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장효은,정대련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n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using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in S kindergarten in S borough in Seoul. The research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thinking-experiments were forty-eight children who were all five-year-olds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4 children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24 children as the comparison group).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December 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experiences of philosophical community inquiry activities with picture books create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total scores of 8 elements of scientific attitudes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such as curiosity, independency and positive-ness, candidness, objectivity, openness(open-mindedness), criticism, reserving judgment, and cooperativity. Second, depending on experiences or no-experience in the activities of the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using picture books, the variable gave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s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such as predicting, observing, classifying, and discussing. In conclusion, young children need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of the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and practice philosophical inquiry using picture books to cultivate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5세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상적 사고 경험이나 사고 교육을 통해서도 과학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견해에 착안한 연구로서, 서울시 S구에 위치한 S유치원에 재원 중인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부터 12월까지 총 12주간 수행되었다. 그림책 11권을 연구 자료로 선정하여 도입과 최종회기를 포함하여 그림책 1권 당 2회기씩 총 24회기에 걸쳐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과학적 태도의 8개 요소 즉 호기심, 자진성과 적극성, 솔직성, 객관성, 개방성, 비판성, 판단유보, 협동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4개 요소 즉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토의하기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5세 유아들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방법으로써 역할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16세기 후반 영남 문인(嶺南 文人)의 산수유기(山水遊記) -지산 조호익(芝山 曺好益) 산수유기에 나타난 자연인식과 형상화를 중심으로-

        안득용 ( Deuk Yong An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5

        이 논문의 일차 목적은 芝山 曺好益(1545-1609년)의 자연인식과 형상화의 특징을 당대, 특히 영남지방 문인지식인들이 창작한 산수유기와 비교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알아보려는 것이다. 물론 16세기 후반 산수유기의 특징적 면모를 밝힘으로써 공백을 메우려는 것이 보다 궁극적인 목표이다. 退溪 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정통 성리학을 수학한 그는 31세(1575년)부터 시작된 17년간의 유배기 동안 두 편의 산수유기를 남겼다. 이러한 배경적 사실로 인하여 그의 작품에는 성리학자로서의 哲理的 태도와 不遇의 토로가 혼재되어 나타난다. 물론 타고난 文才를 발휘하여 산수를 세밀하게 묘사하려는 특징 또한 그의 작품 속에서 볼 수 있다. 그의 산수유기에서 드러나는 철리에 대한 탐구는 神交 혹은 心融이라고 자신이 언급한 자연에 내재한 원리를 탐구하고 그것에 합일되려는 태도에서 기인한다. 그 자신이 느낀 불우에 대한 형상화는 주로 자연물에 자신의 悲感을 투영하는 방법으로 서술되는데 여타 작가들의 산수유기에 드러나는 遇不遇에 대한 형상화보다 그 비중이 확연히 커서 주목된다. 또한 그의 산수유기는 자연 형상화의 세밀함과 구성상의 안배에 있어 탁월함을 보인다. 이는 그가 지닌 문학적 역량은 물론 스승인 이황이 산문의 형상화에도 관심을 두었다는 사실과 당대 산수유기 서술에서 문학적 형상화가 점차 활성화 되어가던 시점이었다는 등의 원인에서 기인하였다. 16세기의 산수유기 중 자연미의 형상화에 중점을 둔 산수유기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영남의 문인지식인의 작품에는 철리의 탐구에 비중을 둔 작품들이 많았다. 이후 17세기 중후반에 접어들면 金昌協 系列을 중심으로 하여 자연미를 세밀히 형상화하려는 태도가 활성화 된다. 조호익의 자연인식과 형상화의 태도를 보면 전자에서는 성리학의 인식론을 추구하면서도 형상화에 있어서는 17세기 중후반의 그것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세련된 작품을 창작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그는 산수유기 창작을 통해 16세기를 인식하면서 17세기를 서술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port firstly aims to research Gisan(芝山) Cho, Ho-ik(曺好益)`s view of nature and description by comparing his sansuyugi(山水遊記, travels) with another highbrows works. Undoubtedly it is the final aim to fill up the blank of the history of travels by researching features of travels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He was taught Sung Confucianism by Toegye(退溪) Lee, Hwang(李滉). And he wrote two travels during 17-year-banishment. These factors made his works show the philosophical attitude and misfortune. Undoubtedly he had the talent to describe the landscape, so the landscape was described very closely in his travels. His philosophical attitude was caused by a posture to investigate a principle which was in landscape, and to integrate him and landscape. And his description of misfortune was caused by a posture to project his sorrow on landscape. It is important that his description of misfortune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And his polish description was cause following two factors. Firstly, his teacher, Lee, Hwang considerde for description, Secondly, social atmosphere to describe landscape closely. 16th century`s Highbrows who lived in yeongnam(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show us the philosophical attitude in their travels. And 17th century`s highbrows show us a close description of landscape in their travels. By the way, Cho, Ho-ik shows us these two features well in his travels. So It is true that he recognized 16th century and described 17th century.

      • KCI우수등재

        음악교육의 철학적 발전을 위한 건설적인 철학적 태도 제안

        김기수 한국음악교육학회 2018 음악교육연구 Vol.47 No.1

        음악교육의 철학적 발전은 고대 그리스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특히, 1970년대에 이르러 음악교육의 철학적 관심과 연구가 크게 증대되어 심미주의와 실천주의, 그리고 그 밖의 여러 철학적 발전양상을 보이고 있다. 음악교육에서 철학적 연구의 주요 과제는 ‘음악교육의 본질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과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철학적 탐구 과제는 음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과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음악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결정하고 선택하는데 크게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육의 철학적 발전을 위해 최근까지 음악교육의 철학적 기초로 작용하는 주요 철학적 관점과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며, 계속적인 철학적 발전과 연구의 증진을 위한 건설적인 철학적 태도를 ‘다양한 철학적 시각과 세계관의 인정’, ‘음악교육 본질에 대한 끊임없는 물음’, 그리고 ‘스스로의 철학적 사유방식 습득’ 등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하이데거와 노장(老莊)의 비인간주의식 -현상학적 태도와 선(禪)적 무위의 이질성

        송석랑 ( Suck Rang S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treating of a heterogeneity of the poetic thought that originates from the difference of M. Heidegger`s de-humanistic thought from Lautzo-Chuangtzu`s de-humanistic Taoism. And for the purpose, this paper makes the nature of relation M. Heidegger`s de-humanistic thought has and the nature of rupture Lautzo-Chuangtzu`s de-humanistic Taoism has which are the dispositions concerned with the existing philosophy of humanism (so to speak, the epistemological metaphysics and confucianism`s artificial thought) its clue to the solution of the question that is needful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clue leads this paper`s discussion to the plac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M. Heidegger`s ``the no more philosophical philosophy`` that in order to overcome the philosophy of humanism unfolds a de-humanistic ontology or phenomenology on the inside of previous humanism and Lautzo-chuangtzu`s ``the naturally not philosophical philosophy`` that from the beginning refuses to accept metaphysical humanism on the outside of earlier humanism are searched. Through considering the place this paper will be reached to an achievement of filling up the lasting arguments that became the onesided because of it`s attention on the analogy between M. Heideggei`s philosophy and Lautzo-Chuangtzu`s one. And this paper also will present a subject of the communication that is needful for breaking a limit of de-humanism M. Heidegger and Taoism each has.

      • KCI등재

        철학상담 방법론에 있어서 칸트철학의 의의와 한계

        김석수(Kim, Suk-Soo)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8 No.4

        상담은 주체와 타자 사이의 소통의 노력을 통해 고통을 치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철학상담사들은 인과법칙적으로 접근하는 기존의 정신치료사나 심리치료사의 상담법이 진정한 소통의 길을 마련하지 못했다고 비판해왔다. 철학상담사들의 이러한 문제 제기는 중요하다. 사실 칸트의 비판철학에도 이러한 태도가 이미 잘 담겨 있다. 그의 철학은 자연법칙의 적용 영역과 도덕법칙의 적용 영역을 명확히 구별하였으며, 인간을 그 어느 한 영역으로만 규정하는 것을 거부했다. 적어도 칸트는 인간을 자연법칙의 차원에서 대상화 가능한 존재로만 보기보다는 도덕법칙의 차원에서 대상화를 넘어서는 자율적 존재로 보려고 하였다. 그의 이와 같은 태도를 상담에 적용할 경우, 우리는 그로부터 그가 내담자를 단순히 심리적이고 물리적인 차원에서만 다루지 않고, 이를 넘어 가치 지향적인 자율적 존재로 바라보려고 했을 것임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이처럼 칸트가 인간에 대해서 자연법칙에 기초해서 접근하는 것의 한계를 지적한 점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그는 인간을 도덕법칙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데 비중을 둠으로써 주체(상담자)와 타자(내담자)사이의 다양한 감정 소통의 길을 제대로 열어주지는 못했다. 비록 칸트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감적 태도를 통해 공통감의 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이 역시 도덕법칙이 지향하는 옮음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그는 감정의 원활한 소통의 길을 제시해주지 못했다는 비판을 후대의 철학자들, 특히 포스트구조주의자들로부터 받게 되었다. 비록 칸트철학이 상담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그의 철학이 오늘날의 철학상담 이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리는 그의 철학이 상상력 및 욕망과 관련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관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 이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Counseling is aimed at curing pains by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But the philosophical counselors have criticized that the psychotherapy basing on the causal law didn’t open the true way of communication. This criticism is very important. Kant has already criticized this a long time ago. He distinguished the world of natural law from the world of moral law, and refused subjugating a person only to one of these two worlds. At least Kang didn’t look upon a person as an object. Rather, he tried to treat a person as an autonomous being. In the viewpoint of counseling, a client is the autonomous being, and this being is beyond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men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Kant pointed the limits of determining a person on the basis of the natural law. So, he concentrated on evaluating a person on the dimension of the moral law. However, Kant couldn’t open the various ways of emotion-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counselor) and the other(client) through this way. Of course, Kant treated the “sensus communis” with the aesthetic attitud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ut this effort was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strong rightness which the moral law demands. He has been criticized for not opening the good emotion-communication of each other from many philosophers, especially the post-structuralists. If Kant’s philosoph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we have to open the way in which imagination and desire are able to work positively.

      • KCI등재

        동학 인내천과 대순사상 삼요체의 비교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4 대순사상논총 Vol.48 No.-

        동학에서는 인간이 한울님으로 성화(聖化)된 상태를 ‘인내천(人乃天)’이라고 한다. 동학의 성ㆍ경ㆍ신은 마음에 모시고 있는 한울님을 믿고, 한울님을 공경하면서 그 가르침을 지극정성으로 실천함을 요체로 삼아 인내천의 구현이 관건이 되고 있다. 이에 반해 대순사상 삼요체는 종교의미의 성ㆍ경ㆍ신으로 동학 도덕 의미의 성ㆍ경ㆍ신과 구별된다. 대순사상 삼요체의 성ㆍ경ㆍ신은 도덕적 자각을 벗어나서 절대자로서 상제를 신앙한다. 이에 대순사상 삼요체로서 성ㆍ경ㆍ신은 상제 의지가 실현된 지상 선경을 그 목표로 삼는다. 지상 선경 건설에 동참하는 인간은 성ㆍ경ㆍ신 실천을 중시한다. 대순사상에서는 상제에 대한 정성과 공경 그리고 믿음을 다할 때 후천의 모든 복록이나 수명까지 무위이화로 주어진다고 말한다. 이에 대순사상 삼요체 성ㆍ경ㆍ신은 상제 모시는 종교적 신앙에 따라 상제의 강림과 천지공사(天地公事)에 그 바탕을 두고, ‘무자기(毋自欺)’의 교리 차원과 ‘무위이화(無爲而化)’의 철학 차원으로 구체화한다.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 삼요체 성ㆍ경ㆍ신을 동학사상 인내천에서 강조하는 도덕 의미와 구별되는 신앙 의미에서 이루어지게 이에 대한 비교분석을 꾀하고자 한다. 그동안 대순사상 성ㆍ경ㆍ신 삼요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동학 인내천과 비교하여 상제 신앙과 대비하는 분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동학사상의 도덕 의미와 대순사상의 종교 의미를 비교 분석하고자 니니안 스마트(Roderick Ninian Smart, 1927~2001)의 종교현상학 방법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종교현상의 질적 차원에 대한 비교분석을 목표로 동학 인내천의 윤리적 차원 및 법적 차원과 대순사상 삼요체의 교리적 차원 및 철학적 차원을 대비하고자 한다. 아울러 공통기반의 영성구현이 인간존엄의 삼투연동 계기임을 규명한다. Donghak’s teaching, In-nae-cheon, means “humans are divine.” It is said, “When humans were formed, God’s blessing was required for their formation.” Donghak’s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s based on believing in God, respecting God, and practicing His teachings with utmost sincerity. These are key to implementing In-nae-cheon. On the other hand,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also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appear in a religious sense. These can be distinguished from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the Donghak moral sense.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the context of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goes beyond moral awareness, and calls for belief in God as the Absolute. Accordingly,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this context, that of Daesoon Thought, aims at the realization of an Earthly Paradise wherein God’s will can be achieved. Humans participating in the construction of Earthly Paradise value the practice of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Daesoon Thought, it is said that when one exerts sincerity, respect, and faith in God (Sangje), all the blessings and fortune of the Later World, even those of longevity, will be endowed through transformation via effortless action (無爲而化). Accordingly,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the context of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is based on God’s descent into the world and His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This is a religious faith that worships Sangje and is based on the doctrinal dimension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毋自欺)’ and the philosophical dimension of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the context of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Donghak’s In-nae-cheon and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Therefore, in order to clearly compare and analyze the moral significance of Donghak history and the religious meaning of Daesoon Thought, Roderick Ninian Smart’s method of religious phenomenology can be actively used. In this way, the ethical and legal dimensions of Donghak’s In-nae-cheon and the doctrinal and philosophical dimensions of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From this style of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alization of commonly shared spirituality can be an opportunity for greater human dignity.

      • KCI등재

        中国传统生命观的哲学诠释

        姜国峰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

        The core words: View of life is spiritual support, and even the survival of human life is the fundamental of human life to settle down. The traditional Chinese view of life is to survive, we can say how to survive occupies an extremely important role in Chinese life. Thousands of years, traditional Chinese Anpinledao, self-cultivation, contentment, leisurely, "World and I, and gave birth to all things with me as a" point to the highest life to Heaven. Specifically, performance on the philosophical point to the formation of the intuitive life as a whole way of thinking, life values and the supremacy of the moral life of contentment Yue Road concept of life to survive. 生命观是人之生命生存的基本精神支撑,甚至是人之生命安身立命的根本. 传统中国人的生命观是生存第一, 可以说如何生存在中国人的生活中占有极其重要的地位. 几千年来, 传统的中国人安贫乐道, 修身养性, 知足常乐, 优哉游哉, “天地与我并生,万物与我为一”, 以天人合一为最高生活指向, 具体来说, 表现在哲学指向上就形成了整体直觉的生命思维方式、道德生命至上的生命价值取向和知足乐道的生命生存观念.

      • KCI등재

        감정 조절을 위한 율곡의 교기질(矯氣質) 방법 활용 - 구용구사(九容九思) 중심으로

        황정희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Human beings are constantly exposed to things and situations and various emotions occur at every moment. I think that the cognitive trait is more active than the non-cognitive trait in the occurrence of emotions. Therefore I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emotion through change of cognitive trait. For this, the emotion will be linked to Yulgok Yiyi’s argument that it is possible to recover the natural mind of human being through the change of temperament. I also wanted to find our how to change the temperament in his book. I discussed that he deals with emotion from the cognitive point of view based on mind theory:“the mind is the owner of the human-nature, emotion and thought.”and“the mind is the qi”Second, his theory of healing for temperament will b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of temperament with emotion will be deduced. Finally, as a practical method of healing for temperament“nine ways of courteous attitudes and nine types of right thinking,”from the Chapter of Jisin in his book“Gyeokmongyogyeol”will be mentioned to control emotions of modern men. The aim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out, through the thoughts of Yulgok Yiyi, the fact that emotion is the subject to be controlled, in examining the method of healing for temperament from his book for modern men to learn it on ordinary days and to apply it to discriminating and controlling their own emotions, and in determining that we are the active beings to autonomously and independently make our lives better through these philosophical practice. 마음의 상태가 드러나는 바를 감정으로 본다면 이를 조절・통제하지 못해 생기는 심각한 사회문제에 직면해 감정은 과연 조절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논자는 인간이 어떤 사물이나 사건에 대해 일으키는 감정은 비인지적인 것과 인지적인 것이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며 이 중 타인과의 관계, 사회적인 환경 속에서의 감정 발생은 인지적인 측면이 비인지적인 것보다 크게 작용한다고 본다. 이에 따른다면 인간은 감정을 스스로 조절할 수 대상으로 둘 수 있을 것이다. 또 나의 밖에 존재하는 타인과 사태를 가장 먼저 접하는 각각의 몸도 감정과 완전히 따로 떼어내어 생각할 수 없을 것이다. 본 논문은 감정의 조절 가능성을 율곡의 심성론(心性論)과 교기질의 연관 관계를 통해 찾아보고자 했다. 인간이 각각 개별적이고 상대적으로 지닌 기질은 사태와 사물에 접해서 그 뚜렷한 양상을 드러낸다. 이런 기질은 리(理)의 고정불변적 성격과는 달리 운동성을 지닌 기(氣)와 연관되어 있다. 마음이 기[心是氣]이고 마음은 정[情]・의념[意]과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性心情意一路]는 두 가지 측면에서 감정은 기와 연관된다. 이를 통해 본다면 기와 기질 그리고 감정의 문제는 서로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논자는 이것을 역행의 측면으로 확대해 기질을 바로 잡아나가는 극기복례의 과정, 즉 교기질의 과정은 감정의 조절과 연관성을 지닐 수 있다고 보았다. 기질을 원래의 것으로 바로 잡는[矯氣質] 과정을 통해 마음의 허령(虛靈)한 본래의 모습을 회복한다면 이에 통솔되는 감정[情]과 뜻[意]도 순선(順善) 해 질 수 있다고 보고 교기질의 방법으로는 『격몽요결』 「지신장」에서 제시한 구용구사(九容九思)를 제시했다. 구용(九容)은 내면의 감정이 드러나고 외재적 사태가 가장 먼저 인식되어 감정을 일으키는 접점으로서의 몸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곧 몸의 외부적인 모양[容]이 인식적인 마음의 측면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반면에 외부적인 자극에서 몸의 직접적인 반응의 조절을 통해 감정의 발생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이다. 이로써 구용의 실천은 감정의 사태를 조절함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구사는 ‘~ 할 것에 대한 생각’을 강조하는 매우 인지적인 작업이다. ‘만약 ~ 한다면’이라는 사고를 경험해 보는 과정을 가져보며 그 결과를 예상해 사태 이전에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고 발생한 감정이 여과 없이 표출되는 것도 막아줄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구용구사는 고대 중국에서 이미 군자의 몸가짐을 위해 활용되었지만 그 실천적 측면에 있어서 현대인 누구나가 생활에서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고 실제의 생활에서 접목해 지속해 행한다면 현대인들이 기질 변화와 더불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해 나가는 데 효용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감정은 조절이 가능한 대상이라는 것을 율곡의 사상을 통해 밝히는 것이다. 둘째 율곡의 저서에서 교기질의 방법을 찾아보고 현대인이 평상시에 이를 공부해 실제로 감정의 분별과 조절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철학적 실천을 통해 인간은 자율적이며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더 좋게 만들어 갈 수 있는 능동적 존재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 KCI등재

        中國傳統生命觀的哲學詮釋

        姜國峰(Jiang, Guo-Fe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

        生命題且是人之生命生存的基本精神支摟甚至是人之生命安身立命的根本傳統中國人的生命藍眼生存第一, 可以說州司生存在中國人的生活中占有級其重要的地位. 几千年來, 傳繃甘中國人安貧樂道, 修身養性, 知足常樂, 忱吉t游哉, 呎她句我并生, 方物句主足為一以天人合一為最高生活指向, 具体來說, 表現在哲學指向上就形成了整体I直覺的生命思維方式、道德生命至上的生命份值取向和知足樂道的生命生存觀念, The core words: View of life is spiritual support, and even the survival of human life is the fundamental of human life to settle down. The traditional Chinese view of life is to survive, we can say how to survive occupies an extremely important role in Chinese life. Thousands of years, traditional Chinese Anpinledao, self-cultivation, contentment, leisurely, “World and I, and gave birth to all things with me as a” point to the highest life to Heaven. Specifically, performance on the philosophical point to the formation of the intuitive life as a whole way of thinking, life values and the supremacy of the moral life of contentment Yue Road concept of life to surv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