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과제

        이기덕 한국국가정보학회 2013 국가정보연구 Vol.6 No.2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is aimed systemizing the related knowledge of na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to promote its systematic understanding, improving rationality and effectiveness, and offering its desired direction. Since 1990 when academia showed their interests in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the subject has been considered as a new academic field. Currently, bringing reform to the na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 is a hot topic in Korea, and this enhances our need to develop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academically in order to nurture experts through improving education about theories and practices of na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and to develop the organization in a desired direc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development trend of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the efforts of intelligence community for academic improvement specially in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the U.K. Also, it exam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telligence study in Korea and suggests alternatives for academic development of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by applying advanced cases to our country. The alternatives this study suggests are: establishing a thinktank specialized in national intelligence study and education, securing an expanded national budget to support intelligence research, establishing a department of intelligence and expanding intelligence courses in universities, more support for the Korea Association of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KANIS), developing special fields of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training professors, adopting more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subjects in various government staff employment exams, and expanding more access to the research material. Thus, this paper emphasizes not only the government’s proactive support but also close cooperation between intelligence agencies and academia with an expect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academic development of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국가정보학은 국가의 정보활동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지식을 체계화하고, 국가정보활동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한편, 국가정보활동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 준다. 1990년대 들어서서 학계에서 국가정보학에 대해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국가정보학은 새로운 학문분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국가정보기관에 대한 개혁이 화두가 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국가정보활동에 대한 실무적용 가능한 이론연구와 교육 강화를 통해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고, 국가정보기관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정보선진국 특히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국가정보학 발전동향과 학문적 발전을 위한 노력 등에 대해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현 실태를 진단하는 한편, 선진국의 함의를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국가정보 전문연구기관의 설치, 정부의 재정지원 확충, 대학 내 국가정보학과 개설과 강좌개설 등을제시하는 한편, 국가정보학회 지원, 국가정보학 각론 개발, 교수요원 양성, 공무원채용시험에 국가정보학 과목채택 확대, 연구자료에 대한 접근성 확대 등 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 조치와 함께 정보기관과 학계간의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 등을강조하였는 바, 향후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

      • KCI등재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위상 및 국제관계학과의 관계

        김유은 한국국가정보학회 2019 국가정보연구 Vol.12 No.1

        This article reviews the academic position of intelligence studies and its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Intelligence studies has not only an extensive and distinctive field of study but also has developed significant levels of partial theories for explaining various aspects of intelligence by utilizing the existing theories of other related studies. However, it could not be said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intelligence studies to have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theory structure which is able to range over and penetrate intelligence studies by the nature of its broad and various research area. It could be regarded as a sub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at the offensive realism of International Relations explains the raison d’être and the necessity of national intelligence, but its field of study has been extending beyond the scop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furthermore has incorporated considerable research results of other related disciplines. It would be desirable that intelligence studies should become ‘studies of intelligence’ beyond ‘studies for intelligence.’ In addition, its interdisciplinary development would make it a rich field of study. 이 논문은 국가정보 연구의 학문적 위상을 평가함과 더불어 국제관계학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국가정보학은 매우 광범위하면서도 구별되는 연구 영역을 가졌으며, 인접학문들의 기존 이론들을 활용하여 국가정보의 다양한 측면을 위한 부분적 이론들을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국가정보의 광범위하고 다양한 연구 영역의 특성상 국가정보 연구를 포괄하고 관통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독자적 이론을 갖기는 어렵다는 측면에서 분과학문의 위상을 가졌다고는 볼 수 없다. 국제관학계학의 공격적 현실주의가 국가정보의 존재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는 점에서 국가정보 연구를 국제관계학의 하위분야로 볼 수도 있으나 이미 그 연구 영역은 국제관계학의 범위를 벗어나 확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른 분과학문들의 연구 성과를 수렴하고 있다. 국가정보 연구는 ‘국가정보를 위한 연구’를 넘어 ‘국가정보의 연구’가 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학제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 이 연구 분야를 더욱 풍성하게 하는 길일 것이다.

      • 일본 아베정부의 국가정보체제 강화와 한국에의 정책적 시사점

        박영준 한국국가정보학회 2014 국가정보연구 Vol.7 No.2

        Japan had constrained itself to develop its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due to the peace constitution for decades right after the defeat of the second World War. However, Japan gradually began to strength its intelligence system in the wake of post cold war era facing multiple sources of security threats by establishing the Defense Intelligence Headquarter in 1997 and refurbishing Cabinet’s intelligence divisions. With the advent of Abe administration in the late 2012, Japan spurred its consolidation of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by building National Security Council for the first time as well as enacting the new Law on the protection of special secret in 2013. Furthermore, Japan enlarged its network of international intelligence cooperation with partner countries such as Australia. Japan’s move to activate its intelligence system ga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public of Korea. First, intelligence producers should develop its mutual network to provide more accurate and valuable intelligences to related governmental institutions. Second, intelligence consumers including political leaders should eagerly utilize produced intelligence to shape more reasonable security policy. Finally, Seoul should consider a possibility of intelligence cooperation with Tokyo to deter latent security threat from North Korea. 국가안보에 관한 정보의 수집과 분석은 국가안보를 위한 중요한 국가적 기능의 하나이다.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 일본은 육해공군 전력보유를 금지하고, 전쟁을 국가정책수단으로 포기한다고 규정한 헌법의 영향 하에서 정보체제의 기능이 제한적이었고, 제도적으로도 정보관련 기구가 정부 부처별로 분산되어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일본의 국가정보체제는 제도적으로, 그리고 그 수단과 활동 측면에서 강화되는 궤적을보여왔다. 본 연구는 이를 1990년대 이후의 탈냉전기와 2012년 12월 이후 아베 정권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1990년대 이후 방위청 내에 정보본부가 신설되고, 내각 정보조사실이 강화됨과 동시에, 정보수집위성 등의 정보수집수단도 다변화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우방국가들과의 정보보호협정도 체결하면서, 국제정보협력 체제도 확대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흐름은2012년 12월, 아베 정부의 등장 이후 보다 가속화되고 있다. 아베 정부는 2013년 12월,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신설하고 그 사무국으로 국가안전보장국을 설치하면서, 정보수집및 분석관련 사령탑 기능을 강화하였다. 또한 기존의 내각정보조사실을 개편하여 내각정보국을 신설한다는 방침을 표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보수집위성 능력 강화에 더해 방위주재관, 즉 해외무관들의 정보수집기능 강화를 표명하였고, 글로벌 호크 등 정보수집자산의 대폭 강화도 추진하고 있다. 나아가‘특정비밀보호법’을 제정하여 국가공무원 간의 정보보호의무, 즉 방첩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의 국가정보체제 강화는 한국의 정보체제 강화를 위해 몇가지 유용한 시사점을던져주고 있다. 첫째, 정보생산자들 간에 횡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아울러 수집수단의 다변화를 위한 제도적, 예산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둘째,국가최고지도자를 포함한 국가안보관련 기관 등 정보소비자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정보체제 변화를 국가안보에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우리로서도 한일 정보협력에 대한 적극적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국가안보사범에의 대처를 위한 국가안보 법제 연구 : 미국 자유법(USA Patriot Act)과 해외정보감독법(FISA)의 교훈

        한희원 한국국가정보학회 2020 국가정보연구 Vol.13 No.1

        National security is safety and defense of a nation state, including its citizens, economy, and institutions, which is regarded as a duty of government. Originally conceived as protection against military attack, national security is now widely understood to include also non-military dimensions, including the security from terrorism, economic security, energy security, environmental security, cyber-security etc. People’s happiness under the global unlimited competition circumstances can only be established by the premises of national security. All sovereign states therefore will construct ‘national security criminal legal system’ as a natural government responsibility. However, the abstract and conceptual provisions of crimes to ensure the security and existence of a liberal democratic nation and to protect constitutional orders are not enough to attain national security and defend constitutional value and security. Of course, as the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s provided that “[t]he freedoms and rights of citizens may be restricted by Act only when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the maintenance of law and order or for public welfare.” Meanwhile,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shall not be downplayed for reasons not listed in the Constitution. Even if all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are limited by law only if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order maintenance or public welfare, and even if limited, they cannot infringe on the essential contents of freedom and rights," The most important of the basic laws of American intelligence community activities today are the American Freedom Act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However, although there have been fragmentary introductions of the U.S. Freedom Act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in Korea, few papers or reports have introduced the radius of activities of the intelligence tool as a result of the need, the reason for revision,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fundamental violation of the for him, of cours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U.S. Patriot Act, which has been said to be the embodiment of U.S. national security protection, must be preceded. However, there were many prejudiced views that the U.S. Patriot Act is a unique law for the federal state and a human rights violation law. In this paper, I will look at the reasons and details of the need for a new view and provision of security criminal legislation along with the emergence of transnational security threats through the U.S. Freedom Act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pay attention to the rule of national security law by promoting the harmony of efficiency and compliance with legal procedures through legal and regulatory control over national security criminals, which are still very insufficient in Korea to date in 2020. 글로벌 무한경쟁 환경에서 국민 행복은 국가안보가 전제되지 않으면 성립되지 않는다. 이에 많은 주권국가가 국가안보법제를 구축한다. 자유의 적에 대해서는 관용을 베풀 수 없다는 것이 인류의 지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가안보와 관련된 몇 개의 죄를 추상적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는 국가안보가 확보되지는 않는다. 현재 미국 정보공동체에 가장 중요한 활동 근거법이 미국 자유법과 해외정보감독법이다. 그동안 국내에도 미국 자유법과 해외정보감독법에 대한 단편적인 소개는 있었다. 하지만 헌법 위반 논란, 법에 따른 정보기구의 활동반경과 현재의 실제적인 활동가능 모습을 소개한 논문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미국 애국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미국 애국법에 대한 법리논쟁은 왜 미국 자유법이 만들어졌는지를 알려준다. 사실 미국 애국법은 연방국가인 미국에 독특한 법이고 인권침해법이라는 편견에 사로잡힌 견해들이 적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초국가적안보위협세력의 대두와 함께 국가안보사범 법제에 대한 새로운 조망과 필요한 이유 그리고 그 구체적인 내용을 미국 자유법과 해외정보감독법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2020년 현재까지도 미진한 국가안보사범과 그에 대한 처단 절차에 대한 법규범적 통제를 통하여 효율성과 적법절차 준수의 조화를 도모하는 등으로 국가안보 법치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후보

        6∙25전쟁 발발과 정보실패 요인에 관한 연구

        장호근 한국국가정보학회 2016 국가정보연구 Vol.9 No.1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intelligence failures of the Korean War by examining which of the two categorical causes in an intelligence cycle, that is, intelligence failures and nonintelligence( policy) failures. This study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system, which coordinates and controls the U.S. intelligence community, was not yet fully organized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addition, sources for information collection were limited, leading to a heavy dependence on the HUMINT sources mainly. Such problem in information collection inhibited the producing of imminent threat from North Korea and negatively influenced in persuading the intelligence users in the U.S. government. Moreover, South Korea was not highlighted as a strength signal in the signal-to-noise ratio as Seoul was in low priority compared to Formosa or Japan in the U.S. national security interest at that time. Furthermore other cognitive biases including cry wolf effects and wishful thinking and etc, complexly influenced the U.S. decision makers where they perceived the invasion form the North, but did not decide to react. All of the aforementioned factors contributed to the intelligence failures of the war. Consequent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intelligence failures of the Korean War results from the lack of a well organized integrated intelligence system, namely an integrated warningresponse framework, before the outbreak of the war. The author argues that the intelligence failure of the Korean War was a result of a non- intelligence(policy) failure, which includes shortcomings in the intelligence systems and problems in decision makers’ receptivity, rather than an intelligence failure itself which includes problems in information collection of imminent attack. Such conclusion provides a lesson for the current security developments in South Korea. First of all, Korea should strengthe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own intelligence system, which too much depends on the U.S. In addition to counter against the North’s nuclear and missile threat, the integrated intelligence system among the U.S, Japan and South Korea is necessary. This will enable integration, coordination and control of the intelligence related to the Nort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Thus,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IEWS(Integrated Early Warning System, tentative title) among three countries be established, and the GOSMIA(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also be promoted. 6∙25전쟁 발발의 정보실패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정보순환과정에서 발생 가능한정보실패의 여러 요인들을 정보적 요소 및 정보외적(정책적) 요소로 구분하고, 이들 중에서 어떤 요소들이 정보실패와 관련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6∙25전쟁 발발 전에 미국은 정보공동체를 조정∙통제하는 체제가 완성되지못한 상태였으며 정보순환과정의 첩보수집에서도 제한된 HUMINT에 대부분 의존하여 출처의 다양성이 결여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위협이 임박하다는 정보를 생산하지 못해미국 정부의 정보 사용자를 설득하는데 까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었다. 또한 당시한국은 일본이나 대만보다도 미국의 국가안보 이익에 우위에 있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중요성은 부각될 수 없었고 양치기소년 효과, 소망적 사고 등 인지적 오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국의 정책결정자들이 위협은 인식했으나 결정을 하지 못하는 정보실패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경고자와 대응자를 연결하는 틀인‘통합정보체제’의 부재가 정보실패를 초래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첩보수집과 같은 정보실패보다는 정보체제 미흡과 인지적인 오류에 의한 정보외적 요소인 정책실패가 6∙25전쟁 발발을 경고하지못하고 정보실패를 초래한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우리의 최근 안보 상황에도 교훈이 된다. 따라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위협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급 정보자산의 확보와 함께 우리의 독자적인 정보체제 강화가 시급하다. 따라서 미국 DNI의 국가정보실(NIC)과 유사한 기구를 국정원 산하에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자안보협력의 기본적인 틀 안에서 한∙미∙일 3국이 대북정보를 통합하고 조정∙통제하는 정보체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북핵 대응을 위한‘한∙미∙일 통합조기경보체제(가칭)의 설립과 한∙ 일 군사정보보호협정 등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치경찰제 시행에 대응한 경찰정보 조직 및 활동 개혁 방향

        문경환 한국국가정보학회 2020 국가정보연구 Vol.13 No.2

        With the request for reform towards the realm of whole national intelligence, necessity of restructuring police intelligence organization has also been raised consistently. Futhermore recently the submission of legislative bill for the implementation of Municipal Police System to the 21st National Assembly followed by the 20th accelerated the imperativeness of reformation. This paper thus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changing police intelligence activities and structure based on the legal basis, caused by the enactment of municipal police system in addition to examining U.K., U.S.A. and France cases and suggesting some potential alternatives. To sum up, in case of the imposition of municipal police system police intelligence as well as national security and foreign affairs including ‘national level’ public security operation will belong to ‘national affairs’ different from the other ‘local affairs’. That’s why the importance of police intelligence function will increase more drastically after the introduction of municipal police system due to the scope of intelligence operation dealing with coordinating and settling public conflict and massive demonstrations. That is 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scope of operation and establish ‘empowerment clause’ instead of ‘function clause’ through the amendment of Police Functions Act. In addition, needless to say, establishing the independent domestic intelligence organization and effective intelligence sharing and cooperating unit between intelligence agencies such as JTAC(U.K.) and NCTC(U.S.A.). Lastly,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training programs are also required to be set up in order to strengthen intelligence police officers’ competency and specialty with improvement of public attitudes towards police intelligence function. 국가정보원을 비롯하여 국가정보 영역 전반에 걸친 개혁 요구가 이어짐에 따라 경찰정보활동에 대해서도 개혁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20대 국회에 이어 최근 21대 국회에서도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한 법률안이 국회에 제출되면서 경찰정보 조직 및 활동 방향 등에 대한 개혁 논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자치경찰제 시행 시 예상되는 정보경찰의 조직구조 변화 및 활동 방향 등을 중심으로 법률적 측면이나 활동 범주, 조직체계 등에 대해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주요 정보선진국가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요약컨대, 자치경찰제 시행 시 정보경찰활동은 보안, 외사활동 및 국가 차원의 경비 활동과 함께 국가 사무에 포함될 예정인데, 향후 대규모 집회․시위 관리 업무를 포함하여 다양한 공공갈등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활동은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 높아질 전망이다. 이런 측면에서 정보경찰활동의 근거 법률이라 할 수 있는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을 통해 활동 범주 및 권한 규정을 명확화 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미국, 영국, 프랑스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역시 국내정보 전담조직의 신설 및 정보기관 간 효율적이고도 내실 있는 정보 공유 체계 마련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영국의 보안부(SS) 내에 설치된 합동테러리즘분석센터(JTAC)나 미국의 국가대테러센터(NCTC)는 좋은 예라 하겠다. 아울러 정보경찰활동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전환과 경찰 정보관의 역량 및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학습체계 구축 등의 구체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보경찰 교육체계 및 프로그램 전문화 방안

        문경환 한국국가정보학회 2021 국가정보연구 Vol.14 No.1

        Enhanced and diversified neo-threats including even climatic and ecological factors against national security call for pivotal role of intelligence function as guardians for national safety as evidenced by the recent risk of COVID-19.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intelligence officers’ professionality whether in national or police area is increasing. This paper thus focuses on assessing current status of training system and curriculum for Police Intelligence Officers especially concentrating on KNPU(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and PHRDI(Poli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training program related to police intelligence operation. Futhermore several relevant policy suggestions including cooperation ways with national area were proposed through analyzing core contents of national and police intelligence studies textbooks. Primarily evaluation indicator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competency indicator of police intelligence officers is required. It should be also mentioned to specialize and differentiate the contents of training programs. Lastly, standardization of curriculum model and specialization of professors and instructors is essential for strengthening police intelligence officers’ professionality. 최근 코로나 19 사태를 통해 보듯 기후환경․생태계 등에 이르기까지 국가안보 위협요인이 다각화되면서 국가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정보기관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그런 이유로 국가정보활동을 수행하는 정보관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의 체계화 역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는 정보경찰 활동에 있어서도 다르지 않아 정보경찰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성 향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이 연구는 현재 경찰대학 및 경찰인재개발원에서 운영 중인 정보경찰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현황 및 실태를 진단함으로써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국가정보학 및 경찰정보학 등 국가정보 교육의 주요 내용 분석을 통해 정보경찰 교육에 있어서 국가정보학과의 연계 방안에 대해서도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정보경찰의 역량지표 및 교육효과 측정지표 개발, 교육과정별 교육 내용의 차별화 및 전문화, 전문 교수인력의 양성, 국가정보 영역과의 연계를 통한 표준 교육안 마련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무엇보다 정보경찰의 역량지표 개발은 물론 보다 정밀한 교육효과 측정을 위한 지표 개발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코리아게이트의 국가정보론적 해석

        정주진 한국국가정보학회 2023 국가정보연구 Vol.16 No.1

        한국 중앙정보부는 1970년대 대미 영향력사업을 추진했다. 미국의 대한여론을 한국에 우호적으로 바꾸려는 사업이었다. 하지만 미국 언론이 이를 미국 지도층 매수사건으로 규정하고 ‘코리아게이트’라고 이름 붙여 문제화했다. 이 사건으로 한미관계는 극도로 악화됐다. 이 사건은 그동안 미국측 자료를 바탕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에 대한 성찰로 이 글에서는 비밀정보기관으로서의 한국의 중앙정보부 관점에서 이 사건을 조망해본다. 당시 박정희 정부는 주한미군 감축을 저지하고 한국에 대한 군사원조를 확대하기 위해 미 의회 의원들을 중심으로 대미 로비를 시도했다. 미국정부가 공화당 중심의 행정부와 민주당 중심의 의회로 이원화되자 국익을 도모하려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그러나 사업이 노출되면서 박동선의 중앙정보부 에이전트논란, 미국 망명자들이 제보한 중앙정보부 공작계획의 집행여부 등 많은 논란이 일어났다. 미 FBI와 미 의회는 2년여에 걸쳐 이 사건을 조사하며 중앙정보부 로비사업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박동선이 중앙정보부 에이전트라는 사실 등을 입증하는 데 실패했다. 이 연구를 통해 1970년대 중앙정보부의 대미 영향력 사업은 그 당시 안보상황을 고려한 시의적절한 사업이었으나 냉전시기 자유진영 최전방 기지로서의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간과한 진보성향 프레이저 의원 중심 미국 일부 지식인들의 편협한 한국비판, 중앙정보부의 협조자들에 대한 보안관리 부족과 지휘라인의 혼선 등으로 사업이 언론에 노출되고 사건을 수습하는 과정에서도 미숙하게 대응하여 한미관계가 악화됐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정보요원의 비밀준수 의무의 속성에 대한 고찰

        한희원 한국국가정보학회 2016 국가정보연구 Vol.9 No.2

        Recently, frivolous Kim Man Bok who served as director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under the late President Roh Moo-hyun, published a book leaking secrets without any permission by NIS. Futhermore in an interview, he disclosed that there was a direct hotline between President Roh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and that the two heads of state shared conversations about their Oct. 4, 2007 summit through the hotline. As soon as his revelations of the secret phone line provoked controversy, Kim withdrew his statement. This is not the first time that he has been criticized for his frivolous behavior and remarks. A relevant law stipulates that former and incumbent NIS officials should not disclose secret information they were privy to while in office. The law also bars an agent from publishing a book regarding his or her duties without the permission from the incumbent NIS head. Generally, classified information is material that a government body claims is sensitive information that requires protection of confidentiality, integrity, or availability. Access is restricted by law or regulation to particular groups of people and mishandling can incur criminal penalties. With this in mind I examines closely the legality of Kim’s act under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Act on the Staff of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For that purpose I review between the legal ideology of national security and human right. While the protection of legitimate government secrets is essential, the shield of secrecy should not be used to hide unlawful government activities, or to immunize government officials against accountability for the unlawful breach of human rights too.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no wonder people feel embarrassed and shameful about him. His act defies our understanding that a former NIS director, who had been overseeing state secrets, revealed untold stories about a former administration he had served. Even more incomprehensible is that he made arguments that were not true. From all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suggests that it’s natural that the prosecution decided to investigate Kim Man-bok, about his controversial revelations and punishment must be done for the future lesson. 김만복 전 국가정보원장이 재직시의 남북관계 비사(秘事)를 담은 회고록을 출간했다. 그는 “남북정상 간 핫라인 의사소통 구조가 있었다”고 공개했다. 회고록 도처에는 정보의 원천(源泉)과 방법(方法)을 추론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 이에 본고는 동인 행위의 적법성(適法性)을 현행 국가보안 체계에서 살펴보았다. 헌법 체계 아래에서 관련법의 분석에 따른 그 결론은 명료하다. 동 회고록은 최고 국가안보 의사결정 라인에서 업무를 수행했던 경험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어떤 경우에도 그 자체로 비밀성(秘密性)이 보장되어야 하는 가장 높은 수준의 국가 기밀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는 내용이다. 그러한 행위는 더 나아가 현재 우리의 적대세력으로 행동하는 북한에 대해서 뿐만이 아니라중국, 러시아 우방 국가이지만 또한 동시에 경쟁세력인 일본, 미국에 대해서도 국가 정책결정 그 자체의 비밀성(秘密性)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것으로, 주권국가 대한민국의 국가안보 결정과정이나결정수준 그리고 그 결정내용이나 신빙성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장 높은 수준의 반(反) 국가안보적 그리고 반(反) 정보적 행태라고 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서 본고는 ‘불의(不 義)에서 이득(利得)을 볼 수는 없다’는 정의(正義)의 대원칙에 비추어 출간되어서는 안 되고 법에 의한 엄한 단죄가 가장 확실한 재발 방지대책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 KCI등재

        이승만 정부 중기 특무대 기능 팽창과 특무대장의 암살

        정주진 한국국가정보학회 2021 국가정보연구 Vol.14 No.1

        In the middle of the Syngman Rhee government, Korean Counter Intelligence Corps even served as a national intelligence. It wasn't just a military intelligence services. Kim Chang Young, the head of an agency with such a stature, was assassinated on January 30, 1956. As a result, Syngman Rhee's military leadership was damaged, because long-term in Kim was suddenly cut. Until now, many people have diagnosed Kim's self-righteousness and arrogance as the reasons for his assassination. However, there were external factors other than personal matters to his death. Withdrawal of Unite States CIC at the very moment of the Korean War, The continuation of the quasi-war state triggered by the military revolt, Enactment of laws regulating anti-state forces. Investigation of left-wing in the military, Judicial action of those who cooperated with the communist army, These factors have strengthened the role of KCIC. In addition to it, Syngman Rhee relied on CIC for national management intelligence. Syngman Rhee and Kim's private contact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that strengthened the position of CIC. At that time, Syngman Rhee used KCIC as an agency to control the military, which grew into the largest social group in Korea. As a result, the military's operational power and intelligence power were divided and conflicting with each other increased. Kim's death was the outcome of such a struggle. It was a result of structural factors caused by the absence of a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s. This study has historical significance of national intelligence in that it approaches Kim's death from the viewpoin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tructure, not from his character. 이승만 정부 중기 특무대는 대통령을 보좌하는 국가정보기관의 기능까지 수행했다. 단순한 군사정보기구가 아니었다. 그러한 위상을 지닌 특무대의 김창룡 대장이 1956년 1월 30일 암살됐다. 장기간 특무대장으로 재임한 그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이승만의 군부통치에 차질이 생겼다.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그동안 김창룡 개인의 독선과 전횡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다. 하지만 그의 죽음에는 그의 권한을 확대시켜준 외재적 요인이 있었다. 한국전쟁 직전 미 방첩대의 철수, 군사반란의 다발로 인한 준전시 상태의 지속, 국가보안법 제정 등 반국가사범에 대한 규제 강화, 군내 좌익색출 수사, 한국전쟁 시기 부역자 처리 등이 특무대의 기능을 강화시켰다. 그와 함께 이승만은 특무대를 통해 통치정보를 수집하고 통치권 위협사건에 대해 조사시키는 한편 특무대장을 수시 독대함으로써 특무대의 입지가 더욱 강화됐다. 또한, 이승만은 한국전쟁을 겪으며 한국 최대 사회집단으로 성장한 군부를 통제하는 방법으로 특무대를 활용했다. 그 결과 군 통수체계가 작전권한과 정보권한으로 이원화되어 양 권한이 충돌하는 사례가 많아졌다. 이러한 마찰은 결국 김창룡 특무대장의 암살로 귀결됐다. 국가정보기관이 존재하지 않아 국가정보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한 국가정보구조적 결함이 특무대장 암살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이 연구는 이승만 정부를 지탱하던 핵심정보기관이었던 특무대의 수장이 암살된 사건의 원인과 배경을 김창룡 개인의 캐릭터 이외 국가정보구조적 관점에서 해부했다는 점에서 국가정보사적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