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교 윤리의식의 재정립

        이슬비(Suel-Bee Lee)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4 종교문화학보 Vol.11 No.-

        이 글은 종교인의 윤리의식을 불교윤리 및 불교윤리학과 관련지어 논의하고자 한다. 불교윤리는 종교로서의 불교라기보다는 오히려 우리와 같은 일상적인 사람들을 위한 삶의 철학으로서의 불교이다. 이러한 불교윤리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 대한민국 사회의 요청인 동시에 전 지구적 요청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 시대는 이른바 “윤리의 결핍 또는 부재”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이 때 윤리란 단순히 규칙의 준수나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과 같은 좁은 의미가 아니라 삶의 의미와 같은 인간의 근원적 형이상학적 열망에 대한 충족의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응답할 수 있는 가능성과 보편성을 불교윤리가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교윤리의 보편화가능성의 한 모형을 오웬 플래나간(Owen Flanagan)의 자연화된 불교(Naturalized Buddhism)을 통해 구체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한다. 자연화된 불교는 불교의 초자연적이고 신비주의적인 종교적 요소들을 괄호 치면서도 붓다의 가르침 그 자체로서의 불교를 현대의 주류적인 인식론인 자연주의, 경험과학적인 연구 성과들(특히 신경과학적 연구 성과들), 비교윤리학적 관점을 통해 윤리학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불교윤리의 보편화가능성과 그 실현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buddhist ethics relation to religious person. Buddhist ethics is not as Buddhism as religion, rather Buddhism as philosophy of life for ordinary people like us. This buddhist ethics meets the demands of the times at 21st Korean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demands of global. Because, this time which we are living in the 21st century is called “ethics deficit(absence)”. At this time, ethics is not simply abidance by rule or judgement about rightness and wrongness rather than human's ultimate metaphysical desires as meaning of life. And Buddhist ethics has possibility of universal ethics. Owen Flanagan's “Naturalized Buddhism” shows this possibility. He set something aside Buddhism related with supernatural, mysterious, over-religious, over-metaphysics factors. And he proposes Buddhism ethics using by current epistemology that is, naturalism, natural science(especially, neuroscience), moral psychology. Besides his proposal about Buddhist ethics is through comparative ethics view, suggests Buddhist ethics's universality and psychological realization.

      • KCI등재

        글쓰기 윤리의 정립과 윤리의식 제고 방안 연구 ― `표절유형과 인용법`을 중심으로

        전동진 ( Jeon Dong-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2 국제어문 Vol.55 No.-

        이 글의 목적은 연구윤리와는 다른 측면에서 글쓰기 윤리를 고찰하고 정립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글쓰기 윤리의식 제고 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글쓰기 윤리를 연구윤리의 일부분으로 규정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른다. 연구윤리는 사회 · 도덕적인 측면에서의 윤리성이 강조된다. 반면 글쓰기 윤리는 자기 윤리적 측면, 심미적인 측면에서의 윤리성이 강조된다. 연구 윤리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이 정직성이라면, 글쓰기 윤리에서는 진실성을 최우선에 놓는다. 글쓰기는 언어의 특성상 `허구`가 가미될 수밖에 없다. 허구는 정직성의 측면에서는 `거짓`이라고 할 수 있다. 진실성의 측면에서 허구는 `상상`의 다른 이름이다. 연구윤리와 글쓰기 윤리는 위상을 달리한다. 설문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들의 현재 상황을 점검했다. 이런 논의를 토대로 우리나라 대학의 실정에 맞는 윤리의식 제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은 내실있는 글쓰기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내적 역량을 성숙시키는 것이다. 학생들에게는 정확한 인용 방법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 일차적이다. 교수자는 과정적 글쓰기를 통해 글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학생과 함께 할 때 글쓰기의 윤리의식은 크게 제고될 것이다. 대학 당국에서는 글쓰기 명예 규약, 글쓰기 윤리 수칙의 제정 등 제도적인 뒷받침을 하고 이를 일관성 있게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적으로도 글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고, 표절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이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글쓰기 윤리에 대한 논의는 연구윤리의 일부로서 다뤄지기 시작한 것도 문제지만 주로 학교라는 테두리를 중심으로 다뤄지고 있는 것도 하나의 한계라고 지적할 수 있다. 예술과 외설, 표절, 모방, 패러디 등 경계를 넘나들며 글쓰기 윤리는 다채롭게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글쓰기 전반으로 `윤리성`에 대한 논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Writing-ethics with another aspect of Research-ethics and to raise necessity of to take a triangular position. Futhermore, I made search for the heightening plan of ethical awareness. It is hardly to say that Writing-ethics is one part of Research-ethics. Research has been emphasized on aspect of social & moral ethics. The other hand, writhing-ethics was stressed on self-ethical & aesthetic ethics. The most virtues in Research-ethics is < Honesty > but in writing-ethics is < truthfulness > It could not help adding fiction in particular of language in writing. Fiction is untruth in aspect of Honesty. But fiction is truth another name of `Imagination` in aspect of Truthfulness. A research-ethics and writing-ethics were positioned between different layer. I inquired types of plagiarism that represented unethical-act in writing and classified precautions of plagiarism to be enforced in Universities in America. As based on the questionnaire, I checked up present conditions in Korea and proposed the heightening plan of ethical awareness that fitted on our university-writing education

      • KCI등재

        덕의 윤리학과 존재의 윤리학

        조영태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1

        현대의 덕윤리학은 존재의 윤리학을 표방하고 있지만, 그것은 진정한 존재의 윤리학인 고대의 윤리학과 같지 않다. 진정한 존재의 윤리학은 덕윤리학의 문제의식을 자신의 문제의식으로 끌어안고 있을 뿐 아니라 덕윤리학이 배척하는 근대 윤리학의 문제의식도 자신의 문제의식으로 안고 있다. ‘존재’는 표준과 욕망의 일치로 규정된다. 덕윤리학과 존재의 윤리학은 공히 그 일치를 추구하되, 덕윤리학이 추구하는 것이 표준과 욕망의 ‘경험적’ 일치라면, 진정한 존재의 윤리학이 추구하는 것은 양자의 ‘형이상학적’ 일치라고 말할 수 있다. 덕윤리학은 표준과 욕망의 구분을 뭉개버린다(일원론)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근대 윤리학은 표준과 욕망을 떼어낸다(이원론)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진정한 존재의 윤리학은 표준과 욕망을 구분한다고 말할 수 있으며, 그 점에서 일원론에 떨어지지도 않으면서 이원론에 주저앉지도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 윤리학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가? 본 연구는 이원론을 거부하되 일원론에 걸리지도 않는 이론이 어떤 것인지를 설명하는 데에 집중하였다. We can think of three kinds of ethics: modern ethics, post-modern ethics and pre-modern ethics. Virtue ethics of these days is post-modern ethics which criticizes modern ethics. Virtue ethics criticizes modern ethics as just ethics of action. Virtue ethics regards itself as ethics of actor, another name of which is ethics of being. I agree that ethics of being is superior to ethics of actor. However I do not agree that post-modern ethics is superior to modern ethics. Because I think post-modern ethics (virtue ethics) is not a real form of ethics of being. I think that real form of ethics of being is pre-modern ethics. Being can be defined as ‘the unity of world and mind’, or ‘the unity of standard and desire’. That unity which post-modern virtue ethics pursues can be interpreted as the unity of phenomenal dimension. That unity which pre-modern ethics of being pursues is the unity of noumenal–dimension. This unity has metaphysical nature. So pre-modern ethics of being can distinguishes standard and desire, not separating them. Pre-modern ethics of being is not monism, and in that respect it is different from post-modern virtue ethics.

      • KCI등재

        孔子의 윤리 상담에 관한 硏究

        이상호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1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fucius’ ethics counseling and apply it to today’s school education as a strategy for more effective ethics counsel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today, efforts are made more in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turbances than in ethics counseling for ordinary students. It is because of the belief that when students with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or the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are left untreated, they will cause even more serious social problems in the future. In school education, an increasing number of middle schools are reducing the hours of the morality class, and the high school curriculum changed ethics‐related subjects from mandatory to elective courses. As a consequence, students have fewer opportunities for learning or ethics counseling to solve ethical issues that they face through their lives. Lack of autonomy and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ead to mal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low moral empathy ability becomes a factor causing conflicts in marriage life. The purposes of Confucius’ ethics counseling are to help each individual find his/her human nature and to support society members to strengthen their moral empathy ability. The ultimate goal of ethics counseling is achieving an ethically ideal society in which every person is happy. For the ultimate purpose, Confucius promoted ethics counseling based on the naturalness of humaneness, and gave ethics counsel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unselee’s personality and level. In addition, his ethics counseling illustrated desirable and undesirable dispositions through contrastive explanations about the words and deeds of virtuous and petty persons and, by doing so, presented the ideal image of humans to be pursued by his disciples. Thus, Confucius’ ethics counseling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esirable direction for today’s morality teachers to follow in their ethics counseling. 본 논문의 목적은 공자의 윤리 상담을 검토하여 오늘날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윤리 상담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오늘날 교육 현장에서는 정상적인 학생을 위한 윤리 상담보다는 정서적 장애를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심리 상담에 치중하여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이나 학교 폭력 가해자 학생을 치료하지 않고 내버려둘 경우 더 큰 사회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취지 때문이다. 교육 현장의 경우 중학교 도덕 수업 시수를 감축하는 학교가 증가하고 있고, 고등학교 윤리 관련 과목의 경우 필수에서 선택으로 바뀌었다. 그 결과 살아가면서 당면하게 되는 윤리 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이나 윤리 상담 기회는 줄게 되었다. 자율성 부족과 대인 관계 어려움은 대학 생활 부적응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도덕적 공감 능력 부족은 결혼 후 부부 갈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공자의 윤리 상담 목적은 개개인의 인간 본래성을 스스로 찾도록 하는 데 있었으며, 사회적 측면에서는 도덕적 공감 능력을 확산시키는 데 있었다. 윤리 상담의 궁극적인 목적은 모든 사람이 행복한 윤리적 이상 사회를 이루는 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자는 인정의 자연스러움에 바탕을 두고 윤리 상담을 진행했으며, 질문하는 사람의 개성과 자질을 고려하여 그들의 수준에 맞게 윤리 상담을 하였다. 그리고 군자와 소인의 언행에 대한 대조적 설명을 통해서 바람직한 인격과 바람직하지 못한 인격을 예시적으로 가르치고 보여줌으로써 제자들이 지향해야 할 이상적인 인간상 정립에 도움을 주는 윤리 상담을 했다. 공자의 윤리 상담은 오늘날 도덕 교사가 윤리 상담을 할 때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쓰기 윤리 실태 연구

        강민경(Kang Min-kyeong) 국어교육학회 2012 국어교육연구 Vol.50 No.-

        "Ethics of writing" has been added to the 2009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teach ethics of writ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writing ethics among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writing ethics education and examine problems that research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 to solve. Until now, studies on the actual condition of writing ethics among middle/high school students have been mostly conducted by quantitative research. In this study, I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to compensate limit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understand the actual tendency of student's writing ethics. This study analyzes student's compositions on why we violate ethics of writing by using NVvivo 9, a computer program specialized i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are categorized as "student", "society and culture" and "school", "Student" category includes several aspects of performance assessment, ethics of writing itself, affective factors, writing competence, linguistic habits, ethicality, etc. "Society and culture" category includes several aspe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of writing itself, ethicality, etc. "School" category is composed of educational climate, conduct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items of each category are arranged in order of frequenc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necessary improvements in relation to education contents, teacher' conduct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writi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의료윤리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누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가?

        최은경 ( Eun Kyung Choi ),장기현 ( Kee Hyun Chang ),김수연 ( Soo Youn Kim ),권복규 ( Ivo Kwon ),김옥주 ( Ock Joo Kim ) 한국의료윤리학회 200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9 No.1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ethics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in Korea and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o teaches medical ethics?" "What is taught?" and "How is it taught?" The study also surveys opinions on the questions of "Who should teach medical ethics?" "What should be taught?" and "How should it be taught?" From March to May 2006,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sent to educators of medical ethics in Korea. Out of the 41 medical schools that received the questionnaire, 37 (90.2%) replied. Thirty six medical schools provide ethics education as part of their regular curricula; 28 schools (75.7%) offer independent courses in medical ethics, while 6 schools provide integrated/special lectures in medical schools. Thirty three medical schools (80.5%) reported teaching ethics in only one year of their curriculum, while the remaining 8 medical schools reported teaching ethics in 2 or more years. Two medical schools provided ethics courses in 5 years. Most schools offer ethics courses in the second or third year of medical schools, and 8 schools (21.6%) provide instruction in ethics in two or more medical courses.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of who teaches, in 25 schools (67.6%) only one professor teaches medical ethics, while in the remaining 12 schools there are two or more instructors. Thirty schools do not have a full-time faculty member for medical ethics education.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of what is taught, the most common content areas are ``ethical concepts,`` ``the ethics of death and dying,`` ``reproductive ethics,`` and ``doctor-patient relationships.`` As for the question of how it is taught, the most common methods are lectures (34 schools, 91.9%), group discussions (24 schools, 64.9%), and case studie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dicated that current medical ethics education in Korea fails to meet the goals and standards of ethics education. The principal causes of this, according to respondents, are as follows: 1) an insufficient allocation of time for ethics education; 2) the lack of qualified instructors; and 3) the lack of recognition and support for the importance of ethics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As for the question of who should teach medical ethics, most of the educators believe that a team consisting of ethicists, clinicians, medical humanists, lawyers, and specialists is most suitable. Respondents ranked the following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areas: 1) ``ethical concepts``; 2) ``doctor-patient relationships``; 3) ``human rights and doctors.`` The ranking reveals a continuing stress on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bases for medical ethics. Concerning teaching methods, most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best method is small group discussion, although it is impractical due to the lack of teaching faculty. At a workshop wher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educators of medical ethics expressed a need, given the lack of resources and professional personnel in Korea, to build a network to share resources and information for the betterment of ethics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전문직 윤리의 규명과 교육에서 덕윤리의 역할: 의료 전문직 윤리를 중심으로

        유호종 한국의료윤리학회 2014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7 No.1

        이 논문은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전문직 윤리의 규명과 교육에서 의무윤리와 덕윤리라는 두 윤리설이 각각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의료 전문직에 초점을 맞추어서 탐구하였다. 전문직의 본질적 특성 때문에 전문인은 높은 수준의 도덕적 판단력과 강한 도덕적 의지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중 도덕적 판단력은 의무윤리에 의해 잘 규명되고 교육될 수 있다. 반면 도덕적 의지는 덕윤리에 의해 더 잘 배양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직 윤리에서는 이 두 윤리설이 모두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다음으로 덕윤리로 초점을 좁혀서, 덕윤리가 전문직 윤리에서 하는 역할을 더 상세히 탐구하였다. 의료 전문직의 경우 오늘날 도덕적 의무는 여전히 막중하나 전문직으로서의 자율성과 권위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많은 의사들은 높은 도덕적 요구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고 직업적 만족감도 떨어지고 있다. 하지만 전문인이 높은 수준의 도덕적 의무를 수행하면서도 그 과정에서 자기 행복을 찾아나갈 수 있는 방도는 있다. 덕윤리가 바로 그 방도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본 논문은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thics of duty and virtue ethics in the teaching and study of professional ethics,with a focus on medical professional ethic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profession, medical practitionersshould have expertise in moral decision-making and a strong moral will.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former concept can be investigated and taught effectively in terms of the ethics of duty, whereas the latter concept is better understood in terms of virtue ethics. Additionally, this article describes in more detail the role of virtue ethics in professional ethics, claiming that medical practitioners should strive, not only to meet their moral duties, but also to flourish in their profession. Virtue ethics shows the method for achieving this.

      • Quality is to a product what character is to a man -is virtue ethics the missing piece in quality management?

        ( Mia Ljungblom(msc Pedagogy) ),( Thomas Taro Lennerfors(associate Professor)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5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2

        Background It is a growing trend within the field of management studies to argue that virtue ethics is necessary for good management. This quite recent trend goes against the common view of ethics in business as fundamentally deontological or consequentialist, rather than a focus on character. Business ethics in general, including project management, is often reactive rather than affirmative. In other words, to avoid problems and scandals, managers and employees use rule-based ethics that prohibits infraction and wrongdoing instead of becoming role models that strive for the good. Quality is seldom discussed in relation to virtue ethics. In this paper, we argue that virtue ethics should also be a fundamental part in quality management by bringing quality down to the personal level which has a processual focus (continuous improvements, and commitment), and thereby fits well into for example Total Quality Management. We stay true to the Heinzian statement that character is to a man, or woman, what quality is to a product, or process. Purpose To to argue for the use virtue ethics in quality management. Methodology We have emulated the methods employed by Loo using a general inductive approach for analyzing qualitative evaluation data. Responses on three ethical dilemmas were collected between 2011 and 2015. These include 88 responses from Project management students and 31 responses from well-established PMs.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give their solution to the dilemmas, and also give their solution if they had the dilemma themselves as a PM. All the response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analysis in this paper. Findings TQM and ethics have in common that an integral perspective is needed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goals and quality management can benefit from a more direct engagement with theories of virtue ethics. Organizations have to find out what kind of behaviors (virtues) is necessary for quality improvements and what kind of character is best for co-worker working with quality issues. Virtue ethics, as maximalistic ethics, is not enough, but must be complemented with a minimalistic ethics to promote quality

      • KCI등재

        레비나스의 ‘얼굴’, 윤리학적 해석이 가능한가?

        박치완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4 No.1

        Other(Autre) is often mentioned with Levinas and his ethics. However, how can ethics be related to Levinas' argument which is unfamiliar to general grammar of philosophy? The necessity for Levinas' ethics of Other could raise two matters: indifference about many ethical issues or totally clueless condition of ethics itself. This paper would try to solve the questions above mentioned. It will reconstitute his philosophy focused on Face(visage) which is misunderstood by many researchers. His ethics is basically the ethics of Autre absolu(Infini/Dieu). Accordingly, Visage, lnfini and Dieu mean the same. But suppose this is secularized referred to ethics. This assumption comes from misunderstanding of his intention. It means that we can mistake his messianic vertical ethics for horizontal ethics of other general. In the 21th century the ethics of coexistence and harmony requires more than hospitality of absolute other. Levinas also emphasized that modern ethics should be the care of les hommes including “orphan, widow and stranger". How can Levinas' ethics as the first philosophy accomplish its proper duty? We have to extend our attention from Europe to global world as well as from Jew to all mankind. It is not absolute other but other general that should be included in ethical argument. ‘타자’라는 개념이 언급될 때면 언제나 레비나스가 언급되며, 또한 ‘윤리학’이 언급된다. 하지만 철학의 일반적 문법과는 다소 생소한 레비나스의 주장들은 과연 윤리학과 어떤 긴밀한 관계가 있을까? 그가 주장하는 타자의 윤리학은 우리로 하여금 현대의 무수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무관심하게 하거나 ‘윤리학’ 개념 자체를 오리무중 상태에 빠지게 하는 것은 아닐까?우리는 본고에서 이러한 의문을 해결해보려고 하며, 많은 연구자들이 오해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철학을 재구성해볼 생각이다. 기본적으로 그의 윤리학은 ‘절대타자’의 윤리학이다. 즉 그에게 있어 <얼굴=무한=신>은 동일한 의미이다. 그런데 이를 윤리와 연관된 내용으로 세속화시킨다고 가정해보라. 이것은 분명 레비나스의 본래 의도를 곡해한 것이다. 또한 그의 메시아적 수직 윤리를 타자 일반의 수평 윤리로 착각한 것이다. 21세기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공존과 조화의 윤리는 절대타자를 환대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레비나스 역시 자신이 자주 인용하는 성경 구절인 “고아, 과부, 이방인”을 포함해 “사람들”을 배려하고 보살피는 것이 현대 윤리학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레비나스의 제일철학으로서의 윤리학이 윤리학의 본래적 임무를 수행하는 데 기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해답은 간단한데서 찾을 수 있다. 우리의 관심을 절대타자에서 ‘타자들’로, 유럽에서 지구촌으로, 유대인에서 인류로 확장시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윤리학의 과제는 절대타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타자 일반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 KCI등재

        도덕교육과 동학의 윤리관 -『 생활과 윤리』 교과의 ‘평화와 공존의 윤리’를 중심으로

        전광수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moral education and the ethics of Donghak, with the current ethics curriculum at the center of peace and coexistence. Therefore, through the ideology and ideas of Donghak, among the traditional Korean ideas, the organization, contents and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are sought.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the ethics and ideas of various ethical courses are prepared with the aim of resolving the ethics of peace and coexistence, based on “ ethics of peace and coexistence, “ which is applied to the sixth unit of high school, life and ethic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I would like to explore the composition and emphasis of traditional ethics in the current middle and high moral textbooks in Korea. Therefore, we will look at the ethics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is applied to students entering 1st grade in 2018. Second, we will look at the direction of the promotion in the current moral curriculum and the core capabilities and the desirable talent awards that we want to focus on students in school education, and then we will be able to identify among traditional ethics. Third, what is the ethics of peace and coexistence demanded by the future society, and the purpose of it is to present the ideological basis that can be an indicator of the universal values and globalization pursued by Dongha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이 연구의 목적은 현행 윤리교과의 ‘평화와 공존의 윤리’를 중심으로 도덕교육에서의 동학의 윤리관을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전통 사상가운데동학의 이념과 사상을 통해 도덕교육에 있어서의 구성방향과 내용 및 개선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2018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하는 고등학교『생활과 윤리』 교과목의 6단원 ‘평화와 공존의 윤리’를 중심주제로 하여 윤리교과에서 동학이 지니고 있는 이념과 사상을 통해 여러 당면문제의 해결방안과 대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의 중·고등 도덕교과서에 나타나 있는 전통윤리의 구성내용 및 강조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2018학년도 1학년에 입학하는학생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고등학교 도덕 교과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2018학년도 신입생부터 사용되는 중등『 도덕』 교과서 5종과 고등『 생활과 윤리』 교과서 5종의 분석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이전의 교과서와의 비교를 통해 내용에서의 변화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현행 도덕교과의 추진방향과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중점적으로 길러주고자 하는 바람직한 인재상과 핵심역량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전통윤리사상 가운데 동학사상이 지니고 있는 현재와 미래적 가치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동학사상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의 결과물을 토대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셋째,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평화와 공존의 윤리는 무엇이며, 동학이 지향하는 보편적 가치와 세계화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사상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동양과 한국의 윤리사상은 유교를 통한 도덕적 심성의 이해와 불교를 통한 분쟁과 화합을 강조함으로써 보편적 윤리체계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음을 말하고 있다. 2009개정 이후 도덕교과에는 동학과 관련한 주제의 축소로 인해 단순히 도교와 함께 유불사상과 우리전통문화와의 융합적인 면만을 부각한 나머지 동학이 지닌 거대 담론이 한국전통사상에 흡수되어 뚜렷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전통윤리사상의 근대적 지향성과 이상적 인간상을시민이라는 범주에 놓고 볼 때 동학이 지니고 있는 민족 고유의 가치는 더욱절실하게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둘째, 도덕윤리에 있어 동학의 인간론은 한반도의 이념문제를 극복하고 민족통일과 보편적 윤리가치를 지향하고 있으므로 통일을 둘러싼 여러 쟁점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한 사상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셋째, 동학의 윤리관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문제라 할 수 있는 이념, 지역, 세대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통합과 상호존중의 보편적 윤리관이 내재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운의 도덕실천론은 성경신의 실천과 도성입덕하여 완성된 인격자로 거듭나는 것을 도덕의 이상향으로 삼았다. 동학에서말하는 삼대개벽은 결국 새로운 인격자로 거듭나게 될 때 인간의 정신개벽으로 발현되며 이것은 다시 민족개벽과 사회개벽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런 점에서 동학의 실천적 윤리관은 민족통합과 지구촌 평화를 위한 정신적 기초가되어 갈등해결과 소통의 담론을 이끌어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