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인드셋(mindset), 학업성취도 및 리더십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오미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앞으로 다가올 미래사회는 급변하는 사회가 될 것이다. 예측하기 어려운 시대의 가장 효율적인 교육방법으로 심리학자인 Dweck은 마인드셋 개념을 제시하였다. 마인드셋은 성취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과 지능에 대해 갖고 있는 신념으로, 고착 마인드셋(fixed mindset)과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으로 나뉜다. 고착 마인드셋은 능력과 지능이 이미 고정되어 있어 노력해도 바꿀 수 없다는 신념을, 성장 마인드셋은 경험과 노력을 통해 능력과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신념을 뜻한다. 해외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몇몇 연구들은 성장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학업성취도가 높고 리더십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마인드셋의 개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그리고 마인드셋과 리더십과의 관계를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성장마인드셋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고, 리더십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 및 리더십은 상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Future society to come will be a rapidly changing society. Dweck, a psychologist, presented the concept of mindset as the most effective way of teaching in an age of unpredictability. Mindset is a belief that learners have about their ability and intelligence in situations requiring achievement. The mindset is divided into a fixed mindset and a growth mindset. Fixed Mindset means the belief that ability and intelligence are already fixed and can not be changed even if you try, and the growth mindset means the belief that you can improve your ability and intelligence through experience and effort. Some existing studies from overseas have reported that those with a set of growth minds have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leadership.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and leadership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score of growth mindset,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higher the leadership score.

      • KCI등재

        한국판 스트레스 마인드셋 측정도구의 요인구조, 방법효과 및 측정동일성 검증

        박다은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5 No.2

        Stress mindset refers to implicit beliefs about the effects of stress. Although academical interests in stress mindset are growing, we know next to nothing about whether the original stress mindset scale, developed by Crum and colleagues (2013), can be used for working professionals in Korea. To examine whether the same stress mindset scale can be used in Korean adults with different occupations, we recruited college students and working professionals in finance, medicine, and education (N=531) and asked them to complete stress mindset and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s. Findings from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nd no evidence for method effects in the original 8-item stress mindset scale.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4-item stress mindset scale, measuring debilitating effects of stress (Stress Mindset-N4), fits data better than the original 8-item scale and 4-item mindset scale, measuring enhancing effects of stress (Stress Mindset-P4). Measurement invariance testing of Stress Mindset-N4 supports configural, metric invarianc, and scalar invariance. Furthermore, the scale scale reliably predicts perceived distress. ‘스트레스=부정적’이라는 인식이 팽배함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스의 효과성에 대한 개인의 관점은 차이가 있다. 어떤 사람은 스트레스는 무조건 부정적이라고 믿는 반면 어떤 사람은 스트레스를 통해 성장․발달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처럼 스트레스의 효과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을 스트레스 마인드셋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인을 대상으로 Crum과 동료들이 개발한(2013) 스트레스 마인드셋 척도가 국내 다양한 직업군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요인구조, 방법효과, 측정동일성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다. 대학생과 금융, 의학, 교육 분야에 종사하는 성인 53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rum과 동료들이 제안한 8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지 않았으며, 방법효과를 통제한 모형에서도 적합도가 좋지 않았다.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효과성을 측정하는 4문항으로 구성된 도구(Stress Mindset-N4)와 긍정적인 효과성을 측정하는 4문항으로 구성된 도구(Stress Mindset-P4)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Stress Mindset-N4의 적합도가 더 높았다. Stress Mindset-N4와 P4 도구의 직업별 측정동일성 검증에서는 전자는 형태, 요인부하량, 절편 동일성이 지지 되었으며, 후자는 형태, 요인부하량 동일성이 지지 되었다. 더불어 두 도구 모두 지각한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이론적, 실증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습득효과 비교연구 - 오프라인학습과 온라인학습을 중심으로 -

        류선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3 No.-

        본 연구는 오프라인학습, 적극적 온라인학습, 소극적 온라인학습에 있어서의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습득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위 세 가지 학습방식으로 디자인씽킹 교육을 받은 128명의 대학생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한 마인드셋 평가문항을 도출하기 위해서 기존 디자인씽킹 연구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8개의 마인드셋 (모호성, 실험정신, 공감능력, 통합적사고, 열린 사고, 협동심, 호기심, 창의적 자신감)을 도출하였다. 이후 각 마인드셋에 해당하는 평가문구를 디자인씽킹 연구자들의 마인드셋 평가문항, 심리학에서의 마인드셋 평가문항을 재조합하여 34개 문항의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디자인씽킹 진행방식에 따른 8개의 마인드셋 습득효과 비교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극적 온라인학습은 오프라인 학습과 유사한 마인드셋 습득효과를 보였다. 반대로 소극적 온라인학습은 실험정신, 협동심, 열린 사고를 제외한 나머지 5개의 마인드셋에 있어서는 그 습득효과가 오프라인학습 방식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조사를 바탕으로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습득을 위해서는 소극적 온라인보다는 적극적 온라인학습이 효과가 있으며 적극적 온라인학습은 오프라인학습과 유사한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습득효과를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습득을 위해서 적극적 온라인학습이 오프라인학습을 대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무분별한 온라인학습방식의 도입보다는 적극적 온라인학습과 같은 효과적인 온라인학습방식을 선택하여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온라인상에서 디자인씽킹의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 mindset acquisition in offline learning, active online learning, and passive online learning. The research method was to conduct a survey and analyzed the data gathered by answers from 128 university students who received design thinking education by the three different learning methodologies above. To derive a mindset evaluation question for a survey, at first, mindset related data of existing design thinking researchers was investigated to derive 8 mindsets (ambiguity, experimental spirit, empathy ability, integrated thinking, open thinking, cooperation, curiosity, creative confidence). Afterwards, the flat phrases corresponding to each mindset were recombined with design thinking researchers' mindset evaluation questions and psychology's mindset evaluation questions to form 34 questions.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learning effects of 8 mindsets according to the three education methods is as follows. Active online learning showed similar mindset acquisition effect to offline learning. Conversely, passive online learning showed that the learning effect was lower than that of offline learning in the remaining five mindsets excluding experimentation, collaboration, and open min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earch, it was derived that for the acquisition of design thinking mindsets, active online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passive online learning, and active online learning shows the effect of acquiring design thinking mindsets similar to offline learning.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active online learning can replace offline learning in order to acquire the design thinking mindse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develop effective online learning method such as active online learning rather than introducing indiscriminate online learning method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conducted for effective learning methods of design thinking online.

      • KCI등재

        속성분석을 통한 디자인사고 사고방식에 관한 연구 -개인, 팀원, 문제해결자로서 갖추어야 할 사고방식 중심으로-

        류선주,나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Design Thinking has set the standard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ologies in various fields. The field of application is expanding and its importance is emphasized as the foundation of innovation and creative solution development. However, its consequences are much affected by the mindset of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design thinking mindset as an individual, as a team member and as a problem solver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of design thinking and to expand the field of its application. As a method of research, four researcher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developed the major design thinking methods since the 2000s were selected to derive ten attributes necessary for design thinking. Based on these attributes, the roles of members in design thinking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the necessary mindsets for each category were studied through theoretical studies. First, mindsets as a team member were studied based on Driskell, Goodwin, Salas & O’Shea’s ‘Hierarchical Model of Facets Related to Teamwork‘. Four characteristics of its mindset were derived though analyzing the model’s relationships with design thinking mindsets. Second, based on the problem solver’s 10 characteristics by Michelle Roya, six attributes as a problem solver were derived by studying difference between general problem solving and design thinking. Third, five mindsets as an individual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implicit attributes based on Tim Brown’s T-Shaped talent. As a result, 10 major mindsets necessary for the design thinking were derived; own specialty, empathy, optimism, ambiguity, open mind, integrative thinking, experimentation, collaboration, process watchfulness and expressiveness. Among them, the mindsets required as an individual are own specialty, empathy, open mind, integrative thinking, and collaboration. The mindsets required as a team member is collaboration, open mind, process watchfulness, and expressiveness. The mindstes as a problem solvers are optimism, ambiguity, experimentation, open mind, collaboration and expressiveness. Collaboration and open mind are core mindsets to all three categories, that must be possessed as individuals, team members, and problem solvers.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는 다양한 분야의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론의 기준으로 자리 잡아오고 있다. 응용분야가 다양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혁신과 창의적 솔루션개발의 정석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참여자들의 사고방식(Mindset)에따라서 다자인사고의 결과는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논문은 디자인사고의 효율성 증가와 디자인사고 적용분야 확대를 위한 효과적인 팀 구성을 모색하고자 구성원의 역할을 세분화 하여 각각의 역할에 부합하는필요한 사고방식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00년대 이후 가장 대중화된 디자인사고 방식을 개발한 연구자와 연구기관을 총 4개선정하여 디자인사고에 필요한 열 가지 속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사고에서 팀 구성원의역할을 세 가지로 분류 하여 각각에 필요한 사고방식을 이론연구를 통해 도출하였다. 첫 번째 구성원의 역할 중 팀원으로서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드리스켈, 굿윈, 사라스, 오쉐어(Driskell, Goodwin, Salas & O’Shea)의 팀워크와 관련된 계층적 측면 모델(Hierarchical Model of Facets Related to Teamwork)을 기준으로 디자인사고와의 연계성을연구하여 네 가지의 사고방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문재해결자로서 필요한 사고방식은 미쉘로야(Michelle Roya)의 문제해결자로서 갖추어야할10가지 속성을 기준으로 일반적인 문제해결과 디자인사고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여여섯 가지의 필요한 사고방식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개인으로서 필요한 사고방식은 팀브라운(Tim Brown) 의 티자형(T-Shaped) 인재상을 바탕으로 내포하는속성을 분석하여 다섯 가지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팀원으로서, 문제해결자로서, 개인으로서 필요한 사고방식들의 구조적 관계와 중복성을 분석하여 디자인사고에 필요한 핵심 사고방식 두 가지를 도출하여 디자인사고에 필요한 사고방식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도출된 디자인사고에 필요한 사고방식은 총10가지로, 각자의 전문성(Own Specialty), 공감능력(Empathy), 낙관(Optimism), 모호성(Ambiguity), 열린사고(Open Mind), 통합적 사고(Integrative Thinking), 실험정신(Experimentation), 협동심(Collaboration), 프로세스충실성(Process Watchfulness), 표현력(Expressiveness) 이다. 이 중 개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사고방식은 각자의 전문성, 공감능력, 열린 사고, 통합사고력, 협동심이고, 팀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사고방식은 협동심, 열린사고, 프로세스 충실성, 표현력이며, 문제해결자로서 갖추어야 할 사고방식은 낙관, 모호성, 실험정신, 열린 사고, 협동심과 표현력이다. 이 중 협동심과 열린 사고는개인으로서, 팀원으로서 그리고 문제해결자로서 갖추어야 할 사고방식으로 세 범주 모두에 공통되는 것으로디자인사고에 가장 핵심적인 사고방식이다.

      • KCI등재

        야구선수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원영식,김은지,허정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This study takes mindset as its independent variable which has hardly been studied practically for application to the academic field. In fact,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athletes’ mindset. To verify them, this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320 amateur and professional players in Seoul, Chungnam, Jeonnam, and Gyeongnam. Primarily,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were checked with an expert group, an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factor analysis was done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ir mindset difference by where they were affiliated to, professional play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general.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ir resilience by where they were affiliated to, professional play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general.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baseball players’ mindset on resilience, among the subfactors of mindset, mindset for growth influences resilience positively while mindset of fixation influences optimism, one of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negatively.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correlation between baseball players’ mindset and resilience, mindset for growth, one of the subfactors of mindset, h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mindset of fixation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has discussed the effects of baseball players’ mindset on resilience which can provide concrete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field. This study has investigated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orrelation between baseball players’ mindset and resilience and provided foundational material for research dealing with an even broader range. Moreover, research on psychology has hardly been studied mindset in sports so far; therefore, it is needed to subdivide the area according to the status of Korean athletes and develop scales properly afterwards 본 연구는 야구선수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7년 9월 10일부터 10월 20일 약 6주 동안 서울, 경기, 충남, 전남, 경남권지역의 아마 및 프로선수 대상으로 연구진이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한국야구위원회(KBO), 대한소프트볼야구협회(KBSA)의 아마추어 및 프로로 등록된 3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각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소속에 따른 마인드셋과 회복탄력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아마추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야구선수 마인드셋(성장, 고정)과 회복탄력성(감사하기, 공감능력, 낙관성, 감정조절)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야구선수들의 마인드셋(성장, 고정)이 회복탄력성(감사, 공감, 낙관,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성장 마인드셋은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중 감사하기, 감정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정 마인드셋은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중 낙관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다루었으며, 스포츠 분야에서 마인드셋을 다룬 기초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a Global Mindset: Nature vs. Nurture

        Yong Suhk Pak,Mon Yee Hsu 한국국제경영학회 2019 國際經營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글로벌 마인드셋의 함양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글로벌 마인드셋의 함양에 대해 정적인 그리고 동적인 관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정적인 관점에서 글로벌 마인드셋은 변화하기 어렵고, 암묵적이고 고정된 선천적인 태도로 정의된다. 반면, 동적인 관점에서는 글로벌 마인드셋이 새로운 경험을 배움으로써 발전되고 변화 가능한 마인드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글로벌 마인드셋이 변화하기 어려운 정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혹은 일정한 기간 동안 변화 가능한 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 문헌에 기반을 두어, 본 연구는 글로벌 마인드셋 구성요인을 인지, 기량과 태도의 세 가지로 유형화한 후, 각 구성요인이 정적인 혹은 동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 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학부생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비동질적 통제집단설계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를 실시하였다. 한 학기동안 국제경영 분야 수업을 수 강한 학부생 185명을 처치집단 (treatment group)에 배정하고, 관리회계 수업을 수강한 학부생 74명을 통제집단 (control group)에 배정한 후, 이들의 수업 전후 글로벌 마인드셋 (인지, 기량, 태도)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처치집단에서 국제경영 분야 수업을 수강한 학부생들의 인지와 기량 수준은 수업 후 증가한 반면, 태도 수준은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 에서는 관리회계 수업을 수강한 학부생들의 글로벌 마인드셋 수준이 수업 전후 유의한 차이가 발견 되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는 글로벌 동기부여와 언어능력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 즉, 국제경영 분야 수업이 학생들의 글로벌 마인드셋을 높이는 효과는 학생들의 글로벌 동기부여가 높은 경우와 언어능력이 뛰어난 경우에 긍정적으로 강화된다는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가 제공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향후 연구과제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reviews two main perspectives, static and dynamic, on the development of a global mindset. From the static perspective, a global mindset is defined as an inborn attitude that is fixed, implicit and not easily changed. The dynamic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views a global mindset as a growth mindset that is flexible, explicit and can be developed by learning new experiences. To provide a clear understanding about the development of a global mindse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t has a static nature that is difficult to change or a dynamic nature that can change in a short period of time. Based on the literature, we categorize the global mindset into three dimensions —cognition, skills and attitude—and analyze the static or dynamic characteristics of each dimension. Using a sample of 259 undergraduate students, we conduct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e surveyed 185 students who took an international business class (treatment group) and 7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managerial accounting class (control group), during a semester. Then, we compared the students’ global mindsets (cognition, skills 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cognition and skills increased after taking the international business clas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ttitude between the start and end of the semester. In the control group, the students’ global mindsets did not change after the managerial accounting class. We also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f global motivation and language skills. This meant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IB class on the global mindset was strengthened with a high level of global motivation and also language skill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our study.

      • KCI등재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평가 문항개발에 관한연구

        류선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3 No.-

        2000년대 이후 사고방식으로서의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이 강조되면서 디자인씽킹은 비즈니스 마인드셋으로 해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씽킹의 마인드셋 평가를 위한 연구 활동은 크게 활성화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에 참여한 대상자들이 마인드셋 습득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 개발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디자인씽킹을 대표하는 7명의 연구자와 2개의 기관들이 분석한 28개의 디자인씽킹 속성과 각 속성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 워크숍을 통하여 속성분류 작업을 실시하였다. 모호성, 실험정신, 공감능력, 통합적 사고, 협동심, 열린 사고, 호기심, 창의적 자신감의 8개 속성이 디자인씽킹 마인드셋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8개의 마인드셋을 중심으로 심리학과 디자인씽킹에서의 각 마인드셋에 해당하는 평가문항을 조합하여 57개의 초기 평가문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57개 문항 중 각각의 마인드셋 평가에 해당하는 문항을 선정하도록 하였다. 전문가들이 공통으로 선택한 문항들을 종합하여 8개의 마인드셋을 평가하기 위한 33개의 설문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향후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측정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Since a way of thinking has been emphasized in design thinking after the 2000s, Design Thinking has been interpreted as a business mindset. Nevertheless, research to evaluate Design Thinking's mindset have not been greatly activa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that allows subjects participating in design thinking to evaluate their own mindset acquisition level. First, 28 Design Thinking attributes and the definition of each attribute were summarized through synthesizing attributes described by 7 researchers and 2 organizations representing Design Thinking. Based on the 28 Design Thinking Attributes, an expert workshop was conducted to carry out attribute classification work. Among 28 Design Thinking Attributes, the eight attributes of ambiguity, experimentation, empathy, integrative thinking, collaboration, open mind, curiosity, and creative confidence were classified as Design Thinking mindsets. Focusing on the eight classified mindsets, 57 initial evaluation questions were derived by combining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each mindset in psychology and Design Thinking. In order to extract right set of questions for each mindset, an expert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the 57 questions, experts were asked to select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each Design Thinking mindset. Composed of questions selected by experts in common, 33 questionnaires were finally selected to evaluate 8 mindsets.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various studies based on design thinking mindset measurement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청소년기 마인드셋 형성에 관한 이해: 현상학적 분석에 기초한 시스템 사고 연구

        황진숙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23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adolescent mindset formation. To achieve this goal, qualitative data on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 mindset formation were collected, and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essential structure of mindset formation experiences. The exploratory results yielded 33 units of meaning, 13 subcomponents, and 5 components for the formation of a fixed mindset. For the formation of a growth mindset, 28 units of meaning, 10 subcomponents, and 4 component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an integrated causal loop diagram (CLD) model reflecting systems thinking was constructed for the formation of a fixed mindset and a growth mindset. Ultimately, the integrated CLD for the formation of a fixed mindset consisted of 3 positive feedback loops and 3 negative feedback loops. The integrated CLD for the formation of a growth mindset consisted of 3 positive feedback loops and 2 negative feedback loop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예비창업자의 마인드셋이 그릿, 자기효능감,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배창봉 ( Chang Bong Bae ),김정희 ( Jung-hee Kim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20 유통경영학회지 Vol.23 No.6

        Purpose: In order for the founder to endure the adversity that occurred after the start-up and grow, it is necessar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factors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hardship index on mindset, grit,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lements to support and motivate pre-business readers’ decision to start the enterpri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we derive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n we executed empirical research by conducting survey on the employees interested in the start-u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office workers across the country to set up pre-business readers interested in starting a business as a population and to secure a representative sample overall. The proposed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 were verifi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Amos. Results: The summary of the empirical research is summarized as below. First, pre-business readers’ hardship index displayed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 that consists fixed mindset and growth mindset. Second, fixed mindset of pre-business readers had a negative on their self-efficacy, while growth mindset of pre-business read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efficacy. Third, pre-business readers’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ntrepreneurship intention. Fourth, pre-business readers’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ntrepreneurship intention. Conclusions: Since the influence of the fixed mindset and the growth mindset on the self-efficacy is different, and the growth mindset plays a role in reinforcing self-efficacy,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promote the growth mindset of pre-business readers is requi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business readers' grit and self-efficacy play an important role in facilitating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at to promote pre-business readers' grit and self-efficacy, their growth mindset must be improv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마인드셋 프로파일에 따른 주관적 경력성공과 교수효능감의 차이

        탁정화 ( Tak Jeong Hw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1

        유아교사의 마인드셋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주관적 경력성공, 교수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유아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마인드셋 프로파일은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유형은 고정마인드셋 상집단, 마인드셋 미분화집단, 성장마인드셋 상집단, 성장마인드셋 하집단·고정마인드셋 상집단으로 명명되었다. 유아교사의 마인드셋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주관적 경력성공, 교수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 마인드셋의 프로파일 유형은 주관적 경력성공, 교수효능감에 대한 차이를 가져오는 심리적 요인이므로 유아교사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교직 문화형성과 성장마인드셋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mindse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Y and M cities.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one-way ANOVA and two-step clustering stat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vealed four cluster types: the upper fixed mindset type, undifferentiated mindset type, the upper growth mindset type and the lower growth mindset and the upper fixed mindset typ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indset types according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mindset. The findings of this studies are expected to suggest how to promote a growth mindset in early childhoo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