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지역 고등학생들의 김치에 대한 인지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복순,강근옥,Kim, Bok Soon,Kang, Kun Og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3 No.2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Kimchi consum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by determining their recognition and preferences related to Kimchi. Methods: Our survey was administered to 45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cheon area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0, 2015. A total of 41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Most students (42.6%) consumed Kimchi every meal (more than 3 meals/day), and only 3.6% did not consume Kimchi at all. The most common reason for consuming Kimchi was 'tasty' (46.4%). On the other hand, those who did not consume Kimchi cited 'preference for other side dishes' (50.0%). 'Home-made Kimchi' was the most common source of consumed Kimchi (63.0%). With respect to recognition of Kimchi, most cited terms were 'traditional' ($4.64{\pm}0.58$), followed by 'healthy' ($4.30{\pm}0.77$) and 'prefer home-made' ($3.88{\pm}0.93$) (p<0.001). The average preference for Kimchi was $3.71{\pm}1.07$. The most common reason for preferences was 'crisp texture' (37.6%). The most popular flavor was 'spicy' (33.6%), and the most popular fermentation level was 'appropriate' (55.6%). When preferences for Kimchi were further analyzed, 'baechu Kimchi' (4.18) was the most popular. Further, Kimchi is a popular ingredient for many dishes, and the most popular dish was 'stir-fried pork with Kimchi' (4.50). Conclusion: In the future, positive recognition of Kimchi consumption can be promoted through nutrition education and various advertisements. Further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the principles of traditional Korean food for students.

      • KCI등재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金福順(Bok-Soon Kim) 한국고전번역원 2010 民族文化 Vol.- No.34

        본고는 최치원의 역사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그의 생애와 저술을 간략히 살피고자 한다. 이는 그가 유학자로서 현실적인 합리주의 사관을 형성하게 된 과정을 역사인식의 배경을 삼고자 하는 것이다. 그의 역사인식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첫 부분은 그의 역사인식이 끼친 영향 때문에 지속적으로 논의가 되고 있는 문제이다. 이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에 나오는 최치원 저술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첫째는 한국 상고사에 관한 인식의 문제이다. 그는 한국 상고사에 있어 기자를 가장 멀리 인식하고 있었다. 『삼국사기』에서 기자를 상한으로 삼은 것과 같은 맥락으로, 김부식이 유학자로서의 최치원의 인식과 그 궤를 같이 한 때문으로 보았다. 반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삼한을 마한-고구려’, ‘변한-백제’, ‘진한-신라’로 연계한 최치원설을 적극 수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는 『제왕연대력』과 중국과 신라와의 관계 설정에 관한 문제이다. 『제왕연대력』에 보이는 왕호의 인식이 김부식에서는 사실주의에 입각한 진전된 모습으로 바뀐 반면에, 일연은 최치원설을 일부 따르고 있음을 비견해 보았다. 태종무열왕의 강조는 두 사서가 같은데, 『삼국사기』에서 문무왕의 당과의 결전을 특기하여 신라의 독자성을 크게 부각시킨 측면은 역사서술의 진전된 모습임을 밝혀 보았다. 셋째는 유학자로서 3교 회통적 인식과 효선쌍미적 인식에 관한 문제이다. 최치원은 유학자이기는 하지만 유불도 3교의 회통적 인식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고려조 전반을 거쳐 비슷한 유형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었다. 그는 효선쌍미적인 인식을 선사들의 비명에서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일연이 『삼국유사』에서 「효선」편을 설정한 것과도 비슷한 맥락에서 인식할 수 있는 것이었다. 다음 부분은 『계원필경집』등 그의 저술에 보이는 현실적 역사인식이다. 하나는 당 중심으로 형성된 세계관으로 역사를 인식한 사실이다. 그는 합리주의를 표방한 유학자로서 매우 현실적인 역사인식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 연호의 중시, 당 중심의 외교관계 등에 주의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최치원과 김부식에 의해 杜撰된 수유 학승 안함의 귀국연대 기사를 정리해 보았다. 다음은 사회개혁론에 드러난 그의 인식이 인재등용에 초점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신라 불교와 풍속을 동아시아인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한문문장으로 표기한 점이다. 그에 의해 한문 문장으로 채록된 많은 불교 관계 기사는 고대문화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이다. 이상의 내용으로 볼 때, 그는 신라시대의 국제적 상황인식을 가지고 사실적인 역사서술을 남겨 놓음으로써 한국의 역사가로서 한 획을 그을 수 있을 정도의 역사인식을 소유한 인물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Choi Chi-Wons historical cognition. In order to fulfil the purpose, I mainly examined his life and writings. This approach is based on my opinion which regards the process where he, as a confucianist, formed realistic rationalism as the background of his historical cognition. I explained his historical cognition by dividing it into two aspects. First, I examined his historical cognition by focusing on his writings introduced in Samkuksagi by Kim Boo-Sik and Samkukyusa by Ilyeon. These writings have been continually studied because of their influences on other scholars after him. The discussions about this aspect are focused on the three parts. The first discussion is Chois cognition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He put the period of Gija on the top of the history. This kind of understanding is same as that of Samkuksagi because Kim Boo-Sik s historical cognition is almost same as that of Choi Chi-Won. Also, Samkuksagi and Samkukyusa reflect Choirs histotical cognition which accepts the relation beween Mahan and Kokuryeo, between Byunhan and Backjye, and between Jinhan and Silla. The second discussion is the relation between China and Silla and Jyewangyeondaeryuk. Kim Boo-Sik changed Wanghos historical cognition showed in Jyewangyeondaeryuk into the realistic understanding. However, Samkukyusa by Ilyeon followed partly the Chois understanding. The above two historical books emphasize the role of Mooyulwang; however, Samkuksagi can be understood as some more advanced historical book, compared with the Chois understanding of history, in the sense that the book emphasizes the independency of Silla by mentioning Munmuwangs decisive battle against Dang. The third discussion is the understanding about relations among the three religions(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Hyosunsangmi (two main values, filial piety and Zen). Choi Chi-Won understood that the three religions could be communicated each other, although he was a confucianist. Most of scholars showed this kind of understanding during the first part of Koryeo dynasty. Choi explained the values of filial piety and zen in the epitaphs of the previous Buddhist priests. This is very similar as the fact that Samkuyusa includes the chapter of filial piety. Second,I discussed Chois historical cognition showed in his writings, including Gyewonpilgyungjip. In this part, I argued that he showed Dang-centered historical cognition. This wa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he, as a rationalist, realistically understood history. This kind of his understanding is showed in his emphasis of Chinese reign style and the foreign relations centered to Dang dynasty. Thus, I readjusted the year (reported by Choi-Chi-Won and Kim Boo-Sik) which Anham, a Buddhist priest, returned to Silla. In addition, I illustrated that Chois study on social reform was focused on the recruit system of the capable men. I also stated that he wrote in Chinese characters which the East Asian people could understand. Although he had Sillas nationality, he explained history in the international point of view. This reflects that he, as a historian, had a ground breaking historical cognition at that time.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제국신문』의 힘: “여성의 감각”의 탄생

        김복순 ( Bok Soon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1 No.-

        페미니즘 인식론은 전통인식론의 이(지)성/감성(감정, 감각), 남/녀, 우/열의 이분법을 거부한다. 사실을 파악하는 준거 또는 세계인식 방법 중 하나로 감각을 규정하고 있으며, 그 어떤 지식도 감정·직관·느낌과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각 개별자의 감각 등 감성의 실질은 ``그 자체로 틀릴 수 없는`` 진리의 기준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제국신문』을 검토한 결과, 당대 신문 중 타자였던 『제국신문』이 근대 극복과 관련한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선 『제국신문』의 여성은 동일하지 않았으며, 계층별 신분별로 여러 방법적 ``차이``를 드러내고 있었다. 구학문적 지성형은 수신자를 ``국민``으로 상정한 경우와, ``타자-여성``으로 상정한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둘 다 계몽의 주체라는 정체성을 드러냈지만, 전자가 계몽의 대상을 ``국민`` 범주로 설정한 데 반해 후자는 ``국민``범주보다 ``젠더`` 범주를 강조하면서 젠더 범주 내의 차이까지 검토하고 있었다. 전자는 ``동일성``의 감각 하에 남녀동등론을, 후자는 ``차이``라는 감각하에 남녀분업론의 단초를 드러냈다. 신학문적 지성형은 ``여성성``을 한국의 당대 및 문명경쟁세계를 극복, 구원할 ``방법``이라 보았다. 이는 ``또 다른 근대``를 상상하는 단초를 제시해 주었다. 여기서는 남/녀, 밖/안이라는 성별 역할의 이분법(남녀분업론)이 비판되었다. ``중첩적 타자-여성``들은 ``감각의 주체``로 발견되었다. 여기서 감각은 ``여성의 국민 되기``의 수단이었으며, ``차별의 감성``을 지양한 것이었다. 이성/감성, 남성/여성, 우/열의 이분법이 작동하지 않는 가운데 ``여성의 감각(성)의 발견``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들의 경우 감각(성)은 그들의 고뇌를 표현하는 격렬한 문체였으며, 정체성의 또 다른 이름이었다. ``또 다른 근대``를 상상하는 단초가 『제국신문』이 보여준 ``여성의 감각``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점이야말로 이 신문의 위상을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을 요청하는 것이다. 타자성에 대한 해결 없이 문명개화, 근대가 허명이란 것을 『제국신문』은 인식하고 있었다. ``타자성을 극복하는 근대``의 상상, 이것이 바로 『제국신문』의 꿈이며, 힘이다. ``타자-여성``들의 동일성 및 차이의 감각, 근대의 경쟁원리를 거부하고 여성성으로 ``또 다른 근대``를 상상하는 감각, 그리고 ``중첩적 타자-여성``들의 ``감각의 주체``로의 발견은 사회개혁에서의 감각(성)의 역할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수정하게 한다. 여태까지 감각(성)은 역사발전에 별로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근대 초기 사회개혁과 관련한 (여성)운동에서 감각(성)은 여성들이 개인 주체로 탄생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근대초기 여성의 감각(성)은 사회발전의 동력이자 새로운 정의의 표현이었으며, 계몽과 감성은 무관한 것이 아니라 깊은 연관을 갖고 있었다. Women described in Jeguksinmun was not one type, showing several methodical ``Differences`` by class. Old female intellectuals differ from setting ``Nationals`` as receivers and ``The others-Woman`` as receivers. Both of them argued their identical position as the subject of enlightenment, but the former suggested ``Nationals`` be enlightened while the latter put more point on ``Gender`` than ``Nationals`` Category and paid attention to differences in Gender Category. The former argued Equality between man and woman and the latter argued labor division theory between man and woman. New female intellectuals thought ``Feminity`` and ``Women`s Principles`` can show a way to overcome and save from competition of civilization had been continuing in Korean peninsula and the whole world. Here, dividing roles such as ``man/woman``, ``outside/Inside`` was rejected. ``Overlapped Others-Woman`` inspired a way to discover ``Individual-lower class`` as the subject of sensibility. Here, ``Sensibility`` is a means of ``nation-building of women``, and it sublated ``Sensibility of Discrimination``. Their styles were different from men in many ways. Changes in Jeguksinmun, from ``subject to become`` to ``subject to do`` and from ``disorganization`` to ``organization`` revealed the modernity and enlightenment as unsubstantial without resolving problems of the others. Imagination of ``the modernity of others-overcome`` was a dream and power of Jeguksinmun.

      • KCI등재
      • KCI등재

        서유구의『교인계원필경집서』와 최치원 연구

        金福順(Kim, Bok-Soon)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3

        『삼국사기』 『최치원』전에는 그가 신라의 왕경 출신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그의 출생과 생애 그리고 최후에 관해서는 김부식의 기록과는 다른 여러 종류의 이설들이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이설들의 출현에는 다음과 같은 배경이 근거로 작용하였다. 첫째 근거는 그의 선조에 대한 기록이 없어졌다는 김부식의 표현이었고, 두 번째 근거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전해지는 그의 최후를 羽化登仙으로 표현한 기록이며, 셋째는 조선 후기에 등장한 소설 『최고운전』이 그의 생애에 대한 이설의 근거였다. 본고는 먼저 최치원의 생애에 관한 이설이 시작된 직접적인 연원으로 서유구의 『교인계원필경집서』를 주목하였다. 최치원이 옥구에서 출생했다는 설과 묘가 홍산에 있다는 설(墓在鴻山說)을 양산해 낸 여러 논고들을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서유구의 주장에 근거를 둔 주장들이었다. 이 주장의 하나는 최치원의 출생과 가계에 대한 것으로, 그의 가계에 대한 기록에 그의 아버지와 형님이 모두 나오고 있어 그의 가계가 민멸되었다는 것은 그의 아버지와 형님이 왕의 측근에서 활동한 인물로 나오기 때문에 신빙성에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그가 상선을 타고 유학가서 과거에 급제하였다는 주장에 대해서이다. 최치원은 경문왕에 의해 국가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당에 가서 급제하였다는 자신의 기록이 있으므로, 그의 이설은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의 묘가 홍산에 있다는 설에 근거하여 홍산에서 생을 마쳤다는 이설에 대한 것이다. 홍산에 있는 이른바 최치원의 묘가 근래 발굴되어, 150년-200년을 전후하여 만들어진 무덤이라는 결론이 나왔으므로 사실상 그 주장의 근거가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는 벼슬을 버리고 방랑하다가, 해인사에서 은거한 삶을 살면서 저술로 소일하다가, 생을 마친 것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Choe Chi-won was from Capital (present-day Gyeongju) in the Silla Dynasty according to Choechiwonjeon (Record of Choe Chi-won) in Samguk sagi三國史記(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ancient Korea) . Due to the record concerning his ancestry has disappeared by Kim bu-sik’s description and it is said that he ascended to heaven as a Taoist immortal by Sinzhengdonggukyejishe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there are divergent views about his birth and death. In my opinion, particularly, the fable, the Choegounjeon崔孤雲傳, which appeared in the late Joseon Period, encouraged these views.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remark in the preface of Gyoin gyewonpilgyeongjip seo,校印桂苑筆耕集序written by Seo Yu-gu (1764~1845: Silhak scholar of the late Joseon period) as the origin of a divergent opinion about Choe’s birth. After studying various theses that produced different opinions about Choe’s birth and death, for example, Choe was born in Okgu, Jeollabuk-do, or the location of his grave, it was confirmed that those theses were written based on the comments of Seo Yu-gu. Then, examining the theories surrounding his birth, studies abroad, and the final days of Choe Chi-won were continued in order to verify the truth. Ahead for his birth, the ancestry records about his father and brother were found, so it wasn’t true that they didn’t exist. In addition, this paper agreed with the fact that Choe and his family were born in Wanggyeong(the capital of Silla) and this was to be deemed as a definite fact, because they closely served kings. The next when it comes to his studies abroad, it is theorized that Choe took a merchant ship to Tang China and passed the Tang imperial examination. This was also confirmed to not being completely accurate, as according to his own record, Choe was selected as a state scholarship student by King Gyeongmun (r. 861~875) and was sent to Tang for a ten-year term. Lastly for his final days, based on the theory of existence of Choe Chi-won’s grave in Hongsan Mountain, the excavation of the so-called Choe Chi-won’s grave, led to the fact that the grave was built around 150-200 years ago. Thus, that theory proved to be invalid. Thus, it is safe to conclude that after leaving government service he started on a wandering journey, lived in seclusion, and wrote many pieces until he died in Haein Sa.

      • KCI등재

        아일랜드 문학의 전유와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

        김복순 ( Bok Soon Kim ) 민족문학사학회 2010 민족문학사연구 Vol.44 No.-

        기존 연구에서 아일랜드 문제는 주로 "동일시"의 측면에서 검토되었으며, 피식민지간의 "차이" 및 피식민 내부의 "차이"는 삭제된 채 고려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복원하여 그것이 담당하는 탈식민적 기능 및 양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근대성의 이면이라 언급되는 식민성이 오히려 근대성과 경합, 길항하는 양상을 포착할 수 있었다. 식민지 조선에서 아일랜드 문학은 민족문학 건설과 관련하여 네 가지 방법으로 전유되었다. 첫째는 주로 문예부흥운동과 관련하여 아일랜드 문학을 "민족" 범주 중심으로 전유한 것으로서, 인종 및 계급 범주가 소거되고 젠더화 된 인식양상이 강하게 드러났다. 둘째는 사회주의적 전유로, 계급범주가 도입 적용되면서 젠더화가 일부 극복되었으나, 근대성이 식민성으로 치환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는 세계문학으로의 전유로서 여기서는 "보편", "근대성"은 강조되었으나 식민성과 여성성은 은폐되었다. 마지막에서는 아일랜드 문학을 민족어의 문제로 전유하면서 앞 단계에서와 달리 아일랜드 문학이 부정되었다. 여기에서도 민족(어)에 대한 젠더화 된 인식이 노출되었다. 민족문학 건설과정에서 근대성과 식민성은 상호 연관성에서보다 개별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즉 근대성이 식민성으로 치환되거나 식민성 극복이 근대성의 성취로 인식되지 않았으며, 세계-보편의 획득이라는 근대성 확보가 식민성 극복과 별 연관을 보이지 못하였다. 아일랜드 문학의 전유과정에 나타난 식민지 조선의 민족문학 상상은, 식민주의와 매우 유사한 오리엔탈리즘의 구체화 사례를 보여 주다가 후기에 이를 극복 지양하는 인식을 보여주지만, 후기의 민족어 단계에서도 속문주의에 그침으로써 여전히 "민족"에 고착되어 있었고 민족의 "밖"을 상상하는 지점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였다. 아일랜드 문학의 참조가 식민성 중심이었던 것은 식민지 조선의 "특수"를 드러내며, 이 과정에서의 젠더화 양상은 서구 중심적 근대(성), 민족(국가)가 지닌 "보편"이라는 점에서 식민지 조선의 민족문학 상상은 "특수"이면서도 "보편"이었다. 전유의 각 유형에서 드러나는 젠더 연관 문제는 "근대" "민족"범주를 새롭게 상상하지 않는 한 여성성이 부정적으로 담보되거나 배제될 수밖에 없음을 역 설적으로 반증해 주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critics thought the Irish literature as a model of postcolonial resistance. Therefore the interpellation of Irish literature in colonial Korea was related directly to the imagining of national literature It can be divided into 4 types. The first type paid attention to Irish literary revival movement, but it overlooked the differences in the movement concerning race and gender category. The second type was related to the Irish literature with socialist orientation and the third type paid attention to Irish literature from the viewpoint of the World Literature. The fourth type evaluated Irish literature in the negative grounded on the fact it was written mostly in English. Postcolonial feminism consider gender as being deeply related to the modernity, imperialism, colonialism. So without solving gender problem, it couldn't make a decolonial and postmodern society. The imagining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not only "the particular" but also "the univers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