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재와 국초의 자리

        김찬기(Kim Chan-ki) 한국근대문학회 200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0 No.1

        이 논문에서는 단재와 국초의 서사가 지니는 서사사적 위상을 근대성 인식의 문제와 관련하여 탐색하였다. 우선 단재의 서사, 특히 저항적 민족주의(혹은 탈신민회)가 호명된 단재의 탁몽 서사에서는 결코 과거보다는 ‘지금 여기, 곧 현재’가 더 좋다는 서구 근대(성)의 이데올로기를 용인하지 않았다. 단재에게는 근대성의 핵심어인 ‘개체의 자유(사적인 자유)’ 개념 자체가 매우 낯선, 아니 생경함을 넘어 ‘투쟁’의 대상이었다. 단재의 서사가 당대의 식민지 근대성을 비판하는, 가장 절정의 비판 서사란 평가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아울러 단재는, 그의 우의 서사물 「龍과 龍의 大激戰」을 통해서, 서구 근대(성)가 구성한 ‘배타적 인종주의’의 파괴적 결과(人種의 滅絶)를 날카롭게 형상화해내기도 한다. 이에 반해 국초의 서사는, ‘이념성과 흥미성의 절묘한 균형감각’ 위에서(서구적) 근대를 겨냥하고 있었던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이념성이란, 끝내 ‘(역사)결여’의 이념, 곧 모순의 현실을 ‘관념적’으로 인식한 결과였다. 이후의「귀의성」과 「치악산」이 보여주는 상업적 성격도 결국은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 결국「혈의루」에서 「은세계」에 이르는 국초의 서사는 ‘추구하려는 대상’과의 성찰적 투쟁이나 반성이 소거된, 이른바 모순의 현실이 가장 철저하게 관념화된 서사였던 셈이었다. 국초 서사에서 형상화된 서구 근대가, 국가와 민족의 미래를 담보해낼 수 있는 사명의 언어로 끝내 호명될 수 없었던 이유도 결국은 이와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In this article, I mainly focused on "Danjae's Narrative Works" and "Gukcho's Narrative Works" written in the korean modem enlightment period. Danjae, along with Gukcho, renewed narrative literature of the korean modem enlightenment period. Danjae, however, had starkly different mentality and expression methods from Gukcho. In this article, I tried to make value of the literary position of the two narratives works in the korean modem enlightenment period. In this article, I closely examined “Vision Heaven(?하늘)”, “Fierce Battle of Dragon to Dragon(龍과 龍의 大激戰)”, and “Bitter Tears(血의 淚)”, “Silver world(銀世界)” published on the newspapers in the Korean modem enlightenment period. As a result, I presented one assertion : “Danjae's Narrative Works” as a traditional literary form resisted western modernity ideology. In short, Danjae described 'ethnicity and nationalism ideology' as the best value through narrative style of the previous period called Mongyurok. In the meantime, Gukcho's Narrative was not the narrative works that literally confirmed Confucian ideology and conventionalism, but the one that changed into the style that exposed '(western) modernity' to rescue the nation and ethnicity that became victims of colonialism and imperialism.

      • KCI등재

        노계가사에 대한 일고찰 ― 문학치료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

        김은희 ( Kim Eun-hee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1

        이 글은 문학치료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박인로의 <누항사>와 代作인 <사제곡> 그리고 노년의 작품인 <노계가>를 연결시켜 강호가사라고 하는 동일성 위에서 드러나는 그의 내면변화를 살펴보았다. 문학치료 서사이론에 의하면 문학작품의 근저에는 작품서사가 있고, 작가 및 독자의 내면에는 자기서사가 있으며,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간극과 불일치가 자기서사의 변화를 추동하고, 다시 작품서사의 변화를 유도하면서 작품이나 인생에 대한 이해가 변화·성장해간다고 본다. 이 때, 자기서사의 변화 및 성장은 자기서사의 보충·강화·통합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며, 자기서사의 건강성을 획득하게 된다고 본다. 이에 이 글은 노계의 자기서사가 변모·성장하는 과정을 작품서사와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누항사>에는 갈등의 서사로서, 현실(궁핍한 삶)과 당위(안빈낙도와 오륜-유가적 이념)의 거리라는 분열된 자기서사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고 있다. 자신의 처지와 상황, 고통을 밖으로 드러내는 일은 치유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 바, <누항사>(가사) 창작을 통한 갈등의 토로는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성찰은 자기서사의 핵심을 발견하게 하고, 이를 통한 카타르시스가 가능해지면서, 갈등극복의 기반이 되고 있다. 退老 사대부의 자족적인 삶, 인간과 자연, 이념의 조화를 내재한 작품서사 <사제곡> 代作은 박인로에게 전형적·이상적인 사대부의 내면을 자기서사에 수용·통합할 수 있게 한다. 유교적 당위의 세계를 표현·제시해 보면서 <사제곡>은 노계에게 당위·理想의 서사로 작용, 만족감·자부심의 회복에 기여하며 넉넉한 자기긍정으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바, 궁극적으로 자기서사의 건강성 회복에 기여한다. 극복·완성의 서사인 <노계가>에 이르면, 이제 박인로는 자신만의 안빈낙도, 만족감과 자부심으로 가득한 강호인식에 도달하게 된다. 작품서사를 통해 수용·통합된 자기 긍정, 진정한 자기 정체성을 찾아낸 늙은 사대부의 자기서사가 표출되어 있는 것이다. <노계가> 창작은 궁극적으로 현실과 이상의 갈등 해소-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통합의 결과로서 치유에 도달한 지점이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핀 것처럼 박인로는 가사창작을 통해 내면적 치유에 도달할 수 있었던 바, 갈등의 서사인 <누항사>가, 당위·理想의 서사인 <사제곡>이라는 작품서사를 통해 보충·강화되었으며 <노계가>라는 통합단계를 거쳐, 긍정적인 자기서사의 변화를 이루게 되는 바, 변화된 자기서사-극복·완성의 서사에 기반한 작품서사를 창작함으로써 갈등의 근본적 해소, 치유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Park In-ro’s inner changes revealed on his works < Noohangsa >, < Sajegok > and his late work < Rogyega >. According to the narrative theory of literary therapy, there are narratives at the base of literary works. There are self-narratives at the inner side of writers and readers, and the gap and discrepancy between self-narratives and narratives of the work give impetus to the changes of self-narratives. And understandings of work and life changes and grows. At this moment, the change and growth of the self-narrative are possible through the supplementation, strengthening, and integration of the self-narrative, and it is the treatment to acquire the healthy of the self-narrative. In this context,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and growing the self-narrative of Ro-gye in relation to the narrative of the works. As a narrative of conflict, < Noohangsa > reveals a perception of divised self-narrativ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reality(poor life) and oughtness (Anbinnakdo and oryun-Confucian ideas). It is the first step of healing to reveal one's situation, position and suffering. The exposing of conflict through the creation of < Noohangsa >(Gasa) makes it possible to reflect. Reflection allows the possibility of catharsis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essence of self-narrative, and it becomes the basis for overcoming conflict. The narrative < Sajegok >, which embodies the harmony of human, nature, and ideology, allows Park In-ro to accept and integrate typical and ideal inner aspect of the gentry into the self-narrative of the work. While expressing and presenting the world of Confucian righteousness, < Sajegok > acts as a narrative of the righteousness and ideal to Ro-gye, contributes to recovery of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enables a change to ample self-affirmation. And the process contribute to healing the devised self-narrative eventually. When it comes to the overcoming and completing narrative, < Rogyega >, Park In-ro is arriving at a ‘Gangho’ awareness of his own ‘Anbinnakdo’, full of satisfaction and pride. Self-narrative of an old gentry is revealed in the work. The creation of < Rogyega > resolves conflicts between reality and ideal - it is the point where reaches to healing as a result of the integration of his self-narrative and narrative of the work. Park In-ro was able to reach internal healing through the creation of Gasa, and the narrative of conflict, < Noohangsa >, was replenished and strengthened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righteousness and the ideal, < Sajegok >. After undergoing a consolidation phase, it is resulting in a positive change of self-narrative in < Rogyega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healing has become possible by creating a narrative of a work based on the changed story of self-narrative and overcoming and completion.

      • KCI등재

        <한조삼성기봉>의 서술 전략 연구

        이민주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60

        <한조삼성기봉>은 <옥환기봉>의 파생작으로 <옥환기봉>의 등장인물이 성별을 바꾸어 환생하여 복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런데 작품은 복수의 주체인 곽후가 행하는 복수가 성공했는지에 대한 결과가 모호하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강왕으로 환생한 곽후는 전생을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조삼성기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복수심 없이 이루어지는 복수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한조삼성기봉>에 나타난 ‘서사 구조’와 ‘서술 전략’에 주목하여 이를 밝히고자 했다. <한조삼성기봉>은 <옥환기봉>에서 억울하게 폐위된 곽후의 해원을 목표로 창작된 작품이다. 이 과정에서 작품은 두 가지 방식으로 곽후의 복수를 수행한다. 환생하여 복수한다는 설정과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서술자의 발언이 그것이다. <한조삼성기봉>은 서술자가 빈번하게 등장하는데, 이를 통해 작품의 서사가 곽후의 해원과 복수를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지속적으로 상기시킨다. 즉, 작품은 서사 구조라는 거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서술자의 발언이라는 미시적인 측면에서도 독자에게 <한조삼성기봉>의 목적을 주지시키는 것이다. 결국 <한조삼성기봉>은 서사 구조와 서술 전략이라는 이중의 방식으로 복수심이 부재한 복수와 해원에 성공한다. 한편 <도앵행>, <취미삼선록>, <한조삼성기봉>은 <옥환기봉>의 파생작으로 이들은 <옥환기봉>에서 제기한 곽후 폐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존재한다. 즉, <옥환기봉> 파생작 집단은 곽후 폐출에 문제가 있다는 판단아래 이에 대한 나름의 생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하나의 작품에 대해 특정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집단을 ‘독서공동체’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이때 작품의 주제적, 형식적 측면에서 <한조삼성기봉>은 <도앵행>, <취미삼선록>과 차이를 보인다. <한조삼성기봉>은 나머지 두 작품과 비교하였을 때 전작 <옥환기봉>과의 긴밀성이 떨어지며 보다 대중적이고 통속적인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한조삼성기봉>이 <옥환기봉>을 읽지 않아도 충분히 이해가 가능하며 <도앵행>, <취미삼선록>보다 일반적인 고전소설의 양상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본 논문은 이 지점이 <한조삼성기봉>에서 곽후의 복수가 복잡하게 실현되는 원인이라고 판단한다. <한조삼성기봉>은 서술자의 발언을 통해 작품의 서사가 곽후의 복수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환기시키며 나아가 <한조삼성기봉>을 독립된 작품으로 완성시킨다. 그리하여 <한조삼성기봉>은 전작의 독서여부와는 상관없이 향유할 수 있는 작품으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새로운 독자를 <한조삼성기봉>의 독서로 이끌고 이를 지속시키는 동인이 된다. 결국 <한조삼성기봉>은 곽후가 환생하여 복수를 진행한다는 서사 구조를 통해서는 <옥환기봉> 독서공동체를, 서술자를 노출시키는 서술 전략을 통해서는 새로운 독자를 포섭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조삼성기봉>은 서사 구조와 서술 전략을 통해 곽후의 복수와 해원이라는 목적을 달성한다. 이는 보다 많은 독자를 포섭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이라고 생각된다. 조선후기 소설이 상품으로 거래되었던 것을 고려하면 <한조삼성기봉> 역시 보다 큰 이익을 위해 새로운 독자를 유치하려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조삼성기봉>은 서사 구조와 서술 전략을 모두 활용하는 복잡한 복수를 고안해낸 것이다. 그 결과 <한조삼성기봉>은 <옥환기봉> 독서공동체를 확장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Hanjosamsunggibong(漢朝三姓奇逢) is a derivative of Okhwankibong (玉環奇逢), which is about Queen Kwak and Emperor Mujae, characters of Okhwankibong, appearing in a gender-changing, and Queen Kwak is avenging herself on Emperor Mujae. The work was centered on unconventional materials such as reincarnation and revenge, drawing attention from various researchers. Through this, the character of the work and its unique narrative structure have been identified, and it is believed that it forms a certain prospect. However, this paper develops the discussion under the judgment that the outcome of Queen Kwak's revenge, which is made without desire for revenge, is ambiguous. Hanjosamsunggibong was created to relieve Queen Kwak, who suffered injustice in Okhwankibong. In this process, the work carries out Queen Kwak's revenge in two ways. Reincarnation and frequent exposure of the narrator. In other words, the work reminds the reader of the purpose of Hanjosamsunggibong, which is Queen Kwak's revenge, not only in the macro aspect of narrative structure but also in the micro aspects of narrative strategy. Through this dual structure, the work succeeds in revenge without a desire for revenge. Meanwhile, Doaenghaeng(桃櫻杏), Chuimisamseonrock(翠薇三仙錄), and Hanjosamsunggibong are derivatives of Okhwangibong, and they exist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Queen Kwak's expulsion raised in Okhwangibong. In other words, the group of Okhwangibong derivatives shares a particular sense of problem with a single event. This paper designates these groups' reading community'. At this time, in terms of the theme and formality of the work, Hanjosamsunggibong is less closely related to the previous work than Doaenghaeng and Chuimisamseonrock. And is thought to be more popular. At this point, Hanjosamsunggibong is the cause of the twofold revenge structure. Hanjosamsunggibong continues to remind the narrator that the narrative of the work is Queen Kwak's revenge because of the lack of closeness with the previous work. This leads a new reader to the reading of Hanjosamsunggibong, which is the driving force behind it. In the end, the work attracts new readers through a narrative strategy and lure the Okhwangibong reading community through the narrative structure of Queen Kwak's reincarnation and revenge. As such, Hanjosamsunggibong achieves the goal of revenge for Queen Kwak through narrative structure and narrative strategy. This is thought to be a measure to attract more readers. Considering that novel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traded as commodities, it is presumed that the work sought to attract new readers for greater profits. To achieve this goal, Hanjosamsunggibong set up a twofold revenge structure.

      • KCI등재후보

        『여원』 소재 서사만화 연구

        장미영(Jang Mi-young) 국어문학회 2008 국어문학 Vol.44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narrative comics in the female magazine,"YoeWon"in the gender's point of view and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s of post-war female culture is related with the Korean modem style. Cartoon and literature have in common in a way that they are both recognized as creative arts through language and story.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literature which writes a story by words and cartoon which picturizes the story thereby keeps the imagination unharmed. If we have more flexible and more extended point of view on the literature, cartoons can be recognized as one of various forms of narratives. Considering today's situation that the division of classical genre and the border of genre is demolished,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language-oriented bias existing in the literature researchers.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possiblity of the said actions by performing the desire of expanding the territory of the object of the literature study. The object of this study,"YeoWon"is a female magazine with the motto of"advancement of the cultural thought of women"which started to include various cartoons from Oct. 1955, the very beginning of the magazine. Most main characters are women such as a housewife, single female, high school girls, university students, working woman, married couple and maidservants. Narrative comics have the same character in every series even though the story goes differently all the time. Every scenes reflect the current life and approach the criticizm of realization by using the narrative method of exposing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also of making a caricature. The roles and activities of female main characters in the narrative comics are divided into emotional work and physical work by their clothes and hair styles. A woman who is working physically at home wears white traditional jacket and black skirt with hair in a chignon or with an apron, on the other hand, a woman who is working emotionally wears a western style one-piece dress or two-piece dress with western style hair. Women's physical works in the cartoons are limited to home work with little compensation and treated as worthless. In particular, like a housemaid cartoon 'Aunt Walsun', the house work strongly related to physical labor is regarded as women's work only and this idea results in the distinction of sex in the labor. House work is always given to women only in comparison with outside work which is treated as men's work. Cartoons show that to do the house work properly is too heavy to keep women's health. The cartoons ascertain the house work to be a very heavy physical work as we see in the 'Aunt Walsun' and make the female character a tough woman. On the contrary, a rich housewife or a single woman is described as a person who has to do the emotional work even though she is free from house work. Emotion can be regarded as personal, natural and voluntary rather than compulsory, but the cartoons express emotion as a kind of socially forced work. House wife's emotional labor is differentiated from man's mental work. The latter is recognized a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social work. However, the former is regarded as non-labor just focusing on consideration and care for the family members' rest which is also derived from collective ideology. That is, house wife's emotional labor has to be done from a mere sense of duty under the social structural force not by the voluntary or creative choice. Emotional labor at a workplace is done in the form of office cleaning, coffee serving, an erand etc. This emotional labor is regarded as women's own nature and even promoted as an etiquette of female officer. The meaning of emotional labor becomes equivalent to the meaning of care, consideration, obedience, kindness, winsomeness, softness etc and makes the expressions such as 'a woman should be winsome' or 'female officer has to be a flower i

      • KCI등재

        ‘예기치 않은 전환’을 겪은 한부모여성의 일 경험과 진로적응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송명숙(Myeong-Sook Song), 이제경(Je-Ky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예기치 않은 전환을 겪은 한부모여성의 일 경험과 진로적응에 대해 내러티브 탐구로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한부모여성의 진로상담 및 사회적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예기치 않은 전환을 겪은 한부모여성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심층 인터뷰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7월부터 2022년 12월까지이며 2명의 연구 참여자와 예비인터뷰를 실시하고 연구 참여자마다 3회의 면담과 추가인터뷰를 실시하였다.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전환 경험, 일 경험과 진로적응은 어떠했는지 핵심주제를 범주화하고 자료 분석을 실시하여 내러티브를 재구성하였다. 결과 예기치 않은 전환을 겪은 한부모여성으로서 일 경험과 진로적응에 대한 내러티브는 ‘거꾸로 강을 거슬러 오르는 연어처럼’ 극복해야하는 이야기를 통해 변곡점이 된 시간이었으며, 미처 의미부여하지 못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애쓰는 시간이었고, 이를 통해 스스로가 주인공이 되어 ‘내가 만든 울퉁불퉁한 길’을 걸어가는 여정이었다. 결론 예기치 않은 전환을 겪은 한부모여성의 일 경험과 진로적응에 대한 내러티브의 개인적 정당성은 일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고 삶의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게 된 것이다. 실제적 정당성은 일에 대한 의미부여와 진로적응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통해 내적 또는 개인적 성장을 이루게 된 것이다. 사회적 정당성은 한부모여성의 일과 자녀양육 환경이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인식개선과 이를 위한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work experience and career adjustment experience of single-parent women who experienced an unanticipated transition through narrative explor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for single-parent women. Methods Three single parent women who underwent an unexpected transi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ly 2022 to December 2022, and preliminar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research participants, followed by three interviews and additional interviews with each research participant. According to Connelly's (2000) narrative inquiry procedure, the research participants' transition experience, work experience, and career adjustment were categorized into key themes and analyzed to reconstruct the narrative. Results As a single parent woman who underwent an unexpected turn, the narrative about work experience and career adjustment was a turning point through the story of overcoming ‘like a salmon going upside down in a river’, and the time of struggling ‘in search of lost time’ that had not yet been given meaning. It was a journey through which he became the main character and walked the ‘rugged road I made’. Conclusions The personal justification of the narrative about the work experience and career adaptation of single parent women who underwent an unanticipated transition is that they form a new identity and newly recognize the meaning of life through work, and the practical justification is that giving meaning to work and career adaptation are important, and through this to achieve inner or personal growth. The social justific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and take an institutional approach to improve the working and child-rearing environment of single-parent women.

      • KCI등재

        ‘만약에(What If...?)’, 전통적 내러티브의 영상작품에서 나타나는 디지털 내러티브 수용방식의 모습

        남명희(Nam Myoung Hee)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6 No.-

        전통적인 내러티브는 작가가 전권을 가지고 특정한 사건을 제시하면서 논리적으로 다른 사건이 발생할 여지를 제외하며 개연성을 구축한다. 비디오 게임으로 더욱 발달한 디지털 매체의 내러티브는 작가가 내러티브의 데이터베이스와 규칙을 제공하면 이용자가 선택을 통해 피드백을 보내며 내러티브를 진행하고 완성하는 체험을 통해 구성된다. 2차 창작은 원전인 내러티브를 이용하여 향유자 사이의 규약에 따라 재구성한 결과물을 내놓으며, 그 과정에서 참여와 체험이 본질인 게임과 유사한 모습이 나타나기도 한다. 전통적 내러티브에서 수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플롯 도구가 활성화되었고, 이는 디지털 내러티브와 연관된다. 팬원전에 맞춰 원전에서 다른 경로를 찾는 팬픽션은 ‘만약에’의 설정을 활용한다. 이는 팬의 작업일 뿐만 아니라 원전을 제공하는 저작권자 및 작가의 작업이기도 하다. 영화 경우 개봉판과 다른 판본을 제공하여 팬의 해석을 다양하게 유도하기도 하며, 리부트한 작품들을 통합하여 한 자리에 만나게 하는 내러티브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멀티버스’라는 플롯 도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플롯 도구는 피드백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는 디지털 내러티브의 모습을 전통적 내러티브에서 구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In traditional meaning of narrative, the writer has the power to lead the events, eliminate other possibilities, and establish the probability. In digital media narrative such as video games, the writer/designer gives database and rules and the users experience the game world by making their own story paths with choices and feedbacks to database. Creating transformative works uses the canon narrative and presents the reconstructed result according to the rules agreed by players, and in the process, a similar appearance to a game which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is the core. In traditional narrative a specific plotting tool is activated to reflect audience’s feedback, and it is related to the digital media narrative. Fan fiction writers make multiple narrative paths with “What If...?”. And not only fans, but also canon writers with copyright can do. “Director’s cut” is one of the examples. And “Multiverse” is a plotting tool to unite the reboots of fictional worlds into one narrative in canon. These plotting tools can be seen as an implementation of a digital narrative that modifies the database with feedbacks in a traditional narrative.

      • KCI등재

        단재 서사의 기억술과 부정의 정신

        김찬기(Kim, Chan-ki)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1

        이 논문에서는 단재의 우의 서사(「龍과 龍의 大激戰」)와 신화(「九尾狐와 五帝」, 「鐵馬 코를 내리치다」)를 통해 특정 기억을 전유하는 주체들(권력 집단)에 의해 "만들어진 역사"가 어떻게 역사를 찬탈하고 있는가를 고찰한다. 단재의 우의 서사는 투쟁의 기억을 가진 개인들(미리, 드래곤 등)의 기억 투쟁을 생생한 문학의 언어로 살려내고 있는 작품이었다. 특히 「龍과 龍의 大激戰」과 같은 우의 서사는 탈취와 배제의 망탈리테에 의한 역사의 실종을 더 절절하게 드러내려 했던 작품이었다. 더불어 「龍과 龍의 大激戰」은 기억의 작동, 기능, 왜곡에 대한 섬세한 탐색을 수행한 작품이다.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서 "찬탈된" 기억이 과거를 어떻게 왜곡시키는가를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었고, 한편으로는 그것을 극복해내는 성숙과 지혜의 길을 만나볼 수도 있었다. 한편, 「九尾狐와 五帝」와 같은 단재의 신화에서 강한 국가주의적 관점이 형상화되고 있었다. 젊은이를 미혹하여 정혈을 빨아 먹는 구미호(일본 제국주의·서구 근대성)를 물리치는 五色나무의 원류를 夫餘의 神聖한 나무인 무궁화나무에서 찾는 것에서 근대 초기 자강파의 계몽 논리가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이 작품과 더불어 「鐵馬 코를 내리치다」의 신화적 공간(檀君 時節) 역시 마찬가지였다. "단군-부여족-고구려"로 이어지는 기억의 공간을 통해 "비아"(非我 : 서구 근대성·일본 제국주의)가 철저하게 부정이 된다. 말하자면 근대 초기 자강파의 논리가 과거 기억의 공간(단군-부여족-고구려)과 관련하는 수사학적 기억술(신화)을 통해 매개되고 있었던 셈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ree two narrative genres of Danjae(1880~ 1936)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Allegorical narrative(寓意 敍事) and Myth(神話). Danjae had extremely different mentality and expression methods from another writers. In this paper, I tried to make value of the literary position of the two narrative genre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In this paper, I closely examined "龍과 龍의 大激戰", "九尾狐와 五帝", "鐵馬 코를 내리치다." As everyone knows, "龍과 龍의 大激戰" is regarded as the archetype of Danjae"s allegorical narrative. In this paper, I presented two assertion : "Danjae"s Allegorical narrative" as a traditiona lliterary form resisted western modernity ideologies and specter of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In other words, Danjae suggested "ethnicity and nationalism ideology" as the best value through narrative style of the previous period called allegorical narrative. In the meantime, "九尾狐와 五帝", "鐵馬 코를 내리치다" are regarded as the archetype of Danjae"s Myth. I presented one assertion "Danjae"s myth" as a traditional literary form had strongly exposed Anti-Japanese imperialism, as well as anti-Confucian ideology.

      • KCI등재

        경험서사 창작교육을 위한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 분석

        이근영 ( Lee Geun-ye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경험서사 창작 과정에서 창작의 소재이자, 자신의 경험에서 문제적 사건을 발견하는 것을 어려워한다고 보고, 그 원인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한 사유의 부족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개념을 경험서사 창작교육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 분석을 통해 경험서사 창작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문학치료학에서 자기서사는 작품서사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인간을 서사적 존재로 보는 관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독자가 작품을 통해 자신의 삶의 근본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만드는 이야기를 의미한다. 자기서사 개념은 경험서사 창작교육적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 번째는 독서와 쓰기의 통합적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학습자들의 창작에 대한 부담감을 낮출 수 있다. 두 번째는 작품을 읽으며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또 다른 자기의 모습을 발견한다는 점에서 대화적 (dialogic)이다. 세 번째는 불완전한 자기서사를 작품서사를 통해 수정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삶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상 검토된 자기서사의 경험서사 창작교육적 의의를 토대로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는 ‘작품서사의 구성’-‘자기서사의 촉발’-‘자기서사의 수정’이라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독자는 작품을 읽으며 한 인물이나 여러 인물의 서사를 종합하여 작품서사를 구성한다. 이 단계는 이어지는 자기서사의 촉발에 영향을 주어, 독자의 무의식에 자리하던 자기서사를 현실화하게 도와준다. 독자는 자기서사 촉발 단계에서 현실의 문제를 마주하게 되고, 다시 작품서사를 통해 자기서사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학습자들이 작품을 통해 자신이 미처 생각지 못했던 기억과 현재 자신의 모습을 정면으로 마주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자기서사를 창작하도록 이어진다는 점에서 경험서사 창작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considers the failure of learners to discover problematic events for writing experiential narratives as a problem situation faced by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and examines the concept of 'the epic of self' in literature therapy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to solve this I did. In literary therapy, self-narrative is a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narrative of works, and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eeing humans as narrative beings. and readers discover their own fundamental problems based on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make it into the epic of self.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the following significance could be found. The first is an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which can reduce the burden on learners' writing. The second is dialogic in that he discovers another image of himself while reading the work. Third,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change learners' attitudes of life through correction of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 epic of self of the university students' readers was analyzed based on the creativ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experiential narrative of the epic of self reviewed abo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pic of self of university students' readers was largely composed of 'composition of the epic of literary work'-'trigger of the epic of self'-'correction of the epic of self'. This structure of the epic of self contributes greatly to the expansion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in that it helps learners lead to natural the epic of self writing by confronting memories they had not thought of through the literary work. In the process of such educational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feel the joy of reading literature and writing narratives.

      • KCI등재

        滄洲 李昌鎭의 생애와 우언작품 연구

        황동권(Hwang Dong kwon)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2 No.-

        본고는 滄洲 李昌鎭(1619~1684)의 생애와 우언작품을 살펴보았다. 창주 집안은 조부 李鄧林(1535~1594)과 아버지 浣亭 李彦英(1568~1639)이 寒岡 鄭逑(1543~1620)의 문인이 되면서 영남학파의 일원으로 성장하여 퇴계학문의 자장권에 있으면서 문학적 가풍을 형성하였다. 창주는 특별한 스승 없이 아버지 이언영에게 수학했고, 32세 때 과거시험을 포기하고 고향으로 돌아온 뒤로 평생 浣石亭에서 독서하며 지낸 처사형 인물이다. 교유한 인물은 조부와 아버지가 모두 한강의 문인이었던 만큼 주로 한강계열의 문인과 근기남인들이다. 蠹窩 崔興璧(1739~1812)은 창주 산문에 대해 '敍述과 比興이 잘 갖추어져 있고, 세상에 경각심을 일으키고 풍속을 후하게 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그는 관념적인 이기론과 번쇄한 예설에 치중했던 당대 영남남인들에 비해 비교적 문학적 취향이 높았는데, 바로 이런 성향이 우언작품을 지을 수 있었던 토대가 되었을 것이다. 창주의 우언작품은 <放啄木鳥說>과 <逐冷虎文>이다. <방탁목조설>은 滄洲子라는 가상의 인물과 啄木鳥라는 새가 논쟁을 벌이는 허구적 상황에 가탁하여 부조리한 현실을 우회적으로 풍간하였고, <축냉호문>은 창주자와 '冷虎'라는 호랑이가 논쟁을 벌이는 허구적 상황에 가탁하여 자신의 지조 있는 삶을 해학적으로 표현하면서 부조리한 현실 세태를 은근히 비판하였다. 특히 <축냉호문>은 악행을 저지르는 위정자의 내면 심리ㆍ권력ㆍ부의 무상함에 천착하여 은유적인 방법으로 현실을 비판함으로써 좀 더 세련된 현실비판 의식을 보여준다. 창주의 우언작품은 지조 있는 삶에 대한 자신의 높은 자부심과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려는 뚜렷한 목적의식 아래 문답이라는 중요한 허구적 장치를 활용하면서 창주자, 탁목조, 냉호를 등장시켜 그들의 입에 가탁하여 의론을 전개하는 전형적인 우언작품이다. 그의 우언작품 속에는 창주 산문의 특징인 敍述과 比興이 내포되어 있다. 시인의 뜻과 정서를 직설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다른 사물을 빗대어 표현하는 비흥의 작법은 우언의 특징인 직설적으로 말하지 않고 '다른 것[外]'에 빗대어서 말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시 창작의 표현 방법인 비흥을 산문적 서술 방법으로 활용한 것이다. 서술적 특징은 역사적 실존 인물의 특징과 행위를 간명하면서도 엄정하게 敍述하되 단순 반복적 나열에서 오는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 그 속에 작은 변화를 주었다. 창주의 생애와 우언작품을 이해하는 것은 손자인 洛渚 李柱天(1662 ~1711)의 <詞場白戰誌>와 같은 우언소설의 형성배경을 연구하는 데 일정한 의의가 있고, 무엇보다 영남학파의 우언작품 발굴 및 연구에 일정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tudied Changjin Lee (1619~1684), the Pseudonym of Changju's biography and his allegorical Works. Changju's family belonged to the academic group of Hangang, forming a literary tradition. Without being taught by specific masters, he was educated by his own father, Eonyeong Lee. At the age of thirty two, he gave up applying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Gwageo, and for the rest of his life he was completely satisfied with studying at his private residence, Wanseokjeong without getting any official positions. He associated with literary men belonging to the Hangang group and those of the Namin group in the area neighboring the capital, Hanyang. Heungbyeok Choi reviewed Changju's proses as follows: Changju's writings were well narrated with such appropriate figures of speech that they could lead people to an awakening, helping to form generous habits. Changju had a relatively elegant taste for literature, which was the basis on which he could write such allegorical works as Bangtakmokjoseol (A Tale of a Woodpecker Liberated ) and Chuknaenghomun (A Story of a Harsh Tiger Expelled ). The first tale satirized absurd reality and exhorted people by using a fictional situation in which Changjuja (a fictionalized figure) and Takmokjo (a woodpecker) had an argument. The second story humorously expressed the author's unyielding life and criticized absurd reality by using a fictional situation with an argument between Changjuja and Naengho (a harsh tiger). Particularly Chuknaenghomun (A Story of a Harsh Tiger Expelled ) dug into the internal psychology of vicious politicians and the meaninglessness of power and wealth, and metaphorically criticized that reality, showing his more sophisticated sense of criticism. His allegorical works showed his great pride in his unyielding life and the clear purpose of criticizing absurd reality. Using a fictional method of question and answer, these works had three characters such as Changjuja, Takmokjo, and Naengho develop an argument, showing their allegorical characteristics. Allegorical works include 'narration' and 'figurative speech', which were characteristics of Changju's writings. When writers do not express their intention and emotion directly but do so indirectly, they use figurative speech. This figurative speech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metaphorical method of allegorical works. The allegorical works by Changju 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historical people concisely and impartially, and at the same time he tried small changes in narration to avoid simple repeated description. An understanding of Changju's life and allegorical works is important because it can help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forming allegorical works like Sajangbaekjeonji (Journals of Various Battles ), which was an allegorical work by Jucheon Lee, a grandson of Changjin Lee. The meaning of studying Changju's life and allegorical works also lies with the fact that it is part of discovering and studying allegorical works by those belonging to the Yeongnam academic group.

      • KCI등재

        형성기 한문소설사 서술의 제문제

        류준경 ( Ryu Jun-kyung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5

        이 논문은 소설 장르론의 맥락에서 羅麗時代 소설사 서술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먼저 소설사 서술의 장르관의 문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소설의 개념과 범위는 소설사 서술을 위해서 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며, 실제 형성기 소설사 관련 연구에서 이 점이 논란이 되었다. 소설이란 무엇인가를 해명하는 장르론적 관점은 規範的 장르관과 記述的 장르관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규범적 장르관은 조동일 교수의 장르론이 대표적인 것으로 소설 장르의 본질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해명하는 면에 특장을 보이지만 공시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역사적 변모를 설명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보인다. 이에 반해 기술적 장르관은 구체적 역사시기의 변화의 양상을 포착하는데 유리하다. 형성기 소설사의 주류적 장르인 전기소설의 장르적 특질을 해명한 박희병 교수의 전기소설 이론에서 기술적 장르관을 확인할 수 있다. 소설사의 구체적 국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장르관이 유효하지만, 기술의 타당성과 소설사 전체를 통관하는 관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규범적 장르관의 성과를 수용해야 한다. 이러한 장르적 관점을 바탕으로 불교계 敍事物을 주목하는 최근의 연구성과를 검토하였다. 불교계 서사물을 주목하는 연구는 기술적 장르관의 입장에서 기술의 타당성을 조정하는 경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기소설만이 아니라 불교계 서사물을 주목함으로써 형성기 한문소설사의 지형과 장르 변동의 맥락을 다르게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불교계 서사물에 대한 연구는 구체적 작품 분석에 있어서 규범적 장르론의 성과를 받아들여 작품 내에서의 불교적 영험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좀 더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를 통해 불교계 서사물의 위상과 의미가 보다 정확히 이해될 때, 형성기 소설사의 장르론적 이해가 더욱 심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형성기 한문소설사 이해의 핵심적인 작품인 <崔致遠>에 대한 일련의 새로운 연구성과는 이 시기 한문소설사 서술에서 담당층의 성격에 대한 보다 깊이 천착할것을 요구한다. 애정전기소설사의 동질성에 주목하여 이 시기 소설담당층의 역사적 성격이나 다양성을 주목하지 못한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형성기 한문소설사의 서술을 위해서는 소설사 이해의 관점으로서의 장르론적 이해의 심화, 불교계 서사물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명, 소설 형성의 담당층의 역사적 특성과 다양성 규명 등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ome problems in writing the early history of novels in the context of novel genres. First, we examined the problem in the genre perspective in description on the early history of novels.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novel is a matter in writing the history of novels, and this point has been controversial in the study on the history of novels. The genre perspective that explains what the novel is can be divided into prescriptive genre perspective and descriptive genre perspective. Professor Cho Dong-il`s theory of genre is the representative prescriptive genre perspectiv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genre but has some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s due to its nature of synchrony.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ve genre perspective is advantageous in understanding the aspect of the change in the specific history period. Professor Park Hee Byung`s the Jeongi-novel傳奇小說 theory is the representative descriptive genre perspectiv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fic aspects in the history of novels, the descriptive genre perspective is valid but it is necessary to accept prescriptive genre perspective in order to have the validity of description and viewpoint of the whole history of novels. Based on this genre perspective,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focusing on Buddhist narrative works have been reviewed. Researches focusing on Buddhist narrative works are a new tendency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noves in terms of the descriptive genre perspective. By focusing not only on Jeongi-novels傳奇小說 but also on Buddhist narrative works, the contexts of genre change in the Novel formation period are understood different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meaning and function of Buddhism in the Buddhist narrative works by accepting prescriptive genre perspective in the analysis each works. At the same time, a series of new researches on Choichiwon崔致遠, which is a core work of Understanding the early history of novels, demands a deeper insight into the character of the class in this period. For re-writing the early history of novels, it is required to deepen genreological study, new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Buddhist narrative works,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of the classes in charge of novel 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