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Maker Movement for Education: Learning Theories and Pedagogy of the Maker Movement

        성의석 한국공학교육학회 2018 공학교육연구 Vol.21 No.2

        The author investigated the momentum of the maker movement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with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maker movement? 2. What is the nature of our societal interest in the maker movement? 3. Which learning theories are associated with the maker movement? 4. What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maker movement? The author reviewed the history of education in terms of the maker movement and concluded that Papert’s learning-by-making approach provided a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maker movement. The maker movement aims to engage participants in Do-It-Yourself(DIY) activities, the spirit of tinkering, and a hands-on approach. Also, the maker movement meets the educational demands of fostering students’ 21st-century abilities and technological literacy. Lastly, the author anticipated the issues that may aris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maker movement in K-12 schools. In conclusion, the author discussed the challenges of the school maker education movement and suggested the bottom-up approach to utilize the school resources of technology and engineering education.

      • KCI등재

        국내 메이커 운동의 가치 및 발전 방향 분석

        권우정 ( Kwon Woo Jung ),백윤철 ( Baek Yuncheol ),권지은 ( Kwon Jie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최근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세계 주요국에서는 새로운 경제 혁신의 원동력으로 메이커 운동이 활성화되어 메이커 페어, 메이커 스페이스, 메이커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문화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국내 메이커 운동은 정부 주도와 민간의 협력 하에 저변 확대에 따른 대중화와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절한 성장 방향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사회 문화적 발전의 원동력으로써 메이커 운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실태 조사와 이에 따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메이커 운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환경과 특징에 맞는 메이커 운동의 가치를 도출하고, 메이커 운동의 확산과 정착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 조사를 중심으로 메이커 운동의 개념 및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메이커 운동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했다. 둘째, 국내 메이커 운동과 관련된 교육자,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자, 개발 전문가, 해외 연계 메이커까지의 이해관계자(Skakeholder)를 단계에 맞게 대상을 추출하여, 심층 인터뷰 및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셋째, 문헌 연구 및 인터뷰 내용 분석을 통해 국내 메이커 운동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메이커 운동 관련 키워드를 76개 추출하여, 이를 ‘사람’, ‘공간과 시설’, ‘교육’, ‘비즈니스’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분류결과 ‘비즈니스’ 관련 키워드가 24.2%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키워드 맵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사람을 중심으로 한, 자기실현, 연결, 즐거움, 수익창출, 교육의 5가지 메이커 운동의 가치와 성장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환경과 특징에 맞는 메이커 운동 지원 정책이 이루어짐으로써, 질적 향상과 발전적인 메이커 문화 운동의 생태계가 구축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maker movement has been started to drive new economic innovation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SA, Europe, and China. It appears as cultural activities such as maker fairs, maker spaces, and communities of makers. The domestic maker movement needs popularization based on expansion and a appropriate growth direction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led and private sect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support the maker movement as the driving force of socio-cultural development and to establish policie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draw the values of the maker moveme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ker movement and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proliferation and settlement of it. For this research, first, it examined the concepts and trends of the maker movement based on literature survey and analyzed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maker movement. Secondly, after selecting the eligible stakeholders such as the educators, maker space operators, developers, and overseas makers related to domestic maker movement, in-depth interviews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Third, this article extracted the insights of the maker movements and determined 76 keywords related to the maker movements. These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People', 'Space and facilities', 'Education', and 'Business' categories. As a result, 'Business' keywords were the most common with 24.2%. A keyword map was derived based on categories. The result suggested the value and growth direction of the five types of the maker movement, such as self-realization, connection, pleasure, profit creation, and education centered on human. It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building of an expansive ecosystem of the maker movement by supporting of the policies that suit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

        메이커 운동과 시민과학의 가능성

        김동광(Kim, Dongkwa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18 과학기술학연구 Vol.18 No.2

        2천 년대가 시작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메이커 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서울을 비롯해서 지구촌의 주요 도시들에서 해마다 메이커 페어가 열릴 정도이고 참석자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어서 일종의 메이커 "현상"으로까지 볼 수 있을 정도이다. 메이커 운동이 가지는 적극적 함의는 그동안 소비자로만 머물게 했던 제조의 독점을 무너뜨리고 시민들의 메이커로서의 권리와 능력을 되찾게 하려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고도로 발전한 산업자본주의는 구조적으로 시민들을 불능으로 만들고, 손발을 묶어놓고 오로지 소비만 하는 존재로 퇴화시키려는 일련의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메이커 운동은 탄생에서 현재까지의 궤적으로 통해 볼 때 현재의 신자유주의적 제조문화와 구조적 긴장관계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메이커 운동을 "비판적 만들기(critical making)"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메이커 운동은 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국에서 나타났던 "대항문화"와 "신공동체주의"에까지 그 근원을 추적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메이커 운동이 또다른 기술유토피아주의에 빠질 수 있으며, 소비사회의 한 영역으로 기능하면서 오히려 소비주의를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동원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메이커 운동은 그 특징상 무정형적이며 현재 진행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아직 섣부른 규정을 내리기 힘든 상태이지만, 그동안 과학기술의 소비자로만 규정되던 시민들이 메이커라는 생산자로 나서면서 과학기술과 시민사회의 지형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시민과학적 함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millennium, `Maker Movement` has been active throughout the world. Today, there is a maker fair every year in major cities of the world including Seoul, and the number of attendees is increasing day by day, so it can be seen as a kind of maker "phenomenon". The positive implication of the maker"s movement is that it attempts to break down the monopoly of manufacturing and to restore the rights and capabilities of citizens as makers. Today, highly developed industrial capitalism has a tendency to structurally paralyse citizens, to tie their hands and feet, and to degenerate into consuming entities on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aker movement has structural tensions in the relationship of neoliberal manufacturing cultur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ctively interpret the maker movement in terms of "critical making". The maker movement can trace its origins to "counterculture" and "new communalism" that emerg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and 1970s. On the other hand, there is criticism that the maker movement can fall into another technology utopianism and function as an area of consumer society, and mobilize it in the direction of activating consumerism. Although the maker"s movement is amorphous due to its characteristics and it is currently in progress, it is difficult to make crude definition yet. However, as the citizens who have been defined only as consumers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newly emerging as producers of makers, there have been great changes in the topogra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ivil society. So the scientific implication of the maker movement is great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of causing it.

      • 메이커스 운동과 창업 정책의 관계

        이건웅 ( Gun Woong Lee ),양덕모 ( Duk Mo Yang ) 콘텐츠문화학회 2019 콘텐츠문화연구 Vol.1 No.-

        본 연구는 메이커와 메이커스 운동이 국내에 어떻게 수용되고, 미국이나 중국 등 메이커스 운동을 선도하는 국가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우선 메이커스의 개념을 분석했다. 메이커 (메이커스), 메이커스 운동과 메이커 문화, 메이커 스페이스 메이커 교육 등을 다뤘다. 그 다음으로 메이커스를 선도하는 혁신가에 주목했다. 메이커스 운동의 아버지 데일 도허티, 가장실천적인 활동가 크리스 앤더슨, 테크 숍의 운영자였으며, 지금은 메이커스 운동에 헌신하는 마크해치까지 다뤘다. 이들은 테크놀로로지와 경영, ICT와메거 진의 편집자이자 출판인이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은 많은 저서를 남겼고, 자기개발 분야에서 혁신적이고, 가장 첨단에 있는 연구가이기도 하다. ‘롱테일의 법칙’와 ‘웹 2.0 시대’ 등의 용어를 만들어냈고 ‘메이커스’라는 21세기 새로운 트렌드 문화를 확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메이커스와 문화산업과 창업을 엮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 보았다. 특히 메이커스와 창업, 창업과 대학 간의 연결고리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심혈을 기울였다. 결과적으로 아직 문화산업과 메이커를 연결한 창업은 자료도 많지 않고 시도도 최근의 발생한 일이라 향후 논의할 과제가 많을 것으로 본다. 다만, 최근 메이커와 관련된 연구보고서와 단행본, 일반 연구 논문들이 많이 생성되고 있다. 또한, 국내 많은 기업들이 메이커 문화와 교육을 확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This study looked at how the Maker and Makers Movement was accommodated in Korea, and the cases of countries leading the Makers Movement)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First of all, we analyzed the concept of Makers. It covered the Makers, Makers Movement and Makers Culture, Maker Space and Makers Education. Next, he noted the innovator who leads the makers. Dale Dougherty, the father of the Makers Movement, Chris Anderson, the most practical activist, and Mark Hatch, who was the operator of the Tech Shop, now devoted to the Makers Movement. They were editors and publishers of technology) management) ICT and magazine. They have left many books behind, innovative and cutting-edge research in the field of self-development. It has coined terms such as ‘Long tail principle’ and ‘Web 2.0 Era’, and is playing a role in spreading a new trend culture in the 21st century called ‘Makers’. Finally, we have compiled and analyzed data by mixing up makers and cultural industries and startups. In particular, he devoted a lot of time and energy to finding a link between makers and startups, startups and universities. As a result/the start-ups that connect the cultural industry with the makers are not having much data yet, and the cities and provinces have recently occurred,so we expect to have many tasks to discuss in the future. However, a number of research reports, books and general research papers related to manufacturers have recently been generated. Also, many companies in the country are playing a role in spreading maker culture and educatio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형 메이커 교육의 방향성 탐색

        변문경,최인수 한국공학교육학회 2018 공학교육연구 Vol.21 No.2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aker movement is spreading around the world with the fusion of advanced technology with product manufacturing. Already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Japan, the emphasis is on maker education that integrates education into traditional makers' movement. Through this, we are fostering young talents who will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Domestic maker education is mainly performed in the maker space, and is limited to the IT field using Arduino and App-Inventor. Therefore, it has the limitation of fostering IT-oriented makers. Therefore, it is affecting the proliferation of the maker's movement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aker 's movement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Korean maker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research, we analyzed the case of convergent maker education at D Creation Economic Innovation Center, which combines IT and culture technology.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maker education(VR production project, electronic publishing, beads craft, leather craft, IoT) which was held from July 8 to August 30, 2017 five times.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five preliminary makers who participated in all the courses of the education, and five instructors who acted as professional makers with pre- develop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after open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ould suggest characteristics of Korean makers and future direction of maker education.

      • KCI등재

        국내 메이커 운동의 교육 분야 활성화 방안 연구

        오수진,백윤철,권지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1

        The culture and education are very active with the active policy and support to form the government's Maker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 sector of the domestic maker movement, which is increasing recently, and to propose a plan for activating maker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positive direction. To this end,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omestic maker training are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isting maker training operators and participants. Secon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script, keyword analysis and i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qualitative survey analysis program (NVIVO) are identified. Thir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propose a plan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domestic maker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ors who performed maker training and the students involved, professional maker teachers were required for the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maker channels and professional networking of participating students was required. In addition, there was a need for specialized programs and appropriate policy support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maker training. This study aims at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maker education, which is a major field of maker movement, by helping to improve concrete support methods, training related educator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maker education. 정부의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 형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과 지원으로 관련 문화와 교육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내 메이커 운동의 교육 분야의 현황을 파악하고, 긍정적인 방향의 발전을 위한 메이커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존의 메이커 교육 운영자와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국내 메이커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한다. 둘째, 인터뷰 스크립트 내용을 기반으로 질적 조사 분석 프로그램(NVIVO)을 통한 키워드 분석과 그 특징을 파악한다. 셋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 메이커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메이커 교육을 실행한 교육자와 참여한 학생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교육의 전문성을 위해 전문 메이커 교사가 필요했고, 참여한 학생들의 메이커 채널 확장과 전문적인 네트워킹이 요구되었다. 또한, 메이커 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전문 프로그램과 적절한 정책 지원이 필요했다. 본 연구는 향후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식 및 관련 교육자 양성과 교육 환경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어 메이커 운동의 주요 분야인 메이커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

        최혁규(Hyuk Kyoo Choi)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2 No.2

        이 연구는 메이커 운동과 관련된 단행본, 정책 보고서, 기사 및 칼럼 등을 비판적 담론 분석의 관점에서 살펴보며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과 사회적 실천을 분석한다. 정부 주도의 메이커 운동은 제작 문화를 경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창조 경제’의 원동력으로 의미화하고, 디지털 제조업의 창업을 정책적으로 진흥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정부 주도의 경제주의적 메이커 운동을 비판하면서, 기술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디지털 사회 혁신’으로 메이커 운동을 제도화한다. 문화 예술계에서는 메이커를 장인 노동이나 손노동과 같은 ‘창조적 장인’으로 간주한다. 또한 지배적인 기술 구조에 대한 대항으로서 ‘비판적 제작 활동’을 구축하고자 하는 저항의 움직임도 있다. 하지만 지배적 담론이 현실적인 차원에 미치는 권력 효과와, 대항적 담론 투쟁으로 인한 지배 구조의 균열을 섣불리 확신할 수 없다. 현재 진행 중인 메이커 운동은 지배적인 권력 구조와 접합되어 제작 문화를 사회적·경제적 가치로 이끌어 내고자 하는 담론 전략과, 이에 대한 문화적·기술 정치적 가능성을 중시하는 대안적인, 혹은 대항적인 의미화 실천이 경합하는 갈등과 투쟁의 장이다. With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maker movement’, maker culture captured attention and saw itself as an emerging cul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published books, policy report, columns and news articles related to maker culture through the perspectiv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aker movement led by the government gives meaning to the maker culture as the force of ‘creative economy’ that can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Following this meaning making, one-man digital fabrication start-ups have been actively promoted by government policies. In the case of Seoul, it criticizes government led maker movement that only focuses on economy and institutionalizes maker movement by focusing on the maker culture’s aspect as ‘digital social innovation’ that can resolve social problems. In the world of art, it tries to rediscover the value craft, that is, ‘creative craftsman’. Moreover, resistance movement that tries to fight against dominant technology structure through constructing ‘critical making’ was also spotted. Nonetheless, it is rather untimely to definitely find dominant discourse’s power effect in reality and sign of rupture in dominant structure as the result of resisting discourse’s struggle. Thus, maker movement is the field of struggle where an ongoing clash can be found: between discourse strategy that tries to make maker culture a social or economic asset by combining with dominant power structure, and alternating or resisting practice of signification that focuses on its cultural · techno-political potential.

      • KCI등재

        한국의 메이커 문화 동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현우(Shin Hyunwoo),이광석(Lee Kwang-Suk)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5

        전지구적으로 제조업, 생산, 경영 전 부문에서 3D프린팅,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기술이 매개하는 혁신이 촉구되는 4차 산업혁명 담론과 더불어 ‘메이커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활동의 지평 또한 급속도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오늘날의 메이커문화는 집안에서 제작 키트를 만지거나 자가 제작 제품을 다루는 개인화된 DIY나 오타쿠 문화, 소비자 운동과는 다른 맥락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은 메이커문화의 성장을 2008년 이후 서서히 무너져가는 신자유주의 체제의 끝자락에서 자본은 다시금 이윤율 저하와 이와 맞물려 삶의 불안정성 증대에 따른 과소소비에 의해 벌어진 과잉생산에서 원인을 찾는다. 이 글은 ‘메이커 문화’의 확산과 ‘메이커’ 주체의 소환이 갑작스레 등장한 소비사회의 유행이 아니라 역사적인 것이라 판단한다. 또한 한국에서 활발하게 활성화되고 있는 메이커 운동의 동향을 비판적으로 진단하고, 국가와 자본에 의해 도구적으로 융해되는 공공 주도형 메이커 운동을 비판하는 동시에 메이커 운동의 가능성을 살핀다. 그 가능성을 통해 메이커들의 온․오프라인 공동체와 네트워크가 국가나 자본을 넘어선 연합, ‘어소시에이션’을 지향할 수 있는지 탐색해 본다. In addition to the discour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calls for innovation through technology such as 3D printing, Io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all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management sectors globally, The horizon of related studies and activities are also rapidly expanding. Today’s maker culture has a different context from personalized DIY, otaku culture, and consumerism, which touch the production kits in the house or deal with self-made products. This article looks at the growth of maker culture at the end of the neoliberal system, which has been gradually falling since 2008, in the overproduction of capital caused by underconsumption due to falling profits of Capital and increasing Precarity of life. This article considers that the proliferation of ‘maker culture’ and summoning of ‘maker’ subject matter are historical rather than suddenly emerging trends of consumer society. In addition, it diagnoses the trend of the maker’s movement which is actively active in Korea, criticizes the government-led maker’s movement that is instrumentally fused by the state and capital, and examines the resistance possibility of the maker’s movement. Through this, we explore maker’s communities and networks can lead to ‘association’ go beyond countries and capital as a regulative idea.

      • KCI등재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s)에 대한 창업·경영학적 접근의 필요성

        서진원,최종인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3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hanging society as a whole. Public innovation is needed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Amid these times' demands, the "maker movement," a new form of DIY movement that has revived since 2000, is regarded as a "popular innovation activity" that can respond to changing needs. In particular, "Makerspace," a significant activity area for the maker's movement, is drawing attention as a place where "Maker" shares each other's knowledge and resources, and share results. Makerspace has recently expanded its functions into a 'public innovation platform' or (preparation) start-up preparation space for start-ups. South Korea has also supported various types of "Makerspace" since 2010 as a policy for fostering an innovation base. The Ministry of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has been pushing for expansion of Makerspace since 2018 and is providing support by dividing it into "general rap" and "professional wrap" and "zero to Maker" spaces for novice makers in the beginning and necessary stages of makers, while "professional rap" is divided into "Maker to Maker" spaces for professionals. This study is about Makerspace, space where makers are active among the topics related to manufacturers. Thus, in this study, significa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Makerspace have been investigated so far, and trends in related studies have analyz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needs and specifics of Makerspace, which has recently expanded its role and functions. In particular, the Commission intends to present the need for research on Makerspace and specific areas of study from a start-up management perspective to promote qualitative growth of Makerspace, which is changing into a popular innovation platform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y, and inducing a start-up management interest in new manufacturing industry types.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는 국가경쟁력(Mass Flourishing) 향상을 위한 대중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요구 속에서 2000년 이후 부활한 DIY 운동의 새로운 형식인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은 변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대중혁신활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메이커 운동의 주요 활동공간인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는 ‘메이커(Maker)’들이 서로의 지식과 자원을 나누고 협업하며, 결과물을 공유하는 장소로 주목받고 있다. 메이커스페이스는 최근 들어 ‘대중혁신플랫폼’ 또는 (예비)창업자를 위한 창업준비 공간으로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0년 이후 다양한 형태의 '메이커스페이스'를 혁신기반육성을 위한 정책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메이커스페이스 확대 사업을 2018년부터 추진 중이며 '일반랩'과 '전문랩'으로 세분화하여 '일반랩'은 메이커 입문과 기본단계에 있는 초보 메이커들을 위한 'Zero to Maker' 공간으로, '전문랩'은 전문가(창업가)들을 위한 'Maker to Maker(Market)' 공간으로 역할을 나누어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메이커 관련 주제 중 메이커들이 활동하는 공간인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메이커스페이스에 관련된 국내외 주요 연구를 조사하고 관련 연구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연구 필요성 및 구체적 내용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창업·경영학적 관점에서 메이커스페이스 관련 연구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연구 분야를 제시, 4차산업 시대에 대중혁신플랫폼으로 변화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새로운 제조 산업유형에 대한 창업·경영학적 관심을 유도하고자 한다.

      • KCI등재

        메이커 사례 및 인식조사를 통한 메이커 활성화 및 성공 요인 분석

        홍혜영,남정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development plans for education, culture, infrastructure, and government-support area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makers' perception of domestic makers and makers' movements, major makers' FGI, and local makers' cases. In addition, a detailed step by step execution plan was formulated by deriving growth stages (Zero to Maker, Maker to Maker, Maker to Market), education, culture, infrastructure, government support plan of domestic and overseas Makers' movement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Korean model of the Maker movement. As a consequ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s of the Maker's survey were derived differently by the following stages; the stage of interest, the stage of progress, and the stage of start-up. Enjoyment was the reason for interest in the stage of interest, the sense of accomplishment was the reason in the stage of progress, and in the stage of start-up the highest level of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of an idea was shown. And in addition the main purpose was interest. Hobbies were the reason in the stage in progress, and job changing was the main purpose in the stage of start-up which shows that the outcome appeared differently in each stage. Also, the frequency of makers' activity was the highest at the stage of the start-up, about two to three times a wee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rate of Maker space, it i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the private institu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experience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ivity are ‘ordinary level’. In regards to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ystem, the stage of interest and the stage of progress appeared ‘necessary’ and the stage of start-ups’ result was ‘very necessary’. This study thu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customized Maker education for each growth stage, and it is required that the education of Maker and sharing of information online, as well as the strengthening of the education platform to spread Maker culture and Maker invigoration. 본 연구는 국내 메이커 및 메이커 운동에 대한 메이커 당사자들의 인식조사, 주요 메이커별 FGI, 국내 메이커 사례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메이커 교육, 문화, 인프라, 정부지원방안 등 영역별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국형 메이커 운동의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국내·외 메이커 운동을 분석하여 메이커 성장단계별(Zero to Maker, Maker to Maker, Maker to Market) 교육, 문화, 인프라, 정부지원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단계별 세부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 그 결과 메이커 인식조사는 메이커 관심단계, 메이커 활동단계, 창업단계로 결과가 다르게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이커 활동 동기는 관심단계에서는 ‘재미’, 활동단계에서는 ‘성취감’, 창업단계에서는 ‘아이디어 표현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주된 목적은 관심·활동단계에서는 취미생활, 창업단계에서는 전업활동 목적으로 단계별 다른 결과를 나타났다. 메이커 활동 빈도는 메이커 창업단계가 주 2~3회 정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이커스페이스 경험에 따른 만족도는 민간기관 및 정부기관 모두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통합시스템 구축필요성은 관심단계 및 활동단계에서는 ‘필요하다’, 창업단계에서는 ‘매우 필요하다’로 나타났다. 메이커 문화 확산과 메이커 활성화를 위해서는 메이커 교육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교육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며, 온라인을 통한 메이커 교육 및 정보의 공유 활성화 및 교육 플랫폼 강화가 요구됨이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