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에 대한 경험 방식과 지식이 국가이미지와 전반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5개 국가의 한국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이효복 ( Hyo-bok Lee ),김유경 ( You-kyung Kim ),오혜라 ( Hye-ra Oh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1

        국가는 다양한 형태의 경험을 제공한다. 경험의 다양한 양상은 국가에 대한 실체적인 지식구조를 형성하고, 사람들의 다양한 반응을 만들어낸다. 국가의 방문 경험, 사람들과의 교류, 제품 사용 경험 등 직접적인 경험부터 매스미디어, 서적, 영화, 예술 등 간접적인 경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험은 평가에 바탕이 된다. 따라서 국가 경험 양상의 이해는 관광객 유치, 내부투자 활성화, 수출증대 등의 국익 실현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국가이미지 관리 활동에 긍정적인 성과로 나타날 것이다. 국가이미지의 영향력 및 중요성, 그리고 이에 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국가를 이미지 관리대상으로 하는 이론적 기반은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가이미지 관리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기존의 경험 관리의 논의를 바탕으로 국가 경험을 유형화하고 직접 경험 및 경험 강도에 따른 한국에 대한 평가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한국에 대한 연상이미지의 구조를 밝혀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외문화홍보원이 실행한 세계 15개국 7,500명을 표본으로 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에 대한 정보를 수용하는 경험과 평소의 관심 분야에 따라 한국에 대해 다른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대한 직접 방문과 방문 횟수가 증가할수록 한국의 사회, 정치안보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와 산업적 형태로 한국의 대표 이미지를 인식할 경우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한국에 대한 종합적인 연상을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한국의 국가이미지는 ‘K-POP 및 가수’, ‘드라마 및 영화’ 등의 소프트파워 자산과 ‘기술력 및 첨단기술’, ‘IT 및 전자산업’ 등의 하드파워 자산이 골고루 섞여 글로벌 차원에서 제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서도 ‘한식과 한국 식품’이 한국과 연관된 주축 연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국가이미지 관리 측면에서 한국에 대한 인식과 다양한 경험 과정을 고려한 차별적인 대응 전략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을 시사하고, 향후 한국 국가이미지의 강점과 약점을 반영한 이미지 관리 방향을 제시한다. 더불어 국가이미지 평가에 미치는 개인적 및 구조적인 조건에 대한 한계를 보완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Countries offer different types of experiences. Various aspects of experience form a practical knowledge structure for the country and create a variety of responses from people. The evaluation is based on a variety of experiences ranging from direct experiences such as visits to countries, exchanges with people, and experience of using products to indirect experiences such as mass media, books, movies, and art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aspect of the national experience will emerge as a positive outcome in the activities of national image management to realize national interests and enhance competitiveness, such as attracting tourists, activating internal investment, and increasing exports. Despite the interest and importance about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 image's influenc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national image management is weak. To expand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national image management, this study categorizes national experiences based on discussions on existing experience management, examines differences in evaluation of Korea according to direct experience and intensity of experience. Also,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tructure of the association image of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from 7,500 people from 15 countries around the world were sampled by the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KOC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valuation of Korea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accepting information about Korea and the field of interest. Also direct visits to Korea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valuation of Korea's social and political security imag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f the representative image of Korea is recognized in the form of Korean Wave and industrial, it gives positive evaluation to Korea.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e association network structure in Korea, soft power assets such as ‘K-pop and singer’, ‘Drama and movie’, and hard power assets such as ‘Technology and advanced technology’ and ‘IT and electronics industry’ are evenly mixed, enhancing the image of Korea on a global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differentiated response strategies considering various experience processes and existing perceptions to manage national images for Korea. It also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stablishing an image management plan conside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Korea's national image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on personal and structural conditions on national image evaluation was also deemed necessary in the future.

      • KCI등재

        National Image of Ceramic Product Design in China, 1949-1966

        판시판,김상규 한국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학연구 Vol.35 No.2

        Background The earl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1966, was a crucial period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ist regime and image. Ceramic products, as a part of daily material culture, were deeply influenced by the national discourse. This article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national images with regard to ceramic designs. The study examines Chinese ceramic products as a case study to show how ceramic design affected, constructed, and reproduced the national image in the early years of the PRC.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 culture studies, initially, the specific background of Chinese society and Chinese identity through the national image at the time are reconstru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f sociological and historical files, as well as magazine articles and news reports. Second, using products from the ceramic industry as specific case studies, the reproduction-construction relationship between ceramic products and the national image is analyzed. Results Closeness to the daily and realistic life of the masses, providing service to the people, an emphasis on the new look of the socialist state, and an economic and practical style are the core elements of building China's national image during this period. Conclusions An emphasis on the proletarian socialist state as a nascent regime is the label of the national image in China in 1949-1966. This represent the first element to influences the design of ceramic products. Expressions of decorative designs and subjects of ceramic products were closer to real-life scenes and tended to be simpler and more practical in terms of style, thus fitting the image positioning of New China at the time. Background The earl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1966, was a crucial period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ist regime and image. Ceramic products, as a part of daily material culture, were deeply influenced by the national discourse. This article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national images with regard to ceramic designs. The study examines Chinese ceramic products as a case study to show how ceramic design affected, constructed, and reproduced the national image in the early years of the PRC.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 culture studies, initially, the specific background of Chinese society and Chinese identity through the national image at the time are reconstru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f sociological and historical files, as well as magazine articles and news reports. Second, using products from the ceramic industry as specific case studies, the reproduction-construction relationship between ceramic products and the national image is analyzed. Results Closeness to the daily and realistic life of the masses, providing service to the people, an emphasis on the new look of the socialist state, and an economic and practical style are the core elements of building China's national image during this period. Conclusions An emphasis on the proletarian socialist state as a nascent regime is the label of the national image in China in 1949-1966. This represent the first element to influences the design of ceramic products. Expressions of decorative designs and subjects of ceramic products were closer to real-life scenes and tended to be simpler and more practical in terms of style, thus fitting the image positioning of New China at the time.

      • KCI등재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고활동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염성원 ( Yeom Seong Won ),오경수 ( O Gyeong Su ) 한국PR학회 2003 PR연구 Vol.7 No.2

        National image is formed not all the information and experience about a country but part of it. Therefore many country try to develope and inform the symbol which represent their own country, and form a positive national image for its benefit. And, national image forming process can be explained by three routes. That is organization contact route, personal contact route, text contact route. Organization contact route indicate a case that national image is formed by interchange among major organizations like the government,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so on. Personal contact route indicate a case that national image is formed by the travel, interpersonal contact, product or service. Text contact route indicate a case that national image is formed by media like book, newspaper, broadcasting, internet, pamphlet, and so on. In case of korea, the government and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 do various activities to raise korea national image. Through the organization contact route, korea government, especially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 concentrate their activities on cultural and economical interchanged with foreign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to keep a good relationship. And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 like Korea Foundation, Overseas Koreans Foundation,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concentrate their activities on the supporting overseas koreanology, benefit of overseas koreans, foreign aid, public relations and so on. But, the operation of these national image elation activities in government and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 is so dispersal that low efficiency is frequently pointed out as a problem.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organize the cooperation system among the ministries to elude the duplication of national image raising activities. Through the personal contact route, government and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 perform various interchange to scholar, opinion leader, youth. But, it seems relatively insufficient to interchange with the foreign pressmen, economist, artist. Through text contact route, korea government and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 publish their policy, work, information about korea in book, pamphlet, internet, visual materials and so on.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and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 perform korea national image raising activities by arirang TV, radio broadcasting for foreign people who live in korea, and advertising activity. Also, they serve information by internet about their work, tourism, korean. And, specialist who work in national image raising division thought that korea national image get better from negative image to positive image. But they pointed out many problems which korea have to improve such as social disorder, irrational thinking. And they suggested that korea government,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 and citizen group have to make a tight cooperation system to elate korea national image and do various activities persistently in the long term. In recent day, korea try to build a positive national image to be an advanced country. This is because national image is getting more important criteria to judge about a country. Therefore, korea have to expand various work under more systematic strategy for national image improvement.

      • KCI등재

        국가 상징 이미지를 활용한 골프웨어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범서희(Seo Hee Beom),김현정(Hyun J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국가 이미지는 한 국가의 어느 특정한 개인에 대한 이미지나 전체적인 국가의 이미지, 정부 이미지, 기업의 이미지, 상품의 이미지 등 여러 가지 이미지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심상이라 할 수 있다. 외국인들이 특정 국가나 국민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관념이나 호감도 즉 국가 이미지는 그 국가의 대외적 경제 활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국가 이미지는 국가 상징을 통해 사람들에게 인식될 수 있으며, 국가 상징은 대내적으로 국민적 일체감을 조성하고, 대외적으로는 국제 사회에서 그 나라의 이미지를 부각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동계 올림픽, 월드컵, 골프 대회 등 국내외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큰 규모의 이벤트는 국가 이미지 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선수들이 국제 경기를 통해 큰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 골프경기를 선정하여 우리나라 국가 상징 이미지일 뿐만 아니라 동양과 서양 구분 없이 인간의 미의식을 자극하는 모티브인 꽃문양, 즉 무궁화를 선정하여 골프웨어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국가 상징 이미지와 골프웨어에 대해 문헌 자료를 통해 일반적 고찰을 시도하고, 국화인 무궁화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모티브를 개발한 후 이를 다양하게 배열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 하였다. 개발된 텍스타일을 여성용과 남성용으로 구분한 골프웨어에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용 골프웨어는 디자인과 디테일이 다양하기 때문에 티셔츠, 바지, 스커트 전체에 적용하기도 하고, 주머니, 프린세스 라인, 스커트 안쪽 등 부분적인 디테일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반면 남성용 골프웨어에 꽃무늬 전체를 사용하는 것 보다 바지단, 배색감 등의 부분적인 디테일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둘째, 텍스타일 디자인을 골프웨어의 아이템 전체에 사용할 시 스트라이프무늬나 체크무늬 등 기하학적 무늬와 함께 사용하면 현대적이고 모던한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모티브의 배색에 있어서 무궁화 꽃의 본래의 색상을 사용한 것 보다 한국 국가 상징 이미지 중 국기의 색상을 사용한 것이 우리나라를 상징하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한국 국가 상징 이미지 중의 하나인 무궁화를 이용하여 개발된 골프웨어를 우리나라 선수들이 국제 대회 시 착용한다면 한국의 이미지를 상승 시킬 뿐만 아니라 상품화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등 패션산업에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National image is a combined image of a specific person`s image, entire nation`s image, government image, company`s image and products image etc. National image, a perception that foreigners might have toward specific nation or people is regarded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nation`s external economic activities. This national image may be recognized by people through national symbol and national symbo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o unify a nation internally and to stand out the nation`s imag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externally. In particular, large scale events such as the Winter Olympics, World Cup and Golf matches have great impacts on national image. Thus, I selected golf match where Korean players are showing wonderful results in order to develop golf wear textile through flower(rose of Sharon,) which is a Korea`s national image and motif which conjures up sense of beauty throughout the world. This study tries to have general observation on national symbol image and golf wear and made a pattern by developing motif based upon features of a rose of Sharon. By applying textile design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offered a chance to differentiate Korea from other countries and to enhance national image. The method and content of this study is to make general observation on national symbolic image and golf wear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develop motif based upon formative features of Rose of Sharon before arraigning them in a various way and develop textile design. The result to apply the textile as for male and female to golf wear is as follows: Fist, as female golf wear is various in terms of design and details, those variety can be applied to T-shirt, pants and skirts. Also, pockets, princess line, inner skirt and other parts of them can be applied. Meanwhile, rather than using flower patterns on male golf wear, it was more effective to use flower pattern on pants hem, color scheme and other details. Second, when using textile design to overall items of golf wear, modern image could be presented with striped patterns or chekered patterns. Third, in terms of color scheme of motif, rather than using original color of Rose of Sharon,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use national flag colors to represent Korea. All in all, if Korean players wear golf wear with patterns of Rose of Sharon, the national symbol in international sports games, it would increase national image and contribute to fashion industry by increasing profits` sales through making them commercialized.

      • KCI등재후보

        중국내 한류의 유형별 문화 후광효과에 관한 실증적 접근

        윤성준(Yoon, Sung-joon),양뤼(Yang, Rui),한희은(Han, Hee-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의향의 관계를 연관시켜 접근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주요 목적은 한국문화를 세가지 유형(드라마,음식, K-pop)으로 분류하여 이들 문화별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한국의 제품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문화 후광효과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크게 세 개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문화적 거리감과 심리적 거리감)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직접적인 문화후광효과를 규명한다. 셋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를 통해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간접적 방식으로 문화후광효과를 야기하는지를 규명한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과 문화적 거리감이 문화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심리적 거리감은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에 비해 문화적 거리감에서는 자국중심주의가 드라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세계시민주의는 음식에 대한 태도와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음식에 대한 태도와 K-pop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드라마에 대한 태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는 문화태도와 제품 구매의향간의 매개역할을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중에서 음식에 대한 태도와 제품구매 의향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 구매의향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국가의 문화적 매력을 통한 문화후광효과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문화의 유형에 따라서 문화후광효과가 제품의 구매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국가이미지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경로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Korean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concept of cultural halo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classified into drama, food, and K-Pop on national image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the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seeks to substantiate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national image. Second, it verifie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has direct impac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us creating 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ird, it confirm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ffects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Korea’s national image, thus creating in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e result suggests that Chinese consumers’ cultural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ance had different impact on attitude toward culture and national image. Psychologic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s Korean food, K-pop, and drama and national image, whereas ethnocentricism, which operationally defined cultur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drama, while cosmopolitanism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food and national image. Also, attitudes toward Korean food and K-pop were found to affect product purchase intention, but not Korean drama. Finally, the national image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Korean food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result confirmed the presence of halo effects based on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impact of culture, national image,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differences due to the kind of national culture in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culture-specific halo effect.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의향의 관계를 연관시켜 접근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주요 목적은 한국문화를 세가지 유형(드라마,음식, K-pop)으로 분류하여 이들 문화별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한국의 제품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문화 후광효과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크게 세 개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문화적 거리감과 심리적 거리감)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직접적인 문화후광효과를 규명한다. 셋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를 통해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간접적 방식으로 문화후광효과를 야기하는지를 규명한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과 문화적 거리감이 문화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심리적 거리감은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에 비해 문화적 거리감에서는 자국중심주의가 드라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세계시민주의는 음식에 대한 태도와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음식에 대한 태도와 K-pop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드라마에 대한 태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는 문화태도와 제품 구매의향간의 매개역할을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중에서 음식에 대한 태도와 제품구매 의향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 구매의향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국가의 문화적 매력을 통한 문화후광효과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문화의 유형에 따라서 문화후광효과가 제품의 구매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국가이미지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경로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Korean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concept of cultural halo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classified into drama, food, and K-Pop on national image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the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seeks to substantiate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national image. Second, it verifie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has direct impac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us creating 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ird, it confirm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ffects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Korea’s national image, thus creating in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e result suggests that Chinese consumers’ cultural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ance had different impact on attitude toward culture and national image. Psychologic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s Korean food, K-pop, and drama and national image, whereas ethnocentricism, which operationally defined cultur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drama, while cosmopolitanism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food and national image. Also, attitudes toward Korean food and K-pop were found to affect product purchase intention, but not Korean drama. Finally, the national image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Korean food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result confirmed the presence of halo effects based on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impact of culture, national image,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differences due to the kind of national culture in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culture-specific halo effect.

      • KCI등재

        국가이미지 분석차원으로 본 스포츠외교의 전략 탐색

        정선아,김범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0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suggested to figure out how to utilize Korea sport diplomacy policy through theoretical searching and approaching about national image dimension. Questing concept and element of national image, it investigated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imension by Kenneth Boulding. In order to focus on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case analysis which are based on category development model as a qualitative method. Based upon the result from strategies of Korea sport diplomacy in the field of three analytical dimension: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can heighten level of brand value in cognitive dimension; reform national image and promote national reliance in affective dimension; make strategies for national image through ODA in behavioral dimension. In view of agenda for Korea sport diplomacy policy in 21 Century: it needs to be qualitative change for renovation of national image, based upon co-operation a member of a nation; it requires to be a practice of strategy for rethinking national image for a long-term; it will be considered to be a position of direction of mega-sports events for national image. 본 연구는 국가이미지 차원에 대한 이론적 규명과 접근을 통하여 한국스포츠외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가이미지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케니쓰 볼딩(Kenneth E. boulding)의 이론분석을 바탕으로 인지적(cognitive), 감성적(affective), 행동적(behavioral) 차원을 사례분석(case analysis)으로 하였다. 사례분석은 국가이미지 이론에 근거하여 실증적 사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것을 바탕으로 한국스포츠외교의 전략방안을 세우면, 첫째, 인지적 차원에서 한국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스포츠 활동이나 메가스포츠이벤트 유치를 통하여 한국의 브랜드가치를 높여야한다. 둘째, 감성적 차원에서 한국은 국가이미지를 쇄신하고 국가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행동적 차원에서 공적개발원조사업을 통한 국가이미지전략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21세기 한국스포츠외교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첫째, 국민의 호응과 협조를 바탕을 한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질적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의 구축과 실행이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국가이미지를 위한 국제스포츠이벤트의 방향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대한민국국가이미지분석

        최순미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6 평화학연구 Vol.17 No.3

        This research analysis the recognition of the national image of Korea by North Korean refugees. It assumes that the national image recognized by North Korean refugees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s their belief,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the Republic of Korea. It surveyed 405 North Korean refugees to investigate what Korea’s national image characteristics is, and used Country Reputation Index (CRI) as the measurement of the national image.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South Korea’s national image possessed by North Korean refugees appeared to be 3.7707 in the average, and the score is higher than the ordinary score (3). Socio-demographic factors in North Korean refugees group which have impact on a national image differs according to their ages and academic backgrounds in South Korea, and lead to a large difference in national image evaluation of South Korea. The factors have influence on every sub-element. In particular, the national image about leadership appeal appeared to be the lowest among national image sub-elements. It is identified that the national image differs particularly depending on ages, position in South Korea, and academic background in Korea. 본 연구는 대한민국 국가이미지에 대한 북한이탈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인식이 대한민국에 대한 그들의 신념과 태도, 행동을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고,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기 위해북한이탈주민 4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국가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국가명성지수(CRI)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국가이미지는 평균 3.7707로 보통(3)보다 높게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 집단 내에서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연령과 남한에서의 학력에 따라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평가가 가장 크게 달라졌으며, 모든 하위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국가이미지 하위요인 중 리더십 소구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연령, 남한에서의지위, 남한에서의 학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류에 대한 만족도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원준(Lee, Won-jun),최미나(Choi, Mina),윤태헌(Yoon, Tae H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3

        한류는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대중문화가 급속하게 확산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중국의 언론 매체들이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이다. 한류는 한국의 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아시아 소비자들의 상호교류에 미치는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주목한 일반인들과 학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한류에 대한 체계적인 학술적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만족의 세 가지 선행요인(한류 스타의 매력성, 콘텐츠의 구성, 몰입)들이 한류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또한 한류 만족도, 한국의 국가이미지(문화적 이미지, 경제적 이미지), 그리고 한국에 대한 방문의도 간에 존재하는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1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총 299명의 중국인 응답자로부터 설문을 수거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신뢰성과 타당성은 크론바하 알파의 계산과 요인분석의 시행을 통하여 검증하였고, 가설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방정식 분석을 추후 실시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의 선행요인들이 한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 만족도는 한국의 문화 이미지와 경제 이미지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의 국가 이미지들은 다시 방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한류의 확산 과정을 이해하고 국가 이미지를 향상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한류 팬의 국내 방문을 촉진하기 이한 효과적인 정책 개발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The Korean Wave is a term made by Chinese media to describe the rise in the popularity of Korean pop culture in Asian nations. It has drawn the attentions of both general public and academic because of its massive influence to the exchange among Asian peoples and its power to support the attractiveness of Korean products. However, academic research has not extensively examined the Korean Wave ye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ree variables(attractiveness of Korean star, narrative coding of contents, commitment) on satisfaction toward the Korean Wave.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national images (cultural image, economic image) of Korea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299 Chinese respon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November, 2015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tes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s alpha score calculation and facto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taken to examine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antecedents of satisfaction are significant. Second, satisfaction has a positive on both cultural image and economic image of Korea, Third, these national images of Korea also give positive effects to intention to visit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Korean Wave and improve the national image of Korea. Likewise, practitioners can use these results to establish amore effective policy to attract more foreign visitors. 한류는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대중문화가 급속하게 확산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중국의 언론 매체들이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이다. 한류는 한국의 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아시아 소비자들의 상호교류에 미치는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주목한 일반인들과 학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한류에 대한 체계적인 학술적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만족의 세 가지 선행요인(한류 스타의 매력성, 콘텐츠의 구성, 몰입)들이 한류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또한 한류 만족도, 한국의 국가이미지(문화적 이미지, 경제적 이미지), 그리고 한국에 대한 방문의도 간에 존재하는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1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총 299명의 중국인 응답자로부터 설문을 수거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신뢰성과 타당성은 크론바하 알파의 계산과 요인분석의 시행을 통하여 검증하였고, 가설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방정식 분석을 추후 실시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의 선행요인들이 한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 만족도는 한국의 문화 이미지와 경제 이미지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의 국가 이미지들은 다시 방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한류의 확산 과정을 이해하고 국가 이미지를 향상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한류 팬의 국내 방문을 촉진하기 이한 효과적인 정책 개발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The Korean Wave is a term made by Chinese media to describe the rise in the popularity of Korean pop culture in Asian nations. It has drawn the attentions of both general public and academic because of its massive influence to the exchange among Asian peoples and its power to support the attractiveness of Korean products. However, academic research has not extensively examined the Korean Wave ye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ree variables(attractiveness of Korean star, narrative coding of contents, commitment) on satisfaction toward the Korean Wave.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national images (cultural image, economic image) of Korea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299 Chinese respon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November, 2015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tes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s alpha score calculation and facto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taken to examine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antecedents of satisfaction are significant. Second, satisfaction has a positive on both cultural image and economic image of Korea, Third, these national images of Korea also give positive effects to intention to visit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Korean Wave and improve the national image of Korea. Likewise, practitioners can use these results to establish amore effective policy to attract more foreign visitors.

      • KCI등재

        A study on the National Image, Product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of Foreign Consumers' KoreanWave, Corona 19 Response, and Self-ethnicism

        Je Hong, Lee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21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2 No.4

        대한민국은 2020년대 들어, 세계의 중심국가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K-pop(BTS), 영화등 아 카데미 수상(기생충), K-food 등 한류와 코로나 바이러스-19에 의한 의료 및 방역 분야에서 국 가적 대응능력이 전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이와 같은 결과 2021년 7월 2일 68차 UN 무역개발 회의(UNCTAD)에서 대한민국이 선진국 B그룹으로 지위변경을 함으로써 선진국(advanced country, more developed country)으로 인증하였다. 한류, 코로나바이러스19 등 뿐만 아니라 한국 산업경쟁력 제품 발굴하여 세계적 제품으로 발 돋음 할 수 있는 요인 개발하며, 한류와 코로나 대응능력의 향상은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상승 시키는 요인을 통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 그리고 한국 제품의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국가이미지를 개선시킬 수 있는 요인개발과 외교통상 측면에서의 국가홍보활동 전략 수립요인을 개발하는데 있다. 아울러 한류와 코로나-19 그리고 산업기술 발전은 한국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의 향상이 한국 제품 구매의도에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며, 향후 한국이 세계속의 선진국가 로서 지속성장 발전할 수 있도록 요인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발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반적으로 한류와 코로나-19 대응은 한국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그 중에서 유일하게 한류가 한국 제품이미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또한 자민족중심주의를 조절변수로 한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 요인이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분석에서 전반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러나 유일하게 자민족중심주의를 조절변수로 하여 제품이미지가 한국 제품 구매의도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 한 결과를 나타나고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actors that can improve the national image and to develop factors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national public relations activities in terms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In addition, Hallyu, COVID-19,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verify whether the improvement of Korea's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has a very high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nd is a factor for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 as an advanced country in the world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what is necessary to provid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Korean Wave and Corona 19 countermeasures on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for Koreans, the United States, China, Vietnam, India, and Japanese, and the effect of ethnocentrism as a parameter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Analyze the impact. As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ompletely different variables on the process in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 affect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 In this study, the Korean Wave and the response to COVID-19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image of the country and product of Korea, but among them, Hallyu is the only one that does not affect the image of Korean product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factors on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with ethnocentrism as a moderator variabl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here are significant results on the effect of purchase intention on Korean product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 Based on this research, new Hallyu products are developed and new competitive factors are extracted to improve a more competitive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it will help a lot in improving the image of Korea's national image and Korean medical devices, products, etc.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of the country, it is necessary to nurture professional manpower in the field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who can actively promote the government in the areas of Korean diplomacy and trade.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train public relations experts who can improve product image through new product development and linkage with companies in response to Hallyu and Corona 19.

      • KCI등재후보

        韩国国家形象对东风悦达起亚品牌形象及中国消费者购车意愿影响研究

        장영,손룡,서초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7 기업경영리뷰 Vol.8 No.3

        This article is at beginning of the concept ‘national image’, and researches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Korean national image on the Dongfeng Yueda KIA brand image and China Consumer’s automobile purchasing intention, and to find out the advice of Dongfeng Yueda KIA about marketing strategy in China for Sade incident. It gets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wo national relationship of the national imag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oduct image and corporate image of the brand image. Economic development degree of the national image has not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oduct image and corporate image.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National image and brand image for all concerned on the consumer’s automobile purchasing intention finds out that only corporate image of the brand imag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utomobile purchasing intention, but economic developing degree and two national relationship of the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of the brand image have not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s automobile purchasing intention. Two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 First, Solving properly the two national relationship is very important problem to get rid off KIA and all of Korean automobile’s sale trouble. Second, developing the ‘Quality optimization, refinement, personalization’ automobile product that is suitable for ‘Internet plus’ era of market demands is a beginning of building a new corporate image. 本文从国家形象的概念研究出发,研究韩国国家形象对东风悦达起亚品牌形象及消费者购车意愿的影响作用,并针对萨德事件为起亚汽车在华营销策略提供建议.通过实证分析发现,国家形象中两国关系对品牌形象中产品形象与企业形象均产生显著性影响,国家形象中经济发展程度对品牌形象中产品形象与企业形象产生显著性影响没有得到证实;综合考虑国家形象与品牌形象对消费者购车意愿影响关系发现只有品牌形象中企业形象对购车意愿产生显著性影响,国家形象中经济发展程度与两国关系及品牌形象中产品形象对消费者购车意愿产生显著性影响假设没有得到证实.根据研究结果提出两点建议.首先,解决好两国关系是起亚乃至所有韩系车摆脱销售困境最亟需解决的关键问题;其次,打造新型企业形象从开发适合“互联网+”时代市场需求的“质优化,精细化,个性化”汽车产品开始做起.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