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 근대 농업사 연구 현황과 전망

        임혜영,소순열 전북사학회 2024 전북사학 Vol.0 No.70

        이 글은 전북 근대농업사에 관한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성과와 연구과제를 지적하면서 앞으로를 전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글은 농업구조, 지주경영, 수리사업, 농민운동·소작쟁의 그리고 농촌사회, 다섯 개의 주제로 정리하되 다음 세 가지 점을 고려하였다. 첫째, 전북 근대농업을 주제로 한 논문을 학회지나 연구자와 관계없이 수집하였다. 둘째, 시기별보다는 주제별로 선정하여 연구사적 검토를 하였다. 셋째, 저서인 경우 대부분 논문을 재수록하기 때문에 최초 발표연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정리한 내용을 기초로 연구 경향을 정리, 전망하면 첫째, 연구의 분화·확대와 함께 연구의 축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조선인 지주의 자본가화 및 지주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재래 수리질서의 중시와 벽골제 논쟁화, 교육·의료 등으로의 영역 확대와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경향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전북 근대농업사의 연구 축적은 타지역에 비해 더딘 편이다. 둘째, 지속적으로 연구자의 노령화, 소수 연구자의 집중화가 진행되고 있다. 새로운 연구자들에 의한 논문이 적고, 소수의 연구자가 전체 연구의 반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연구 성과가 집중되어 있다. 셋째, 제도 사료·정책 사료에 의존하는 연구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사료의 다변화, 빅데이터 분석화, 구술사 등의 방법을 도입하지 못했다. 넷째, 학제 및 공동연구, 국제연구는 전북 농업사를 한 단계 높였다. 두 권의 책(김영정 외 2006, 홍성찬 외 2004), 국제협력(정승진+마쓰모토)의 연구 성과는 높게 평가할 만하다. 이상 연구의 축소화·노령화, 집중화라는 경향을 보면 전북 근대 지역농업사 연구의 전망은 밝지 못하다. 이러한 연구 상황은 농업사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협동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troduce research trends on Jeonbuk modern agricultural history, point out achievements and research tasks, and provide a future outlook. This article is organized into five themes: agricultural structure, landlord management, water supply business, peasant movement/ tenancy dispute, and rural society, and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paperson the topic of modern agriculture in Jeonbuk were collected regardless of academic journals or researchers. Second, the research was selected by topic rather than by period and reviewed historically. Third, in the case of books, most papers are re-included, so data from the year of first publication was used. If we organize and forecast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summarized contents, first, research is being reduced along with the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of research. Second, researchers are continuously aging and the concentration of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is progressing. Third, research methods that rely on institutional and policy data cannot be avoided. Fourth, interdisciplinary, joint research, and international research have raised Jeonbuk agricultural history to the next level. Considering the trends of downsizing, aging, and centralization of research, the prospects for research on modern regional agricultural history in Jeonbuk are not bright. This research situation suggests the need for new collaborative research in agricultural history research.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연구 현황과 전망

        김광수 ( Jin-guangzhu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는 조선 민족과 함께 중국 땅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고 지금까지 운명을 함께 하여 왔다. 중국에서의 조선 민족은 이러한 귀중한 언어유산을 이주 초기부터 교제 도구로, 자녀 교양 수단으로, 문화전승의 도구로 이용하였을 뿐 아니라 이것을 갈고 닦기 위해 많고 많은 노력을 해 왔다. 해방 전 중국에서의 조선어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는 못했지만 일제의 조선어말살정책에 맞서 새로운 정치, 경제, 문화적 생활을 반영하는 새로운 많은 어휘를 만들었고 소수의 애국인사들이 조선어 교과서로 편찬하여 학생들을 가르치는 한편 조선어문 연구성과를 문법책으로 만들었다. 해방 후에는 조선언어 문학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주요한 연구기관과 연구단체를 설립하고 우리말에 대한 연구도 적극적으로 진행하였다. 특히는 1980년대 이후부터 중국에서의 조선어 연구는 급속히 발전하였는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보아도 전시기에 비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 중국에서의 조선어 연구는 본질에 대한 연구에 입각하여 중국 특색의 조선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동아시아 경제 및 문화 교류와 합작에서 적지 않은 역할을 하고 있다. 필자는 중국에서의 조선어 연구의 현황을 종합하고 이후의 과제와 전망을 검토함으로써 중국에서의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조선어 연구의 기반을 다지고 중국에서의 소수민족 언어로서의 조선어의 위상을 높이고자 한다. As a valuable language and cultural heritage, China’s Korean language has been rooted in China with the migration of Korean ethnics, and until now, it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destiny of Korean ethnics. The language has been used not only as a communication tool, as a means of children’s education, but also as a tool for cultural transmission. In spite of not so much research on Korean language before liberation, a lot of new vocabulary related to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ppeared and a few patriots complied several Korean textbooks to teach children and published some grammar books as research achievements. After liberation, Korean educational and research institutes were established for teaching and research. Since 1980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has been surged in quantity and quality. Linguistic studies of Korean languag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s being carried out, which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astern Asian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By synthesizing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research in China and examining future challenges and prospects, the author will focus on laying the foundation for more scientific and efficient Korean language research in China and enhancing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5주년: 조직행동 분야 연구의 성과와 과제(2009-2022)

        김보영,윤석화 한국인사관리학회 202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7 No.1

        This article reviews major advances in research on organizational behavior(OB) published in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from 2009 to 2022 to commemorate the 45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Specifically based on the article analysis criteria used by Park & Kim (2010), the research topic and methodology of the published articles in the field of OB were analyzed. Moreover,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ribution of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to the theoretical field by analyzing the micro-organization theories used in published articles. The analysis results of 220 of the 349 articles in the field of OB, including research methodology, revealed that the research topics were diversifi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early 30 years since the founding of Journal of Organizational and Management. However,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ology, we identified that it was mostly quantitative and hypothesis testing in nature. The micro-organizational theory analysis revealed that 78 theories, grouped into 13 theoretical categories, were used in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area of OB, Social exchange theory and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heor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that various articles with the potential for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he two dimensions- namely, theory building and testing-be encouraged for publication in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We also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linkages between the research and practical area so that researchers can be motivated by actual data from the organization. Lastly,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building the journal’s culture and identity to embrace domestic OB researchers. 본 리뷰 논문의 목적은 한국인사관리학회의 창립 45주년을 기념하여,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에 실린 조직행동 분야 연구 논문들의 주요 경향과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토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박상언⋅김영조(2010)에서 활용한 논문 분석기준에 기반하여 조직행동 분야 게재 논문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에 활용한 미시 조직이론을 분석하여 이론 영역에 대한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총 349편의 논문 중 연구방법론을 포함하여 조직행동 분야 연구논문 229편을 분석한 결과, 초창기 30년에 비하여 연구 주제가 다양화 되었으나, 가설검증 형태의 실증 연구 편중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활용한 미시 조직 이론 분석 결과, 조직행동 분야에 게재된 논문에서 총 13개 이론 영역으로 구분된 78 종류의 이론을 활용하였으며, 가장 많이 활용한 이론은 사회적 교환이론과 자원보존이론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학술지가 이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이론 개발의 차원과 검증 차원에서 각각 기여도가 높은 다양한 형태의 연구의 게재를 장려하고, 조직행동 연구자가 살아있는 데이터를 만날 수 있도록 학회 차원에서 실무계와의 연계를 촉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연구자들 간, 그리고 연구자와 실무계와의 상호 소통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학술지 문화와 정체성을 확립해 나갈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韓国国内における謝罪研究の動向 -日本国内との比較を通して-

        持田祐美子(Mochida Yumiko) 동아시아일본학회 2019 일본문화연구 Vol.0 No.72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검색이 가능한 논문 중 2000년부터 2018년의 등재지 및 등재 후보지를 대상으로 사죄 관련 연구에 관한 동향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대표적인 학술논문검색 사이트 5개(『KISS(한국 학술정보)』,『RISS(학술연구 정보서비스)』『국회도서관 논문검색 서비스』 ,『DBpia(누리미디어 -지식 컨텐츠 전문기업)』,『KCI(한국 학술지 인용 색인)』) 를 조사해서 『謝罪』『사죄』『사과』『apologizing』이라는 단어로 검색하여 나온 논문 중에서 언어학과 관련된 논문을 추출했다. 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추출된 논문의 연대와 논문 수의 관계를 보면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지만 그것은 저자 중복에 의한 것이었다. 즉 논문 수는 증가했고 앞으로도 증가하겠지만 해당 분야에서 활동하는 연구자들의 동향을 보면『2005~2009』년 경에 가장 활발해지기 시작했고, 그 이후는 증가 추세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증가는 없을 것이라고 보여진다. (2) 조사 자료는 한일 양국의 대부분 논문들이 대학생 위주로만 진행되었다는 문제점과 코퍼스의 사용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보여졌다. 반면, 인터넷 이용 등에서 두 나라의 차이도 보여졌다. (3) 한국 논문의 키워드들을 조사한 결과, 한국 논문 키워드는 복수의 어휘를 한 단어로 묶어서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4) 폴라이트니스 이론으로 사죄를 논술하는 연구가 한국에서는 비교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 있다. (5) 일본어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압도적으로 많고, 한국에서 일본어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이 보여진다. (6) 영어를 사용한 논문이 비교적으로 많고, 한국에서의 [영어의 높은 시장가치]와 [영어의 특권화]가 밝혀졌다. This study outlines the trend of apology-related research in Korea. Specifically, this researcher used five representative dissertation search sites (“KISS”-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국회 도서관 논문검색 서비스” -search service at National Diet Library-, “DBpia” -Data Base Periodical Information Academic-, “KCI”- Korea Citation Index-) in Korea. This researcher searched with the words “사과”, “사죄”, “謝罪”, and “apologizing”, and extracted linguistic related papers among them. Moreover, the researcher limited research scope to articles from 2000 until 2018 to investigate recent stud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e following: (1)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number of articles, an obvious upward trend was investigated, which was due to duplication of authors. In other words,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ers who are active in the relevant field, research has begun to be active around “2005~2009”. (2) The survey resources have the same problems as in Japan, in which only university students are surveyed,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se of the internet to research. Moreo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 of the corpus was low. (3) There were many keywords in Korean papers that used particles or connected multiple words as one word. (4) In Korea, the apology research from [Politeness theory] is relatively active. (5) There are overwhelmingly many articles dealing with Japanese, which show the high interest of Japanese in Korea. (6) There are relatively many articles written in English. It is clear that “high market value of English” and “privileged of English” in Korea.

      • Research Status and Development Prospects of Semantic Web in China

        Hyun-Chang Lee,Chen-Lin Xu,Seong-Yoon Shi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Vol.6 No.1

        Semantic Web has become a hot research field of computer in current technologies. China is showing a lot of interest in the semantic web field. The semantic web technology in China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863 Plan as one of key projects as early as 2002. Many Chinese universities with competent laboratories like Tsinghua University,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Beijing University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and Renmin University of China are established itself as a kind of China research center of the Semantic Web and its related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present in view of the following four aspects of Chinese semantic web research: 1) Basic situation 2) Architecture 3) Key technology 4) Experiment and application. Through the summary of the current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semantic web of China, we search over the existing main problems, point out the important thing for the technology development and further direction.

      • KCI등재

        서양 풍수 연구사 검토와 전망

        최원석(Choi, Won Suk)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1 문화 역사 지리 Vol.23 No.1

        서양학계에서 영문으로 발표된 풍수 연구의 주요 성과를 시기·저자별, 학문·연구 영역별로 정리, 검토하였다. 서양연구자들이 동아시아의 풍수에 대해 어떻게 이해를 하고 있으며 그 역사적 흐름은 어떠한지를 개관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한국 풍수 연구의 학문적 소통과 논리 체계 정립을 위한 대응과제를 전망하였다. 서양학계의 풍수 연구사에 대한 학문적 소통은, 한국 풍수 연구의 현 주소를 되돌아보고 현시대에 필요한 풍수의 논리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prospects and retrospects on the Western(European and North American) history of research into Fengshui(Geomancy). Through reviewing the Western fengshui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way and the historical trend, I evaluate the significances and limits of the Western fengshui research, And then I suggest several facing tasks of the Korean fengshui research. Academic communications with the Western research make us recognize on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fengshui study. This critical survey on the Western fengshui research can contribute to mapping out the new conceptual framework of the Korean fengshui study meet the need of the modern times.

      • KCI등재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박혜란(Park Hea Rhan),전귀연(Jeon Gwee-Yeon) 한국생활과학회 201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research methodology and findings of various researches on family resilience published in Korea over the past 13 years. A total of 93 publications related to family resilience between 1999 and June of 2012 were analyzed; 72 journal articles and 21 doctoral dissertations which had not been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has been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related researches since 1999, with a significant increase since the mid-2000s as various nontraditional families emerged and the perception of family problems began to change. (2) With regards to the methodology, the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empirical, using quantitative methods in bot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ost measurement scales employed were based on inventories developed by foreign researchers. (3) The research subjects encompass a wide range of individuals and groups from both vulnerable families and familie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Additionally, some researches focused on special interest areas including program development & evaluation and scale development. Although research on family resilience has increased in quantity, there needs to be more qualitative, longitudinal and theory grounded studies on different families and individual types to better understand family resilience in depth. In addition, specific measurement scales reflecting the unique Korean family culture should be developed. Other challeng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family resilience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한국적 연구 모델의 정립을 위하여

        남동신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3

        This paper provides an outline of research papers on pre-modern Korean history published in recent years (2017-2018) [and discusses some general lessons to be learned]. In the introductory section, the general problematic is outlined. In four subsections dedicated to the historical periods Ancient times, Koryŏ, Early Chosŏn and Late Chosŏn, section II provides a reevaluation of research in retrospect and prospect, reviewing the major achievements. Section III examines several points to be improved for establishing a “Korean research model” as a long-term prospect for the Korean history academia. By way of conclusion, section IV proposes a full-scale debate on the issue of “retrospect and prospects” as such by the the Korean Historical Association as a whole: The declaration that “to review research results and pointing out prospects for the future is an important task in the advancement of historical studies” is still valid. 이 글은 지난 2년(2017~2018) 동안 전근대 한국사 분야에서 발표된 연구 논저에 대한 총설이다. 먼저 제Ⅰ장의 문제제기에 이어 제Ⅱ장에서는 고대, 고려, 조선 전기, 조선 후기의 시대사별로 정리한 4편의 「회고와 전망」을 소개하면서 주요 성과를 다시 한번 회고하였다. 이어서 제Ⅲ장에서는 앞으로 한국사학계의 장기적 전망으로서 ‘한국적 연구 모델’의 정립을 위하여 개선할 점을 점검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Ⅳ장에서는 「회고와 전망」자체에 대한 회고와 전망을 비롯한 역사학회 차원의 본격적인 논의를 거듭 제언하였다. “성과를 회고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는 것은 사학 발전에 중요한 과제”라는 선언은 여전히 유효하다.

      • KCI등재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과 탐색의 전망

        최재남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7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existing state and the prospects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The existing state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is exposed to collect and arrange the literary works. The predecessors collect and arrange many Korean literary material to set up the guide ropes of Korean literary history.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hand down the material as manuscripts, published books, direct statements, and the spots of literary work. We are able to expect the prospects of material research as following. We consider the key point as rediscovery and joint ownership of material. First, we are able to read Chosu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ose`days and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Second, we are able to read Munjip(文集; collection of works) for the sake of setting up the axis of coordinates both an individual study and a group study. Third, specially in Cheongguyeongon(靑丘永言), we are able to demonstrate the singer or the writer in the part of nameless. And the Fourth, we are able to research the material being handed down between individual and one’s close relatives. 이 글의 목표는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을 점검하고 자료 탐색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국문학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 선학들은 국문학의 벼리[史]를 수립하기 위하여 국문학자료의 수집과 정리에 집중하였고 그 성과가 매우 다양하게 집적되어 있다.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은 몇 가지 경우로 확인할 수 있는데, 사본의 형태, 간본의 형태, 직접 진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 현장조사를 통한 자료의 확보 등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문학자료의 탐색을 위한 전망은 새로운 자료에 대한 기대가 중요하지만 자료에 대한 재발견과 자료의 공유라는 두 축을 핵심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조선왕조실록을 읽으면서 당대 정치 현실의 움직임을 돌아보면서 문학사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 문집을 읽으면서 사승과 교유의 인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 연구나 집단 연구의 좌표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구체적인 사례로 『청구영언(진본)』의 무명씨에 대한 작가 변증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때에 고려해야 할 항목들을 주목할 수 있다. 넷째, 각 개인이나 문중에 전해지고 있는 자료에 대한 탐색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과 탐색의 전망

        최재남 ( Jaenam Choi )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7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existing state and the prospects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The existing state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is exposed to collect and arrange the literary works. The predecessors collect and arrange many Korean literary material to set up the guide ropes of Korean literary history.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hand down the material as manuscripts, published books, direct statements, and the spots of literary work. We are able to expect the prospects of material research as following. We consider the key point as rediscovery and joint ownership of material. First, we are able to read Chosu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ose`days and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Second, we are able to read Munjip(文集; collection of works) for the sake of setting up the axis of coordinates both an individual study and a group study. Third, specially in Cheongguyeongon(靑丘永言), we are able to demonstrate the singer or the writer in the part of nameless. And the Fourth, we are able to research the material being handed down between individual and one’s close rel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