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사전략으로서 오독(誤讀)의 효과와 의의 :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에서 나타나는 독자의 오독(誤讀)을 중심으로

        최혜령(Choi, Hye-ryeong)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4

        This article analyzes the effects and significance of misreading as an epic strategy on Kim Young-ha’s novel Memoir of a murderer, a mystery novel is a ‘detective story’ to uncover the ‘crime story.’ It is also a genre in which play rules for fair games are cemented by genre conventions. In this process, specific narrative elements are somewhat ignored to establish play. Memoir of a murderer is a work that seems to fit the schematics of mystery novels, but is not properly equipped with the elements of mystery novels. The characters, events and riddles that exist in the novel are nothing more than delusions of the protagonist. However, this fact is not revealed while the reader continues to misread. Next, this article analyzes techniques used to induce readers to misread in the Memoir of a murderer in relation to the readers’ reading experience of a genre novel contradictory. Kim Young-ha used readers’ expectations of the genre to make the reader misread Memoir of a murderer as a mystery novel. In his inducing process, the genre conventions of mystery novels was used to hide the truth. The protagonist’s self-proud character and behavior close to the perpetrator are mistaken for the detective’s personality and behavior, and the violent behavior based on interest is also equated with the act of investigation. Alzheimer’s disease was used to allay doubts about the protagonist’s contradictory statements. The reader, expecting a mystery novel, has a sense of problem and solves the mystery under the illusion of playing fair game with the writer while fixing deficiencies of the game himself and reads the book. In the final part, the effects and significance of misreading were analyzed. The misread reader realizes that his expectation was an illusion at the end of the Memoir of a murderer, they experience the collapse of their world, just like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via the experience of being betrayed by the rules they have been believing in. In this cognitive process, genre conventions become unfamiliar objects. Misreading not only serves as a driving force for the reader and make him read novels until the end, but also as a reminder of the reader’s desires by destroying the reader’s expectations. In this Memoir of a murderer, misreading was used as a means to effectively represent the subject of the work and to ask ethical questions to the reader. 이 글은 김영하의 장편소설 『살인자의 기억법』을 대상으로 서사전략으로서 오독(誤讀)이 갖는 효과와 의의를 분석하고 있다. 추리소설은 ‘범죄의 이야기’를 밝혀내기 위한 ‘조사의 이야기’이자 독자와 작가 사이의 공정한 게임을 위해 존재하는 놀이 규칙이 장르적 관습으로 굳어진 장르다. 이 과정에서 구체적인 서사적 요소는 놀이를 성립시키기 위해 어느 정도 무시되는 측면이 있다. 『살인자의 기억법』은 추리소설의 도식에 들어맞는 것처럼 보이지만, 추리소설의 구성 요소를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은 작품이다. 소설 속에 존재하는 인물과 사건, 수수께끼는 주인공의 망상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독자가 오독을 지속하는 동안에는 밝혀지지 않는다. 이 과정에서 추리소설의 장르적 관습은 본래의 용도와는 달리 소설이 추리소설로서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을 숨기기 위하여 활용되었다. 주인공의 자기과시적인 성격과 범인에 가까운 행동은 탐정의 성품과 행동으로 오인되며, 흥미 본위의 폭력적인 행동 역시 수사행위와 동일시된다. 또한 알츠하이머라는 병을 통해 주인공의 모순되는 진술을 향한 의심을 무마시키고 그를 보완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 추리소설을 기대한 독자는 문제의식을 갖고 주어진 수수께끼를 풀이하며, 작가와 공정한 게임을 한다는 착각 속에서 스스로 게임의 결함을 보완하며 독서를 진행하게 된다. 오독(誤讀)을 지속하는 독자는 『살인자의 기억법』의 결말부의 반전에 이르러서야 자신의 기대가 환상이었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이 믿어오던 규칙 자체에 배신당하는 경험을 통해 소설의 주인공과 마찬가지로 세계의 붕괴를 경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장르적 관습은 낯선 대상이 되며 독자와 소설의 주인공 사이의 정서적 유대 역시 끊어진다. 오독(誤讀)은 독자가 결말까지 소설을 읽게 하는 원동력이 되어줄 뿐만 아니라, 독자의 기대를 무너트림으로써 범죄 사건을 게임으로 즐겨온 독자의 욕망을 되돌아보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살인자의 기억법』에서 오독(誤讀)은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독자에게 윤리적인 질문을 던지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 KCI등재

        문학 작품 오독의 본질과 유형에 관한 연구

        손예희 ( Yehee Son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1

        문학 작품 읽기에 있어서 오독은 독자의 상상력을 확장해 가는 방식의 하나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 글은 이 점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문학 작품에 대한 오독은 독자가 작가의 권위와 아우라에서 벗어나 독자 자신의 욕망과 희망의 요청에 따라 마음대로 텍스트를 풀고 다시 직조하는 과정으로 의미 생산의 필수적 조건이다. 오독의 과정에서 독자는 의미화 과정 자체를 즐기면서 작품을 천천히 깊게 읽어 갈 수 있으며 이는 문학 독서의 궁극적 지향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문학 읽기에 있어 나타나는 오독을 크게 네 가지로 살펴보았다.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심미적 간극과 읽기 구성 방식에 따라 문학 작품 오독의 유형은 분산적 오독, 결합적 오독, 조합적 오독, 확장적 오독으로 나눌 수 있다. 이에 근거하여 실제 독자들의 오독을 수준의 차이보다는 문학 작품을 읽는 유의미한 과정으로서 의의를 두고 유형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독자들의 오독을 읽기의 다양한 방식으로 받아들이면서 교육의 장에서 어떻게 독서의 깊이를 더해 갈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 보았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identify the intrinsic qualities and type of misreading literature in literature education. The type of misreading is to identify by explor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bout misreading of literature. Reading literature is one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invisible writer and readers. In the process of reading literature, the author’s primal meaning meets readers’ creative experience. Thus, the reader produces endless configurations and misreading. Reading literature is related the deconstructive reading rather than constructive reading. Because it is a process of endless misreading between blind statement and insightful meaning. Each misreading begins to communicate by dispersion, cohesion, combination, expansion. This view is the foundation of active, productive reading beyond the mere passive reading in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The Varying Degrees of Distance and Misreading in Nabokov`s Pale Fire

        ( Ju Young Jin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4 현대영미소설 Vol.21 No.3

        Vladimir Nabokov`s Pale Fire is known for its unique structure which has multiple narrative levels and multiple writers within a single novel. The novel achieves coherence through the main narrator, Kinbote, who performs a series of misreadings on Shade`s 999 line poem which itself was inspired by misreadings. While Kinbote provides a detailed commentary on the poem almost line-by-line, his interpretations are irrelevant to the theme and subject matter of Shade`s poem. Kinbote reads it either too closely or distantly to the point that his far-fetched, willful misreadings eventually derail the primary text. This interplay of distant reading and close reading helps us to understand the inversion between reader and writer as Kinbote`s sub-text of commentary outshines the main one. Valorizing distance as “a condition of knowledge” in Franco Moretti`s concept of distant reading to elucidate Kinbote`s hermeneutics of distance which ascribes distances between reader and text, this paper demonstrates how the novel animates the various acts of misreadings to illustrate how they align with the novel`s thematic concerns: the inexorable contingency in human fate. In his act of misreading, Kinbote scripts his own life as the deposed king of a fictional country, Zembla, who is now exiled in America where he exists as a misfit among his colleagues at the university. This self-imposed exile into a fictional world in turn renders the boundary between reading and writing untenable as the interplay of the two divides the author into a reading self and a writing self. As a result, the narrative is imploded with the inverted order of writing and reading. In Pale Fire, it is not the writer but the reader who has the advantage and responsibility of synthesizing all the misreadings, thereby completing the dizzying hermeneutic circle.

      • KCI등재

        유학생의 글쓰기, 사상의 오독과 감정의 발현 -잡지 『여자계(女子界)』를 중심으로-

        조윤정 ( Yun Jeong J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3 No.-

        이 연구는 조선 최초의 여성잡지인 『女子界』를 통해 당대 유학생이 신사상에 반응하는 양상에 주목한다. 특히, 근대 초기 유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신사상의 수용과 오독``, ``관념어의 습득``에 대해 고찰한다. 당대 여성의 주체 구성 문제는 자유와 평등을 주장하는 사회적 ``분위기`` 혹은 신사상이라는 ``범주``에 대한 반응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응은 담론에 대한 편입과 일탈의 문제를 담지한다. 이때, 『여자계』에는 담론의 ``범주성``과 그 범주로부터의 일탈이 가져온 ``오독 혹은 오해``, 그리고 그 오독이 가져온 ``윤리적 감정``의 표출이 나타난다. 일본 유학 시기 신사조를 접하고 이를 조선의 상황에 재조명하는 유학생들의 의식에는 중심 담론을 향한 ``편입욕망``과 중심으로부터의 일탈이 가져올 ``불안의식``이 공존한다. 지식인으로서의 불안의식은 필자인 유학생들에게 자신이 신사조의 오독자가 아님을 강조하는 글쓰기의 원인이 된다. 유학생들의 글에는 ``誤解, 誤讀, 誤信``과 같은 단어들이 자주 나타난다. 그러나 그들은 신사상의 오독을 통해 조선의 여자해방을 주장하는 ``오독의창조성``을 보여준다. 일본 유학을 통해 신문명이라는 범주를 경험한 유학생은 그 범주로부터 일탈한 조선여자에게 거리감을 느낀다. ``행복한 우리들과 불쌍한 저네들``의 수사는 ``수치심의 전이``를 동반한다. 기독교적 사명 하에서 여자 유학생들은 조선의 교육받지 않은 여성들에게서 헬렌 켈러의 신체적 결여성을 겹쳐본다. 그리고 설리반 선생에게 ``추상적 개념어``들을 배우던 헬렌 켈러의 상황을 환기하며, 자신들이 조선 여성들에게 신문명의 관념을 가르치는 ``문화적 매개``의 역할을 할 것이라 자처한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우정과 열정이라는 ``관념어의 체계``를 통해 ``민족의 근대화``를 발화한다. 또한, 루소 사상의 수용을 통해 ``자연``의 상태, ``상상력``의 상태에서 예술을 창조하고, 그 예술을 통해 자기 해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여자계』는 신사상의 수용과 유학생의 집단의식을 통해 조선 여성들에게 ``감정과 욕망의 발현-자아의 각성-여성 해방-근대 문명``의 관계성을 드러낸다. 그리고 여성해방이라는 근대화의 사명 속에서 여성의 교육과 글쓰는 행위가 제도화되어 가는 시작점을 보여준다. 유학생들은 ``시대적 윤리``와 ``여성적 직분``이 교차하는 자리에서 자신의 사명을 찾는다. 그리고 기독교적 수사와 비유를 통해 여자해방의 이상을 제시한다. 식민지 조선의 여성이라는 이중의 억압 속에서 유학생들은 여자해방사상에 반응했고, 신사상의 오독과 그 오독의 창조적 연쇄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언어화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spect that modern students studying abroad react through Joseon`s first women`s magazine Yeojagye. Students studying abroad met with new trend of thought and reflected situation of Joseon in the period of studying abroad, they had a desire for central discourse and uneasiness of departure from center. The uneasiness of intellectual became factor of writing that emphasized the oneself was not person whom misread new trend of thought. However, writers of Yeojagye showed ``creativity of misreading`` that asserted Joseon women`s liberation through misreading of new trend of thought. Students studying abroad experienced the category of new civilization through Japan, felt distance not admitting Joseon women in the category. The rhetoric, ``happy us and poor them``, accompanied ``a sense of shame`s transfer``. The Joseon women`s uneasiness changed a sense of shame through meeting with new civilization and the sense of shame`s revelation was connected with the discovery of a new great cause. Students studying abroad had left mother country to look upon oneself as the mediator between educated women and noneducated women, they prepared a unified group`s spirit. At This time, the matter of importance is a fact that they commonly discovered their mission in ``a wish of God``. In this christian mission, women students studying abroad were overlapped noneducated women and Helen Keller`s physical lack. They aroused Helen Keller learned ``abstract concept word`` from Sullivan, they looked upon oneself as ``the cultural mediator`` would teach new cultural notion to Joseon women. Also, they presented possibility of created arts in condition of ``nature`` and ``imagine``, and possibility of realized self liberation in arts through acceptance of Rousseau`s idea. Yeojagye indicated connection of ``revelation of emotion and desire-awakening self-women liberation-modern culture`` through acceptance of a new idea and group`s sprit of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it showed starting point that women`s educatin and writing systematized in mission of modernization called women liberation. Students studying abroad discovered the mission on a place crossing ``moral of times`` and ``feminine duty``. Writers could not help resisting against a male dominated discourse in process of forming and systematizing of notion titled ``women`s liberation``. Students studying abroad reacted to idea of women`s liberation under the double suppression named Joseon women of a colony, they had to verbalize the inside themselves in a misreading of new ideas and creative link of the misreading.

      • KCI등재

        破碎重組 · 讀誤無誤 - 從認知學觀點淺談東方藝術中的歷史誤讀運用

        洪郁喜(Hung, Yu-Hsi) 동서미술문화학회 2015 미술문화연구 Vol.6 No.6

        History is a huge irregular-shaped collective; there were always a blind spot. We can only see part of the historical information, but couldn’t analyze the details via a single historical perspective. Historical evidence only exist at the time, doesn’t apply to any other time or space. When we use our intuition to explain what we see from historical evidence, it’s easy to fall into the quagmire of misreading. However, reconstruct broken history has become a situation couldn’t be avoided; also, misreading become a potentially inevitable incidence. Misreading in Literary Criticism of Deconstruction can be divided into “reading misunderstanding” and “misreading creation”. From the study of Cognitive Psychology, they divided misread into “arrangement of the wrong sequences”, “subjective bias” and “error-induced”. According to theories of Deconstruction and Cognitive Psychology, one’s based on experienced ink wash painting technique combine with new technology devices, use the quasi-imitation historical data to highlighting the evidence is in a situation of undoubtedly but uncertainly. Started from the rupture of a conventional image, juxtaposed the modern image then transformed. One’s attempts to reflect modern interpretation of vague state through art; also hope that when viewers are enjoying the work, can remind them that we encountered with many misreading situations in our life.

      • KCI등재

        이주홍의 전기적 정보와 오독의 문제

        민병욱(Min Byung woo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8 No.-

        본고는 이주홍의 문학연구에 있어서 전기적 정보의 오류와 정치적 해석의 재생산을 살펴본 보았다. 먼저, 이주홍의 전기적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출생에서 상경 직전까지의 고향 생활, 상경에서 귀향하기까지의 서울 고학생 생활, 서울에서 낙향하여 도일하기직전까지의 고향 생활, 도일하여 귀국하기 직전까지의 일본 체류 생활, 귀국하여 해방 직후까지의 서울 생활, 부산에서의 생활로 나누어진다. 이 가운데 그가 가장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는 전기적 정보는 출생에서 상경 직전까지의 고향 생활이다. 그의 고향 생활은, 가난한 농부의 자식으로 태어나서 오직 생존 욕망을 가진 어린 시절, 서당을 다니면서 중국 고전을 배우고 한시를 창작한 시절, 그림 그리기를 유일한 취미로 가진 보통학교 시절, 당시 어린이 잡지들에 접하지만 전혀 흥미를 가지지 못한 보통학교 졸업 후 시기로 구별된다. 이러한 고향 생활을 기억의 혼란을 전혀 일으키지 않는 추억담으로 제시하면서 그는 유교적 사유와 한시 창작 경험, 회화 경험을 문학예술적 생애의 기반으로 삼고 있음을 밝힌다. 이어서 그는 상경에서 귀향하기까지의 서울 고학생 생활과 낙향하여 도일하기 직전까지의 낙향생활을 한다. 이 시기는 그는 서구 영화와 광무대의 구극, 김소랑 김도산 일행의 신파극, 남사당 공연, 동시기 문학 잡지와 동인지를 접하고 이를 모방하여 그는 연극 공연과 연극놀이를 하거나 사제잡지들을 만들기도 한다. 그 결과 그는 기억의 의도적인 혼란을 통한 정보를 재구성하지만 동시대 리얼리즘 설을 문학적 스승이나 모델로 설정하지도 못하고 이미 해체 과정에 는 지방순회 극단의 신파극 공연을 받아들임으로써 연극적 스승이나 델도 설정하지 못한다. 아울러 그는 문학적 연극적 스승이나 이상적 델을 의도적으로 제거하면서 잡지 『개벽』을 스승으로 삼고서 문학의 영역에서 벗어나서 아동문학으로 진입하여 잡지를 만들거나 표지를 장정을 하는 길러 나선다. 결국 문학의 문전에서 입문도 하지 않고 그는 일하여 귀국하기 직전까지의 일본 체류 생활을 하지만 그 생활을 거의 밝히지 않고 기억의 혼란과 불분명한 회상으로'불온한'예술가라는 억만을 내세운다. 그 기억들은 그가 일제에 저항한'불온'한 문학예술가임을 증명하는 정치적 해석의 근거로 증폭하게 되는 것은 물론 특정 단에 의해서 부산지역 문학의 대가에서 한국 근대문학사의 대가로 우상화 되는 계기가 된다.'불온성'에 대한 증폭은 그가 귀국하여 서울에서 활을 하다가 8․15 해방을 맞이하기 직전까지 계속된다. 문제는 아직 증되지 않는 그의 전기적 정보와 정치적 해석의 재생산이 계속'불온'하게 이어진다는 것이다. This paper observed the biographical information of Lee Ju Hong and his follower's political misreading. The result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His followers are apt to idealize his Biography and hid Arts. And then they reproduce his Dittoheads and praise excessively him for the purpose of worldly power. 2) He wrote the story of his own life three books. His autobiographies require confirmation. He distorted, omitted, idealized biographical facts intentionally. Also his followers twisted the story of their own advantage. 3) I made certain of the truth of the matter as follows. Just prior to live Seoul City Life, Going back to the home life, Going to Japan and his life in Japan, Returning to home and his home life. 4) He distorted his life in Japan seriously and his followers has consistently followed in his footsteps. As the result, He was branded as anti-Japan strikers and was under Japan control. 5) No, never, it isn't so. Like general people, he had discontented sentiment for Japanese Colonial hazily. His attitude and writings were not anti-Japan. He was not a person of practical mind and praxis. He was an opportunist for art world and art power. 6) The serious issue is his followers reproduce vulgar misreading of his arts and life. And they think little of objective biographical facts. Finally His biographical facts are now confronted with almost insurmountable difficulties.

      • KCI등재

        The Varying Degrees of Distance and Misreading in Nabokov’s Pale Fire

        진주영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4 현대영미소설 Vol.21 No.3

        Vladimir Nabokov’s Pale Fire is known for its unique structure which has multiple narrative levels and multiple writers within a single novel. The novel achieves coherence through the main narrator, Kinbote, who performs a series of misreadings on Shade’s 999 line poem which itself was inspired by misreadings. While Kinbote provides a detailed commentary on the poem almost line-by-line, his interpretations are irrelevant to the theme and subject matter of Shade’s poem. Kinbote reads it either too closely or distantly to the point that his far-fetched, willful misreadings eventually derail the primary text. This interplay of distant reading and close reading helps us to understand the inversion between reader and writer as Kinbote’s sub-text of commentary outshines the main one. Valorizing distance as “a condition of knowledge” in Franco Moretti’s concept of distant reading to elucidate Kinbote’s hermeneutics of distance which ascribes distances between reader and text, this paper demonstrates how the novel animates the various acts of misreadings to illustrate how they align with the novel’s thematic concerns: the inexorable contingency in human fate. In his act of misreading, Kinbote scripts his own life as the deposed king of a fictional country, Zembla, who is now exiled in America where he exists as a misfit among his colleagues at the university. This self-imposed exile into a fictional world in turn renders the boundary between reading and writing untenable as the interplay of the two divides the author into a reading self and a writing self. As a result, the narrative is imploded with the inverted order of writing and reading. In Pale Fire, it is not the writer but the reader who has the advantage and responsibility of synthesizing all the misreadings, thereby completing the dizzying hermeneutic circle.

      • KCI등재

        논어 ‘학이시습지’ 장(章)에 대한 교육학적 오독(誤讀): 학시습의 열(說)과 회화의 낙(樂), 그리고 홍도(弘道)하는 삶

        엄태동 한국교육원리학회 2019 교육원리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unended study is to rethink, or redescribe what is education by rea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the hermeneutic method called intentional strong misreading. Especially this study tries to draw new academic concepts, educational imagination and insights from the first three sentences of the Analects. The first three sentences are very important to interpret consistently the hundreds of fragmented sentences of the Analects, understand the details of Confucius' thought, and disclose the hidden aspects or totality of education. The tentativ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elf-sufficient flow-experience(Yeol-Rok, 說樂) of education is depicted and exalted to be worthy of living for everyone. The educated man(Gunja, 君子) is willing to devote his life to pursuing and enjoying Yeol-Rok. This kind of educational life of Gunja accompanies naturally the life of searching and widening human transcendental ways(Hong-do, 弘道). The educational life of pursuing Yeol-Rok and attempting Hong-do can be conceptually divided but exist as one that can not be separated. Although these results are very far from satisfaction and just first step to educational conceptualization, they can be used as a cornerstone of educational interpretation on the Analects and making autonomous educational theory. 이 글은 공자의 교육사상을 논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교육학이 하나의 자율적인 학문이라면, 동일한 텍스트를 놓고도, 다른 학문이 하는 것과는 다르게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논어 학이편의 첫 세 문장인 학이시습지 장을 중심으로 논어를 교육학의 시선을 통해 의도적으로 오독한다. 그럼으로써 논어 속에 등장하는 단편들을 재료로 삼아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학이시습지 장은 학시습의 열과 회화의 낙을 서로 구분되는 각별한 삶의 보람으로 노래하고 있으며, 이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보라고 권고하는 글로 읽을 수 있다.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공자는 도(道)가 아니라 도를 넓히는 홍도(弘道)에 주목한다. 홍도하는 삶은 교육의 열락을 쫓으며 사는 삶의 자연스러운 귀결이라 말할 수 있다. 교육의 열락이 없이는 홍도하는 삶이 가능하지 않다. 논어에 대한 이러한 교육학적 오독을 계속 수행해서 논어 전편을 다시 서술하는 가운데 이를 가지고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은, 논어 연구는 물론이고 교육학 연구와 관련해서도,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 KCI등재

        도로표지내 글자간 적정 여백률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기영,오영태,유태호,이군상 대한교통학회 2006 大韓交通學會誌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표지 내부의 글자간 여백률에 따라 이용자가 이를 가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를 증명함으로써, 경제적인 표지 규격을 산정하는데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6개의 다른 여백률을 가진 표지군을 대상으로 가독시간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실내 모의실험을 시행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용자의 오독률을 낮추기 위한 주요 요인을 찾아내기 위해 Binary Logit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에 의하면,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로표지의 단순한 크기의 확대뿐만이 아닌, 표지판 규격과 내부글자 크기와의 적정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여백률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도로표지와 글자의 규격에 따라 결정되는 여백률이 이용자의 가독성에 주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증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추후 표지의 적정 규격을 결정하는데 있어 유용한 접근방법으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conomical standard for road signs by verifying the difference in driver's legibility time with respect to the spacing of letters on the road signs. Laboratory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legibility time for six target signs of different spacing. Also, a binary logit model was used to find the main factors, which could lower the rate of misreading. This model involves not only a simple enlargement of signs but also a suitable match of letters and signs along with the optimal spacing of the text letters on the road signs to increase the legibility of the sign. The result of this study verified the importance of spacing in road signs and proved itself to be an effective method to determine the future standard for the road signs.

      • KCI우수등재

        "對照批評論"을 建築理論化하기 爲한 試論 : 헤롤드 블룸의 "影響理論"으로 본 르 꼬르뷔제와 金重業 建築의 關係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Works of Kim,, Jung-Up to the Le Corbusier with the Perspective of Harold Bloom's “Influence Theory”

        강윤식,이동언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9

        The late Kim,, Jung-Up's works can be inter-textually read in view of the late Le Corbusier's influence. But the most of our critical discourses are in some restrictions caused by his artistic nature and intuitive style, and the limits of the modern objectivism. From this point of view, Harold Bloom's Influence Theory offers very useful grounding in this way. Therefore, this paper uses the main theoretical frames of the Anti-thetical Criticism, consisting of the 'creative misreading', the 'revisionary ratio' and so on, and intends to re-reading the new meanings of Kim,'s architecture from the inter-relationship with the Le Corbusier's. Consequently, it is useful method that unite the diachronic and synchronic for extend the critical horizon in Korean archit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