to the fate” in 〈Simchung-jeon〉, 〈Heungbu-jeon〉 and 〈Byeonkangsoi-ga.〉 First of all, regarding resistance to the ruling class, it turned out that Tokki, the rabbit, in 〈Tokki-jeon〉 asks for the right to live, which means people's life cannot be menaced by ruling class. Soldiers in 〈Jeokbyeok-ga〉 call for the same rights as well. Next, regarding resistance to the male, Chunhyang claims women's rights to choose their mate. Aerang in 〈Baebijang-jeon〉 insists a social right of gisaeng(a singing and dancing girl) as a type of worker. Finally, regarding resistance to the fate, Simbongsa, the blind, demands fair treatment of disabled people with dignity in 〈Simchung-jeon〉. Heungbu in 〈Heungbu-jeon〉 claims the rights at least not to die of hunger and Byeonkangsoi also calls for the same rights and the rights to be free as well in 〈Byeonkangsoi-ga〉. All in all, the underprivileged such as the subjects, women and the poor claims the right to live together with humanity, which penetrates in Pansori novels. Especially resisting force, Heungbu in 〈Heungbu-jeon〉, Chunhyang in 〈Chunhyang-jeon〉 and Tokki in 〈Tokki-jeon〉 represent, should be highly praised. That means responsibility as a patriarch and the spirit of cooperation and sharing, Heungbu shows;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infrangible moral strength Chunhyang has; and wisdom and spiritual strength, Tokki reflects are the values that Koreans should keep in mind forever.

      • 칸트의 시민 저항권과 법의 기원 - 군주의 강제권 개념을 중심으로 -

        허유선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6 철학·사상·문화 Vol.0 No.4

        In Kant's theory, a people who already subject to an existent civil community cannot offer resistance to the head of state.For a people to be authorized to resist, there would have to be a public law permitting it to resist, that is, civil laws are over civil constitution, this is self-contradictory. It is grounded on an original contract that lies a priory the rational idea of pure pracitce reason in civil condition that before a public lawful condition. A people are allowed only that oppose any injustice by complaint but not by resistance although the head of state violates an original contract. But they too havetheir inalienable rights against the head of state by a idea of the first contract, even though it cannot allowed coercive right against the ruler. Thus freedom of pen is the only guardian of the people's right. For it is a public use of reason by maxim of publicity. 칸트에게 시민들의 저항은 절대적으로 불법적이다. 국가의 수장은 국민의 반란 및 봉기를 금지하고 만약 저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것을 제압하고 처벌할 강제권을 갖는다. 군주의 강제권은 매우 강력하고 절대적이다. 설령 국가의 수장이 국민에게 부당한 고통을 가하고, 국민과의 약속을 위반했을지라도 수장의 국민의 저항에 대한 금지로서의 강제권은 유효하다. 군주의 강제권은 정의롭지 않은 법을 무조건적으로 실행하는 폭력으로서의 권력과는 다르다. 군주의 강제권은 시민 사회를 성립하게 하는 원초적 계약의 이념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법의 기원은 순수 실천 이성의 이념, 즉 보편적 원칙과 합치하는 도덕성에 있다. 시민들은 원초적 계약을 통해 자연 상태의 개인에서 시민 국가의 국민이 된다. 시민은 원초적 계약을 통해 외적 자유의 제한에 동의하였기 때문에 원초적 계약은 시민에게 절대적 의무가 된다. 시민에게는 양도 불가능한 권리가 있으며, 부정의에 항거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군주의 강제권은 원초적 계약이라는 절대적 의무에 기반하기 때문에, 시민의 양도 불가능한 권리 역시 절대적인 의무 하에 놓인다. 비록 명백히 부당한 법률에 대항하는 비폭력적인 저항이라도 군주의 강제권을 넘어서 합법화될 수 없다. 합법화된 불복종은 법 외부의 법으로 법의 개념과 모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초적 계약의 이념을 위반하거나, 시민의 양도 불가능한 권리를 탄압하고, 시민의 자유와 평등을 보장하지 못하는 정의롭지 못한 군주나 법에 대해서는 언론의 자유와, 사회 내 자신의 직분에 맞는 한에서의 공적인 이성의 자유로운 사용을 통해 비판이 가능하다. 칸트는 이를 공공성의 준칙으로 정식화하였다. 공공성에 근거한 비판은 군주가 보편 원리의 잘못된 적용에 의한 통치를 자행하지 않게 경계하고, 군주를 비롯한 전 국민의 계몽 의식을 고취시키며 원초적 계약의 이념에 따르는 이상적인 공동체를 지향하게끔 독려한다.

      • KCI등재

        ‘테러’와 ‘저항권’의 구분 기준에 관한 연구: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중심으로

        조홍용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5 한국군사학논집 Vol.71 No.2

        We – the impartial third parties of international community – have to support armed struggle of freedom fighter who fight for his people to escape from colonial depression in ‘de facto colony’. The action based on ‘right of self-determination’ which is declared by UN. However, the act must be distinguished from reckless ‘terror’ by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 like Al-Qaed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se the term differently. In this case for the use of term ‘Right of resistance’ for ‘freedom fighter’. However,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does not authorized under the agreement of international community. So the imperial colonist such as Japanese ultra-rightist argue “Ahn jung-geun is terrorist”. As well as Japan, also Israel, China, Russia, India and Pakistan - so called might country and have ‘de facto colony’ - claimed ‘terror’ for all act of ‘terrorist’ and ‘freedom fighter’. Eve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called all of them ‘terrorists’. it is necessary to fix it for advocates human rights and to maintain international peace. This paper consists of 5 part. First part of this paper is about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In the second part I will consider the leading research and terminology of ‘terror’ and ‘right of resistance’. The third part deal with criteria of classification between ‘Terror’ and ‘Right of Resistance’ by Fotion’s 8 clauses of ‘Just War Theory’. The forth part deal with ‘Ahn jung-geun’ for best example case. The fifth part is my conclusion. 국제사회의 공정한 제3자인 우리는 ‘자유의 투사’들의 무장투쟁행위에 대하여 지지를 보내야 마땅하다. 이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의 유엔이 옹호하는 대의들 중 하나인 ‘민족자결권’에 따른 억압된 ‘사실상의 식민지’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위한 노력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행위는 국제테러조직인 ‘알카에다’ 등이 저지르는 무분별한 ‘테러행위’와는 차이가 있어야 한다. 또한 용어도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용어가 ‘자유의 투사’들을 위한 ‘저항권’이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의 정의가 국제사회의 합의하에 공인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일본의 극우파와 같은 식민제국주의자들은 안중근 의사를 ‘테러리스트’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중국, 러시아, 인도, 파키스탄 등의 현재 ‘사실상의 식민지’를 지배하고 있는 힘 센 나라들과 영국 및 미국까지도 ‘자유의 투사’들까지 싸잡아 ‘테러리스트’라고 분류하고 있다. 인간의 본원적인 권리를 옹호하고 국제 평화의 유지를 위하여 이러한 현상은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제사회의 공정한 제3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테러행위’와 ‘정당한 저항권의 행사’를 구분하는 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정당한 전쟁’의 8개 요소를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와 ‘테러’와 ‘저항권’에 대한 용어의 혼란상을 알아보고 ‘테러’와 ‘저항권’에 대한 용어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테러’와 ‘저항권’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으로 ‘정당한 전쟁’의 여덟 가지 요소를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저항권’ 행사의 모범적인 사례인 안중근 의사의 행위를 ‘정당한 전쟁’의 여덟 가지 요소에 입각하여 분석하였다. 제 5장은 이 글의 결론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시가에 나타난 부권 상실의 흔적들

        박상영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한국고전연구 Vol.0 No.45

        This study examines the traces of the loss of paternal right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especially Saseolsijo, Gasa) and its cultural meanings. In recent years, ‘father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con in cultural discourse as much as women, but the research interest in classical poetry is one-sided. Paternal authority is generally used to refer to the male dominance of a woman and includes both the domestic discourse “father / husband” and the national and social discourse “King/the law of the father”. The concept and meaning of ‘fathe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s, but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ese distinctions were rather mutually compatible and recognized rather than distinct. In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hese rights, we can see traces of loss of paternal rights in devoted characters, rebellious sons, the loving father, the subject who feels the weight of reality, and the regretful fathers. Generally, deviating characters are the ‘wives’ who commit adultery or the daughter-in-law who are lazy and eloquent. They tend to think the absence of the ‘an able body man’ seriously as the symbol of the loss of masculinity, and abandon the fathers/husbands. The rebellious subjects are mainly minorities, and they also produced ‘the father of pleasure’ on the spot by shaking the powerful father. In addition, they had to confront realistic problems of household management with the loss of paternal rights. The loss of paternal rights caused by ‘pain/sickness’ was also linked to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father-in-law and shows the sentiment of regret. The traces of this loss of paternal rights show the duality of ‘escaping from the father’ and ‘rushing toward him’, raising the huge aesthetical problem of resistance, desire, and modernity in the culture of the late Choseon Dynasty. Particularly, the latter shows a desire for the recovery of the paternal rights which put the escaping subjects from the father into the system and it appears in the manner in which the third person admonishes, the way the subject experiences internalizing and disciplining of the “Father’s Law”, and the dogmatic manner of admonishing the marrying daughter. Considering that ‘the father’ is a cultural component, and is a meaningful entity that brings humanity from the natural life of survival into the human life of culture and shows a constant network with society,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trace of the loss of paternal rights. This is because it is the basis for revealing the transforming cultural history of the present day besides how the family is collapsing. It is also linked to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lost father and seeking a new father figure. 본 연구는 조선후기 시가(특히, 사설시조와 가사)에 나타난 부권 상실의 흔적들을 찾고 그것이 갖는 문화론적 의미망을 한번 살펴본 것이다. 최근 들어, ‘아버지’는 문화 담론에서 여성 못지않게 중요한 아이콘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고전시가에서의 연구사적 관심은 거의 일천한 편이다. 부권(父權)은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는 권력관계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여기에는 가정 내 담론인 ‘父/夫’와 국가 및 사회적 담론인 ‘君/아버지의 법’이 모두 포괄된다. 시대에 따라 ‘父’의 개념 및 의미역은 다소 달랐지만, 전통 사회에서 이러한 구분은 뚜렷했다기보다는 오히려 상호 호환되며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부권의 개념과 범주 속에서 조선후기 시가들을 살펴보면, 일탈하는 인물들, 반항하는 아들들, 향락적인 아버지, 현실의 무게감을 느끼는 주체, 悔恨하는 아버지들 등에서 부권의 흔들린 흔적들을 볼 수 있다. 대체로 일탈하는 인물들은 불륜을 행하는 ‘아내들’이거나 게으르고 용렬한 ‘며느리들’로, 남성성의 상징인 ‘건강한 육체’의 부재를 문제 삼으며, 이에 적합하지 못한 ‘아비/지아비’들을 버리기도 했고, 반항하는 주체들은 주로 소수자들로, 막강한 아버지를 흔들어 놓음으로써, 그 자리에 ‘향락의 아버지’를 양산하기도 했다. 또 부권 부재로 인한 어미/지어미들은, 현실적인 가계 운영 문제와 마주해야 했으며, ‘아픔/병듦’으로 인한 부권 상실은, 家長 스스로의 자의식 문제와도 연결되어 悔恨의 정서를 보여주기도 했다. 이러한 부권 상실의 흔적들은 조선후기 문화론적 圖像 속에서 저항과 욕망, 근대라는 거대한 시가미학사적 문제를 제기하면서 ‘아버지로부터의 탈주’와 ‘그를 향한 질주’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특히, 후자는 도주하려는 주체들을 제도권 내로 포섭하려는 부권 회복에의 열망을, 제 3자가 훈계하는 방식이거나 경험해 본 주체가 ‘아버지의 법’을 내면화, 규율화 하여 전달하는 방식이거나, 시집가는 딸에게 훈계하는 방식 등 교조적인 형태로 보여준다. ‘아버지’가 하나의 문화적 구성물로서, 인류를 생존의 자연적 삶에서 문화의 인간적 삶으로 데려 온 사람이자 사회와의 끊임없는 관계망을 보여주는 의미 깊은 존재임을 고려하면, 이러한 아버지가 갖는 권위의 상실 흔적을 찾아보는 것은, 한 가족이 어떻게 붕괴되는가 하는 점 외에 당대 문화사적 변모상을 밝혀낼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뿐만 아니라 이 시대, 잃어버린 아버지를 복원하고 새로운 아버지 像을 찾으려는 과정과 연결되어 있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