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원 내 긍정심리학 전공의 교육과정 분석

        김도희,정주리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1 고등교육 Vol.4 No.1

        2000년대 이후, 긍정심리학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 긍정심리학에 관해 심도 있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기관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하여 긍정심리학 학위과정이 있는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긍정심리학 학위를 제공하는 8개 해외 대학과 1개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달심리학, 조직심리학, 건강심리학, 코칭심리학을 접목한 전공과정을 포함한 12개의 석사과정과 3개의 박사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교과는 긍정 정서, 안녕감, 강점, 미덕, 리더십과 같은 긍정적인 개인과 조직의 특성을 학습하고, 긍정심리학적 개입과 코칭을 연계하여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프로그램에서 현장실습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은 원격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있었다. 교과목은 크게 긍정심리학 기초 이론, 긍정적 조직 이론, 긍정심리 발달 이론, 긍정심리학 프로그램 및 평가, 긍정심리학 개입기법, 긍정심리학 실습, 통계 및 연구방법의 7가지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심리학이 상담심리학, 재활심리학, 교육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 접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Researchers’ interest in positive psychology has expanded since its emergence about in 2000. However, few institutions offer in-depth and systematic curriculum for this field of study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positive psychology degree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in order to establish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positive psychology experts in Korea. Specifically, the coursework programs of one university in Korea and eight foreign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12 master’s and three doctoral degree programs, includi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with developmental psychology, organizational psychology, health psychology, and coaching psychology. The programs mainly offered online courses and blended/hybrid courses. Courses wer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foundations of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organizational psychology theories, posi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theories, positive psychology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positive psychology practicum, and statistics and research methodologies. Each course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to learn positive personal traits and organizational features such as positive emotions, well-being, strength, virtues, and leadership, and to provide training in positive psych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 Field practicum was an integral part of all the program. By analyzing positive psychology curriculum, it is likely to extend the convergence of positive psychology with a variety of fields of study, including counseling psychology, rehabilitation psychology, and education.

      • KCI등재후보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Overview and Controversies

        Jeong Han Kim,Phillip Keck,Deborah Miller,Rene Gonzalez 한국상담학회 2012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Vol.2 No.1

        Since his first formal address in 1998 by Martin Seligman, the significant growth and accomplishments of the positive psychology have been universally noted. Notable breakthroughs include the inception of the International Positive Psychology Association in 2007 and the First World Congress of Positive Psychology in 2009. However, much concern has also arisen in conj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y. For example, Gable and Haidt (2005) argued that the assumption of a positive psychology implies the rest of the field must be negative psychology. These controversies are not only limited to the found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principles and understanding the controversies is requisite to ensuring the correct implementation of positive psychology. In this regard, the authors first describe a fundamental tenet of positive psychology in the areas of positive emotion, positive traits, and positive institutions. Further details on controversies and challenges in each area of concern are discussed,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positive psychology is a reputable subdiscipline of psychology.

      • KCI등재

        긍정 심리학의 연구 동향

        김도희(Do-Hee Kim),나원기(Won-Key Na),Cao Pingping(Cao Pingping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긍정 심리학 연구자들은 긍정 심리학이 제안된 1998년부터 24년이 지난 현재까지의 변화를 세 가지 물결에 빗대어 제시해 왔다. 본 연구는 긍정 심리학을 대표하는 학술지를 중심으로 주요 연구 주제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조사하고 긍정 심리학의 발전 과정을 탐구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가 발간된 2006년부터 2021년 사이에 게재된 788개의 논문을 수집하고, NetMiner 4.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논문에서 추출된 1,508개의 키워드를 토대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2006년부터 2010년 사이의 첫 번째 물결 동안 안녕감과 행복,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많은 연구자가 이들을 설명하는 개인의 긍정적인 특성과 경험을 밝히는 데 집중했다. 그리고 2011년부터 2015년 사이에 일어난 두 번째 물결에서는 성격 강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개인의 강점과 미덕에 관한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2016년부터 2021년 사이의 세 번째 물결에서는 연구 참여자와 방법론을 지칭하는 키워드가 다양해지고 각각의 연구 주제 사이의 연결성이 높아져 기존 연구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를 지속하는 경향이 있었다. 아울러 중재와 개입에 대한 키워드의 빈도도 크게 증가했다. 결론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긍정 심리학의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함으로써 지난 16년간 긍정 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어 온 주제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Researchers have described 24 years of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y in three waves, from its introduction in 1998 to the presen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ajor research topics in positive psychology have changed over time by referring to journals that represent positive psychology. Further, it explores its development proces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A total of 788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21,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were collecte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1,508 keywords extracted from these journal articles using NetMiner 4.3. Results During the first wave of positive psychology between 2006 and 2010, studies on well-being,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were actively conducted. Many researchers focused on revealing individuals’ positive traits and experiences that could explain the abovementioned areas. Throughout the second wave between 2011 and 2015, studies on character strengths flourished, and the appearance frequency of keywords related to personal strengths and virtues drastically increased. During the third wave between 2016 and 2021, keywords referring to study participants and methodologies were diversified, the connectivity between different research topics became apparent, and in-depth studies of existing research topics were continuously pursued. Additionally, the frequency of keywords related to interventions highly in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discusses the most debated topics over the past 16 years in the field of positive psychology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and presenting the research trends in positive psycholog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KCI등재

        국내 음악치료 연구에서 긍정심리 변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동향 고찰

        노유진,심교린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19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9 No.1

        As the field of positive psychology which started from reflection on psychology focusing on negative aspects in recent 20 years has grown, scientific researches on human happiness, strength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been accumulated and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organization and psychotherapy.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of a systematic review on the trends of positive psychology in domestic music therapy research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this goal, we have searched for 173 pieces of music therapy or music experience research that focuses on positive psychological research among Korean scholarly publications since 2000 when positive psychology first emerged.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 21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2012, music therapy studies that deal with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in domestic journals have been continuously published, showing that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after 2016 is increas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children's attitudes toward children, adolescents, children and adolescents. 9 out of 11 studied ego-resilience, and 5 studies on elderly and terminally ill patients all studied quality of life. Third, musical therapy interventions that deal with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used the most in listening experience (14 articles, 67%). Finally, quantitative research was published the most in research methodology. Among the 16 experimental studies, four(25%) were the research design of wireless control experiment, and two were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reveals that positive psychology is reflected in the domestic music therapy research and suggests that music therapy should be applied and extended to general adult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최근 20여년 간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둔 심리학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한 긍정심리학 분야가 성장하면서, 인간의 행복과 강점, 심리적 안녕에 대한 과학적 연구들이 축적되어 교육, 조직, 심리치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흐름 속에서 국내 음악치료 연구에서 긍정심리학적 흐름을 반영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동향을 살피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계적 고찰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긍정심리학이 태동한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 출간 연구 중에서 긍정심리 연구에서 주로 다루는 변인을 다룬 음악치료 또는 음악경험 연구 173편을 검색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따라 체계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기준에 부합하 는 논문 21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 이후 국내 학술지에서 긍정심리 변인을 다루는 음악치료 연구가 지속적으로 출간되어, 2016년 이후 출간 논문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긍정심리 변인을 종속변수로 한 연구 대상자군은 유아, 아동, 청소년, 종말기 환자, 노인 등으로 다양하 였으나, 대상자의 발달시기에 따른 종속변인을 살펴보면, 유아,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11편 중 9편이 자아탄력성을, 노인과 종말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5편은 모두 삶의 질을 연구하였다. 셋째, 긍정심리 변인을 다루는 음악치료의 중재들은 감상 경험(14편, 67%)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론에서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출간되었으며 실험연구 16편 중에서 무선통제 실험설계 연구가 4편(25%)이었고, 질적 연구는 2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음악치료 연구에서도 긍정심리학의 흐름이 반영되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고, 긍정심리학에 기반하여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음악치료가 적용되고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Viability of Traditional Weaving for Psychological Wellbeing - Implications for School Intervention Practice -

        디나 제이컵 야디키,유순화,권영숙 한복문화학회 2018 韓服文化 Vol.21 No.2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weaving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ggested that weaving activity can be used as one of the school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is a concept presented in positive psychology, which is a recent field of psychology, and is expressed as happiness or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study, we propose a weaving activity program as one of the positive educational method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raditional weaving activities conducted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a school can enhance positive emotions of students and help to build positive social relations. First, we briefly introduced the asp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presented in positive psychology, which is a recent field of psychology. Second, the framework of positive education, a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is suggested which can be utilized in school. Third, we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aving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we presented intervention program for weaving activity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we discussed the role of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 helping these programs to be successful in school and improv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weaving activity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by promoting positive emotion and optimal functioning of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직조 활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직조활동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학교개입 방안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은 심리학의 최근 경향인 긍정심리학에서 제시된 개념으로서, 행복감 혹은 심리적 행복감으로도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교육 방안의 하나로 직조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문헌에 의하면, 학교와 같은 교육환경에서 실시되는 전통적인 직조활동은 학생들의 타고난 긍정적 자질을 키워줌으로써 긍정정서를 고양시키고 생산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최근 심리학의 경향인 긍정심리학에서 제시하는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였다. 둘째, 학교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긍정심리 개입인 긍정교육의 틀을 제시하였고, 셋째, 직조활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설명하였으며, 넷째,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직조활동 개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이 학교에서 성공적으로 실천되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교사와 학교관리자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직조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긍정 정서와 최적의 기능을 촉진함으로써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요가심리학과 긍정적 정서

        조옥경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at yoga psychology aims to actualize the positive potentials in the depth of human mind with the perspective of body-emotion-mind-spirit integration. This approach i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modern positive psychology. For this purpose, the Self-realization of yoga psychology is discussed, which is to develop one's higher self as a center of psyche apart from one's psychological growth or maturation. An individual can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such as pleasure, joy, happiness and ecstasy through the typical yoga technique of concentration. Happiness is one of the main issues of positive psychology, but yoga psychology called it “ānanda” and divided it further into seven types. The positive emotions of positive psychology seem to be equivalent to positive states of mind in yoga psychology. But yoga regards calmness, tranquility, nonattachment and transcendence as the most valuable virtues for the full actualization of human potentials. From the perspective of yoga psychology, the tranquil state of mind is the wonderful fruit of long and arduous yoga practices. It is the calm and neutral state of mind which is free from all the turmoils of everyday life. Tranquility is beyond the scope of modern positive psychology's issues, but it offers some precious insights to them. 본 연구에서는 신체-정서-마음-영혼의 전일적이고 통합적인 건강을 지향하는 요가심리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개인의 심층에 존재하는 긍정적 잠재력의 개발에 있음을 강조하면서, 이를 긍정심리학의 맥락에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이를 위해 요가심리학이 추구하는 자기실현의 내용을 소개하고, 집중과 몰입이라는 요가의 방법을 통해 개인이 경험하는 기쁨과 엑스타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행복의 의미를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집중과 몰입이 깊어졌을 때 도달할 수 있는 의식상태의 변화와 행복의 수준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논의하였다. 행복, 지복, 엑스타시는 요가심리학과 긍정심리학의 주된 관심사이기 때문에 서로 일맥상통하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요가심리학에서는 긍정적 정서를 넘어서서 무집착, 초연함, 평정심을 가장 가치로운 덕성으로 삼고 있다. 요가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평정심은 고요한 중립의 상태로서 오랫동안의 고된 요가수련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긍정심리학이 아직 포섭하고 있지 못한 마음의 심층에 놓인 상태로서 긍정심리학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자연환경을 통한 긍정심리학 정신의 구현: 긍정 성격

        이승훈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2

        This overview articl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we should think over the concrete way to realize the spirit of positive psychology. Among the three main topics of positive psychology, this article focuses on positive personalities and pays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natural environments on facilitating positive personalities. This review article is to show that we can realize the aim of positive psychology by fostering positive personalities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Specifically, it was supposed that among the twenty four character strengths, creativity, curiosity, self-regulation, persistence, vitality, social intelligence, citizenship,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spirituality would be particularly suitable to be developed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and therefor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Particularly, among the Ways to Use VIA Character Strengths proposed by Rashid & Anjum, this article put emphasis on those in relation to natural environments. Putting Lee(2014) and this review together, the suggestion is obtained that the facilitation of positive experience and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ersonality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are in the upward spiral relation.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the realization of the spirit of positive psychology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institution. 본 개관논문은 긍정심리학 정신을 구현할 구체적인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긍정심리학의 세 가지 근간 중 긍정 성격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긍정 성격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자연환경의 영향력에 주목한다. 자연환경을 통해 긍정 성격을 함양함으로써 긍정심리학의 취지를 구현할 수 있음을 문헌 개관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긍정심리학의 24개 성격 강점 중 창의성, 호기심, 자기조절, 인내, 활력, 사회성, 시민의식, 심미안, 영성이 자연환경을 통해 개발하기에 특히 적합하다고 보았고, 이에 따라 관련 문헌들을 개관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Rashid와 Anjum이 제안한 성격 강점 증진 방안들 중 자연환경과 결부되는 것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이승훈(2014)의 논문과 본 개관논문을 종합하면, 자연환경을 통한 긍정 경험의 촉진과 긍정 성격의 개발은 상향적 선순환 관계에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연환경을 통한 긍정심리학 정신의 구현을 긍정 기관의 관점에서 고찰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음악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심리 정서적 지원이 필요한 초등학생의 긍정/부정 정서, 자아 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문지영,이하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23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music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in positive/negative affect,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ne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2 students in the 1st to 6th grades of 27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The effectiveness of music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were analyzed using 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the resilience scale for children, and index of well-being scale. Positive emotions, negative emotions,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subjec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music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results were meaningful in that the music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increases positive emotions, reduces negative emotions, improves self-elastici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ne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psychological emotional support music psychotherapy programs at home and school.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음악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심리 정서적 지원이 필요한 초등학생의 긍정/부정 정서, 자아 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교육지원청 산하 27개 초등학교 1-6학년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긍정/부정 정서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음악심리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응 표본 t-test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사전과 사후 대상자들의 긍정/부정 정서, 자아 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음악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심리 정서적 지원이 필요한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 증가 및 부정 정서 감소, 자아 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고, 가정 및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심리 정서 지원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의 긍정심리학 성격강점 적용에 관한 고찰

        조은혜 ( Jo Eun Hye ),김광수 ( Kim Kwang S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4 한국초등교육 Vol.35 No.1

        특수교육 패러다임이 장애학생의 문제적 행동에 집중하고 해결 및 보완에만 초점을 둔다면 그들의 부정적인 삶의 모습이 완화될 수는 있겠으나, 삶을 잘 영위할 수 있는 긍정적인 삶의 증진을 돕지 못하게 되어 그들의 실질적인 삶의 질을 저하시킬 위험이 있다. 따라서 강점을 키우고 긍정적인 경험을 갖는 것이 중요한데,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단순한 강점기반 접근만이 아닌 긍정심리학과 성격강점을 활용한 접근 또한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특수교육에서는 긍정심리와 성격강점에 대한 연구들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학 및 성격강점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특수교육에서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 온 실제를 조망하며, 앞으로의 활용 및 연구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긍정심리학과 성격강점의 배경과 핵심내용을 살피고 긍정심리학 연구의 핵심주제인 성격강점 측정도구 연구의 흐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교사의 인식에 기반한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성격강점 탐색, 특수교육에서 성격강점에 기반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시도들, 그리고 특수학생 대상 성격강점 측정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및 연구방안에 대한 제언으로 장애유형에 따른 성격강점 탐색, 문제행동 해결을 위한 성격강점 적용, 진로교육에의 활용, 특수교사 대상 성격강점 이해 증진 및 훈련 등을 논의하였다. 앞으로의 교육은 지식과 학문적인 성취에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좋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긍정심리학 및 성격강점 연구가 특수교육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적용되어 탐구될 필요가 있다. If the special education paradigm focuses on solving and remedying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may reduce the negative aspects of their lives. However, this focus falls short in promoting a positive, flourishing life and may compromise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sequently, cultivating and promoting their strengths and positive experiences is essential.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mploy a method that goes beyond a simple strength-based perspective, incorporates the principles of positive psychology, and leverages character strengths. However, despite the significance of positive psychology and character strengths, few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explore these topics.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benefits of positive psychology and character strengths, examine existing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investigate potential applic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To accomplish this goal,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background and core conte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character strengths. Moreover, it investigated current research trends in measurement tools, a key theme in studies on character strengths and positive psychology. Next,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the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character strength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based on teachers’ perceptions, examine attempts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programs in special education based on character strengths, and verify the present status of measuring character strengths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to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nd utilization of positive psychology and character strength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e study discussed exploring character strengths based on the type of disability and applying them to address problematic behavior, using positive psychology and character strengths in career education, and enhancing understanding and training of character strength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future of education should focus not only on ensuring knowledge and academic achievements but also enabling a good life. Therefore, the active application and investigation of research in positive psychology and character strengths with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s crucial.

      • KCI등재

        자연환경을 통한 긍정심리학 정신의 구현: 긍정 경험

        이승훈 한국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3 No.1

        This overview articl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we should think over the concrete way to realize the spirit of positive psychology. Among the three main topics of positive psychology, this article focuses on positive experiences and pays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natural environments on facilitating positive experience. This review article is to show that we can realize the aim of positive psychology by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First, this review demonstrated that the representativ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heory about the restorative effect of natural environments. Then, it was shown by discussing some empirical researches that the undoing effect, the principal concept of broaden-and-build theory, is available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Finally, several cases were examined to show that the contact with natural environments allows us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such as infusing with positive meaning, savoring, mindfulness, flow, and transcendent experience. From this review, the conclusion was drawn that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everyday nature to apply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nvironments and positive experiences to real life. 본 개관논문은 긍정심리학 정신을 구현할 구체적인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긍정심리학의 세 가지 근간 중 긍정 경험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긍정 경험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자연환경의 영향력에 주목하고자 한다. 자연환경을 통해 긍정 경험을 함으로써 긍정심리학의 취지를 구현할 수 있음을 문헌 개관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먼저 본 개관에서는 긍정 정서에 관한 대표적 이론인 확장 및 축적 이론과, 자연환경의 회복효과에 대한 대표적 이론인 주의회복이론이 일맥상통함을 밝혔다. 이어서 경험적 연구들을 개관하여 확장 및 축적 이론의 중요한 개념인 원상복구 효과가 자연환경을 통해서도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몇몇 사례들을 개관하여 자연환경을 접하면 긍정적 의미 부여, 향유, 마음챙김, 몰입, 초월적 경험 등의 긍정 경험을 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상의 개관을 통해서, 자연환경과 긍정 경험 간의 관계성을 실생활에 적용시키기 위해 일상 자연환경에 초점을 두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