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断りにおける「理由表明」の韓日比較 ‒「頼み」「勧誘」「提案」の場面に焦点をあてて‒

        김정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5

        In this study, the survey on 「Expressed Reasons」 only to be extracted refusal expressions concerning “request”, “recommendation”and “proposal” in daily life has been conducted and classified by type.There are the outcomes of the study in case of private reasons for a personal reason and official duties and schedule for the public reasons, a researcher carried out the survey concerning a comparison Korean and Japanese, we wonder reason why both languages express refusal in the relationship and how many reasons come out. As a result, a research found that in the case of Korean there are 15reasons to be used as <respectability> <belief> <schedule> <imputation> <ability> <fact> <naturalness> <hope> < circumstance > <work> <duty> <preference > <Health> <completion> <sorriness>. Additionally, in case of the Japanese there are 10 reasons to be used <respectability> <belief> <schedule> <imputation> <ability> <fact> <naturalness> <hope> <circumstance > <duty> respectively. Also, the results from the comparison in sequence of high figure, there are often used <circumstance 19% > < promise 13.9% > <truth 9.3% ><hope 8.3% > in Korea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used < truth 18.5% >, < work 18.5% > <circumstance 16.6% >< promise 14.7> in Japanese. Overall, in case of Korea, they showed expressed reasons of <circumstance> hoping to understand the other party implicitly, but in case of Japanese, reasons expressed of <work > emphasizing responsibility in close relationship and of <fact> appealing to say truth in large number. 本調査では生活の中で頻繁に起こりうると思われる「頼み」「勧誘」「提案」に対する「断り表現」を対象にして「断り表現」のうち、「理由表明」のみを抜粋して理由内容を類型別に分類した。理由内容が個人的な理由の場合は私的理由、公的業務や予定の場合は公的理由として、韓国語と日本語ではどのような理由内容があらわれるか、また、親疎関係においてはどの理由内容が多くあらわれるか、比較を行った。結果、韓国語の場合、<メンツ> <信念> <豫定> <轉嫁> <能力> <事實> <當然> <希望> <事情> <業務> <義務> <嗜好> <健康> <完了> <すまなさ>の15の理由内容を用い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また、日本語の場合、<メンツ> <信念> <豫定> <轉嫁> <能力> <事實> <當然> <希望> <事情> <業務>の10の理由内容を用い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さらに、この結果から、出現数を比較してみて高い順に、韓国語の方は<事情19>、<予定13.9>、<事実9.3>、<希望8.3>が好んで使わ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日本語の方は<事実18.5>、<業務18.5>、<事情16.6>、<予定14.7>であることがわかった。全体的に韓国語の場合、相手に暗黙の理解を望むことを暗示した<事情>の「理由表明」、日本語の場合は、親しい関係では仕事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責任を強調する<業務>の「理由表明」と、真実を言って相手に訴える<事実>の「理由表明」を多用していることがわかる。

      • KCI등재

        관계성-의존적 이유들의 규범성에 대한 연구 : 셰플러의 비환원주의 논변 비판

        성창원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71 No.4

        According to Scheffler, the reasons of partiality are primarily composed of relationship-dependent reasons and project-dependent reasons. If we non-instrumentally value a certain relationship, we have the former kind of reasons, while if we non-instrumentally value a project, we come to have the latter kind of reasons. Scheffler maintains that even though these two kinds of reasons constitute the same category of partiality, they have a different normative force for agents: even if we are required to act upon relationship-dependent reasons, we are only permitted to act upon project-dependent reasons. This different normativity consists in the fact that in the case of relationship-dependent reasons, if one participant of the given relationship fails to comply with those reasons, another participant is able to legitimately complain such a failure; the same story does not hold in the case of project-dependent reasons. I analyze this argument in terms of non-reductionism about special responsibilities that Scheffler develops elsewhere, and argue that it is open to two main objections. On the one hand, the argument in question undermines the very character of reasons of partiality, i.e., being partial. On the other hand, the same argument should be either revised or rejected, because it has what I call the problem of internal inconsistency. Lastly, I argue that on some interpretation of Scheffler's reductionist argument it implies that relationship-dependent reasons should be sensitive to moral reasons. But I show that this would not help to strengthen the argument in question. 셰플러에 따르면 편향성의 이유들은 크게 관계성-의존적 이유들과 계획-의존적 이유들로 구분된다. 우리가 어떤 관계성을 비도구적으로 소중히 여길 때 우리는 전자의 이유를 갖게 되며, 그리고 우리가 어떤 계획을 비도구적으로 소중히 여길 때 우리는 후자의 이유를 갖게 된다. 그는 주장하길, 이러한 두 이유들은 모두 편향성의 이유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관계성-의존적 이유를 가질 경우 이에 근거해 행위 해야 하지만, 계획-의존적 이유를 가질 경우에는 그것에 근거해 행위 해도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두 이유들 사이에 존재하는 규범적 효력의 차이는, 전자의 경우에는 행위자가 주어진 이유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불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상대방이 존재하는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행위자가 설령 주어진 이유에 반응하지 않더라도 불평할 수 있는 상대방이 부재한다는 사실에 놓이게 된다. 논자는 이러한 셰플러의 논변을 그가 비환원주의로 부르는 입장에서 분석하고, 그 논변이 크게 두 가지의 비판에 직면함을 입증한다. 첫째, 셰플러의 비환원주의적 논변은 관계성-의존적 이유들이 다름 아닌 편향성의 이유들이라는 점을 퇴색시킨다. 둘째, 두 이유들 사이의 규범적 효력을 입증하는 그의 논변은 실제로는 내부적인 비일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셰플러의 논변을 재구성함으로써 그것이 관계성-의존적 이유들과 도덕적 이유들의 관계에 대한 특정한 해석을 지지한다고 주장한다. 논자는 이러한 해석이 관계성-의존적 이유들의 상대적으로 강한 규범성을 옹호하는 셰플러의 입장을 오히려 약화시킴을 보인다.

      • KCI등재

        斷りにおける「理由表明」の韓日比較-「賴み」「權誘」「提案」の場面に焦点をあてて-

        금정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5

        本調査では生活の中で頻繁に起こりうる之思われる「賴み」「勸誘」「提案」に對する「斷り表現」を對象にして「斷り表現」のうち、「理由表明」のみを發數して理由內容を類型別に分類した。理由內容が個人的な理由の場合は私的理由、公的業務や予定の場合は公的理由之して、韓國語之日本語ではどのような理由內容があらわれるか、また、親疎關系においてはどの理由內容が多くあらわれるか、比較を行った。結果、韓國語の場合、<メンツ> <信念> <豫定> <轉嫁> <能力> <事實> <當然> <希望> <事情> <業務> <義務> <嗜好><健康> <完了> <すまなさ>の15の理由內容を用いているこ之がわかった。また、日本語の場合、<メンツ> <信念> <豫定> <轉嫁> <能力> <事實> <當然> <希望> <事情> <業務>の10の理由內容を用いているこ之がわかった。さらに、この結果から、出現數を比較してみて高い順に、韓國語の方は<事情19%>、<予定13.9%>、<事實9.3%>、<希望8.3%>が好んで使われているこ之がわかった。日本語の方は<事實18.5%>、<業務18.5%>、<事情16.6%>、<予定14.7%>であるこ之がわかった。全體的に韓國語の場合、相手に暗默の理解を望むこ之を暗示した<事情>の「理由表明」、日本語の場合は、親しい關系では仕事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之いう責任を强調する<業務>の「理由表明」之、眞實を言って相手に訴える<事實>の「理由表明」を多用しているこ之がわかる。 In this study, the survey on 「Expressed Reasons」only to be extracted refusal expressions concerning “request”, “recommendation”and “proposal” in daily life has been conducted and classified by type.There are the outcomes of the study in case of private reasons for a personal reason and official duties and schedule for the public reasons, a researcher carried out the survey concerning a comparison Korean and Japanese, we wonder reason why both languages express refusal in the relationship and how many reasons come out. As a result, a research found that in the case of Korean there are 15reasons to be used as <respectability> <belief> <schedule> <imputation> <ability> <fact> <naturalness> <hope> < circumstance > <work> <duty> <preference > <Health> <completion> <sorriness>. Additionally, in case of the Japanese there are 10 reasons to be used <respectability> <belief> <schedule> <imputation> <ability> <fact> <naturalness> <hope> <circumstance > <duty> respectively. Also, the results from the comparison in sequence of high figure, there are often used <circumstance 19% > < promise 13.9% > <truth 9.3% ><hope 8.3% > in Korea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used < truth 18.5% >, < work 18.5% > <circumstance 16.6% >< promise 14.7%> in Japanese. Overall, in case of Korea, they showed expressed reasons of <circumstance> hoping to understand the other party implicitly, but in case of Japanese, reasons expressed of <work > emphasizing responsibility in close relationship and of <fact> appealing to say truth in large number.

      • KCI등재

        온건한 공평주의에 관한 연구

        성창원(Changwon Sung)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4 No.2

        온건한 공평주의에 따르면 도덕은 기본적으로 공평성을 지니지만 그것은 편향성의 이유와도 양립 가능하다. 이러한 입장을 옹호하기 위해서는 편향성의 이유들을 적극적으로 논구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이유들을 이해하는 입장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한편으로 환원주의에 따르면 편향성의 이유들은 근본적으로 도덕의 이유들에 의해 정당화되며, 다른 한편으로 비환원주의에 따르면 그 이유들은 주어진 편향성을 지지하는 구체적 가치들의 고유한 구조와 내용에 의해 담보되며 도덕의 이유들로 환원되지는 않는다. 비환원주의적 입장은 도덕의 이유들로 환원되지 않는 편향성의 이유들의 독립적 성격을 인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그리고 온건한 공평주의를 주장하는 철학자들도 대체로 비환원주의적 입장에 호의적이다. 하지만 필자는 이러한 비환원주의적 온건한 공평주의는 그렇게 매력적인 입장이 될 수 없음을 보인다. 이를 위해 우선 비환원주의의 독특한 특징, 즉 도덕의 이유들 및 도덕에 환원되지 않는 독립적인 편향성의 이유들을 동시에 인정하는 입장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낸다. 비환원주의자들이 도덕의 이유들까지 인정한다면 그들은 필자가 제안하는 도덕적 평등의 원칙을 수용하는 셈이다. 도덕적 평등의 원칙은 동등한 존중과 동등한 대우를 구분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을 항상 동등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주장을 함축하지 않으며, 바로 이로 인해 이 원칙을 기반으로 하는 공평주의는 온건한 공평주의가 된다. 그런데 이러한 온건한 공평주의가 비환원주의와 결합될 때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형태의 공평주의는 편향성의 이유들이 도덕의 이유들보다 더 강력한 규범성을 가지고 행위자에게 나타나는 경우들을 원칙 있게 설명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비환원주의적 온건한 공평주의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According to Moderate Impartialism, while morality is generally impartial, it can also accommodate the reasons of partiality. In order to see the point of Moderate Impartialism, we ne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reasons of partiality in the following two ways. On the one hand, according to reductionism, all reasons of partiality are basically moral. On the other hand, the non-reductionist argues that there are sui generis reasons of partiality that are not reducible to moral reasons. The non-reductionist approach is currently up in the air, and manly of those who accept Moderate Impartialism believe that the reasons of partiality that they would recognize can be justified in the non-reductionist way. In this paper I aim to show that the form of Moderate Impartialism associated with the non-reductionism in question may face some problems. First, I argue that the claim that the non-reductionists should recognize both moral reasons and the reasons of partiality is open to some objections. Nonetheless, if those non-reductionists would want to endorse both of those reasons, it can be said that they support what I call the Principle of Moral Equality, according to which every human-being possesses equal moral valu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oral Equality, we need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equal respect and equal concern, and it is because of this distinction that a form of impartialism that embraces the principle in question can be moderate, not extreme. However, I argue that things would be murky, if this form of impartialism is connected with non-reductionism about the reasons of partiality. In particular, I argue that the kind of moderate impartialism in question fails to offer a systematic account of why at least in some cases the reasons of partiality can override the reasons of morality (and vice versa). Therefore we have good reason to take into question the non-reductionist Moderate Impartialism that currently receives much attention.

      • KCI등재

        모자보건법 제14조(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의 역사 : 인구정책변화에 따른 의미 변화와 ‘사회경제적 이유’ 포함 논쟁을 중심으로

        신유나(Yu Na Shin),최규진(Kyu Jin Choi)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0 비판사회정책 Vol.- No.66

        본 연구는 인공임신중절 허용사유 중 하나로 논의되었던 ‘사회경제적 이유’ 포함 논쟁을 중심으로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역사를 정리한 것이다. 모자보건법은 인구정책의 변화에 따라 제 · 개정되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제14조의 ‘사회경제적 이유’를 포함하려는 목적도 변화되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경제개발’을 위해 인구를 억제시켜야 한다는 이유로 모자보건법 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에 사회경제적 이유를 포함시키려 했다. 그러나 장기집권을 위해 보수층의 눈치를 봐야 했던 박정희 정권은 이를 포함시키지 못한 채 낙태죄를 단속하지 않는 방식을 취했고, 이러한 방향은 전두환, 노태우 정권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군사정권을 벗어난 이후에도 모자보건법 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에 사회경제적 이유는 포함되지 못했다. 이는 1990년대에 인구정책 기조가 바뀌기 시작해, 2000년대에 인구증가정책이 대두된 배경이 크게 작용했다. 즉, 진보적인 정부하에서조차 인구증가정책이라는 국가주의적 틀에 갇혀 피임 강화와 캠페인 등 우회적인 방법으로 낙태를 예방하는 데 급급했다. 그러나 2010년 진오비(프로라이프 의사회) 사건을 필두로 보수정권의 퇴행적 정책에 대한 사회운동의 대응이 이루어지며 낙태죄 폐지와 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에 사회경제적 이유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져왔다. 하지만 국제적 흐름은 인공임신중절 허용사유에 사회경제적 이유를 포함시키는 논의를 훨씬 넘어서고 있다. 따라서 이 인공임신중절 허용사유의 사회경제적 이유 포함 여부를 둘러싼 논쟁의 역사를 보다 비판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판결 이후의 논의에서 인공임신중절 허용사유의 사회경제적 이유 포함 여부가 논의의 핵심이 되어선 안 된다. 오히려 모자보건법 제14조의 탄생과 그것이 활용되온 역사가 절대적으로 국가주의적인 틀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인식하고, 보다 근본적인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ummarized the history of Article 14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focusing on “socioeconomic reasons” discussed as one of the grounds for permissible induced abortion. As a result,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was enacted and revi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pulation policy. Especially, in this process, the purpose of the intended inclusion of ‘socioeconomic reasons” in Article 14 also changed. From the 1960s through the 1980s, the government would include socioeconomic reasons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for the reason that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opul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 Park Chung-hee regime that had to read the conservative class for a prolonged rule adopted the way of not cracking down on criminal abortion operation, without including them. This direction continued until the 1980s. Even after leaving the military regime, the socioeconomic reasons were not included in Article 14. This was largely attributed to the rise of population growth policies in the 2000s. In other words, even under progressive government, they were locked in the nationalistic framework of population growth policy. In 2010, the Pro-Life Medical Association event triggered a response from the social movement. And it has been reiterated that socioeconomic reasons should be included in reasons for allowing abortions However, the international trend goes far beyond the discussion of including socioeconomic reasons in reasons for allowing abor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ore critically the history of the debate over whether to include the socioeconomic reasons for allowing abortions. In other words, in the recent discussions after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about the abortion, whether to include the socioeconomic reasons for allowing abortions should not be at the heart of the debate. Rathe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birth of Article 14 of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Act and the history of its use have taken place within an absolutely nationalistic framework, and to proceed with more fundamental discussions. The international trend goes far beyond the discussion of incorporating socioeconomic reasons into the reasons for abortion. Thus, in the discussions after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about abortion, the inclusion of socio-economic reasons for abortion should not be at the heart of the debate. Rathe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birth of Article 14 of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Act and the history of its use have taken place in an absolutely nationalist framework, and to proceed with more open and fundamental discussions.

      • KCI등재후보

        Comparison of Americ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Reasons for Exercise, Exercise Enjoyment and Self-Efficacy

        ( Zi Yan ),( Bonnie G. Berger ),( David A. Tobar ),( Bradley J. Cardinal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s Vol.27 No.1

        Background. People exercise for different reasons. Reasons for exercise may influence exercise behavior via influencing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s of habitual exercisers, exercise enjoyment, and self-efficac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different reasons for exercise are associated with exercise enjoyment and self-efficacy by males and females from differing cultural backgrounds. Method.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midwest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males = 42, females = 171, age M = 21.68 years) and a national university in China (males = 64, and females = 149, age M = 21.47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asons for exercise, exercise enjoyment, and exercise self-efficacy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Results. Individuals who exercised for non-appearance based reasons reported higher levels of exercise enjoyment compared to students who exercised for appearance based reasons, and this finding was irrespective of cultural background or gender. Women who exercised for mood alteration reasons reported higher self-efficacy compared to women who exercised for other reasons. In addition, gender and cultural differences were related to reasons for exercise and self-efficacy. Conclusion. Understanding exercise participants`` reasons for exercise and how these relate to their exercise enjoyment and self-efficacy may help to foster greater rates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 KCI등재

        교과내용학 : 현대윤리학에서 욕구의 의미 논쟁 -흄의 도덕적 구별 논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김남준 ( Nam Joo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2

        본고의 목적은 이성이 아니라 감정과 정념에 토대를 둔 욕구가 도덕의 규범적 근거를 형성한다 는 흄의 주장과 그 근거를 분석하고, 이러한 흄의 도덕적 구별 논변을 현대윤리학의 규범 논쟁과 동기화 논쟁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구하는 것이다. 흄은 자신의 도덕적 구별 논변을 다음과 같 이 정당화한다. 첫째, 흄은 자신의 동기 유발 논변의 연장선상에서 이성이 아니라 정념(감정, 욕구) 이 행위를 동기 유발하기 때문에, 이성이 아니라 정념이 도덕의 규범적 근거를 형성한다고 주장한 다. 둘째, 흄은 이성적 논증을 통해 도덕성과 도덕 판단의 원리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도덕의 규범적 근거는 이성이 아니라 행위 주체의 감정과 정념에 토대를 둔 욕구에서 찾아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최근 3∼40여 년간 이루어진 현대윤리학의 규범 논쟁과 동기화 논쟁은 실천 이 성의 존재와 기능을 재조명하면서 이러한 흄의 도구주의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첫째, 흄 의 주장처럼 행위 주체의 욕구가 도덕적 행위를 동기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 주체의 욕구는 도덕의 규범적 근거와 그와 관련된 실천적 추론에 의해 동기화된 결과로서 허사로서의 의미를 지 닌다. 둘째, 행위 주체의 감정과 정념에 토대를 둔 욕구는 규범적 도덕 이론에 요구되는 보편성과 객관성을 갖추기 어려우며, 행위 주체의 욕구는 오히려 행위 주체의 욕구와는 독립적이고 객관적 인 기준에 의해 평가되어야 한다. 셋째, 도덕의 규범적 근거를 도덕적 행위 동기화의 근거로 대체 하려는 흄의 시도는 일종의 ‘범주의 오류’를 범한 것이다. 요컨대, 최근 현대윤리학의 논쟁들은 흄 의 도구주의에서 벗어나 행위 주체의 욕구와는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도덕의 규범적 근거의 존재와 그것의 동기화의 기능을 논증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oral distinction argument of D. Hume and to criticize this argument from the viewpoint of a debate on normativity and motivation in the contemporary ethics. The moral distinction argument of D. Hume is as follows: (1) Hume insists that moral distinctions are not based on the exercise of reason but rather the result of the exercise of passions(desires) because passions(desires) have power to motivate actions. (2) Hume insists that moral distinctions derive not from reason but from moral sense(emotions, passions, desires) because morality and normativity can`t be justified by reason and rational argument. The moral distinction argument of D. Hume has been criticized over the last three or four decades from the diverse viewpoints in the contemporary ethics. (1) Agent`s desire can`t motivate moral actions. Rather, it is the state of being motivated by normative reasons and practical reasoning. It has merely a kind of placeholder sense. (2) It is very difficult that agent`s desire meets the condition of moral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Agent`s desire should be evaluated by normative reasons, which are independent of agent`s desire. (3) Hume tries to substitute normative reasons(justifying reasons) with explanatory reasons. It is a kind of category mistake. In brief, there are normative reasons which are independent of agent`s desire, and these reasons have motivating force.

      • KCI등재

        수학과 성취도 검사 결과의 자기평가를 통한 오답원인 유형화

        권효진(Hyo-jin Kwon),김성훈(Sung-Hoon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수학과 성취도 검사 결과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수학과 성취도 검사에서 오답을 유발하는 원인을 분류하여 유형화 하였다. 학생들이 보고한 오답원인은 총 5가지로 유형화 되었는데 교과지식 관련 유형, 인지과정 관련 유형, 추측전략 관련 유형, 실수/부주의 관련 유형, 피상적 원인 관련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었고 각 유형별로 하위 요소들이 나타났다. 이 중에서, 추측전략 관련 유형은 기존의 수학과 오류 분석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유형이었다. 추출된 오답원인 유형이 학생의 성별과 성취도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한 결과, 여학생들은 남학생들보다 교과지식과 관련된 오답원인을 보고하는 경향이 있으며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피상적 원인을 더 많이 보고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과 성취도 수준에 따라서는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에게는 실수/부주의 유형이 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서는 피상적 원인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reasons of wrong answers in the achievement test of mathematics in high school and analyzed their structure. Students' self-evaluation of the result of achievement test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re were five types in the reasons for wrong answers. They were subject knowledge related, cognitive process related, guessing strategy related, mistake/negligence related, and meaningless reasons related types. Last type did not answer substantial reasons but just gave superficial reasons such as“did not know”, “was difficult”, “was new”, “got the answer but thought it was wrong”, and so forth. The “guessing strategy” related type was not found in the previous studies but in this study. Group comparisons resulted in two findings. First, male students more likely reported the superficial reasons when they made incorrect answers. Second, students with high level of achievement reported more frequently the “mistake/negligence” related type reasons, while students with low level of achievement did the “meaningless reasons” related type reasons.

      • KCI등재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에 대한 소고

        노병호(Roh Byoung Ho)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09 노동법논총 Vol.16 No.-

        Dismissal for management reasons means dismissal of a worker by an employer for managerial reasons shall be based on urgent managerial needs. Dismissal for managerial reasons are different from general dismissal for workers responsibility or disciplinary dismissal. As the dismissal based on urgent managerial needs Which is inevitable or employer responsibility occurred on a massive scale in a dull season that menace to employment security and will have a big impact on our society. So that should be regulated more strictly than other dismissal. Labor standards act §24 regulate on necessary conditions of dismissal for managerial reasons. The contents are as follows. ① Dismissal of a worker by an employer for managerial reasons shall be based on urgent managerial needs. ② An employer shall make every effort to avoid dismissal of workers. ③ An employer shall select workers to be dismissed by establishing rational and fair criteria for dismissal. ④ With regard to the possible methods for avoiding dismissal and the criteria for dismissal, an employer shall give a notice to a trade union or to a person representing the majority of all workers and have a good faith consultation. If the necessary conditions could not be possessed, the dismissal, as have no justifiable reasons, will crease to be valid. However, if one of this necessary conditions could not be possessed. As a dismissal for managerial reasons, it is become an issue that this case dismissal could not come into effect. Although we consider an institutional purpose of dismissal for managerial reasons and this dismissal is not occurred by workers responsibility and our social supporting system for dismissal workers is frail, necessary conditions of dismissal for managerial reasons are filled reasonably.

      • KCI등재

        대중문화의 세 가지 현대 경향성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 〈13 Reasons Why〉의 각색을 중심으로

        김희경(Heekyung K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0

        미디어와 플랫폼, 그리고 기술 발달에 따라 대중문화(콘텐츠)가 나날이 발전하고 다양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수용자를 소극적으로 한계짓는 인식은 여전하다. 스티브 존슨은 ‘멀티 스레딩’, ‘깜빡이는 화살표’, 그리고 ‘참여하기’라는 대중문화의 세 가지 현대 경향성을 통해 그것이 한계지어질 수 없고 끊임없이 이어지며 수용자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표적 OTT인 넷플릭스의 시리즈 드라마인 <13 Reasons Why>, 미니 다큐멘터리 <13 Reasons Why:Beyond Reasons>, 그리고 수용자가 직접 제작한 팬덤 커뮤니티 사이트 <13 Reasons Why Wiki>의 사례를 통해 존슨의 대중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각색을 통해 분석했다. 멀티 스레딩은 동명의 원작 소설을 시리즈 드라마 시즌 1에서 ‘말하기 양식’에서 ‘보여주기 양식’으로 충실하게 각색되었고, 시즌 2와 3은 시즌 1의 내러티브 확장으로 ‘보여주기 양식’에서 ‘보여주기 양식’으로 적용되었고, 깜빡이는 화살표는 미니 다큐멘터리 시즌 1~3을 통해 내러티브 푯말로 기능했으며, 참여하기는 Wiki로 구현되었다. 여전히 엔터테인먼트성이 강한 대중문화(콘텐츠)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사례와 같이 엔터테인먼트와 사회적 치유를 동시에 추구하는 대중문화콘텐츠의 경우는 존슨의 현대 경향성을 통한 대중문화의 긍정성을 인식할 수 있음을 밝혔다. Despite the fact that popular culture (contents) is developing and diversifying day by day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platforms, and technology, negative perceptions about it and perceptions that passively limit the audience remain. Steve Johnson takes a positive attitude that it cannot be limited, continues constantly, and audiences are actively and actively changing through the three modern tendencies of popular culture: Multi-Threading . Flashing Arrow , and Participat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how Johnson s positive attitude toward popular culture is applied through examples of Netflix s series drama <13 Reasons Why>, mini-documentary <13 Reasons Why: Beyond Reasons>, and the fandom community site <13 Reasons Why Wiki>. Multi-threading faithfully adapted the original novel of the same name from Speaking Style to Show Style in the series drama season 1, Seasons 2 and 3 were applied from ‘Show Style to‘Show Style as a narrative extension of season 1, and Flashing Arrow functioned as a narrative signpost throughout the mini-documentary seasons 1-3, Participation is implemented as a Wiki. Popular culture (content), which is still strong in entertainment, occupies the majority, but in the case of popular cultural content pursuing entertainment and social healing at the same time as in the case, it was revealed that the positivity of popular culture through Johnson s modern tendency can be recogn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