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군 장병의 부대적응과 군대폭력에 미치는 영향 : 입대 전 학교폭력 경험을 중심으로

        조동택,이상훈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6 경찰복지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① 군 장병의 입대 전 학교폭력 경험이 부대적응과 군대폭력 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② 이를 바탕으로 군대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 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군 장병의 입대 전 학교폭력 경험이 부대적응과 군대폭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학교폭력 경험의 하위요인 중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교폭력의 가해경험이 적을 수록 군대폭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폭력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 중 폭력금지에 대한 인식, 폭력금지의 정당성, 폭력이외의 문제해결 방 안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가질수록 학교폭력의 경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학교폭력의 경험이 군대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 며, 그 외에도 부대적응이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 학교폭력 경험 의 하위요인 중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교폭력의 피해경험이 적 을수록 부대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⑤ 부대적응의 하위 요인 중 개인의 심신안정이 높을수록, 군 조직 환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군대폭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⑥ 학교폭력의 피해 및 가해 경험이 없는 장병집단이 있는 집단보다 폭력사용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더 높 고, 부대적응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⑦ 학교폭력의 피해경험이 없는 장병집 단이 있는 집단보다 폭력사용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더 높고, 부대적응력도 우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⑧ 학교폭력의 가해경험이 있는 장병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폭력의 금지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더 높고, 부대적응력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군대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 였다. ① 학교폭력 및 군대폭력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 다. ② 군대폭력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전담할 수 있는 법률체계 보 완이 필요하다. ③ 군대폭력 예방 교육 및 프로그램의 보완․발전이 필요하다. ④ 병 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운용체제를 보완해야 한다. ⑤ 입대 전 주요 폭력경험자에 대한 사전식별 및 관리대책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⑥ 군 장병의 부대적응 향상 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군대폭력 예방과 관련한 연구와 정책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a) validate how the conscrip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ffects the military violence, and (b) suggest a policy direction to prevent and eradicate the military violence based on the findings. The details of the hypothesis testing are the following : (a) A conscrip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the attitude towards violence are directly related to the mental and physical abuses in the military. (b)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ttitude of a conscript towards violence and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c)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irectly affects the military violence and has mediated effects on the adaptation to the military environment. (d) The more a person recognizes the wrongness of school violence and the lesser one is exposed to school violence, the better one adapts to the military environment. (e) A group of conscripts with no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of abusing others in the past turns out to be better at adapting to the military environment. (f) A group of conscripts who were victims of school violence has negative attitudes and views on using violence and adapts to the military environment better than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g) Those with experience of abusing others in school have more negative views on the forbiddance of violence, and have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military environment. Based on the findings, a several policy-level suggestions have been suggested to prevent and eradicate the military violence. (a) A close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institutions design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military violence needs to be established. (b) We must define a clear concept of the military violence, and complement and develop a legal system that is dedicated specifically to deal with the concept. (c) Education and programs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needs to be developed and complemented. (d)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counsel system of barracks life is another action required to prevent the military violence. (e) Measures of identifying people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prior to the induction and managing them afterwards need to developed and improved. (f) The correlation between one’s adaptability to the military environment and the military violence is significantly high.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ongoing efforts to reform the barrack culture.

      • KCI등재후보

        A Case Study on the Core Competencies of MILITARY Leadership for Junior Officers

        Park Sang-jung,Im Yoo-shin J-INSTITUTE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Military Affairs Vol.5 No.1

        This article will review studies on the core competencies of military leadership of Junior officers in order to provide future direction on leadership development and training at the Korea Military Academy(KMA). This will include studies related to a manager s leadership potential which is characterized by focusing on psychological factors rather than observable behavior. In particular, it will be shown that cognitive factors are important in self-confidence and in developing effec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For this study, the Republic of Korea(ROK) Army presented detailed leadership elements and organized them into areas of principle-centered leadership, leadership potential, interpersonal skills, personal capability and behavior. Specially,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leadership competency of junior officers highlighted detailed leadership characteristics such as behavior and ef-fectiveness. In the context of these studies, as a result of a case study of the KMA, a representativ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training of junior officers in the ROK Army, the Army presents the necessary capabilities for junior officers as military, intellectual, physical, values & sense of ethics, and social personality competencies. It also found that cadets were evaluated in categories of values, personalities, and attitudes in order to enhance their abilities. Finall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have been made for the policies in ROK Army.

      • KCI등재

        카이로프랙틱과 테라테인먼트적 운동프로그램이 거북목증후군 대상자들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영환(Young-Hwan Kim),박일용(Il-Yong Park),길재호(Jae-Ho Khil)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7

        이 연구의 목적은 거북목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대상자들의 경추정렬상태를 기준으로 일자목과 거북목으로 구분하여 균형능력의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일자목과 거북목을 구분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거북목증후군(turtle neck syndrome) 대상자들에 대하여 X-ray를 측정하여 경추정렬상태를 기준으로 일자목(military neck, n=9)과 거북목(turtle neck, n=9)을 구분하였다. 두 그룹은 4주 동안 카이로프랙틱(주 1회/15분)과 운동프로그램(주 1회/30분)을 복합처치 받았으며 사전·사후에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Ver 23.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 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 분석(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룹 간 상호작용을 검증하고, 상호작용 이 있을 경우 집단 간의 차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집단 내 시기에 따른 변화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일자목그룹과 거북목그룹의 정적균형에서 상호간 주효과(p<.001)가 나타났으며, 유의한 변화(p<.01)를 보이면서 균형능력의 향상이 있었다. 동적균형에서는 좌측과 합계에서 주효과(p<.01)를 보였고 시기에서 유의한 변화(p<.05)가 나타났으며 균형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그리고 우측의 X축과 Y축 그리고 편향성 합계에서는 상호간의 주효과는 없었지만 균형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두 그룹 모두 균형능력의 향상을 보였지만 turtle neck group에서 military neck group보다 균형능력의 향상이 더 크게 나타났다. 카이로프랙틱과 운동프로그램의 복합처치는 거북목증후군증상을 보이는 대상자들의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며 가벼운 증상의 일자목그룹과 중등도 증상의 거북목그룹에서 균형능력의 차이는 두 그룹을 구분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alance ability of the subjects with the turtle neck syndrome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cervical vertebrae. X-rays were measured on subjects with symptoms of turtle neck syndrome. Military neck (n=9) and turtle neck (n=9)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ervical alignment status. The two groups were treated with chiropractic and exercise program for 4 weeks.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Ver. 23.0.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were calculated and repeated measures were performed by two-way ANOVA. In order to verify the intergroup interaction,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presence of interactions, we conducted a t-test of the independent sample and t-test of the corresponding samples to verify the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in the group. There was a mutual main effect in the static balance of both group, and a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and the balance ability was improved. In the dynamic balance, the main effect was shown in the left and the sum, and significant change in the period was shown and the balance ability was improved. In addition, there was no mutual main effect on the right X axis and Y axis and bias total, but showed an improvement in balance ability. Both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balance ability, but the improvement in balance ability was greater in the turtle neck group than in the military neck group. The combined treatment of chiropractic and exercise programs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balance ability of subjects with turtle neck syndrome symptoms. The difference in balance ability in the mild military neck group and the severe turtle neck group suggests the need to study the two groups separately.

      • KCI등재

        부사관의 군 인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권소영(So-Young KWO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2

        본 연구는 부사관들의 군 인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D시에 소재한 군부대 부사관 37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SPSS / WIN 24.0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및 Sobel 검증을 수행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군 인성은 조직몰입 및 의사소통능력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었다. 또한 의사소통능력과 조직몰입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군 인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 결과, 군 인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군 인성이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군 인성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켜 조직몰입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사관들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군대 내에서 군 인성을 함양시켜주는 동시에 의사소통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charact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on-commissioned offic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ecuted the following survey to 371 non-commissioned officers in City D in Ganwon-do, Korea. For basic statistical processing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SPSS / WIN 24.0 was used and to verify the mediators,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and the Sobel verification of Baron and Kenny(1986) were conducted.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military charact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munication ability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t showed that communication ability partially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n-commissioned officers military charact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help non-commissioned offic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ir military life, it needs to continuously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so that soldiers can reach out to upper class to develop military character and communication ability.

      • KCI등재

        군 병사의 자기위로능력과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임경진,김완일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the distress tolera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oothing ability and depression of military soldi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ministered the self-soothing ability scale, distress tolerance scale, depression scale to 302 army and air force soldiers in Gangwon-do and Gyeonggi-do.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oothing ability by military soldiers and their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test by Baron & Kenny(1986) and Sobel-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distress tolera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t means the depression of soldiers lowers if the level of distress tolerance is raised with the self-soothing ability. This result impli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pression of military soldiers complaining of the depression by raising the level of the self-soothing ability and the distress tolerance when giving counsel to them. Finally, the study discussed the findings and made proposals for follow-up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병사의 자기위로능력과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경기도에 소재한 육군 및 공군 병사 302명을 대상으로 자기위로능력 척도, 우울 척도, 고통감내력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Baron과 Kenny(1989)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위로능력과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울을 호소하는 군 병사에게 자기위로능력과 함께 고통감내력 수준을 높여줌으로써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유연성 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 군인자녀의 유연성, 사회적 기술,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순영 ( Seun Young Joe ),이정민 ( Jung Min Lee ),정은경 ( Eun Kyoung Jeong ),박계영 ( Kye Yeong Park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5 군진간호연구 Vol.33 No.2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influence of resilience enhancing program on resilience, social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adolescents in military families. Methods: Survey was conducted after receiving parents`` consent. The entire junior class students of a middle school, whose parents at least one of them are officers or NCOs, participated in the 5-week resilience program focusing on increasing social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inally, 72 data was utilized during the analyze. Results: After undertaking the program, participants`` resilience (t=-2.955, p=.004) and social skill (t=-3.086, p=.003)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problem solving ability did not demonstrate clear change. Conclusion: According to results, researchers recommend further studies to consider more traits associated with resilience and prolong the period. Furthermore, programs are needed in raising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understanding military environment.

      • KCI등재

        군복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군대 문화적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주원,나동석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6

        This research is practiced for finding out juvenile's feeling change who get recruited in army. So we can figure out their human social traits. Also, The relation that how the stress in army and social support can affect army adapting ability will be founded. So, understanding this relation precisely and making an appropriate alternative solution is the key. During Millitary Service, Soldier experienced that not only personal diversity is neglected to uniformity, but also soldier have to obey according to the powerful class system not based on expert skill. Also, the individualism is overwhelmed with group's idea. The actual circumstances that these experiences cause a bad behavior based on lack adaptability and incessant suicide, taking a diverse measures and research is significant. For this purpose, We makeup a question to 288 juveniles 22~26age served in navy. The result shows that age, religion, academic career, family's income, the number of the soldier in room have a significant meaning to them. It shows that social support is more beneficial than stress to adaption ability, Moreover both the stress and social support give a good effect to the adaption ability. 본 연구는 병역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입대한 후기청소년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의 상태는 어떠한 수준인가를 조사하고, 군복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군대 문화적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후기청소년의 군복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따른 군대 문화적응 능력을 파악하고 이에 효율적으로 문제를 대처하고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군복무 과정에서 개인의 다양성보다 통일성이 강조되고 전문적인 기술보다 계급에 의한 강력한 규제와 통제를 받게 되고, 개인주의에서 군대의 집단주의에 대한 문화적 충격을 경험하게 되어 최근 군대에서 군복무 부적응 행동문제와 자살사고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 실정에 따라 후기청소년의 군복무 스트레스에 대한 대책과 군대 문화적응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대안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해군에서 군복무하고 있는 22세에서 26세 후기청소년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기청소년의 연령, 종교, 최종학력, 병영생활기간, 병영생활관 인원, 월평균수입, 계급여부에 각각 많은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가 군복무 스트레스보다 군대 문화적응 능력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군복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군대 문화적응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수탁 생도 입교 기준의 효용성 연구 -TOPIK 3급을 중심으로-

        장수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어 교육 Vol.32 No.2

        This research is a basic research to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academic ability of foreign cadets in Korea, aiming to survey foreign cadets’ needs and test the appropriateness of the TOPIK 3rd level as an assessment tool for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required of them. To this end, all 66 foreign cadets in the Korean military academy have been surveyed, and it was found that the foreign cadets needed ‘speaking ability’ the most among other language functions. They also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lectures, reading study materials, writing reports, and discussing・debating by function. The most frequently cited reason in all 4 functions was ‘vocabulary’. The needs assessment for vocabulary revealed that they were in the highest need of conversational vocabulary, training-related vocabulary, and major-related vocabulary. In this context, questions in TOPIKⅡ had been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studying for TOPIKⅡ was helpful to improve general Korean language ability but inappropriate to develop foreign cadets’ academic ability given the unique situation that they are in. Curriculum and assessments that are appropriate for foreign cadets need to be developed for efficient education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특집논문1 > 불교와 심리치료-마음챙김, 명상, 영상기법을 활용한 마음치유 : 군 생활 적응, 군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마음챙김 간의 관계

        장경화 ( Kyung Hwa J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본 연구는 현재 군에 복무중인 군 장병들이 군 생활에 잘 적응하는지와 군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어느 정도 인지 조사하고 이에 군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마음챙김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육군 모 부대의 장병 1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으로 종교가 있는 대상자와 명상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군 생활스트레스는 낮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군 생활 적응 및 마음챙김은 잘하는 것으로 나왔다. 군 장병들에게 마음챙김이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종교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하부요인 중 부정적 문제 지향과 충동/부주의스타일과 군 생활 적응의 하부요인인 심신상태가 마음챙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왔다. 즉 종교가 있는 경우 마음챙김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문제지향과 충동/부주의스타일이 낮을수록 마음챙김을 잘하고, 심신상태가 좋을수록 마음챙김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음챙김이 군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군 생활 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군 장병들이 군 생활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확대 시행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whether military personnel are successfully adjusting to the military, how much they are under the stress, how much they are capable of problem-solving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adjustment, military stress, problem-solving ability and mindfulness. In order to do tha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4 military personnel in ROK Army. According to the result, those who have religions and meditation experience showed lower stress level and turned out to have more problem- solving ability, successful military adjustment and mindfulness. The analysis of the survey on the factors of mindfulness for soldiers showed that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and Impulsive/Careless Style in sub-factors o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hysical-mental condition in sub-factors of military adjustment have meaningful effects on mindfulness. In other words, mindfulness help reduce military stress and have positive effect to military adjustment, and increase the capability to solve problems in their military lif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implement mindfulness program more extensively for military personnel to adjust well to military life.

      • KCI등재

        군 생활 적응, 군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마음챙김 간의 관계

        장경화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whether military personnel are successfully adjusting to the military, how much they are under the stress, how much they are capable of problem-solving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adjustment, military stress, problem-solving ability and mindfulness. In order to do tha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4 military personnel in ROK Army. According to the result, those who have religions and meditation experience showed lower stress level and turned out to have more problem- solving ability, successful military adjustment and mindfulness. The analysis of the survey on the factors of mindfulness for soldiers showed that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and Impulsive/Careless Style in sub-factors o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hysical-mental condition in sub-factors of military adjustment have meaningful effects on mindfulness. In other words, mindfulness help reduce military stress and have positive effect to military adjustment, and increase the capability to solve problems in their military lif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implement mindfulness program more extensively for military personnel to adjust well to military life. 본 연구는 현재 군에 복무중인 군 장병들이 군 생활에 잘 적응하는지와 군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어느 정도 인지 조사하고 이에 군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마음챙김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육군 모 부대의 장병 1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으로 종교가 있는 대상자와 명상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군 생활스트레스는 낮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군 생활 적응 및 마음챙김은 잘하는 것으로 나왔다. 군 장병들에게 마음챙김이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종교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하부요인 중 부정적 문제 지향과 충동/부주의스타일과 군 생활 적응의 하부요인인 심신상태가 마음챙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왔다. 즉 종교가 있는 경우 마음챙김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문제지향과 충동/부주의스타일이 낮을수록 마음챙김을 잘하고, 심신상태가 좋을수록 마음챙김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음챙김이 군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군 생활 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군 장병들이 군 생활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확대 시행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