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마음챙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교사-학생 관계를 매개변인으로

        심교린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3

        Recently, many teachers are complaining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difficulties in mental health in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Mindfulnes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for prevention and coping intervention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s mindfulness level on psychological burn-out through the mediating of mental health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to measure mindfulness, mental health,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from 251 incumbent teachers, and the research model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was verified as a structural equation. The higher the teacher's mindfulness level, the less psychological exhaustion by reducing mental health difficulties. appear. In addition, these two pathways were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e effects of mindfulness on psychological exhau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indfulness of teachers can help prevent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eachers by reducing difficulties in mental health and positive perception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howed that there i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indfulness-based programs for teachers in the future and the application of mindfulness in the school field and to spread the results through related research. 최근 많은 교사들이 급변하는 교육환경 속에서 심리적 소진과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예방과 대처 개입을 위한 대안으로 마음챙김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의 마음챙김 수준이 정신건강과 교사-학생관계를 매개로 하여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직 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정신건강, 교사-학생 관계,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헌검토를 통해 설정한 연구모형을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교사의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감소시켜 심리적 소진을 줄이고, 다른 측면에서 교사의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여 심리적 소진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두 경로는 마음챙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마음챙김이 교사의 개인 내적 측면에서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교사-학생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데 기여하여 교사의 심리적 소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교사를 위한 마음챙김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학교 현장에서 마음챙김의 적용과 관련 연구로 성과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판 다차원 내수용자각척도(K-MAIA) 후속 타당화 연구: 섭식, 신체증상 등을 중심으로

        심교린,김완석,정애자 사단법인 한국명상학회 2020 한국명상학회지 Vol.10 No.1

        As oriental meditative practice traditions such as mindfulness meditation and yoga become widely known in the West, understanding and research on body awareness and interoceptive awareness have been increasing since 2010. Although there is discussion about how to conceptualize and measure interoceptive awareness among researchers, Mehling and Price et al. (2012) previously reviewed the concept of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interoceptive awareness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and concept review of interoceptive awareness. He has published research on developing Interoceptive Awareness (MAIA), and has applied it in various fields and accumulates the results of research.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of Gim Wan-suk, Sim Kyo-lin and Cho Ok-kyung(2016), who validated the MAIA as the Korean version,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concept was examined for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ting behavior, somatization and somatic symptoms, inability to express emotions, and object consciousness, we tri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K-MAIA and to verify the results of recent studies on interoceptive awareness. As a result, we have secured the validity of constructive concept of the Korean version of K-MAIA, supported recent research results on interoceptive awareness, and laid the groundwork for related research.

      • KCI등재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완화(K-MBSR) 프로그램이 노인의 통증강도와 통증파국화,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 노인을 중심으로

        심교린,김완석 한국건강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3 No.3

        노화로 인한 많은 변화 가운데, 특히 신체 건강과 통증은 노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일반적으로 만성적인 통증을 경험하는 노인들은 더 우울해지고, 삶의 질의 저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심신건강과 관련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명상 접근법인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K-MBSR)이 노인들의 통증과 노인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8회기의 K-MBSR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비슷한 시기에 8회기의 일반적인 노인대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통제집단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추수(4개월 후)에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마음챙김, 통증파국화(K-PCS), 통증강도, 노인우울(K-GDS)을 수집하였으며, 각 집단별 프로그램 출석 및 결측치 여부에 기초하여 최종 43명(실험집단 22명, 통제집단 21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1집단간–1집단내 혼합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사후 마음챙김, 통증파국화, 통증강도, 노인우울 모두에서 집단간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통증파국화와 통증강도, 노인우울은 추수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K-MBSR)이 노인의 통증강도와 통증파국화, 노인우울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중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와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Among various changes due to aging, especially physical health and pain are a very important issues for the elderly. It is generally known that elderly people suffering from chronic pain become more depressed and start experiencing a lower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K-MBSR, a Kore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pai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8th session of the K-MBSR program, and from the control group participating in the 8th general elder school program at a similar time. Data on mindfulness, Korean pain catastrophizing scale, pain intensity, and elderly depression(K-GDS) were collected in the form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before, after, and after the programs (4 months after each program). Based on the program attendance and missing values ​​of each group, the data of the final 43 subjects (22 i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21 control subjects) were used to perform a mixed-ANOV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groups at the post- in mindfulness, pain intensity, pain catastrophizing, and elderly depression. Especiall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pain catastrophizing, and pain intensity. The results imply that K-MBSR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reduce the intensity of pain, pain catastrophizing, elderly depression.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플로리시 척도(K-PERMA) 타당화 연구

        심교린,김완석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Seligman(2011)의 웰빙 이론에 기반하여 플로리시(Flourish) 개념을 측정하는 PERMA-Profiler(Butler와 Kern, 2016)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타당화하여 국내 긍정심리 관 련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척도의 번역-역번역 및 예비조사를 통해 한국판 플 로리시 척도(K-PERMA)를 완성하였고, 대학생과 일반성인 249명(남자 110명, 여자 139명) 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 중 114명에게 4주 후 반복 측정하였다. 이어서 척도의 기술통계, 신뢰도와 하 위 요인 간 상관을 분석하였고,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으 며,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관련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척 도의 내적 합치도는 하위요인별로 .82~.90였으며, PERMA 총점에서 .95로 높게 나타났으 며, 4주 간격으로 시행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각 하위요인에서 .64~.85 사이였고, PERMA 총점에서 .78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형적합도는 χ²(df = 80, N = 249) = 194.97이었고(p < .001), CFI = .957, TLI = .938, RESEA = .086(90% 신 뢰구간, 0.72∼.10)으로 수용할만 하였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불안, 감사, 자기자비, 마음챙김과 같은 관련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원척도 연구 결과 및 이론적 가정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한국판 플로리시 척도(K-PERMA)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서 긍정심 리학 관련 연구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논의 및 결론에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척도 사용에서의 고려할 점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Seligman‘s (2011) study well-being theory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PERMA-Profiler(Butler, & Kern, 2016), which measures the concept of Flourish, into Korean and lay the groundwork for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y in Korea. It is noted that Korean version of the Flourish Scale(K-PERMA) was completed through translation-reverse translation and preliminary surveys. In this contex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otal 249(110 males and 139 females). In order to calculate the test-retest reliability, 114 subjects were repeated 4 weeks later.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reliability and subfactors was analyzed. Late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correlation with relevant measures was analyz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raged from .82 to .90 for each subfactor, .95 for the PERMA total score, and the reliability of the test-retest were between .64 to .85 for each subfactor, .78 for the PERMA total score which was a good level. The model fi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χ² (df = 80, N = 249) = 194.97 (p <.001), CFI = .957, TLI = .938, RESEA = .086 (90% confidence interval, 0.72 to .10) was acceptable. Upon review,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with related measures such a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xiety, gratitude,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showed that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original study and theoretical assumptions.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Flourish Scale(K-PERMA) can be used in the field of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y, and is considered as a reliable and valid scale. Subsequently,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s describe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considerations of the use of the scale for future review.

      • KCI등재

        마음챙김 음악감상(mindful music listening)이 직장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마음챙김 수준, 삶의 질, 정서에 미치는 영향 : 예비연구

        심교린,김완석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마음챙김(Mindfulness)을 음악감상 중재에 적용하여 결합시킨 마음챙김 음악감상(Mindful Music Listening) 중재가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 마음챙김 수준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천 소재의 E사업장에서 13주 동안 주 1회, 30-40분간, 안내와 마음챙김 음악감상, 논의로 구성된 마음챙김 음악감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16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고, 동일 사업장에서 근무하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성인(16명)을 선정하여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각각 자기보고식 질문으로 구성된 지각된 스트레스, 마음챙김, 삶의 질, 정적정서와 부적정서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두 집단 간의 사전 측정변인들의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후, 사전 변인을 공변량으로 한 사후변인의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마음챙김 음악감상을 실시한 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마음챙김 음악감상 프로그램은 직장인의 마음챙김 수준을 높이고, 지각된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긍정정서를 높이고 부정정서는 낮추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논의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This pilo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 music listening which combined mindfulness practice with music listening, on perceived stress, mindfulness, quality of life and affect of work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 volunteers, including 27 males and 5 females who were at work with E-company in Incheon city. The experimental group(n=16) was participated in mindful music listening program spontaneously constructed with introduction, mindful music listening, discussion about 30-40 minutes during 13 weeks per a week. while control group(n=16) was participated in no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thorough self-reports about perceived stress, mindfulness, quality of life and affect at pre-and post-mindful music listening program. Data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T-test was for preformed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s of groups before program. Then ANC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 music listening. Results show that mindful music listening increases levels of mindfulness, reduces perceived stress, enhances quality of life, increases positive affect and decreases negative affect. lastly, discussion described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paper.

      • KCI등재후보

        명상 중 심박변이도의 변화 양상: 예비연구

        심교린(Sim Kyo-Lin),김완석(Gim Wan-Suk) 한국명상학회 2020 한국명상학회지 Vol.10 No.2

        명상은 최근 심신의학적 어려움에 대한 개입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명상이 스트레스 측정과 관련하여 자율신경계의 대표적 생리지표인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명상 중 시간 경과에 따른 심박변이도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 명상경험에 따른 심박변이도 변화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신체적·심리적으로 건강한 대학생 총 39명(남 15명, 여자 24명)이었다. 명상경험자 집단은 9주 동안 명상에 대한 심리교육과 명상 실습을 경험한 대학생 19명, 비교집단은 9주 동안 심리교육에 참여했으며, 이전에 명상을 경험한 적이 없는 대학생 20명을 배치하였다. 실험 절차는 먼저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심박변이도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을 점검하고 5분 간 휴식을 취한 후, 녹음된 명상 안내문으로 신체 감각에 주의를 두고 머무는 정좌명상을 25분간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심박변이도 자료를 5분 단위로 분절하여 SDNN 지표를 산출하고, 다층모형의 위계적선형모형(HLM)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명상 중 SDNN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선형모형이 수용되었으며, 명상경험자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SDNN이 증가하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어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 등을 기술하였다. Meditation is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method of intervention for psychosomatic difficulties. This study is a pilot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tation on the heart rate variability, a representative physiological indicator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relation to the measurement of stress. I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 college students who wer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healthy (15 males and 24 females). The group of experienced meditation was assigned 19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education and meditation practice for 9 weeks, and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psychological education for 9 weeks, and 20 college students who had never experienced meditation before. In the experimental procedure, first, through a semi-structured interview, check items that may affect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take a break for 5 minutes, and then perform a sitting meditation for 25 minutes, paying attention to the body sensations with a recorded meditation guide. Heart rate variability was continuously measured. The measured heart rate variability data was segmented in 5 minutes to calculate SDNN index, and analyzed by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technique of a multi-layered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a linear model in which SDN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meditation was accepted in both groups, and the degree of SDNN incr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ditation experience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Next, the significance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 : 매개변인으로 통증파국화와 신체자각을 중심으로

        심교린(Sim Kyo-Lin),김완석(Gim Wan-Suk) 한국명상학회 2021 한국명상학회지 Vol.11 No.2

        인간은 끊임없이 통증을 관리하고 조절하고자 노력해왔다. 특히 최근에는 외과적 처치와 약물의 사용과 같은 의학적 방법 뿐 아니라, 심신 통합적 관점에서 통증을 이해하고 조절하려는 시도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마음챙김에 기반한 중재들은 통증 뿐 아니라 삶의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들이 축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과 여기에 매개변인으로 통증파국화와 신체자각의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연구에서는 만성적인 통증을 보고하는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마음챙김에 기반한 표준화 프로그램인 K-MBSR이 신체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본 연구를 통해 문헌 고찰에 따른 마음챙김과 통증, 통증파국화, 신체자각의 관계에 대한 가정을 설정하고, 364명의 일반인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마음챙김, 경험하는 통증 강도, 통증파국화, 신체자각, 통증수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마음챙김은 통증파국화를 매개로 하여 통증강도를 감소시키고, 신체자각의 감각수용과 감각복귀를 통해 통증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을 잘 영위하는 활동 참여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챙김을 통한 자각의 증가로 통증 강도에 대한 자각이 증가하지만, 감각수용을 증진시키고 통증파국화를 감소시켜 전체적으로는 통증강도를 감소시키는 매커니즘을 양적 자료를 통해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Humans have consistently endeavored to manage and control pain; recently, attempts to understand and control pain from a mind-body integration perspective have become more common, rather than solely from medical methods such as surgical treatment and drug use. In particular, recent research shows that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have positive effects not only on pain but throughout various facets of individuals’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pain and how interoceptive awareness and pain catastrophizing function between mindfulness and pain. In a preliminary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Kore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K-MBSR)—a standardized program based on mindfulness—on interoceptive awareness in 50 elderly people reporting chronic pain. We then developed assumptions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mindfulness, pain action, pain catastrophizing, and interoceptive awareness and collected data via questionnaires sent to 364 general and university students.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confirm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Results show that mindfulness decreased the intensity of pain by mediating pain catastrophizing. It also increased “accept and return to body” in interoceptive awareness and improved participation in daily life activities despite pain. This paper provides meaningful quantitative evidence suggesting that an increase in awareness through mindfulness increases the awareness of the intensity of pain, but interoceptive awareness decreases pain catastrophizing and intensity of pain.

      • KCI등재

        한국판 플로리시 척도(K-PERMA) 타당화 연구

        심교린(Sim Kyo-Lin),김완석(Gim Wan-Suk)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Seligman(2011)의 웰빙 이론에 기반하여 플로리시(Flourish) 개념을 측정하는 PERMA-Profiler(Butler와 Kern, 2016)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타당화하여 국내 긍정심리 관 련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척도의 번역-역번역 및 예비조사를 통해 한국판 플 로리시 척도(K-PERMA)를 완성하였고, 대학생과 일반성인 249명(남자 110명, 여자 139명) 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 중 114명에게 4주 후 반복 측정하였다. 이어서 척도의 기술통계, 신뢰도와 하 위 요인 간 상관을 분석하였고,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으 며,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관련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척 도의 내적 합치도는 하위요인별로 .82~.90였으며, PERMA 총점에서 .95로 높게 나타났으 며, 4주 간격으로 시행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각 하위요인에서 .64~.85 사이였고, PERMA 총점에서 .78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형적합도는 χ²(df = 80, N = 249) = 194.97이었고(p < .001), CFI = .957, TLI = .938, RESEA = .086(90% 신 뢰구간, 0.72∼.10)으로 수용할만 하였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불안, 감사, 자기자비, 마음챙김과 같은 관련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원척도 연구 결과 및 이론적 가정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한국판 플로리시 척도(K-PERMA)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서 긍정심 리학 관련 연구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논의 및 결론에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척도 사용에서의 고려할 점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Seligman‘s (2011) study well-being theory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PERMA-Profiler(Butler, & Kern, 2016), which measures the concept of Flourish, into Korean and lay the groundwork for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y in Korea. It is noted that Korean version of the Flourish Scale(K-PERMA) was completed through translation-reverse translation and preliminary surveys. In this contex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otal 249(110 males and 139 females). In order to calculate the test-retest reliability, 114 subjects were repeated 4 weeks later.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reliability and subfactors was analyzed. Late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correlation with relevant measures was analyz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raged from .82 to .90 for each subfactor, .95 for the PERMA total score, and the reliability of the test-retest were between .64 to .85 for each subfactor, .78 for the PERMA total score which was a good level. The model fi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χ² (df = 80, N = 249) = 194.97 (p <.001), CFI = .957, TLI = .938, RESEA = .086 (90% confidence interval, 0.72 to .10) was acceptable. Upon review,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with related measures such a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xiety, gratitude,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showed that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original study and theoretical assumptions.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Flourish Scale(K-PERMA) can be used in the field of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y, and is considered as a reliable and valid scale. Subsequently,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s describe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considerations of the use of the scale for future review.

      • KCI등재

        국내 음악치료 연구에서 긍정심리 변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동향 고찰

        노유진,심교린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19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9 No.1

        As the field of positive psychology which started from reflection on psychology focusing on negative aspects in recent 20 years has grown, scientific researches on human happiness, strength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been accumulated and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organization and psychotherapy.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of a systematic review on the trends of positive psychology in domestic music therapy research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this goal, we have searched for 173 pieces of music therapy or music experience research that focuses on positive psychological research among Korean scholarly publications since 2000 when positive psychology first emerged.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 21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2012, music therapy studies that deal with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in domestic journals have been continuously published, showing that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after 2016 is increas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children's attitudes toward children, adolescents, children and adolescents. 9 out of 11 studied ego-resilience, and 5 studies on elderly and terminally ill patients all studied quality of life. Third, musical therapy interventions that deal with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used the most in listening experience (14 articles, 67%). Finally, quantitative research was published the most in research methodology. Among the 16 experimental studies, four(25%) were the research design of wireless control experiment, and two were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reveals that positive psychology is reflected in the domestic music therapy research and suggests that music therapy should be applied and extended to general adult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최근 20여년 간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둔 심리학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한 긍정심리학 분야가 성장하면서, 인간의 행복과 강점, 심리적 안녕에 대한 과학적 연구들이 축적되어 교육, 조직, 심리치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흐름 속에서 국내 음악치료 연구에서 긍정심리학적 흐름을 반영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동향을 살피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계적 고찰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긍정심리학이 태동한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 출간 연구 중에서 긍정심리 연구에서 주로 다루는 변인을 다룬 음악치료 또는 음악경험 연구 173편을 검색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따라 체계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기준에 부합하 는 논문 21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 이후 국내 학술지에서 긍정심리 변인을 다루는 음악치료 연구가 지속적으로 출간되어, 2016년 이후 출간 논문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긍정심리 변인을 종속변수로 한 연구 대상자군은 유아, 아동, 청소년, 종말기 환자, 노인 등으로 다양하 였으나, 대상자의 발달시기에 따른 종속변인을 살펴보면, 유아,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11편 중 9편이 자아탄력성을, 노인과 종말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5편은 모두 삶의 질을 연구하였다. 셋째, 긍정심리 변인을 다루는 음악치료의 중재들은 감상 경험(14편, 67%)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론에서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출간되었으며 실험연구 16편 중에서 무선통제 실험설계 연구가 4편(25%)이었고, 질적 연구는 2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음악치료 연구에서도 긍정심리학의 흐름이 반영되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고, 긍정심리학에 기반하여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음악치료가 적용되고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