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검증

        김병준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xhaustion upon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with a view to prevent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hild care teachers, who comprise an important child care environment for infants and toddlers, while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child care. For this purpose, 785 child care teachers located in Jeollabuk-do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SPSS 24.0 and Amos 24.0 were used, and the by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it was determined whether the path included in the study model was valid. Then, using the Bootstrapp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ffected directly and indirectly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ir job satisfaction. Such a result suggest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an important variable to reduces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quality of child care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reminder training of child care teachers includ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eveloping programs to prevent psychological exhaustion.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영유아의 중요한 보육환경인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여 보육의 질 제고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 보육교사 785명으로, SPSS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에 포함된 경로가 유의한지를 분석한 후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도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심리자본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이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긍정심리자본을 포함하여 보육교사 보수교육과정을 개선하고,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함으로써 보육 전반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교사의 심리적 및 구조적 임파워먼트, 긍정심리자본, 교사소진의 구조 관계

        이미라(Lee, Mi-Ra),전향신(Jeon, Hyang-Shin),박분희(Park, Bun-H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교사의 심리적 및 구조적 임파워먼트, 긍정심리자본, 교사 소진(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저하)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34명의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5.0과 AMOS 25.0을 사용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측정모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연구모델인 구조회귀모델의 부합도와 변인 간 직‧간접효과를 도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개인적 성취감 저하는 감소하고, 교사의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이 감소했다. 둘째,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긍정심리자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나 교사의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교사 소진의 모든 하위 요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관계에서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적 성취감 저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empower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ers’ burnout(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personal accomplishment-reverse) and h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oderated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334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surve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conduct data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e fit of the structural regression model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teacher s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personal accomplishment-reverse and a teacher s structural empower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Second,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tructural empower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negative effect for all sub-factories of teachers’ exhaustion. Four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full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emotional exhaus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depersonalization. The mediators have only partial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ersonal accomplishment-reverse. From these results, the meaning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및 직무스트레스와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안나(Kim an 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on a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t inclination and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quality of program of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quality of program using psychological exhaustion as a variable, it was identified that both perfectionist inclination and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 effect on the quality of program through psychological exhaustion. It was identified tha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s a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job stress and job stress makes a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exhaustion. Specially, it was identified that psychological exhaus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et affected by job stress and these effects have also been shown to affect the quality of progra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identified psychological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relationship through various channels to improve quality of program through psychological variables a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t inclination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및 직무스트레스와 유아교육기관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K시에 소재한 유아 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구조적 관계와 심리적 소진을 변인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 모두 심리적 소진을 매개로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영향은 프로그램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과 심리적 소진과 같은 심리적 변인을 통해 프로그램 질적인 향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심리적 변인을 다양한 경로로 확인하고 관계성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금융환경 변화가 은행원의 심리적 소진 및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이상진,김하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5

        금융디지털화 현상은 미래의 금융기법이나 거래형태를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스마트폰 및 스마트기기의 보편화로 소비자의 이용 형태가 모바일과 인터넷 등의 전자 매체 중심으로 변화하고 빅데이터 분석 등으로 인한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맞춤형 금융서비스가 가능해진 금융환경에 기인한다. AI, 핀테크와 빅테크는 많은 금융정보와 전자상거래 그리고 금융서비스가 새롭게 결합되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최근의 금융환경의 변화는 금융서비스의 공급 방식과 금융소비자의 패턴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 출범 등으로 금융권의 서비스가 획기적으로 변화되고 있어 금융환경의 변화는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은행원의 심리적 소진이 전문직 자아개념의 소실로 이어져 은행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파악함으로 인해, 효과적인 대책 마련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초 통계를 위해 SPSS 12.0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소프트웨어 PLS 3.0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기술능력은 은행원의 심리적 소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터넷은행 증가는 은행원의 심리적 소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은행간 경쟁심화는 은행원의 심리적 소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은행의 지원축소는 은행원의 심리적 소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은행원의 심리적 소진은 전문직 자아개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금융환경 변화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은행조직 단위의 환경변화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Digital finance, in which market dominance is changed by innovative technology, is spreading and entering the era of AI, Fintech, and Big Tech. This financial digitalization phenomenon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approach future financial techniques and transaction types from a new perspective. This is due to the financial environment in which customized financial service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re possible. AI, Fintech and Big Tech are naturally occurring as a lot of financial information, e-commerce and financial services are newly combined. However, with the recent changes in the financial ecosystem, changes in the supply method of financial services and patterns of financial consumers are taking place, and the services of the financial sector are dramatically changing with the launch of Internet-only banks,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are expected to be inevitabl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preparing countermeasures by identifying the causes of banker's psychological exhaustion leading to los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lowering competitiveness of banks. “For analysis, SPSS 12.0 was used for basic statistics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software PLS 3.0. A summary of the study follows. First,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exhaustion. Second, the increase in Internet ban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exhaustion. Third, intensifying competition across bank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exhaustion. Fourth, the reduction in bank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exhaustion. Fifth, psychological exhaustion had an effect on professional self-concept. Based on this study analyzing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on psychological exhaustion, future research can provide a basis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banking organization on psychological exhaustion.

      • KCI등재

        대입진학지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의 군집유형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장창곡(Jang, Chang Kog),박미란(Park Mi Ran),이지연(Lee, Jee Y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대입진학지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내면행동, 표면행동)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대입진학지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조합되면서 어떤 자연발생적 군집이 발생하게 되었는지, 이러한 군집에 따라 심리적 소진이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충남, 울산 지역에서 고3 담임교사, 고3 부장교사, 진로진학상담교사 등 1년 이상의 대입진학지도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사 277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의 표면행동, 내면행동은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도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감정노동의 표면행동과 심리적 소진은 정적상관을 나타냈지만, 내면행동과 심리적 소진은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은 심리적 소진에 대해 62.7%의 설명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 중에서 의기소침, 직무부담이 심리적 소진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중 표면행동은 심리적 소진에 정적영향을 미쳤고, 내면행동은 심리적 소진에 부적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시간적 압박감은 심리적 소진을 유의하게 예언하지 못하였다. 셋째, 대입진학지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내면행동, 표면행동)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군집을 알아보기 위해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집단(무관심형, 예민형, 대인관계 미숙형, 대인관계 능숙형)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대입진학지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내면행동, 표면행동) 수준에 따른 4개 군집들 간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3(예민형 집단)이 소진 정도가 가장 많이 일어났고, 군집 1(무관심형 집단)과 군집 4(대인관계 능숙형 집단)가 소진이 가장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College Entrance Guidance Teacher"s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that (deep acting, surface acting) is looking at whether there is any relevance, substituting Guidance Teacher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any naturally occurring populations are generated as a combination was to investigate whether psychological exhaustion occurs, any difference in these communities. 277 high school teachers were in charge of business studie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below. Firs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face behavior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deep actings were all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stress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surface behavior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of emotional labor Despite that the correlation, behavior and deep psychological exhaustion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were found to represent the explanatory power of 62.7% for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depression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job burden had had an impact o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static, child"s emotional labor surface acting crazy and static factors of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deep acting had a psychological effect on the charm exhausted. However, the time pressure of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was not significantly predicted psychological exhaustion. Third, the assignment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Teachers College (deep acting, surface acting) conducted a two-step cluster analysis to determine the communities that form around a result, four groups (indifferent type, sensitive type, interpersonal immaturity type, was divided into interpersonal proficient type). Fourth, the assignment of teachers Guidanc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deep acting, surface acting) levels as a result of the four clusters way ANOVA to learn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in accordance with, group 3 (Acuity type groups) got a degree of exhaustion most Japanese, group 1 (apathy type group) and group 4(interpersonal skillfully type group) is the least exhausted showed that happening.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 abou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소진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정수,오은주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3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ademic exhaus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301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ree scales were used including psychological control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academic exhaus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by mean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well as Sobel test proposed by Baron & Kenny (1986).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father 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cademic exhaustion, and self-efficacy perceived by adolescents, father 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adolesc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exhaustion. Conversely self-efficacy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academic exhaus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addition, self-efficac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ademic exhaustion. These results implied that mother and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have both direct and the indirect effects on academic exhaustion through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중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심리통제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학업소진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그리고 Baron & Kenny (1986)가 제안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를 통하여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소진,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소진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학생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과 학업소진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순희,김익균,이남순,이현미 한국보육학회 2022 한국보육학회지 Vol.22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burnout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through social support. Methods: To verify this, key variables were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targeting 604 daycare center teachers working at public daycare centers, private daycare centers, home daycare centers,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and bootstrapping technique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Results: As a result, firs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significant path through social support to psychological exhaustion. In the direct path, all paths except for the path fro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psychological exhaustion were confirmed to be significant. You can see the support rising. Second, the path through which grit affects psychological burnout via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Grit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so the higher the level of gri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has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Conclusion/Implications: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indirect route, it can be seen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creases social support, and this increased social support low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grit increases social support, and this increased social support lowers psychological burnout.

      • KCI등재

        미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상담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이진아(Lee, Jin-A),오은주(Oh, Eun-Joo)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 상담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지역의 상담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이용해 실험집단 8명과 비교집단 8명을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의 미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은 앞서 연구되었던 미술치료 집단 프로그램을 상담자에 맞게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씩 8회기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 회기마다 소요 시간은 120분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직업 스트레스 척도(KOSS)와, 심리적 소진 척도(MBI)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WIN 22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 사전-사후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직무 스트레스 점수에서 사전-사후 검사의 전체점수 및 하위영역에서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실험집단에서 처치한 미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직무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말한다. 둘째, 미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심리적 소진 점수에서 사전-사후 검사의 전체점수 및 하위영역에서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실험집단에서 처치한 미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미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의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오히려 상승세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담자를 위한 미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상담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집단프로그램은 상담자가 상담현장에서 겪는 여러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상담자는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심리적 소진을 해소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미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은 상담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group program on counselor"s occupati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The preliminary examination for counselors working in counseling agencies in Gyeonggi-do was conducted to sampl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nd eight experimental groups and eight comparative groups were compose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reconstructed and used the previous art therapy group program in terms of the counselor characteristics.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over 8 sessions, and the time required for each session was 120 minutes.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KOSS) and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for assessing psychological exhaustion scale(MBI) were used. SPSS WIN 22 was used to conduct t-tests and the pre test-post test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art therapy group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reduced score in the average as well as the subfactor in terms of their job stress score level, and the overall score of the pre test-post test and the average score in the subfactor were reduced i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art therapy group program appl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ounselors. However, the average score of the control group showed an upward trend and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rt therapy group program for counselor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unselor"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Furthermore, this art therapy group program provided an opportunity for counselors to express their various difficulties and stresses experiencing during counseling practice. Through this art group therapy experience, counselors were able to lower their job stress and relieve psychological exhaustion. The implications of the art therapy group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for counselor"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 KCI등재

        체육수업 학습자의 욕구만족과 좌절경험이 여가시간 운동지속의도와 심리적/신체적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천승현,정주혁,송용관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4 No.2

        Purpose: Considerable research has attempt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inpoint its antecedents within a range of sport, and physical activity.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thwarting, and intention towar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emotional exhaustion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 Method: Participants were 37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n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in assess the Korean version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needs thwarting, intention towar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LTPA) and physical/emotional exhaus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e., brighter side) of students predicted intention towar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i.e., well-being). Whereas the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need thwarting (i.e., darker side) of students predicted physical/emotional exhaustion (i.e., ill-being) in PE.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facilitated important role in the LTPA, whereas psychological need thwarting predict physical/emotional exhaustion in PE. 이 연구는 기본심리욕구 이론에서 제시하는 이분법적 접근(긍정→긍정 vs. 부정→부정) 방식을 통해 체육수업 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과 심리적 욕구좌절이 여가시간 운동지속의도와 심리적/신체적 피로감 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경기도 및 서울 소재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74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욕구만족, 심리적 욕구좌절, 여가시간 운동지속의도와 심리적/신체적 피로감을 조사하여 분석에 활용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심리적 욕구만족은 여가시간 운동지속의도와 정적상관과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욕구좌절은 심리적/신체적 피로감과 정적 상관 및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심리적 욕구만족은 심리적/신체적 피로감을 예측하지 못하였으며, 심리적 욕구좌절은 여가시간 운동지속의도를 예측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긍정 선행변인은 긍정 결과변인을 그리고 부정 선행변인은 부정 결과변인을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기본심리욕구이론에서 제시하는 이분법적 접근 방식의 이론적 근거가 입증되었다. 또한 청소년들의 여가시간 운동지속의도를 위해서는 심리적 욕구가 만족되어야 하며, 심리적 욕구좌절은 학생들이 심리적/신체적 피로감을 가중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체육수업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을 충족시켜 주고, 심리적 욕구좌절을 경험하지 않는 수업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강현경,도미향 한국부모교육학회 2023 부모교육연구 Vol.20 No.2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grit,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grit and teacher efficacy on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2 childcare teacher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developed by Cha(2019) to measure grit and by Kim(2018) to measure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To measure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a MiburnMach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Jung(2015) was use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grit,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the average of grit was high, teacher efficacy was relatively high, and psychological burnout was low.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grit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grit and teacher efficacy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pared an alternative to prevent psychological exhaustion based on the effect of the grit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on psychological exhau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