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인식 비교

        최윤희 ( Yoonhee Choi ),윤린 ( Rin Yu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대전 소재 H 국립대학교 재학생 799명과 교수 41명이다. 학생과 교수간의 인식비교를 위해서 t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에 대한 필요성과 학생들의 강의 평가에 대한 진지한 태도에 대해서 학생과 교수들은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은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가 필요하며, 진지하게 평가한다고 응답한 것에 비해서 교수들은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 필요성과 학생들의 진지함에 대해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실제 강의활동에 대한 인식에서 학생과 교수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교수는 강의 계획서와 실제 강의가 일치하며, 과제 및 평가기준과 강의목표를 제시했다고 높게 인식하는 데에 비해서 학생들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강의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 학생과 교수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교수는 학생들이 강의평가를 할 때 학생이 받을 예상점수, 교과내용에 대한 흥미, 교수와의 인간적인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높게 인식하는 것에 비해서 학생들은 그러한 요인들의 영향력을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강의평가 문항의 적정성에 대해서 학생들은 수업관리영역을, 교수들은 수업목표달성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 결과가 교수들에게 의미있는 피드백의 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학생과 교수의 관점을 반영한 문항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강의평가를 통해 강의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강의 개선’ 이라는 평가의 의도에 맞게 평가영역을 구분해서 제시해야 할 것이다. We compared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on the lecture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lecture evaluation and the lecture activities, an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ecture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was carefully validated by a group of professor. Total 799 students and 41 professors at H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urvey. The T-test was used to quantify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lecture evaluation between student and professor. Key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Professors regard that students don’t pay attention to evaluate lectures. However, students think that they correctly evaluate the lectures, and highly admit of the requirements of the lecture evaluation. Concerning the lecture activities, most professors stated that the actual lecture activiti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lecture syllabus. The lecture syllabus include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lecture goals. However, the students less evaluated the congruence between the lecture activities and the contents in lecture syllabus. The expectation score, the subject interest, and the personal interactions with students were regarded as highly influencing factors for students to evaluate a lecture by the professor group. Besides, students recognized the class man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fitness of content of evaluation items, but professors recognized the achieve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ummary, the lecture-evaluation items need to be developed to be a meaningful feedback data to the professors for improving the lecture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evaluation items based on both the class management and the instruction objective.

      • KCI등재

        仁祖代 經筵의 운영과 성격

        이경동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0

        Gyengyeon (經筵; Royal Lecture) was where the king listened to his eminent government officials’ lectures on Neo-Confucian classics and held discussions with them in Joseon Dynasty. During the reign of Injo, the Lecture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political system suspended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process, Royal Lecture did not only put an emphasis on the legitimacy of the Coup of 1623 (仁祖反正), but also functioned as a sphere of discussing the general affairs of the state, compared to the other court discussing types as follows: Johoe (朝會; Formal morning audience with rituals), Yundae (輪對; Rotational audience) and Ingyeon (引見; Occasional audience on particular subject) etc. In this article, it is stated on the operation system of the Royal Lecture, centered with its types, frequency, attendance, and structure of discussion. The actual operation of the Lecture during king Injo period seems that it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its model in the former part of Joseon period, while having flexibility of the system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Royal Lecture during the reign of Injo functioned as the main field of the state administration through audience between the king and his ministers, thus discussions on state affairs were also handled through the Lecture intensively. General tendency shows that the Lecture was led by lecturers during Jingang (進講; Lecture before the King), and after lecture, state affairs were discussed among higher officials such as State Prime Minister or Ministers. During the process of state affair discussion in the Lecture, the content of the discussion was closely related to actual position in office of the discussant. If the discussion was not related with actual positions in office, there were free debates between officials who were granted audience by their positions in the Lecture, generating more diverse views on issues. After the Manchurian Invasion of 1636, the Royal Lecture was resumed to overcome the political situation. However, it was suspended after 1639 because of deterioration of king’s health, even though it was still functioning as the sphere of state affair discussion. Other than deteriorated health condition of the king, the suspension of the Lecture wa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state governance after the War. On the one hand, it was to exclude political force symbolized as Cheokhwaron (斥和論; Insistence on Rejecting Negotiation) centered with royal lecturers and remonstrating officials. On the other hand, it was because of systemic limitation of discussion function of the Lecture. With the Lecture suspended, Biguk-ingyeon (備局引見; Court Audience with Pibyŏnsa, the Border Defense Council) was regularized with frequency of three times a month, and the way of royal audience for the state management was limited to Biguk-ingyeon hereafter. 인조대 경연은 반정의 정당성 강화 목적에서 시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경연은 朝會, 輪對, 引見 등에 비하여 가장 일반적인 국정논의를 위한 현장으로 기능하였다. 경연의 제도적 운영에 관해서는 경연의 종류와 빈도, 참석자의 구성, 논의 구조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인조대 경연의 실상은 대체로 조선전기의 경연 운영을 준행하면서 시행과정에서 제도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山林職의 검토와 같이 조선전기와는 다른 측면에서 경연을 운영하려고 하는 시도들도 확인된다. 인조대 경연은 군신간 引接을 통한 국정운영의 주된 현장으로 기능하였으므로 국정과 관련된 논의들도 경연을 통해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대체적으로 진강 중에는 홍문관원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진강이후에는 영사․지사나 특진관을 중심으로 국정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경연 내의 국정논의 과정에서 논의의 내용은 논의자의 실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입시한 관원들의 자유로운 토론이 진행되었으므로, 보다 다양한 시각의 논의들도 발생하고 있었다. 경연에서 다루어진 논의들은 朝報 등을 통해 조정 내외로 확산되면서 국정운영의 주요한 현장으로 기능하였다. 병자호란 이후 재개된 경연은 병자호란 이전과 마찬가지로 국정논의의 장으로 기능하였음에도 1639년(인조 17) 이후 인조의 건강 악화로 인해 중지되었다. 경연의 중지는 표면적으로 인조의 건강악화가 이유였지만, 국정운영상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하나는 척화론으로 상징되는 삼사를 중심으로 한 정치세력을 국정논의 내에서 배제하려는 데에 있었고, 다른 하나는 經典 진강과 국정논의를 병행해야 하는 경연이 가졌던 제도적 한계 때문이었다. 경연의 중지와 동시에 비국인견이 정례화되면서, 이후 국정운영을 위한 인접의 방식도 월3회 비국인견으로 제한되었다.

      • KCI등재

        황룡사 강경법회

        金福順(Kim, Bok-Soon)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7

        황룡사는 신라 진흥왕대에 창건(553)되어 고려 후기 몽고의 침략으로 1238년 전소되기까지 685년간 존속하면서 강당에서 수많은 강경법회가 개최되었다. 신라 황룡사는 왕경의 국찰로서 국가 규모의 강경법회를 개최하였고 원광, 자장, 원효에 의한 강경 기록이 남아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황룡사 강경법회의 사례를 각 왕대 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황룡사 강경법회의 준비와 진행에 관한 내용이다. 준비는 텍스트로서의 경전을 정하고, 국왕의 치병, 국태민안 등의 목적을 분명히 한 후, 강사를 선정하여 강경안을 작성하게 한 다음, 참석대상을 확정하고 황룡사 강당 내지 마당에 천막을 쳐서 장소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강경일의 택일과 사부대중의 참석 권유, 유나승과 식순을 확정지은 후 강경법회를 식순에 의거하여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 강경법회의 유형과 변화이다. 황룡사와 같은 국찰에서는 국왕과 대신 등을 위해 강경안이 마련되어졌으나, 의상이나 승전 등의 강경법회는 강경 후 제자들이 강의안을 작성하고 있어, 실로 두 유형의 강경법회가 존재하였음이 보인다. 또한 신라 황룡사 강경법회는 교종승에 의해 주도된 국가 규모의 강경법회가 그 모습에서 점차 형식화되어 가다가, 신라말 선종의 영향으로 선교통설(禪敎通說)의 변화가 보이고 있다. Buddhist lecture meeting (Ganggyeong-BeopHoe) was held many times at the lecture hall of Hwangnyongsa Temple for 685 years, from 553 when it was built in the reign of King Jinheung in Shilla dynasty to 1238 when it was completely destroyed by the invading Mongol army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Buddhist lecture meeting was held on a national scale at Hwangnyongsa Temple, a national temple in the capital of Silla Dynasty, and the record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performed by monk Won-Gwang, Ja-Jang and Won-Hyo remaine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e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held at Hwangnyongsa Temple according to “each period of kings” in Silla Dynasty. Second, this study addressed preparation and progres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at Hwangnyongsa Temple. Buddhist scripture was selected as a text for the meeting, and a clear purpose was established such as curing King"s diseases or prosperity and welfare of the country. Then, “participants for” the meeting were selected and a camp was set up at the lecture hall or yard of the temple after Ganggyeonan (plan for lecture meeting) was made by a lecturer who was selected for the meeting. After picking the date for the meeting and inviting monks and Bodhisattvas(the laity) to attend the meeting, the order of the meeting was organized in consultation with Buddhist rector and the meet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order.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ypes and change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in Silla dynasty. There were two type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In national temples including Hwangnyongsa Temple, Ganggyeonan was prepared for king and ministers, but in other Buddhist lecture meetings performed by Eui-Sang, Seung-Jeon and Jin-Pyo, their disciples prepared lecture materials after the lecture. The Buddhist lecture meeting at Hwangnyongsa Temple was originally nationalscale meeting led by monks of dogmatic Buddhism, but it was formalized and finally showed a changes of integration of dogmatic and Zen Buddhism under the influence of Zen Buddhism at the end of Silla dynasty.

      • KCI등재

        강의저평가교원의 강의개선 컨설팅 사례연구

        송영선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lecture improvement consulting conduct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 professors with poor feedback, namely poor evaluation scores regarding their lectures and to draw implications. The purpose of lecture evalua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and lectures. Nowadays extensive exploration and further research into the concept of lecture evaluation is required. Pre-evaluations, such as the improvement of lecture competency, are emphasized rather than post-management such as the evaluation of a professor’s achievements. To this end, many universities are trying to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lecture evaluation questions. In particular, the decrease in admission resources and the difficulty of financial expansion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 age population has about a crisis in universities, and the teaching ability of professors with low lecture evaluations became essential rather than optional. The lecture improvement consulting project of K University was discussed before the start of the second semester in 2017 and 41 professors were selected. The lecture improvement consulting process was carried out through a selection of subjects, lecture improvement consulting, each professor’s lecture improvement and reflection, and evaluation coupled with follow-up managem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K University's lecture improvement consulting were confirmed. Second, the statistical effect of lecture improvement consulting was verified. Third, the success cases of the (first) priority support professo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lecture evaluation sco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이 연구는 강의평가가 낮은 교수자를 대상으로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실시한 강의개선 컨설팅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강의평가의 목적은 수업과 강의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오늘날은 강의평가 개념에 대한 확장성이 요구된다. 교수업적평가 등의 사후관리보다는 강의역량 향상을 위한 강의개선, 환류체계 등의 사전평가가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대학들은 강의평가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특히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입학자원의 감소와 재정확충의 어려움은 대학의 위기를 가져왔으며, 강의 평가가 낮은 교수자의 강의역량은 선택아 아닌 필수가 되었다. K대학교의 강의개선 컨설팅 사업은 2017년 2학기 시작 전부터 논의되어 41명의 교원을 선정하였다. 강의개선 컨설팅 절차는 대상자 선정, 강의개선 컨설팅, 교수자의 강의개선과 성찰, 평가 및 사후관리 단계로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K대학교의 강의개선 컨설팅의 특징이 확인되었다. 둘째, 강의개선 컨설팅의 통계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사전조사 강의평가 점수보다 사후조사 강의평가 점수가 상당히 향상된 (최)우선지원교원의 성공사례가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수업유용성이 학습지속의향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실시간 화상 수업과 동영상 제작 수업의 비교

        정은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difference of learning flow, lecture usefulness,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nd lecture satisfaction depending on online lecture types. And it is to analyze the effect of learning flow and lecture usefulness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nd lecture satisfaction.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279 students in an C college located in Chungnam. Results from descriptive statistic, t-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comparisons of mean differences indicated that real-time video lecture had higher scores on learning flow and lecture usefulness, lecture satisfaction than video recorded lecture.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depending on online lecture types. Second, in case of real-time video lecture, learning flow correlated positively with lecture usefulness, lecture satisfaction. Also in case of video recorded lecture, learning flow correlated positively with lecture usefulness, lecture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were lecture usefulness and cognitive flow in the case of real-time video lecture. And it was lecture usefulness in the case of video recorded lecture. The factors affecting lecture satisfaction were cognitive flow and emotional flow in the case of real-time video lecture. And they were lecture usefulness, emotional flow and behavioral flow in the case of video recorded lecture. Conclusions For effective online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sign a teaching tha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online lecture type and increases learning flow and lecture usefulnes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몰입, 수업유용성, 학습지속의향, 수업만족도 차이와 변인 간 관계를파악하고, 학습몰입과 수업유용성이 학습지속의향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2021년 12월 충남의 C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최종 279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분석, t 검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측정도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동영상 제작 수업에 비해 실시간 화상 수업의 학습몰입, 수업유용성, 수업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지속의향은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시간 화상 수업과 동영상 제작 수업 둘 다 학습몰입과 수업유용성, 수업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시간 화상 수업의경우 수업유용성과 인지적몰입, 동영상 제작 수업의 경우 수업유용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시간 화상 수업의 경우 인지적몰입과 정서적몰입, 동영상 제작 수업의 경우 수업유용성, 정서적몰입, 행동적몰입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 운영을 위해 수업 유형별 특징과 차이를 파악하고 학습몰입과 수업유용성을 높이는 교수설계가 필요하다.

      • KCI등재

        문종 대의 경연 운영 -운영 방식 변화와 진강 사례를 중심으로-

        강문식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0

        The royal lecture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largely followed the format of the previous King Sejong's system, but in some aspects, it showed a different pattern from before. Besides the lecturers appointed by Jiphyeonjeon officials and advisors appointed by the Royal Secretaries, King Munjong broadened the involvement of senior officials in charge of high-ranking positions in the royal lecture, along with censors and historians. The decision to increase the number of officials participating in the royal lecture stemmed from King Munjong and his officials' recognition that the royal lecture should encompass not only scholarly pursuits but also provide a forum for discussing state affairs. They believed that the active involvement of high-ranking officials, who were responsible for governing the state, was essential to foster substantive discussions on state affairs during the royal lecture. The expansion of royal lecturers and the ensuing engagement in current state affairs can be regarded as the defining feature of the royal lecture during King Munjong's reign. During King Munjong's reign, the officials emphasized that the royal lecture was a platform for imperial scholarship. In order to fulfill this purpose, they argued that the king should prioritize repetitive and thorough study of the regular texts, such as the Four Books and the Five Classics, rather than accumulating extensive knowledge from various books during the royal lecture. King Munjong generally accepted the officials' suggestions regarding the selection of learning materials, but occasionally expressed dissenting opinions. Ahn Wankyeong, who recognized the problems with King Munjong's frequent promulgation of laws, proposed The Six Codes of Administration as a learning material after the Record for Reflection, with the aim of advocating for the adherence to ancestral traditions and principles of governance. On the other hand, King Munjong, who was actively promoting the compilation of a new military strategy book, recommended the military books as learning materials of the royal lecture with the purpose of studying warfare. However, King Munjong's perspective encountered strong opposition from the officials, leading to his eventual withdrawal of the proposal to include military texts. As the royal lecture was a forum for discussing imperial scholarship, the officials placed significant emphasis on the king's righteous approach to politics during the lecture. Although most of the policy discussions during the royal lecture were conducted independently of the content of the lectures, there were some cases where policy proposals were made in connection with the lecture topics. For instance, Ha Ui-ji strongly advocated for the alleviation of burdens on farmers while discussing about An Explication of the Great Learning and Jung In-ji proposed the implementation of Poyal Cultivation while delivering a lecture on the Poem of the Seventh Month. Similarly, during the lecture on the chapter of hearing lawsuits of the Great Learning, discussions were held to address th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in the operation of Petitioner’s Drum.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cases where the lecture discussions led to academic debates and discussions on matters such as the compilation of books. During the lecture on An Explication of the Great Learning, errors in the draft of History of Military Essentials were identified and rectified, and discussions took place to revise and enhance the commentary on An Explication of the Great Learning, which was found to be lacking sufficient content. 문종 대의 경연은 큰 틀에서 부왕 세종 대의 방식을 계승하였지만, 몇몇 측면에서는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문종은 집현전 관원이 맡은 侍講官과 승지가 담당한 參贊官 외에 고위 관료들이 겸하는 知經筵事와 同知經筵事, 그리고 諫官과 史官까지 경연 참여관원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경연 참여 관원의 확대에는 경연이 단순히 강학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정 논의의 장이 되어야 한다는 문종과 관료들의 인식이 깔려 있었다. 즉 이들은 경연에서 실질적인 국정 논의가 이루어지려면 국정을 책임지는 고위 관료들의 경연 입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경연 입시 관원의 확대 및 이에 기반한 국정 현안 논의의 활성화는 문종 대 경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문종 대 관료들은 경연이 제왕의 학문을 위한 자리임을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 국왕은경연에서 다양한 서적들을 통해 폭넓은 지식을 축적하기보다는 四書·五經 등 평소에 읽는서적을 반복·학습하여 몸과 마음에 체득할 것을 주장하였다. 문종은 경연 교재 채택에 있어 관료들의 건의를 대체로 수용하였지만, 때로는 이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문종의 잦은 법령 제정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한 안완경은 近思錄 이후의 경연 교재를 논의할 때 祖宗 成憲의 준수를 촉구하는 차원에서 六典 진강을 건의하였다. 반면 새로운 陣法書 편찬을추진하던 문종은 兵書 연구의 필요성에서 병서 진강을 주장했다. 하지만 문종의 의견은 경연관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고, 결국 문종은 병서 진강의 뜻을 철회하였다. 경연이 제왕의 학문을 논하는 자리인 만큼, 문종 대 경연 진강에서는 정치에 임하는 왕의 바른 자세를 강조하였다. 또 경연에서의 국정 논의는 진강이 끝난 후 진강 내용과 별개로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진강 과정에서 강론 내용과 연결되어 정책 제안이 이루어진 경우도 일부 확인된다. 하위지가 大學衍義를 강하면서 농민들의 부담 경감 방안을건의한 것, 정인지가 「七月詩」를 강론하면서 親耕 시행을 건의한 것, 大學 「聽訟章」을강할 때 신문고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한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경연진강이 서적 편찬 등의 학술적 논의로 이어진 경우들도 있었다. 대학연의 진강 과정에서歷代兵要 초고의 오류를 확인·수정한 것, 내용이 소략한 대학연의 註解의 수정·보완방안을 논의한 것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 대학 강의의 질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 강의법 원리와 수업운영 모형 탐색

        최은수 ( Choi Eun-soo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인문학연구 Vol.33 N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some principles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models of class manage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lectures in Korean higher education.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wa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the experiential description of the Author himself. Assuming that an instructor is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six factors to determine the level of lecture, ten principles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were suggested for an instructor preparing for a lecture: 1) Be convinced of yourself as a best instructor and organize the lecture to become attractive; 2) Make the lecture easy and clear to understand; 3) Implement the lecture in positive and various ways; 4) Show enough concern and interest about your learners; 5) Have a deep interpersonal and equal conversation with learners; 6) Make use of every educational instrument for teaching; 7) Be effective in proposing the lecture content; 8) Provide learners with appropriate feedback and evaluation suited for the goal of lecture; 9) Set the higher priority on the preparation for the lecture rather than lecture skills; and 10) Develop your own style for the lecture. Finally, the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mixing several types for the lectures to attain goals of the lecture.

      • KCI등재

        강의역량 증진을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과 내용타당도 검증

        이지연,이영주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liable and valid learner-centered and instructor controllable teaching competency-based college lecture evaluation questionnaire. Literature review regarding college lecture evaluation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teaching competency were done to develop 10 preliminary items based on the timing of lectures. The first survey with 142 students and 101 professors within A University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arried out to collect overall opinions about preliminary items. The second survey with 61 professors and review the 5 professors in A university taking charge of educational support were performed to secure validity of corrected items and help development of final ones. 10 final items consisted of lecture composition, syllabus, lecture preparation, interaction, effective explanation, lecture material, education content and level, improvement of formative lecture,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feedback were developed. This study emphasized the distinction between course and instructor within the lecture evaluation, composition of teaching competency related items, the use of measurable action verb, a statement of student-friendly terms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lectures and to increase validity ad reliability of lecture evaluation. Opinions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lecture evaluation, were used to reduce measurement errors of lecture evaluation response process. Opinions of professors, those that were to be evaluated, were used to raise practicability and validity of lecture evaluation.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iagnosing teaching competency as the element of teaching portfolio and the data for consulting lectures. 본 연구는 수업개선을 위한 실제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강의역량 증진을 가능하게 하는 대학 강의평가 문항을 개발 및 내용타당도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 강의평가 문항개발 및 강의역량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수업단계에 따른 예비문항 10개를 개발하였다. A대학 학생 142명과 교수 101명이 참여한 1차 설문조사 및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예비문항에 대한 전반적 검토의견을 수렴하였다. 수정된 예비문항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A대학 교수 61명이 참여한 2차 설문을 실시하고, 해당 대학 교육 관련 보직 교수 5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통해 수업계획 역량 3문항(강의구성, 수업계획서, 강의준비), 수업실행 역량 5문항(상호작용, 효과적 설명, 강의자료, 교육내용 및 수준, 형성적 강의개선), 수업평가 역량 2문항(평가방법, 평가피드백) 등 최종 10개 문항이 확정되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국왕 경연(經筵)과 에도시대 천황 시독(侍讀) 비교연구

        신명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1

        조선시대 경연의 궁극적인 목표는 ‘수신세자치국평천하’에 있었다. 아울러 경연 중 국왕과 경연관들 사이에 국정이 자주 논의됨으로써 경연 자체가 국왕과 양반에 의해 주도된 조선시대 양반정치문화를 잘 드러내기도 했다. 반면 에도시대 천황 시독의 진강목표는 첫째, ‘고도(古道)를 환히 알아 태평성대에 능히 다다르기 위한 것’과 둘째, 화가를 배워 국속을 보존하는 것이었으며, 진강 중 정치토론은 없었다. 조선후기 정규적 경연의 진강 방법은 미리 준비한 교재에 범위를 정해놓고 복습과 학습을 병행하는 방법이었다. 마찬가지로 천황의 시독 진강에서도 복습과 학습이 병행되었다. 아울러 조선후기 경연 교재는 유교경전이든 역사책이든 성리학 교재가 압도적이었으며 경연관 역시 기본적으로 성리학자라는 특징이 있다. 이에 비해 에도 시대 천황의 시독 진강에 이용된 교재는 한 당대의 유학교재 뿐만 불교, 음악, 신도 등에 관련된 교재도 있었으며 시독 역시 유학자, 스님, 음악가, 신도학자 등 다양했다. 이상과 같은 차이점들은 조선이 국왕과 양반에 의해 주도된 군주제 국가이자 주자 성리학에 경도된 국가였던 반면 에도시대의 천황은 상징 천황이면서 동시에 천황 문화는 근본적으로 당나라 율령을 모범으로 성립한 고대 율령제 시대의 천황 문화를 계승하였기에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king could participate in royal lecture after national funera(國葬). the other hand, the tenno of edo japan could be educated by royal lecturer after the official beginning of royal lecture(御書始). in the sorts of royal lecture of Joseon dynasty, we can find official lecture, such as morning royal lecture, day royal lecture and evening royal lecture. also we can find inofficial lecture, such as special royal lecture and night royal lecture. the tenno of edo japan also participated in official lecture and inofficial lecture. the aim of royal lecture of Joseon dynasty was to make king bring world peace. the other hand, the aim of royal lecturer for edo japan tenno was to make tenno know confucian teaching and prevent lapanese tradition. most text books of royal lecture of Joseon dynasty were the writings of neo confucian. but most text books of of royal lecturer for japanese tenno were the writings of old confucian. in the long run, we can conclude that the royal lecture of Joseon dynasty was mainly influences by neo confucianism but the royal lecturer for japanese tenno was mainly influences by old confucianism also japanese native religion .

      • 교양 학과목 교수방법과 강의평가에 대한 연구

        박완성 한국교양교육학회 2010 교양교육연구 Vol.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Methods and Lecture Evaluation in S University. The lectures used in this study were 147 lecture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whole general subject, teaching method of Lecture and Practice was most frequently used. Lecture 100% was most preferred in general required subject. Lecture and Practice was most preferred in optional subject. Second, in question of Lecture Evaluation, each question and entire score was very highly related. So, sectional difference of Lecture Evaluation was not clear. Analysis of 11 questions leaded to 1 factor. Third, about factor that affects Lecture Evaluation – midterm exam, final exam, attendance, report, etc-higher percentage of attendance, average was higher in course evaluation. Fourth, satisfaction of optional subject was higher that of required subject. Fifth, according to Lecture Evaluation that depends on Teaching Methods, class size was smaller Lecture Evaluation average was higher in the more lectures. To make a better level of general subject course, it needs several ways – Lecture/Lecture& Practice/Read a paper&Discussion and propriety number of class person and it needed more study for question of Lecture Evaluation. 본 연구에서는 S대학에서 개설된 교양 학과목의 교수방법과 강의평가 평점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학과목은 147과목이며,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과목 전체영역에서 강의 및 실습의 교수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교양필수과목은 교수방법 중에서 강의 100%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교양선택과목은 강의 및 실습의 선호도가 높았다. 둘째, 강의평가 문항의 문항별 상관, 각 문항과 전체평점과의 상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강의평가 문항에서 영역별 구인이 분명히 드러나지 않았다. 11개 문항을 요인분석한 결과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간·기말고사, 출석, 기타(보고서) 등 평가 비율의 영향력에 있어서, 출석점수의 비울이 높을수록 강의평가의 평균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선택 영역의 만족도가 교양필수 영역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방법에 따른 강의평가에 있어서 수강인원이 적을수록 강의평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교양교육과정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한데, 강의/강의 및 실습/발표토의 등 다양한 교수방법을 수업에 사용함은 물론, 수강인원의 적절한 고려, 강의평가 및 강의평가의 문항개발에 대한 더 심도있는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