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글쓰기>에서의 ‘글’에 대한 태도 변화와 창의적 교수법의 필요성

        손윤권(Son Yun-Gwo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1 리터러시 연구 Vol.- No.2

        보통 <글쓰기> 과목은 대학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글쓰기>강의는 문예창작과가 아닌 경우 시나 소설, 희곡, 에세이 같은 창의적이고 감성적인 글을 쓰기보다는 설명이나 논증 같은 진술방식을 익혀 실용적인 문서를 작성하는 시간으로 구성된다. 이런 상황에서 학생들은 대학에서 배우는 글쓰기를 고등학교 작문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면서 글쓰기를 부담스러워 한다. 특히 대학생활에 대한 동경에 젖어있던 대학 1학년 신입생들에게 <글쓰기>과목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풀어내는 행복한 시간이 아닌, 타의적이면서도 수동적으로 이론을 배우고 사무적이고 실용적인 글을 작성하여 학점을 받아야 하는 교양시간으로 인식되는 실정이다. 대학 글쓰기 강의는 입시 위주의 공부를 해왔던 학생들에게 지식의 전달보다는 소통과 교감을 통한 인문학적 사고와 창의적 표현을 할 수 있는 교양과목으로의 역할에 충실해지는 데 본연의 목적을 두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글쓰기 이론과 실제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못지않게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교감이 강조되어야 하고, 감성과 이성이 조화된 글쓰기 수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인문학과 이공계통의 경계를 나누기보다는 통합하고, 문학적인 글과 비문학적인 글에 대한 독서와 토론 수업 병행, 전공학문과 교양과목의 조화를 도모했을때 글쓰기 수업은 교양과목으로서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5년 전부터 <글쓰기> 강의를 진행해 오면서 기본 커리큘럼을 준수하면서 전공학문과 교양과목의 조화, 이성과 감성이 조화된 글쓰기를 위해 교수법 및 과제에 변화를 주었다. 특히 글쓰기와 말하기라는 두 가지 영역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모한 교수법으로는 강의 시간에 에세이 읽어주기, 특정 주제로 자기소개하기, 가족사를 다룬 소설 읽고 에세이 쓰기,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는 사건에 대해 논증하는 시험문제 출제, 전공학과에 맞는 설문 작성과제 등이 있다. 이 중 설문 과제가 학생들에게 가장 반응이 좋았다. 설문지 문제 작성에서 배부, 통계, 평가, 감상문 쓰기, 프레젠테이션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은 개별 과제와 조별 과제, 글쓰기와 말하기, 전공과 교양 과목, 이성과 감성의 조화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종합적인 과제의 성격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다양한 활동에 대한 성취도가 높았다는 점에서 학생들은 물론, 요원하게만 여겨졌던 전공학문과 교양과목 <글쓰기>의 접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교수자 개인에게도 성취감을 많이 안겨준 과제였다. 현재에도 진행 중인 이 과제는 추후 보완과 개선을 통해 강원대학교의 글쓰기 교과목인 <말하기와 글쓰기>에 부합하게, 학생들의 작문과 발표 실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University writing class targets freshmen mostly. The class generally consists of statement methods, except for creative writing department, such as explanation and argument for practical documents rather than imaginative and emotional writing like poem, play and essay. Given the situation, seemingly students feel difficulty taking it as a continuation of high school writing class. Especially, freshmen who have dreamt more exciting university life take it as compulsory liberal arts to learn theories passively and to write official and practical writings, not an enjoyable time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deal university writing class should offer student, who have studied only for university, opportunities to depict their humanistic thoughts and novelty via communication rather than a mere knowledge delivery. Not only systematic explanation about theory and practice, but commun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should be emphasized also along with a harmonious combination between reason and sensibility. To realize its own role, humanities and engineering departments should be unified while carrying out reading and debate classes for literature and non-literature together. Also balance between major and liberal arts should be encouraged. I have lectured on ‘writing’ since 5 years ago adhering to basic curriculum while modifying teaching method and assignment when needed for harmonious writing skill of major and liberal arts, plus sense and sensibility. Particularly, to elevate efficiency of writing and speaking sections, I read them essay during the class and asked to demonstrate on socially issued topic in test. Furthermore, I gave them a variety of assignment such as to introduce themselves using a specific subject, to write an essay after reading a novel about family and to mak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ir major. Among those, the questionnaires assignment was most positively responded by students. It requires a series of process; distribution, statistics, evaluation, report and presentation. It is considered to comprise integrating features in terms of harmony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works, writing and speaking, major and liberal studies, sense and sensibility. It was very rewarding to students since they experienced high achievement in diverse activities. Besides, it was meaningful to instructor, myself as well because combination of major and liberal studies were attempted which used to be thought having a long way to go. This assignment is still given to students and will develop more through constant supplementation and revision to contribute to their writing and presentation abilities corresponding to writing curriculum goal of Gangwo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정당방위에 있어 ‘현재의 부당한 침해’에 대한 단상 -일본의 ‘急迫性’에 대한 판례를 참고로-

        홍태석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圓光法學 Vol.35 No.3

        The Korean criminal law sees no illegality in cases where a certain requirement is met over the reasons for five kinds of illegality. In particular, self-defense (Article 21) is particularly problematic in a variety of aspects, including its establishment requirements and limit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excessive defense. The Korean criminal law has provisions on self-defense, stipulating that “the act of defending against the current unjust violation of one’s or other's legal interests shall not be punished when there is considerable reason.” In relation to the meaning of “current unjust infringement" here, "current infringement” means that an infringement of legal interests is in urgent condition, immediately occurring, or still ongoing, and “infringement” means an attack or risk to a person on legal interests protected by legal order. As such, self-defense is so strict that it is hard to find a case of recognizing the establishment of self-defense. It is also true that all the requirements for objective formation must be met, and that there is also a lot of disagreement with regard to the interpretation of relevant laws. Article 36 of the Criminal Law of Japan provides for the provision of self-defense by saying, “We shall not punish any acts inevitable to defend ourselves or others' rights for the infringement of fast-track corruption.” It is explained as ‘urgent’ in Japan that it is part of our "current unjust infringement" regarding the establishment requirements of self-defense. A suddenness is also considered an important aspect of self-defense in Japanese criminal law. In this paper, we compared and reviewed our cases based on Japanese precedents and review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urrent encroachment.

      • KCI등재

        칸트 선험 철학에서 상징의 의의

        박수범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코기토 Vol.- No.96

        We can find the seed of the symbol which is the method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but Kant simply mentions about the symbol in there. The symbol finally bears abundant fruit in the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Especially, Kant expands the symbolic method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concretely in the section 59.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e symbol in his transcendental philosophy has been overlooked because of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ly, The first Critique has been deemed the model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hence the schemata has been deemed the model of the method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Consequently, the schemata has been studied by many commentators, but they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symbol which is another way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Secondly, the title of the section 59 ‘On beauty as a symbol of morality’ indicates that commentators tend to use the symbol as a tool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deduction of the judgment of taste or the relation between beauty and moral. However,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e positive significance of ‘symbol’ in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through casting light on the symbol which has been deemed merely residual products or secondary things. *In this abstract, Kant’s terms are cited from The Cambridge Edition of the Works of Immanuel Kant.

      • KCI등재

        개념획득모형을 기반으로 한 예의 제시 방법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추론 방법 차이

        왕경수,김종옥 대한사고개발학회 2018 사고개발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elementary students employ different reasoning methods under different instructional conditions of presenting examples in the process of concept attainment. Drawn from two 4th grad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J city, 33 students were asked to do the task of forming concepts based on the examples designed to be provided in the three different ways by one of the researchers: presenting positive examples first, presenting negative ones first, and presenting positive and negative ones at random. The students’ observed learning behaviors were categorized into one of the three reasoning methods: induction, abduction and version space learning. And a series of cross tabulation analyses were done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reasoning methods used in different presentation condi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requency of the 4th graders’ reasoning methods under the three example presentation conditions. They used induction most often in all conditions, but used version space learning more often in random presentation condition than in the other two condition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cess rate of concept attainment among under the three condition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the successful concept attainers’ reasoning methods among under the three instructional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ers attain concepts by applying various reasoning methods to presented examples, which implies an aspec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본 연구는 예의 제시 방법(긍정적인 예를 먼저 제시하기, 부정적인 예를 먼저 제시하기, 긍정적인 예와 부정적인 예를 무작위로 제시하기)에 따라 학습 자들이 개념획득 과정에서 사용하는 추론 방법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다. J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의 학생 3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학습자들이 예의 제시 방법이 다른 세 가지 자료를 보고 세 가지 개념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추론 방법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예의 제시 방법에 따른 추론 방법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추론 방법으로 귀납법, 귀추법, 버전공 간학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의 제시 방법에 따른 학습자들의 초기 추론 방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부분의 경우에 학습자들은 귀납법을 많이 사용했는데, 무작위로 제시했을 때는 버전공간학습도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예의 제시 방법에 따른 학습자들의 개념획득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개념을 획득한 경우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추론 방법은 예의 제시 방법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를 종합하면, 학습자들은 예의 제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추론 방법을 통해 개념을 획득하며, 이는 그 과정이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이유제시 하자에 대한 판례 입장의 비판적 검토- 대법원 2022. 3. 31.선고 2021두49888 판결을 소재로 하여 -

        이상학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법학연구 Vol.65 No.1

        불이익 처분에 대한 이유제시는 법치국가의 본질적 요소이다. 행정절차법 제23조 제1항은 처분에 있어 근거와 이유가 제시되어야 함을 예정하고 있다. 다만 이유제시의 정도, 하자가 있는 경우 치유가 가능한지 여부, 그리고 가능하다면 그 시기는 언제까지인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그동안 우리나라 판례는 처분이 실체적으로 적법하여도 절차의 하자만으로 취소되는 것으로 보는 한편 이유제시 하자의 치유는 행정쟁송제기전까지로 제한함으로써, 판례가 행정절차를 중시한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인 듯하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현실과 부합하지 않으며 오히려 대법원이 행정절차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 않음을 본 판결에서 엿볼 수 있다. 불법에 가담한 유치원 원장에게도 책임을 묻고 있는 대상판결은 그 방향성 측면에서 타당하고 의미가 적지 않다. 다만, 이유제시의 하자에 대한 판단은 법리적 관점에서 정치성이 아쉬워 보인다. 이러한 논리적 불완전함은 치유규정의 미비에도 기인함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입법론적으로, 조사시기나 자료수집의 한계가 존재하고 그럼에도 처분을 늦출 수 없는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경우, 제1심 변론종결시까지 처분근거의 보완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추산에 의한 처분으로 불가피하게 소송에 휘말리지 않도록 - 법 위반의 정도와 비난 가능성의 경중을 떠나서 - 행정청은 그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이에 관한 법적 분쟁의 판단에서도 법원 역시 설득력있는 논거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Providing reasons for disadvantageous dispositions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rule of law. Article 23, Paragraph 1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stipulates that grounds and reasons must be provided for a disposition. However, there is no mention of the degree of reason given, whether it is possible to heal errors, and if so, how long it will take. So far, there seems to be a general view that Korean precedents place emphasis on administrative procedures by viewing a disposition as being revoked solely due to procedural errors even if it is substantively legal, and by limiting the remedy for deficiencies in reasoning to the period before the filing of an administrative dispute. However, this evaluation does not correspond to reality, and it can be seen from this ruling that the Supreme Court does not attach much meaning to administrative procedures. This ruling, which also holds kindergarten directors who participated in illegal activities accountable, is correct and meaningful in terms of its direction. However, the judgment on errors in the presentation of reasons seems to be lacking in detail from a legal perspective. It cannot be denied that these logical imperfections are also due to the lack of cure regulations. Therefore, from a legislative point of view, if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timing of investigation or data collection and there are unavoidable circumstances in which disposition cannot be delayed,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at the grounds for disposition can be supplemented until the conclusion of arguments in the first trial. In short, it is reasonable for the administrative agency to provide specific reasons - regardless of the degree of violation of the law and the severity of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 to avoid being inevitably involved in a lawsuit due to a disposition based on estimates. And the court will also need to be able to present persuasive arguments in judging legal disputes regarding this.

      • KCI등재

        취소소송에서의 기본적 사실관계 동일성

        배병호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성균관법학 Vol.27 No.1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has only 48 articles and is estimated as a special law of Civil Procedure Act because of provisions applicable mutatis mutandis of provisions of Article 8, Paragraph 2. But there is something which suggest Criminal Procedure Act to our mind. That is the identity of factual basis in addition or alteration of grounds for an administrative act.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and Civil Procedure Act don’t have the identity of factual basis in addition or alteration of grounds for an administrative act. The identity of factual basis is said the concept from the modification of an indictment. There are some critiques of the vagueness in ground and concept of the identity of factual basis of judicial decisions. Nevertheless there is not any discussions that we should make laws of the identity of factual basis in addition or alteration of grounds for an administrative act. I think that situation is a defect of legislation. The notion of grounds for an administrative act is related that of reasons for an administrative act. The presentation of reasons for an administrative act i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should suppose that Agent must suggest presentation of reasons and grounds for an administrative act to a party. When a party has not conceded reasons and grounds for an administrative act of agent, he institutes lawsuit. There are some debates of the differences between reasons for an administrative act and grounds for an administrative act. And without of Article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can Supreme Court decide addition or alteration of grounds for an administrative act litigation pending. Nowadays Supreme Court has held that Agent is able to present addition or alteration of grounds for an administrative act on the condition of identity of factual basis to protect the substantial constitutionalism and the party’s trust. Whether the judicial precedent is approved or not,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should be amended for the people. 행정소송법은 그 조문 수가 46개에 불과하고 제8조 제2항에서 법원조직법과 민사소송법 및 민사집행법의 규정을 준용하고 있어 민사소송법의 특별법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런데 형사소송법의 규정을 연상하게 하는 부분이 있다. 그것은 취소소송 중 처분사유의 추가ㆍ변경에서 등장하는 기본적 사실관계 동일성이란 표현이다. 행정소송법 조문에는 처분사유의 추가ㆍ변경과 기본적 사실관계의 동일성이란 단어가 없다. 기본적 사실관계의 동일성이란 용어는 형사소송법의 공소장의 변경에서 차용한 개념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대법원이 사용하고 있는 기본적 사실관계의 동일성은 그 근거와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고, 이를 둘러싼 논의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의 행정소송법 개정안과 개정의견 등에서 처분사유의 추가ㆍ변경과 기본적 사실관계의 동일성 등을 실정법으로 규정하자는 논의는 거의 없었다. 행정소송법 조문에도 없고 준용하는 민사소송법 등에도 나오지 않고 오히려 준용되지 않는 형사소송법상의 용어를 차용한 처분사유의 추가ㆍ변경과 기본적 사실관계의 동일성을 판례에만 맡기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할 것이다. 비교 대상이 무엇인지 그리고 기본적 사실관계의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차례의 개정안에서 명문의 규정을 두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은 입법의 미비라고 아니 할 수 없다. 취소소송 중 처분사유라는 개념은 행정절차법 제23조의 처분의 이유제시와 관련된다. 처분의 이유 제시는 원칙적으로 당사자에게 처분의 근거와 이유를 제시하도록 한 것으로 모든 처분에 대한 것이다. 행정청이 처분의 이유를 제시하는 경우에는 처분의 원인이 되는 사실과 근거가 되는 법령 또는 자치법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처분의 상대방은 행정청이 제시한 처분의 근거와 이유에 불만이 있을 경우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처분의 이유와 행정쟁송법상 처분사유와 개념적 구별에 관한 논의가 있지만, 행정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심판이나 항고소송 계속 중에 행정청이 행정처분 당시에 결정의 근거로 제시되지 아니한 사유를 새로이 제출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제기된다. 이러한 처분사유의 추가ㆍ변경에 관한 규정이 행정심판법이나 행정소송법에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법원은 실질적 법치주의와 행정처분의 상대방인 국민에 대한 신뢰보호라는 견지에서 처분청은 당초 처분의 근거로 삼은 사유와 기본적 사실관계가 동일성이 인정되는 한도 내에서만 다른 사유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뿐, 기본적 사실관계와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 별개의 사실을 들어 처분사유로 주장함은 허용되지 아니한다는 입장이다. 준용행정소송법을 탈피하여 독립적인 법을 만드는 것은 국민들의 권리구제에도 이바지할 것이다.

      • KCI등재

        新羅 中代 太宗(武烈王) 諡號의 追上과 재해석

        윤경진(Yoon, Kyeong Jin) 고려사학회 2013 한국사학보 Vol.- No.53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meaning behind the posthumous title presented to King Taejong(太宗) Muyeol-wang(武烈王), and why it was presented to him. Also examined is the fact that such presentation of a posthumous title was to commemorate his alleged service to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Han entities(‘一統三韓’). The title of “Taejong” usually referred to the Successor of the Founder king(“Taejo(太祖)”), so the title itself was an insurance to the person-in-question’s authority and legitimacy. This ‘Taejong’ title was added to KingMu’yeol-wang’s original posthumous title during the reign of king Shinmun-wang, and was designed to indicate the legitimacy of the Mu’yeol-wang line compared to the Jin’pyeongwang line. Later, the Mu’yeol-wang line was severed and the Nae’mul-wang line continued to inherit the throne. The house of Kim Yu-shin(金庾信) felt threatened by the situation, and published a biography of Kim Yu-shin emphasizing his services to the country in order to ensure the house’s authority. In this biography, Kim Yu-shin is described as the central person who contributed (more strongly than others) to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Han units, and Mu’yeol-wang is described to have received the title of “Taejong” because of his service at the side of Kim Yu-shin. 『Samguk Sagi(三國史記)』 recorded all this, but in consideration of the diplomatic condition of the time, revised the contents to some extent. On the other hand, 『Samguk Yusa(三國遺事)』 recorded the original material without revision.

      • 공인의 정치적 이념에 대한 표현과 명예훼손 -대법원 2018. 10. 30. 선고 2014다61654 전원합의체 판결-

        김경수(Kim, Kyung-su),정호빈(Jung, Hobin)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20 법학평론 Vol.10 No.-

        대법원 2018. 10. 30. 선고 2014다61654 전원합의체 판결(이하 ‘대상판결’)에서 다수의견은 ‘종북’, ‘주사파’, ‘경기동부연합’이라는 표현 중 ‘종북’, ‘주사파’는 의견표명에 해당할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위 표현들이 공인의 정치적 이념에 관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구체적 정황의 제시만으로도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다고 설시하였다. 다수의견의 태도는 위 표현들이 명예훼손에 해당할 수 있다고 본 종전 대법원 판례들과는 대비된다. 한편 반대의견은 대법원의 종전 입장에 따라 ‘종북’, ‘주사파’, ‘경기동부연합’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공인의 정치적 이념을 평가하는 경우 명예훼손이 성립한다고 보았다. 반대의견과 다수의견은 명예훼손의 구성요건 및 위법성 판단은 민·형사상 동일하다는 전제를 공유하면서도 상반된 결론을 도출하였는데, 이러한 입장 차는 명예훼손의 구성요건 및 위법성 판단기준을 다르게 적용하는 데에서 기인한다. 구성요건 단계에서는 ‘종북’, ‘주사파’가 사실 적시와 의견 표명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문제된다. 사실 적시 여부는 검증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2단계 심사방법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적절하다. 먼저 어휘의 통상적 의미와 문구의 연결방법 등을 고려하여 진술의 객관적 의미를 확정하고, 이어서 검증가능성을 중심으로 진술의 성격을 확정한다. 대상판결에서 드러나는 ‘종북’, ‘주사파’의 객관적 의미는 “주체사상을 신봉하고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정통성을 부정하는 반사회세력”에 가깝다. 위 표현들은 검증 가능한 표현이기 때문에 사실 적시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위 표현들을 의견표명으로 본 다수의견의 판단은 부당하다. 다음으로 위 세 가지 표현의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는지 문제된다. 공인의 정치적 이념에 관하여 구체적 정황의 제시가 있는 사실의 적시는 위법하지 않다는 상당성 법리를 어느 수준에서 적용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었다. 다수의견은 ‘종북’ 등의 표현에 대하여 공인의 정치적 이념에 관한 여타의 표현들과 동일한 수준에서 상당성 법리를 적용하였다. 반면에 반대의견은 ‘종북’ 등의 표현이 소수자를 정치적으로 배제하는 효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다른 표현들에 비하여 더 높은 수준의 구체적 정황의 제시를 요구하였다. ‘종북’ 등의 표현이 한국 사회에서 가지는 특수한 효과를 인정하더라도, 법리적 측면에서 이러한 표현들을 차별적으로 취급하는 것은 정당화 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다수의견이 타당하지만 구체적 정황의 제시가 어느 정도 수준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명확하게 설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대상판결에서 다수의견은 ‘종북’, ‘주사파’를 의견 표명으로 판단한 오류가 있으나 결론에 있어서는 타당하다. 그렇지만 공인의 정치적 이념에 관한 표현의 명예훼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민주주의 사회를 떠받치는 두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와 개인의 인격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보다 엄밀하고 정치하게 논증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4Da61654 decided October 30, 2018 (hereinafter ‘the case’), the majority opinion held that there exists room to construe the first two among the terms “pro-North Korea”, “North Korea sympathizer” and “Eastern Gyeonggi Coalition” as an assertion of opinion, not a statement of fact. The majority also ruled that using these terms pertaining to a public figure’s political ideology can be justified by presenting concrete circumstances. This judgment is in contrast with the Supreme Court’s previous decisions that the above-mentioned expressions do constitute tort. On the other hand, the dissenting opinion maintained the Supreme Court’s previous ruling. Although the dissent and the majority share the premise that the elements of defamation and judgments on its illegality in civil cases should be the same as those in criminal cases, the dissent’s conclusions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majority’s. This is because the standards that the two opinions applied in determining whether the above criteria are met in the case are unalike. First and foremost, the question arises as to which category the terms “pro-North Korea” and “North Korea sympathizer” fall into, facts or opinions. A distinction can be reasonably made through a two-step approach: first, to confirm the objective meaning of the term considering its ordinary meaning and context, and second, to determine its category based on verifiability. The objective meaning of the two terms in the case would be comprehended as “the antisocial force that believes in Juche Ideology and denies the legitimacy of Republic of Korea.” Then, the terms would be facts because of their verifiability. Thus, the majority’s conclusion that the terms were categorized as opinions is inappropriate. The next question follows as to whether the three terms are legally justifiable. As it turned out in the case, there are conflicting views on the degree to which “Reasonable Belief in Truth Standard” is applied, where an expression on a public figure’s ideology is justified when concrete circumstances are presented with the expression. The majority applied the standard at the same level as the other expressions pertaining to a public figure’s political ideology. On the contrary, the dissent reasoned that the above-mentioned expressions deserve less protection as they exclude political minorities from democratic discourse, and thus stricter standard is required. However, giving certain other expressions preferential treatment cannot be justified under legal grounds, hence the majority opinion stands valid. Nonetheless, there also exist limits as the majority failed to specify the extent to which concrete circumstances should be presented in order to justify the expressive act. In sum, the majority opinion is partially inaccurate in the process of reasoning, but is valid in its conclusion. Yet the process of determining defamation requires more precise and delicate demonstration, as it is done by balancing between the two basic rights that support our democratic society: freedom of speech and personal rights of an individual.

      • KCI등재

        부가가치세의 대손세액공제에 관한 몇 가지 쟁점- 대법원 2022. 11. 3. 자 2022두49687 판결을 소재로 -

        황남석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論集 Vol.28 No.1

        이 글은 대법원 2022. 11. 3. 자 2022두49687 판결 및 그 2심 판결인 서울고등법원 2022. 6. 10. 선고 2021누72002 판결, 서울행정법원 2021. 11. 2. 선고 2020구합74054 판결(이하 총칭하여 세 판결을 총칭하여 ‘대상 판결’이라고 한다)에서 쟁점으로 다투어진 부가가치세의 대손세액공제와 관련된 쟁점을 검토한 것이다. 대상 판결에서는 ① 회생계획안에 따라 출자전환 대상이 된 채권의 장부가액(272억여원)과 출자전환 및 주식병합을 통해 교부받은 주식의 시가(127억여원)와의 차액과 ② 원고가 회생채권자들에게 채무를 일시에 조기변제하기 위하여 2015. 6. 12.자 이 사건 변경회생계획안에 따라 변제율을 약 83%로 조정한 바에 따른 차액을 甲 주식회사의 입장에서 각각 대손금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가 다투어졌는데, 대상 판결은 두 쟁점 모두 소극적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첫 번째 쟁점의 경우 부가가치세법의 대손사유와 법인세법의 대손사유를 동일하게 다루어야 할 합리적인 이유가 없음에도 양자를 동일시한 점에서, 두 번째 쟁점의 경우 대손금 해당 여부를 판단할 때 현재가치할인을 고려하여서는 안 되는데, 이를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또한 두 쟁점에 공통된 논의로서 부분대손의 개념을 고찰하고 현행법의 해석론으로도 수용가능하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This article reviews the issues related to the deductibility of bad debts for VAT that were disputed in the Supreme Court’s decision dated November 3, 2022, and its second trial decision, the Seoul High Court’s decision dated June 10, 2022, and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s decision dated November 2, 2021,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subject decision”). In the subject judgment, the difference between (i) the book value of the bonds subject to conversion under the rehabilitation plan (KRW 27.2 billion) and the market value of the shares issued through the conversion and share merger (KRW 12.7 billion), and (ii) the plaintiff’s early payment of the debt to the rehabilitated creditors on June 12, 2015. On June 12, 2015, it was disputed whether the difference due to the adjustment of the repayment rate to approximately 83% in accordance with the amended rehabilitation plan could be considered as a bad deb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laintiff, and the subject decision was negative on both issu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rst issue, there was no reasonable reason to treat bad debts under the VAT law and bad debts under the corporate tax law as the same,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issue, the present value discount should not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whether a bad debt exists, and it is not reasonable in that it was considered in the subject decision. I also examined the concept of partially worthless debt, which is common to both issues, and considered that it is acceptable as an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law.

      • KCI등재후보

        일실이익의 현가 산정을 위한 중간이자 공제방법

        마승렬,김정주 한국법경제학회 2014 법경제학연구 Vol.11 No.3

        In the practic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we have been used Leibniz method or Hoffman method which uses 5% of legal interest rate as a discount rate customarily. However, these methods do not have reasonable economic certainty because the victim' s losses are underestimated by these methods. In this analysis, we conducted research looking for appropriate level of discount rate for calculating the present values of lost earnings. Through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net discount rates generated from past 20 years' wage growth rates and interest rates, we could confirm that it was possible to use the mean value of net discount rates in calculating present values of lost earnings. At this moment, the mean value showed a negative number near to zero. So, the result tells us that the total offset method can be a reasonable method in Korea. If we use total offset method in practice, due to simple calculating procedure, it can help insurance companies and courts reducing work load significantl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increase understanding between interest groups about the evaluated amount of lost earnings. 손해배상 실무에서는 일실이익 현가 산정에 법정이율 연 5%를 적용하여 할인하는 라이프니츠식과 호프만식 산정방법을 관행적으로 사용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정방법은 피해자의 손해액을 과소평가하는 방법으로서 경제적 합리성이 없는 산정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실이익의 현가 산정에 적용할 적정 할인율을 찾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과거 20년간의 임금상승률과 이자율 자료를 이용하여 생성한 순할인율 시계열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일실이익의 현가 산정에 순할인율 시계열의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값은 0%에 가까운 음(-)의 값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한국의 경우 중간이자를 공제하지 않는 완전상쇄방법이 경제적 합리성을 가지는 방법임을 말해 준다. 실무에서 완전상쇄방법을 사용하면 계산 과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법원과 보험회사의 업무량을 대폭 줄여 줄 수 있고 이해당사자에게는 일실이익의 산정 결과를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