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외로운 늑대’의 급진화(Radicalization)에 관한 연구 : 최근 ‘외로운 늑대’형 테러 사건을 중심으로

        윤봉한,이상진,임종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5 치안정책연구 Vol.29 No.2

        최근 많은 연구결과는 ‘외로운 늑대’ 테러리스트가 사실은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과격 테러조직과 연결되어 급진 이념으로 무장하고 각종 테러기법을 전수받아 왔던 사실을 밝혀주고 있다. ‘참여’, ‘개방’, ‘쌍방향 대화’, ‘커뮤니티’, ‘연결’과 ‘피드백’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 진화와 더불어 '외로운 늑대' 테러리스트들은 테러조직이나 정치세력과 교감하고 공감하여 테러를 자행하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IS와 같은 급진 테러조직이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통신장비, 모병, 훈련용 비디오 및 자료전송 방법과 폭탄 제조 등 각종 공격기법을 전수해주는 한편, 온라인 훈련캠프, 동영상을 활용한 선전전, 테러자금 모금 등에 참여하도록 하는데 유인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서방국가 테러에 대한 정당성을 전파하고, 외로운 늑대로 하여금 선지자 모하메드의 명예를 걸고 자국에서 테러를 감행하도록 선동하고 있다. 외로운 늑대는 이러한 소셜 미디어 환경을 활용하여 폭력 테러조직과 연계를 직접 접촉을 하지 않으면서 그들의 이념과 목표를 쫓아 급진화 되어 예상치 못한 테러로 전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심리학자 McCauley가 개발한 ‘개인 및 단체 급진화 메커니즘’과 뉴욕경찰(NYPD)의 ‘단계적 급진화’ 모델을 기반하여 최근 발생한 이슬람국가 가담 고교생 사건 등 3건에 대한 급진화 실태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사회적 고립과 좌절감, 지나친 자기 과시욕(영웅심) 등 급진화의 요인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이 급진화 단계에서 나타내는 징후를 면밀 관찰함으로써 외로운 늑대형 테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온라인 모니터링 강화, 첨단 기술개발, 인력양성 및 국제공조 구축 등을 외로운 늑대 테러를 예방 저지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Many studies recently show that lone wolf, known as acting by himself without directly connection to the commanding organization, is actually being radicalized and educated by radical terrorist group through social media. Social Media, such as blogs, SNS(Social Network Services), Wikis, pod casts, UCC(User Created Contents) and micro bloggings depend on mobile and web-based technologies to create highly interactive platforms through whic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participate, open, co-create, connect and feedback in the digital age. As Social Media evolves, lone wolves have a tendency of committing terrorism attacks with shared feelings and sympathy to the terrorist group or political power. It tells us that radical terrorist groups are using social media for posting communications, recruiting, training through videos, file transferring, and teaching them how to make poisonous materials, IEDs(Improvised Explosive Devices) as well as various attacking tactics. They also use social media to make lone wolves to participate in online terror-camps, video propaganda operations and terrorist financing. In addition, they use Social Media to justify their terror activities against the Westerns and instigate lone wolf to attack his government with the name of Mohammed, the Prophet. Lone wolves also utilize this nature of social media by contacting with radical terrorist group. McCauley, who created the “Radicalization Mechanism on Individuals and Groups”, explains the radicalization of the terrorists with six factors: Personal Grievance, Political Grievance, Action, Personal Relationship, States and Thrill Seeking, and Unfreezing. On the while NYPD Model, which was studied by Silber and Bhatt, take a stance step-by-step radicalization: pre-Radicalization → Self-Identification → Indoctrination → Jihadiation. Although Korea has not experienced any terrorist attacks related to ‘lone wolf’, we should keep in mind that no country is safe from terrorism attacks nowadays. For Example, during the infamous ‘RO(Revolutionary Organization)’ membership plot meeting on May 13th 2013, the head Lee Seokki talked about the IEDs which were used at the Boston Marathon bombing terror by the lone wolves in April, 2013. This paper looks into the radicalization precess of 3 lone wolf type cases : student kim’s defect to IS, slashing attack U.S. Ambassador in Seoul and talk show bombing-alike. By using the McCaley and NYPD’s models, I found out that they were all radicalized by social isolation, frustration and excessive desire of self-display, etc. It also said that lone wolves are prone to leave some clues on social media during the process of radicalization. This means that we should examine throughly the radicalization process before they turn into terrorists. Lastly the paper proposes some alternative policies to protect our people and properties. Those are strengthening on-line surveillance, developing technologies, training experts and build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for rooting out the lone wolf activities.

      • KCI등재

        테러리스트 교도소 내 급진화

        김은영 한국범죄심리학회 2018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4 No.1

        Terrorist radicalization in prison settings became an emerging issues among scholars in the fields of terrorism and criminal justice. There are pros and cons regarding the argument that prisons became breeding grounds for terrorist radicalization. That is, various risk factors surrounding prison conditions, such as criminality of inmates, hostile subculture in prison, and the agony of deprivations for inmates. in addition, religious conversion in prison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radicalizing prisoners through religious identity. Yet, there are still lack of studies examining the current issues, especially in domestic research setting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n overview of prison radicalization and several case studies relevant to this subject, including theoretical models explaining process of prison radicalization.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 the JIS case in the US as an example case to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 regarding prison radicalization. In discussion, this study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on this topic. 범죄자의 테러리스트로의 급진화 현상은 국외의 학자들 간에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논쟁점이다. 911 테러사건 이후 다수의 국가에서 교도소가 테러리스트를 배양할 수 있는 위험한 시설이라는 증거들이 제시되었다. 교도소의 열악한 환경과 상황과 범죄자들의 내재적 범죄성의 결합은 그 위험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반면, 일부 학자들은 교도소 내의 테러리스트의 급진화는 매우 극소수의 사례이며 교도소 테러리스트 모집은 심각하지 않은 문제라는 주장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논쟁에 대한 분석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외의 교도소 내의 테러리스트 급진화와 관련된 연구와 실제 사례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국내의 교도소 내 테러리스트 급진화와 관련된 정책적 접근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한 교도소 내 수용자 급진화와 관련된 개념, 사례, 이론적 설명 그리고 국내의 형사사법과 관련된 정책적 함의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자생테러범의 급진과격화에 관한 프로파일링

        허경미(Huh, Koung-mi) 한국범죄심리학회 201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8 No.3

        이 연구는 자생테러범의 급진과격화에 대한 프로파일링을 통하여 자생테러범의 동기 및 특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자생테러란 이슬람 및 급진주의적 사고에 관련된 시민권자가 자신들의 신념과 종교 등을 내세우며, 자신들의 국가를 공격하는 행위로 자살테러의 형태를 띠기도 한다. 2005년 런던테러 및 호주테러 등 서방에서는 끊임없이 자생테러가 발생하고 있다. 테러는 한 국가의 사회, 법률, 그리고 문화정책에 대한 도전적인 한 반응이라는 점에서 정치적 폭력행위라 할 수 있다. 자생테러범의 특징은 특정 국가의 정책 및 문화, 입법, 종교 등에 불만을 품은 시민들이 자신들의 불만을 테러로 표현한다는 점이며, 서방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자생테러범은 대부분 이슬람계 이민자의 2세대 또는 3세대이다. 이들은 중산층 자녀로 평범한 성장기를 보냈지만, 결국 이슬람에 심취하면서 지하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지하드화를 촉진하는 것은 인터넷과 이슬람국가 여행 및 거주지 주변의 모스크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자생테러범은 예비 급진과격화 , 자아인식, 신념화, 무장투쟁 전사화 등의 단계를 거쳐 테러를 감행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서방국가들은 자생테러리즘을 극복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공조체제를 갖추려 노력하지만, 각 국이 처한 다양한 상황과 문제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다. 자생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은 공조체제가 필수적이다. 우리나라 역시 특수한 남북관계 및 한미동맹, 한·유럽 연합자유무역협정 등을 고려할 때 자생테러에 대한 서방의 대응책을 연구하고, 공조체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s of homegrown terrorists through Radicalization profiling. Homegrown terrorism is attack their country by commonly associated with their beliefs and religion. Almost homegrown terrorism is related to Islam and radicalism in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ere are constantly so many homegrown terrorism occurred at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s 2005 London terror terrorism, the 2005 Australian terror etc. Terrorism is political violent reaction to a country's social, legal, and cultural policy. most homegrown terrorists have dissatisfaction with their country. Add to they feel a sense of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to community society. Especially those are most second-generation or third-generation from Islam nations. And their parents are middle class. Also they have normal childhood, even westernized. But mosques in Islam community give Jihad motivation to them. Especially they collect information about conflicts between western countries and Islam nations from internet. Above of traveling Pakistan, Iraq and other muslim countries also promoted Radicalization. They received military training in the travel. Muslim Radicalization have four steps to be homegrown terrorists like Pre-Radicalization, Self-Identification, Indoctrination and Jihadization. This is research on muslim Radicalization of London cluster and Virginia Jihad Network. Western nations and the United States should be working against homegrown terrorist. policies Should have the same direction. Also inevitably there shall be no religious discrimination in the community. Korea also must prepare research for Homegrown terrorism and policy responses.

      • KCI등재

        Expanding the Radicalization Framework: A Case Study of Tajik Migration to Russia

        Siniša Vuković,India Boland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2 ASIAN PERSPECTIVE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what explains radicalization of migrant communities and their families in their home country. Contemporary scholarship on radicalization has identified a broad range of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poverty, discrimination and/or lack of social mobility, that have the capacity to push individuals toward violence and radical beliefs. Yet, there is still a significant gap in current literature over the question why entire ethnic or national migrant groups are more represented in radical groups than others despite similar experiences. Using the case of Tajik migrants in Russia this article posits that the legacy of collective grievances and cyclical, systemic injustices, rather than a specific or personal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or mistreatment, are more accurate in explaining radicalization. The article pays specific attention to the role of religious or social remittances and, given a shared set of experiences, the susceptibility of the migrant’s own family in the home country to the same radical ideology—despite their never leaving their country’s bord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home country context, the collective account of society, is a more substantial predictor of radicalization than reception alone.

      • KCI등재

        Role of Social Media in Online Radicalization: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genda

        Tanu Shree,Sumeet Gupta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9 No.2

        This study attempts to synthesize the literature on radicalization and examine the role of social media in promoting radicalization. The study is based on the review of prominent studies on radicalization in both offline and online settings. The study builds upon the literature in offline settings on radicalisation and presents a research agenda for radicalization in online settings. The study also presents a model of radicalization delineating the role of social media.

      • KCI등재

        선군노선과 북한식 급진주의: 이데올로기, 조직, 정책을 중심으로

        안경모 ( Kyung Mo Ahn ) 북한연구학회 2013 北韓硏究學會報 Vol.17 No.2

        본 연구는 김정일 정권의 선군 노선의 성격과 등장과정을 재조명하려는 시도이다. 김정일 시대를 상징하는 핵심적인 개념인 선군 노선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많은 성과를 거두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고자 했다. 첫째, 선군 노선의 현상적 특성에 주목하기 보다는 그것이 갖는 본질적 성격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부정(negation)>, <대안적 비전 (visionary)>, <행동주의(activism)>를 그 핵심 구성요소로 하는 터커(RobertTucker)의 급진주의(radicalism)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선군노선을 ‘북한식 급진주의’로 규정했다. 둘째, 선군 노선을 외부위협에 의한 필연적인 결과물로 간주하기보다는 국내정치적 변수를 통해 설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카리스마적 권위의 구조, 그리고 그것이 정치적 계승의 과정에서 초래한 ‘권위의 위기’였다. 선군 노선은 급진화를 통해 정권과 지도자의 카리스마적 권위를 재구축하려는 시도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 선군 노선의 여러 구성요소들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선군 노선을 이데올로기, 조직, 정책의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선군 노선이 특정한 구성요소로 환원될 수 없는 매우 일관되고 총체적인 노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nature and the reason for the advent of the North Korean Military-First Line. As everyone knows, there have been so many studies about the Military-First Line of the Kim Jong Il regime. This paper, however, tries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as in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ubstantial attributes of the Military-First Line rather than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argues that Military-First Line is North Korean-Style radicalism, drawing on the concept of radicalism by Robert Tucker. Military-First Line consists of three core elements: anti-imperialism, Great, Prosperous and Powerful Nation, and Military-First Politics. Each element corresponds to Tucker`s three elements of radicalism, that is, negation, vision, and activism, respectively. Second,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e domestic politics rather than external threats as the causes of Military-First Line. Radicalization was a kind of authority-building strategy, which responded to the crisis of political authority erupted by succession, economic crisis, and asymmetric end of the Cold War. Finally, this study tries to describe the Military-First Line on the whole, not just in part. It accompanied the organizational and policy changes as well as ideological radicalization. The organizational changes included the advent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system and North Korean-style divisibility of politics and economy by Cabinet Responsibility System, while the policy changes was made up of the withdrawal of Revolutionary Economic Strategy, the revival of the priority development of heavy Industry policy for Self-Reliance, and the Defense Industry First Policy.

      • 이집트 청소년들의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리즘으로의 급진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ㆍ심리적 요인 분석 및 프로파일링

        김은영,윤민우 한국국가정보학회 2015 국가정보연구 Vol.8 No.2

        This article investigates a group of social-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on adolescents’ level of radicalization in order to develop social-psychological profiles that describe the potential radicals or terrorists supporting for the violent terrorism. To fulfill such purpose, this study utilized a sample of 1,928 Egypt youths collected by the START project. This study also uses a theoretical framework of social-psychology and a set of social-psychological factors suggested in psychological profiles of would-be terrorists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investigating radicalization. (i.e., social demographic factors, religiosity and religious devotion, non-negotiable radical ideology, and martyr mythology, etc.). The study found that several social-psychological factors have impacts on youth’s radicalization as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proposed. Especi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religiosity relevant factors such as non-negotiable radical ideology and martyr mythology. Such findings confirmed the arguments regarding the necessity of reconsideration of operationalization of the concept of religiosity in terrorism research.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e potential social-psychological profiles of radicalized youths. The contribu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in the section of results and discussion.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급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심리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급진화된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심리적 프로파일링 요인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급진화된 잠재적 테러리스트 개인의 사회·심리적 프로파일을 형성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먼저 사회심리학적 이론들, 사회·심리적 프로파일링, 그리고 여러 선행연구들을 통해 급진화와 관련된 주요 요인들이라고 알려진 다수의 요인들을 우선 추려내었다. 그리고 이렇게 파악된 사항들을 청소년들의 급진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배경과 요인들로 채택하였다. 미국의 테러리즘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하고 대테러 정책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START 센터에서 수집한 이집트 청소년들의 설문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이 데이터는 청소년들의 급진화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다. 분석결과 종교적 헌신성을 매개로 한 조직에 대한 헌신 또는 비타협적인 종교적 이념 등이 청소년들의 급진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우상화 또는 순교자화의 이념 역시 청소년들의 급진화에 매우 위험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는 거의 전무하고, 해외의 연구에서도 드물게 수행되는 청소년들의 급진화와 관련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한 의미가 있다. 이 밖에,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그리고 논의점 등이 결론과 논의 부분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자생테러범의 단계별 급진화 과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이슬람 극단주의 자생테러 사례를 중심으로 -

        정근범,정주호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 2023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 Vol.16 No.-

        2001년 9.11 테러와 2015년 파리 테러 이후 국제사회가 강력한 글로벌 대테러전을 펼친 결과, 테러단체 조직원이 다른 나라로 원정을 떠나 대형테러를 자행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대신 자생테러가 현존하는 위협으로 대두하고 있다. 이에, 서구권에서 무슬림 이민자 출신 자생테러범이 자행한 15개 테러 사건들에서 범인 들이 급진화하는데 미친 영향 요인들을 분석한 후 국내에서 유사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 원용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내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최근 국내 이슬람권 국가인들이 늘어나 커뮤니티까지 형성되면서 지역 주민과 갈등 사 례가 나타나고 무슬림 근로자가 테러단체에 자금을 지원하다 사법처리되는 등 서구와 같 은 위험 현상이 머지않아 현실화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무 슬림의 급진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사회, 종교단체 간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 과 함께 무슬림 청소년들이 인터넷상 급진 이데올로기를 스스로 판단하고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는 등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factors affecting the radicalization process in 15 terrorism cases that were actually perpetrated by Muslim immigrant terrorists using a theoretical framework of Silber & Bhatt and Precht.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radicalization of Muslim immigrant homegrown terrorist. First of all, socioeconomic discrimination or alienation was perceived as a distinctive feature. Second, online media such as a social network service played an prominent role in radicalization. Third, the role of mosques and extremist Imam was significant and influential. Fourth, Muslim enclaves and prisons were found to be very vulnerable. Fifth, the risk of the mentally ill and the rejected asylum seekers was confirmed. Sixth, traveling abroad deepened radicaliz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for countering radicalization of Muslims in South Korea. First, a close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religious organizations is required. Second, adequate support should be provided so that Muslim youths are equipped with the ability to judge and criticize any violent extremism on the Internet. Third, a legislative policy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and embracing Muslims is also necessary. Fourth, legal and institutional complements in counter-terrorism seemed to be urgent. Fifth, it is essential to monitor any religious activities centered on Muslim communities, identify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of Korean-Muslim individuals who are likely to become deeply engrossed in radicalism. Sixth, cooperative intelligence sharing with foreign counter-terrorism agencies should be invigorated.

      • KCI등재후보

        폭력적 극단주의 급진화에 대응한 프로파일링의 필요성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그리고 행동과학적 접근에 대한 논의 -정보활동의 패러다임의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윤민우 한국국가정보학회 2016 국가정보연구 Vol.9 No.2

        A recent trend of terrorism requires a paradigm change of the conventional intelligence. This article, accordingly, proposes such intelligence paradigm change responding to violent extremist radicalization, the new trend of today’s terrorism. For doing so, examples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are introduced. At the time that the threats of homegrown terrorism or violent extremism globally increases, it is very important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various personal factors and situational & opportunistic factors affecting on a violently radicalized individual. It needs to be understand that how those various factors causally affects the very person’s violent radicalization and an eventual violent outburst. Responding to such need of profiling and database construction on violent extremists, important steps of profiling and database construction for the scientific and empirical behavioral research and analysis have been done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research institutions and governments. Also, in German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conducts interviews and counselling with radicalized individuals and their family members in support of the German government. such organization also collects and analyzes their interview and counselling data and occasionally reports to the authority on dangerous developments. such overseas cases shows the importance of profiling, database construction, and behavioral scientific analysis, and prevention activities in countering violent extremists. this article proposes the need of such a new intelligence approaches. 최근 나타나는 테러양상들은 기존 정보활동의 패러다임에 어떤 변화를 요구한다. 이 논문에서는따라서 최근 테러양상을 대변하는 폭력적 극단주의 급진화에 대응한 새로운 정보활동의 패러다임으로의 변화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이를 위해 미국과 독일의 사례를 제시한다. 전 세계적인 자생적테러리즘이나 폭력적 극단주의의 위험이 날마다 높아지는 시점에서 폭력적으로 극단화된 급진화된개인의 다양한 위험요인들과 환경 및 기회적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와 같은 위험요인들이 한 개인의급진화 과정에 어떻게 상호작용을 미치어서 한 개인의 폭력적 극단화를 이끌어내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와 같이 현재의 폭력적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프로파일과 표준화의 필요성의 요구에 따라 최근 들어 미국을 중심으로 연구기관과 정부기관의 협력을 통해 개인들의 사례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과학적이고 경험적으로 과학적이고 분석하고 연구하며 분류를 하기 위한 시도들이 시작되었다. 또한 독일에서는 민간기관이 중심이 되어 극단적 테러리스트들과그 가적들을 상담하고 지원하며 이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활동들은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프로파일링과 그 기반이 되는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 그리고 이에 대한 행동과학적 분석과 사전 예방활동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새로운 정보활동의 접근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 KCI등재

        폭력적 극단주의와 급진화에 대한 연구

        이규범 한국테러학회 2019 한국테러학회보 Vol.12 No.1

        Today, conflicts and antagonisms among many nations and groups around the world are emerging in various forms. In particular, violent extremism is a major factor in beliefs and actions to achieve ideological, religious, and political goals. Discussions and agreements 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violent extremism are inconsistent. In general, violent extremism, however, leads to serious situations when it comes to synchronized violence and terrorist attacks through the process of radicalization. Individuals or groups that fall into violent extremism are subject to various methods to continue their ideals and claims and to mobilize means. This violent extremism is not influenced and proceeded by one factor, but variou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esidence area and network have mutual influences and undergo rapid evolution process. Finally, in order to prevent violent extremism for the maintenance of community in the nation, the process of radicalization in the area where violent extremism's ideology and behavior can be spread around macro-social problems such as poverty, unemployment,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Also, Community must actively intervene and respond. 오늘날 전 세계의 수많은 국가와 집단 간의 갈등과 반목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폭력적 극단주의는 이념적ㆍ종교적ㆍ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신념과 행동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폭력적 극단주의의 형성과정에 대한 논의와 합의는 일치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급진화 과정을 통해 동기화된 폭력과 테러공격으로 나아갈 경우 심각한 상황까지 이르게 되며, 폭력적 극단주의에 빠지게 된 개인이나 집단은 자신들의 이념과 주장을 지속적으로 관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수단을 동원하기도 한다. 이러한 폭력적 극단주의는 한가지의 요인에 의해 영향 받고 진행되는 것은 아니고, 거주지역이나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물리적ㆍ심리적ㆍ사회적 환경요인들이 상호영향을 미치며 급진화 과정을 겪게 되는 것이다. 결국, 국가내 공동체 유지를 위한 폭력적 극단주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빈곤이나 실업, 소외, 차별 등과 같이 거시적 사회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폭력적 극단주의의 이념과 행동이 확산될 수 있는 영역에서의 급진화 과정까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대응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