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01년 제주 ‘신축교안’의 선교사적 고찰

        문창우(Chang Woo Moo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6 종교문화학보 Vol.2 No.-

        신축교안은 한국 근대 역사의 역사적인 연장선상에서 벌어진 큰 사건이다. 따라서 이는 제주에 국한된 지역적 문제가 아니었고 전국적인 문제였다. 또한 이는 종교와의 갈등에서 생긴 제주도민의 삶과 죽음의 문제와 연결된 것이다. 교회가 정치, 사회, 경제, 문화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문제에휩싸이게 된 것은 사실 다른 여러나라의 선교지에서 이미 일어났던 일이었고, 이는 당시 교회의 자기 실재에 대한 교회론적인 인식의 부족에서 생겨났음을 반성해야 한다 . 종교가 선교를 빌미로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며 종교적 집단이기주의 및배타주의를 형성하고 대화를 거부하는 데서, 선교의 근본의미를 망각하는데서, 무조건 사람들을 끌어오는 것만을 선교라고 이해하는 데서, 종교의 폐단이 나타난다. 선교는 종교를 이런 폐단에서 구할 과제를 안고 있다. 신축교안 당시 폭력이 발생했다는 것은 제주도 문화와 종교(그리스도교)의 만남이 되지 못했다는 표시이다. 사실은 그리스도교의 지난 역사를 돌이켜볼 때 이런 종교의 폭력 현상이 늘 발견된다. 그리스도교가 하느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끼리의 일치와 화해를 부르짖으며 내걸었던 복음화가 실제로는그곳 문화를 이해하기보다는 서구문화를 모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래서서구 그리스도교의 일방적인 문화우월주의를 주장하며 다른 민족문화를 경시하고 극복하는 것으로 이해된 적이 많았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신학의 토착화라는 이름으로 그동안 교회가 타종교와 문화적 가치들에 대해 보여주었던 배타적 독선주의를 지양하고, 이들안에서 작용하는 하느님의 구원역사를 인정하면서 적극적인 대화의 자세를취하는 현격한 변화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변화된 자세의 맥락 속에서 신앙의 토착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하느님의 말씀이 구체적인 역사와 지리를 배경으로 해서 인간의 형상을취하신 ‘육화’를 그 신학적 원리로 하는 토착화는 일회적으로 계시된 복음의 진리를 여러 종교 문화권의 체험 체계 내지 사상 체계로 표현하여서 복음의 본연의 의미가 보다 적절하게 선포되고 생활화될 수 있게 하기 위한작업이다. 다시 말해서 ‘토착화’는 복음의 메시지와 지역문화를 중재하는것을 의미한다. 그러기에 토착화 신학은 무엇보다도 삶의 자리를 규정하는문화 속으로 육화(肉化)하시는 복음에 대한 성찰에서 시작한다.신축교안 당시도 교회가 오늘날의 공의회 정신이 아니고 세상이 교회로부터 배운다는 논리를 무조건 가르쳐주려 한 요구가 있어 왔다. 참으로 교회가 제주도(문화)로부터 배운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한다면 올바른 교회의 자세를 찾게 된다. 배운 것이 있다면 교회가 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단지교회가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려고만 한다면 교회는 변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교회는 세상 사람들을 교회라는 좁은 틀로 속박시키고그들의 삶의 터전을 빼앗는 것과는 거리가 멀어야 한다. 복음화(선교)는 타인의 인정과 대화를 그 근본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신축교안 당시 교회는 그러한 변하는 모습이 없었다. 오늘날 우리가 자신들의 입장을 호교론적인 차원에서 제시한다면 여전히똑같은 상황이 전개될 뿐이다. 따라서 여기서 벗어남이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선교 역사에 있어서 그리스도교의 우월성은 남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이다. 신축교안 당시 겉으로는 경제적인 착취(조세부담 등)를 빌미로 하나 그 이면에는 종교가 등장한다. 여기에서 배타성과 우월성을 지닌 태도들이니 분위기간에(교회-제주문화의 만남) 감정만 남는다. 교회가 이러한우월적인 주장의 태도를 지닌다면 배타적인 모습으로써 나타난다. 즉 신당을 없애거나 자신들과 다른 것을 미신 취급하는 모습은 자신만의 중요성을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신축교안 때 교회와 제주도(문화)와의 만남이 있게 되는데, 여기서발생한 많은 희생자들의 죽음은 성인(聖人)의 모습을 생각하게 한다. 우리는 성인에 대해서 생각할 때 단지 교회를 위해 희생하신 분으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국 가적으로도 성인이 아니라면 이는 뭔가? 성인이라면 국가를 위해서도 성인이어야 한다. 즉 교회의 성인은 이 땅을 위해서도 뭔가 기여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상이 교회를 위해서도 죽고 교회도 세상을 위해서 뭔가 기여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상이 교회를 위해서도 죽고 교회도 세상을 위해서 죽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참으로 교회도 세상을 위해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The ‘Sin․chuk․kyo․an’(diplomatic issue at 1901) is the big matter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on the historical flow. so that It is not a matter of Jeju province but the whole country. And this conflict of religion is the problem of 'To be or not to be' for Jeju island people. Actually The reason that the church fall in the this kind of matter on political․social․economical․cultural, was the ordinary ones in others missionary places also. We should reflect the fact that the problem is happened cause in the insufficient of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about the church itself. The corrupt practice in religion is growed by the religion seeking a profit cause in missionary, making the religious egoism, denying conversation, forgetting the basic meaning of missionary, thinking the missionary that is just gathering persons. The missionary has the task that saving the church in this corrupt practice. The fact that the appearance of violence in 'Sin․chuk․kyo․an' is the evidence of disconnecting of between the religion(Catholic) and the culture of Jeju island. In fact, this kind of violent state was always discovered in christian church's history. christian church's evangelism always insist the harmony and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God and human, one and the others. But actually the church not understand the regional culture but transmit the western culture to the other regions, and so sometimes the christian church was understanded the one-side cultural superiority that neglecting the racial culture by region people. The vatican concilium Ⅱ tried to remove the exclusive selfrighteousness in the name of the aboriginality on christian faith that about the regional cultures and religions. And more over the christian church recognize the working of the God's salvation in the regional cultures and religion, so the church remarkable changed and take a place to conversation with others. In this kind of alteration, the necessary of the aboriginality on faith was needed. Aboriginality base on the theological principle(incarnation) that the word of God take the position figures of human, in the midst of concrete history and geography for a background. Aboriginality on faith is the work of to express by variety expression that based on religion-cultural experience structures and thought structures so that the real meaning of Gospel is set up by proper announce and life style. In short, ‘Aboriginality’ is the arbitration between the message of Gospel and regional cultures. Therefore the theology of aboriginality is started by that selfexamination of the incarnation of Gospel to the ‘sitz im leben’ of regional cultures. At that time of ‘Sin․chuk․kyo․an’, the church had been minded the world must learn from the church, it is not the idea of the vatican concilium Ⅱ. If the church will know that what was the teaching from the culture of Jeju island in historical experience, the church will be find a right way in missionary but just will try to carry out the demand of church, the church's manner will not change. The church should be departed from to restrain that the people into narrow matrix and to carry off their life places. Aboriginality (missionary) is base on the acknowledgement and conversation with others. But at a moment of ‘Sin․chuk․kyo․an’, the church had not been this kind of manner. Now days if we present our standpoints on just the church's viewpoint, same situation will be shape up. so to take off this state is the task of the church. In the history of missionary, the christian church's superiority mean the attitude that disregard to others. At that time of 'Sin․chuk․kyo․an', the economical squeezing(taxation) was the aim of face, but the religion was the aim of mind. In this conditions, the sens of exclusiveness and superiority break out the conflict in emo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culture of Jeju. If the church continually insist this kind of superio

      • 미국 사회의 다문화 현상과 종교

        안신(Shin Ah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8 종교문화학보 Vol.15 No.-

        본 논문은 미국사회의 종교적 다양성에 대한 역사탐구와 사례연구를 통하여 한국사회의 종교다원현상에 대한 건설적 제언을 한다. 특히, 50개 주 가운데, 뉴저지와 프린스턴 지역을 구체적인 사례로 들어 종교다원현상을 분석하였다. 미국사회는 종교의 자유를 지키며 개신교 중심의 다원화로 출발하였지만, 21세기에 들어서는 천주교와 유대교와 함께, 이슬람교와 힌두교의 교세가 증가해 왔다. 여전히 개신교와 천주교를 중심으로 기독교문화를 유지하고 있지만 무종교인구와 신종교의 등장으로 보다 다양화된 세속화의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 결론에서 ① 한미사회의 비교연구를 통한 새로운 질문의 적용, ② 세계윤리의 필요, ③ 이웃종교에 대한 종교교육, ④ 사회문제에 대한 종교적 해결의 모색 등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give constructive suggestions by analyzing a history of religious diversity in American society and examining some case studies of New Jersey and Princeton. The American society has developed Protestantism centered pluralism in history. In the 21st century, Islam and Hinduism became major religious components with Catholicism and Judaism. Though Protestantism and Catholicism still played central roles in Christian culture of American society, rapid increases of the non-religious people and new religious movements made America more multi-cultural/religious society. In my conclusion, I proposes ① the application of new questions into Korean context, ② the necessity of global ethic, ③ religious education about neighbor’s religions, and ④ religious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 한국 다문화정책과 종교

        박종수(Jong-Soo Park)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8 종교문화학보 Vol.15 No.-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정책이 외국인정책 기본계획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전제한 후, 한국 다문화정책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으며, 그 정책들 속에서 종교의 변수가 어떻게 고려되어야 하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종교학 분과의 다문화담론 속에서 종교가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다문화사회에서 종교가 어떤 쟁점으로 드러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한국 다문화정책에서 종교가 정책적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and how the variables of relig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olicies after assuming that Korea 's multicultural policy is based on the basic plan for immigration policy. In addition, we will examine how religion has been studied in the multicultural discourse of religious studies, and examine what issues religion can reveal in multicultural society. This suggests that religion should be the subject of policy consideration in Korean multicultural policy.

      • 종교 다원주의에 대한 오해와 이해

        김영태(Young-tae Kim)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9 종교문화학보 Vol.6 No.-

        그리스도교 신학의 경우, 종교다원주의는 종교신학적 노력의 일환이다. 종교신학자들은 이웃 종교들과의 대화와 협력을 통하여 종교간 평화와 세계평화를 수립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이들의 목소리에 비하여 학자군은 아직 약한 편이다. 근본주의자들, 보수주의자들은 여전히 ‘오직 예수’라는 배타적 신앙을 가지고 종교신학자들의 노력을 달갑지 않게 생각하거나 계속해서 견제한다. 이러한 태도 이면에는 커다란 오해가 자리잡고 있는데 그것은 곧 “종교다원주의=혼합주의” 라는 등식이다. 종교다원주의란 자신의 종교를 여러 종교 가운데 하나로 생각하고 이웃 종교들과의 대화 및 상생을 시도하는 종교간 대화의 바람직한 태도외의 다른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오해는 쉽게 풀리지 않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시도를 감행하는 그리스도교 학자들은 쉴라이엘마허(1768-1834), 트뢸취(1865-1923), 틸리히, 존 힉, 한스 큉, 사마르타, 폴니터, 스위들러, 존 캅 등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힉(John Hick)의 종교다원주의를 하나의 예로 설정하여 종교다원주의의 하나의 면모를 드러내 보이려고 하였다. 그는 배타적인 그리스도 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신중심주의, 더 나아가서는 신의 이름까지도 배제한 실재중심주의를 펼침으로써 매우 설득력 있는 종교간 대화 노력을 하고 있다. 힉을 비롯한 종교신학자들의 부르짖음이 아직은 미약하지만 점점 증대해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종교다원주의 이해를 통한 종교간 대화는 매우 희망적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노력은 결국 다른 인종, 다른 종교, 다른 정치적 신념을 가진 사람들이 같은 사회에서 평화롭게 함께 사는 분위기를 조성하게 되어 세계평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In the case of Christian theology, the religious pluralism is a link in the attempt of theology of religions. Religious theologians try to realize the interreligious peace and world peace through the religious dialogue and cooperation. However, because the members of theology of religions are not many now, their claims are not strong or persuasive yet. Fundamentalists and conservativists in Christianity dislike or constraint religious theologians’ attempt constantly with their exclusive belief ‘the only Jesus’. In the background of such attitude, there is misunderstanding, so called ‘religious pluralism is religious syncretism.’ It is true that the religious pluralism is a thought, which is each religion is one of many religions and all religions are equal, so all religious people have to work together for better life and world peace. The vanguards of Christian theologians in this field are Schleiermacher, Ernst Troeltsch, Paul Tillich, John Hick, Hans Küng, Paul Knitter, Stanley Samartha, Leonard Swidler and John Cobb, Jr. etc.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John Hick's theology of religions among them as a sample. John Hick tried to overcome Christocentrism in suggesting Theo-centrism or Real-centrism. I think this attempt is more persuasive any other efforts. I guess the voice of religious theologians is relatively not strong now but it is increasing more and more, so I hope their effort would be succeed at last. Their dreams will come true in establishing world peace for the different races, different religions and different political ideologies.

      • 자살예방법의 이해와 종교적 실천 방안

        송오식(Oh-Sik So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0 종교문화학보 Vol.17 No.1

        한국사회가 가족 중심의 공동체주의에서 급격한 개인주의로 전환을 하고 이혼의 증가로 인한 가정의 해체는 심각한 사회의 위기상황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법적으로 자기결정권의 부상은 실제 생활의 여러 면에서 규범의 충돌을 빚고 있다. 법학자들은 자기결정권의 법적 근거를 헌법 제10조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에서 찾는다. 구체적으로 누구나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기 때문에 자신의 삶의 방식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자신이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결정권의 확대적용은 자칫 자신의 삶의 유지에서도 잘못 나타날 수 있다. 본고는 2012년에 시행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자살예방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을 소개하고 종교적 차원에서 자살예방을 어떻게 접근하여야 하는가를 성찰하고 있다. 자살예방법은 자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책무와 예방정책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고 생명존중문화를 조성하기 위함을 법 제정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같은 법 시행 8년 동안 좀 더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국가의 관여를 통한 자살예방 및 지원을 위한 규정들을 신설하거나 개정함으로서 시행 중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해왔다. 그러나 동법의 제정 이후 8년이나 지났지만 가시적 성과는 미흡한 편이다. 같은 법의 개선방향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유형화된 구체적 지원의 필요성을 들 수 있다. 또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및 시민단체, 종교단체, 교육기관과의 연대와 협력이 필요하다. 본고는 자살에 대한 종교인의 태도를 2012년 SRC의 한국종합사회조사 통계와 2018년 보건복지부 자살실태조사 통계를 가지고 분석 접근하였다. 2012년 통계에서는 의외로 자살을 생각하거나 자해 또는 자살시도 경험은 작은 차이이지만 카톨릭 신자들이 많고 무종교인인 가장 적게 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다만 2018년 보건복지부 통계에서는 종교를 가진 사람이 자살에 대해 더 부정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019년 말 6개 종단에서 뜻을 모아 종교계 자살예방지침서를 발간하였다. 본고에서는 종교계의 구체적 자살예방실천으로 사전적 예방으로는 생명의 소중함을 강조하는 말씀들을 통하여 교화가 필요하다는 것, 사후적으로는 자살시도자 본인과 유가족에 대한 것으로 나누어서, 전자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찰과 돌봄 치유가 필요하며 후자에 대해서는 사회적・경제적・정서적 도움과 적절한 지원이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It can be said that Korean society is facing a serious social crisis because of shifting from family oriented communitarianism to so rapid individualism and disintegration of the family due to increased divorce. Legally, the ris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creates a conflict between norms in many respects of real life. Law scholar find the legal basis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that is, the right to seek human dignity and values, happiness. Since everyone has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specifically, he can decide as much as possible if there is no ham to others due to his way of life. To stretch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right can be misleading even whether to live.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tents of the suicide prevention Act(SPA) which enacted in 2012 and it reflects on how to approach suicide prevention at the religious level. SPA aims to protect the precious lives of the people and forster the culture of respect for life by defining necessary contents regarding national responsibility and prevention policies suicide. Over the past eight years of implementing the SPA, A few problems have improved by establishing or amending regulations for suicide prevention and its support through more active and specific national involvement. However, visible results have been insufficient though eight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There is a need for tangible and concrete and insistent support focused on consumers to improve the same Act. In addition,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civic groups, religious groups, and educational institutes is necessary. This paper analyzed the attitudes of religious people on suicide using SRC’s 2012 Korea Community Survey statistics and 20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Suicide Survey. In 2012 statistics, we can recognized that more Catholics have the suicidal thoughts and make self-harm or suicidal attempts than any other religious people, on the contrary, the least number of non religious people. However,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8 show that the religious have a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suicide. At the end of 2019, six major religious groups published a guideline for prevention suicide. In this article, practices of the specific suicide prevention in the religion group are needed for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life as a precautionary measures. It is divided into suicide attempters and their families as a posteriori remedies. The former needs for lasting observation and care and healing, the latter needs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aid and appropriate support.

      • 구약성서의 이주민 신학과 다문화 선교의 실천

        강성열(Sung-Yul Ka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8 종교문화학보 Vol.15 No.-

        한국사회는 지금 지구화 시대의 국제적이고 보편적인 이주 현상과 맞물려 빠른 속도로 다인종 국가, 다문화 사회로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부에는 제3세계권의 가난한 나라들에서 한국으로 옮겨온 이주 노동자들과 결혼이주여성들이 있다. 이 논문은 무엇보다도 구약성서의 이주민 신학과 다문화 선교의 실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약성서는 외국으로부터 이스라엘로 이주해온 외국인 약자들을 이스라엘 백성과 동일한 자들로 간주하고 그들을 자신의 형제처럼 사랑할 것을 명하면서, 이스라엘이 처음부터 이주민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고, 오랫동안 이주민의 삶을 살았다는 사실에서 그 근거를 찾는다. 또한 구약성서는 힘없고 약한 자들을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의 성품을 본받아 사회적 약자들이라 할 수 있는 이주민들을 자신의 형제처럼 사랑하고 섬길 것을 명한다. 이처럼 중요한 구역성서의 이주민 신학을 실천에 옮기기 위해, 필자는 농어촌선교연구소(2008)와 호남지역다문화선교회(2009)를 설립하고서, 다양한 방식으로 다문화사역자 양성과정을 운영해 왔으며, 최근(2017)에는 다문화 선교를 위한 매뉴얼 내지는 다문화 교육자료집을 발간하였다. 요컨대, 이주민들이 갈수록 늘어나는 국제적인 이주의 시대에 직면하여 한국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들을 한국사회의 떳떳한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 태도야말로 한국 사회의 통합과 일체성 확립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Korean Society is now rapidly entering into the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in line with universal and international immigration movemen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t the center of this change are immigrant workers and immigrant women for international marriage from the poor countries in the Third World. This article is especially concerned about the immigration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mission. Old Testament puts special emphasis on considering immigrantsforeign weak people sojourning in Israel-as their own people and loving them as their own brethren on the basis of Israel's sojourner experience or their history of ‘ger.’ We can find the concern of the Old Testament for the second-class citizens 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especially the immigrants. Many Old Testament texts ask for the Korean churches of taking care of the immigrants as their brethren, with the compassion and loving kindness of God. To practice this important OT teaching about immigration theology, I made Institute for Agricultural Mission(2008) and Association for the Multicultural Mission of Honam Area(2009), and have managed many training courses for the multicultural workers in Honam area. Recently, with some theologians and ministers I published a manual for Multicultural Mission(2017). After all,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society of 21th century, the attitude of accepting many immigrants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may be the driving force enabling the social integration and formation of unity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 종교인소득 과세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에 대한 소고

        김재승(Jae-seung Kim)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학보 Vol.16 No.2

        그동안 과세 여부에 대해 찬반논쟁이 많았던 종교인의 소득에 대한 과세가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현행 소득세법 하에서 종교인의 소득에 대한 과세와 관련된 몇 가지 주요 쟁점을 분석 검토하였다. 먼저 종교인의 소득이 근로소득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교인의 소득은 근로소득에 해당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소득세법상 근로소득이란 세법상 근로소득이 종속성을 요건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그 종속성은 아주 약한 정도로 충분하여 고용관계 및 이와 유사한 것뿐만 아니라, 정치적 위임을 포함하여 위임관계 및 이와 유사한 관계에서 얻은 보수(급여)도 근로소득에 포함된다. 교회와 담임목사의 법률관계는 위임관계 혹은 위임과 유사한 계약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부목사나 전도사와 교회와의 관계는 사법상 고용관계 혹은 근로기준법상 근로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담임목사, 부목사, 전도사가 종교활동과 관련하여 교회로부터 받은 사례금은 근로소득에 해당된다. 그러나 장기간 동안 과세하지 않던 종교인소득에 관해 기존 법률에 근거한 근로소득세 과세는 국세기본법상의 비과세관행의 성립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기존 세법규정에 따른 국가의 과세권 행사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목회자의 사례금을 과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입법 조치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현행 소득세법이 새로운 입법 조치로 종교인 과세를 시작한 것은 바람직한 것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현행 세법규정에서 택하고 과세방법은 타당한 것이 못된다. 현행 소득세법은 종교인과세를 기타소득으로 분류하여 과세하고 있으나, 이는 소득세법상 과세원칙 혹은 소득분류체계와 맞지 않는다. 기타소득이란 성질상 일시적·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소득으로, 다른 소득분류에 들어가지 않는 것들이다. 반면, 종교인소득은 계속적·반복적으로 발생한 소득이며 성질상 근로소득에 해당된다. 또한, 종교인소득에 대해서는 종교관련종사자가 해당 과세기간에 지급받은 금액의 최대 80%까지 실제지출유무와 상관없이 필요경비로 인정해 준다. 이는 다른 기타소득 항목들은 개산경비를 인정하지 않거나, 인정한 경우에도 인정비율이 이 만큼 되지는 않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정당성들 찾기 힘들다. 이러한 현행규정의 문제점들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입법 조치가 필요한데, 궁극적으로는 종교인소득은 근로소득으로 과세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와 같은 개산경비공제도는 없애든지 다른 영역과 비슷한 과세가 되도록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The new law that demands taxation on the income of the persons who are in gaged in religious services has been in effect since January 1, 2018. This article analyzes and reviews a couple of major issues related to taxation on religious service income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law. First of all,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income of clergy is classified as earned income (geunro-sodeug), and comes to conclusion that the income of clergy is earned income. Earned income is made by controlled activities such as employment relationships. But controlling necessary to be classified as earned income is sufficiently weak enough that remuneration (benefits) earned from an entrusted contract and similar relationships, including political delegation, is also included in earned income. The leg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hurch and a pastor can be said to be an entrusted or a similar contract. The relationships between an associate pastor and the church can be said to be i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by employment contract or by the Labor Standards Law (geunro gijunbeob). Therefore, the remuneration received from the church by a pastoral person in connection with religious services is earned income. However, imposing tax on such earned income, which has not been taxed for a long time, is likely restricted by the non-taxation practice under the Basic Taxation Law (gugse gibonbeob). It is, therefore, a good measure to begin taxing the income of clergy with enacting new provisions in the Income Tax Law. Nevertheless, the new provisions do not make sense. The revised income tax law classifies the income of clergy as other income (gita sodeug), but this does not fit the taxation principle or income classification system under Korean tax law. Since the income of clergy is a continuous and recurring income, it should be classified as a kind of earned income. In addition, up to 80% of the remuneration that clergy are paid in the relevant taxable year, deductible expenses are admissible, regardless of the actual expenditures. This practice may not be justified in light of the fact that as to other income items, the estimated expenses are not allowed, or even if they do, the estimated deductible ratio is lower. To redress this problem, the Income Tax Law should be revised, and ultimately religious income should be taxed as earned income. Such deemed expenses should be eliminated or adjusted to be taxed corresponding to other income earners.

      • 영남지역 기독교문화유산의 과제

        이상규(Sang-Gyoo Lee)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7 종교문화학보 Vol.14 No.-

        문화유산(cultural inheritance)은 일반적으로 “앞 세대의 사람들이 물려준, 후대에 계승되고 상속될 만한 가치를 지닌 문화적 전통”으로 정의된다. 문화유산에는 선대가 남긴 유물이나 유적 가운데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유형문화재가 있고, 예술적 가치가 높은 연주·무용·음악·공예·기술 등 형태가 없는 무형문화재가 있다. 그래서 문화유산은 인간 삶의 전 영역에서 표현된 각종 문화 식을 포함하고 있다. 영남지방 기독교문화유산 혹은 문화재는 이 지역에서 선교사역을 전개했던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와 호주 빅토리아장로교 선교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지역 유형문화재는 대부분은 교회건축물, 혹은 선교 초기 각 지역 선교부가 건축한 선교관, 선교사의 개인주택, 기독교학교나 관련 건물, 혹은 선교 병원건물 등이다. 이런 건축물은 거의 1890년대 이후 건축된 것이므로, 문화재법으로 볼 때 근대건축물에 속한다. 그 외에도 주한 각선교부나 기독교회가 제작했던 기독교문서, 성경과 찬송가, 그리고 신문과 잡지들, 초기 교회가 생산한 문건들, 그리고 교회에서 사용했던 악기들과 선교병원에서 사용했던 의료기기 등인데 이는 영남지역에서도 동일하다. 기독교문화 유산들은 선교지부가 있던 곳을 중심으로 산재되어 있다. 문화유산 보전(保傳)을 위해 한국교회는 거 교회적인 관심을 가져야 하고, 조사된 유무형 문화유산 가운데, 역사적 가치가 높은 유산들부터 정부기구에 등록해야 한다. 기독교계가 자체적으로 기독교 등록문화재로 등제하는 제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Cultural inheritance is generally defined as “a cultural tradition handed down by the previous generation, inherited and inherited in later generations.” There ar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th high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th no artistic value such as performance, dance, music, arts and crafts. Therefore, cultural heritage includes various cultural expressions expressed in all areas of human life. Christian heritage or cultural assets in the Yeongnam area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esbyterian Church Presbyterian miss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Presbyterian Church in Victoria, Australia, which have conducted missionary work in the region. Most of thes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church buildings, mission stations built by missionaries in the early days of mission, private houses of missionaries, Christian schools or related buildings, or mission hospital buildings. These buildings were built almost after the 1890s, so they belong to modern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cultural property law. In addition, Christian documents, Bible and hymns, newspapers and magazines, documents produced by early churches, instruments used in churches, and medical devices used in mission hospitals, It is the same in Yeongnam area. The Christian cultural heritage is scattered around the place where the mission field is located. For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Korean churches should have a keen interest in the church, and should register with the government organization from the heritage of high historical value among the studied non-formal cultural heritag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ystem in which Christians themselves are registered as Christian cultural properties.

      • 일본의 현대 문화에 있어서 절대성의 주장

        Haruko K. Okano(Haruko K. Okano )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5 종교문화학보 Vol.1 No.-

        일본의 현대 사회에 있어서 종교의 절대성에 관한 주장이 특히 새롭게 일어나고 있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 국가는 종교에 대해 중립성을 선언하였다. 이것은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는 것과 더불어 국가의 세속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나 1952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이 체결된 이후 전통적인 종교적-정치적 의식이 다시금 대두되었다. 신토는 일본인의 민족적 및 문화적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절대성의 주장을 새롭게 들고 나온 것이다. 또한 일본에서 가장 그 규모가 크고 정치 참여적인 불교 종파인 소카카이 종파는 민족주의적으로 새겨진 진리 및 보편성의 주장을 내세움으로써 역시 절대성의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소카카이 종파는 내용적으로 관용적인 불교 신앙적 토대 위에 서 있는 종교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非관용적 주장을 내세우는 흥미 있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새로 생성된 ‘국가-신토’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신토에 의한 종교에 있어서의 이러한 절대성의 주장은 보수적인 “자유 민주당” 정부가 전쟁 전사자들에게 봉헌한 야수쿠나-신사를 국가의 관리와 보호 아래 두는 시도와 일치한다. 이러한 신토와 “자유 민주당 정부”의 조처는 ‘국가-신토’의 재생에로 나아가고 있다. 신토의 부활은 신토가 일본 국민의 정체성의 도구로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일본 황제의 전통적인 숭배와 적지않게 관련되어 있다. 신토의 활동은 일본에서의 공적인 조직 단체의 활동과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나고 있다. 일본 사회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전통적인 높은 가치로 여겨지는 많은 일들을 보존하고 있다. 신토와 자유민주당의 의도는 황제의 영상을 미화함과 천황 제도의 찬양 및 조상숭배에 대한 公的인 장려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그것을 지탱해 주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힘은 일본인의 민족적,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힘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관관계 속에서 신토의 절대성의 주장은 非관용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오늘날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일본인의 종교적 정체성은 다음의 세 가지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조상과의 밀접한 결속성. 둘째, 자아 상실성. 즉 無我에의 경향 셋째, 이승 세계에서의 유토피아의 실현에 대한 소망. 이중 마지막 특징인 세 번째 요소는 일본인의 종교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요소로서 신토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가장 중요한 특성에 속한다. 일본 사람들이 전쟁 전사자들을 민족 영웅으로 선언하며 전쟁의 불합리성과 비참함을 찬양하는 태도는 바로 위에서 언급한 일본인의 종교적 정체성에 깊이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신토 전통의 절대성의 주장은 군국주의적 요소인 천왕과 신토-신사 그리고 군대를 다시 결합시키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국가를 통한 전쟁 전사자들의 公的인 숭배는 국가의 세속화와 종교의 자유를 사실상 사멸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종교적 관용의 문제에 있어서 신토가 지니고 있는 관용성의 한계 역시 신토가 민족주의와 결합되고, 외연적 절대성을 주장하는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일본에서 종교적 관용의 참된 형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종교들(불교, 신토, 일본의 그리스도교 등)은 무엇보다도 국가에 예속되어서는 안되며, 국가에 대한 물신 숭배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고 사회적 정당성을 위해서 일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또한 그들은 억압받는 자와 차별받는 자들의 해방과 認定을 위해서 애써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