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철학사전 편찬의 역사와 전망

        이동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4 東洋學 Vol.57 No.-

        This article surveys the history of philosophical dictionary in Korea, discussing the issues to solve in the future. This article has limitations due to some constraints; first, there has been a dearth of preceding research on this subject; second, premodern East Asia did not have the discipline of philosophy like the modern period; third, traditional philosophy in Korea has been dealt with as part of traditional Korean studies rather than philosophy in general. And this survey excludes the cases of Buddhist dictionaries, North Korea’s dictionaries, and non-dictionary type reference works due to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is survey divides the compilation history of philosophical dictionary into the premodern period before 1945 and the modern period. This division bears on the languages used in dictionaries and the import of Western philosophy. And it has to be mentioned that philosophical dictionaries in the premodern period are found within traditional encyclopedias in East Asia(leishu 類書) and lexicons for classical studies. Thus this article surveys premodern dictionaries according to their feature rather tha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ly a philosophical dictiona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is classified as a premodern dictionary. The modern period after 1945 is demarcated by the 1980’s; Korean society dramaticallychanged in the 1980’s and philosophical dictionaries were influenced by the change. The first half, or the period before 1980’s had the three stages. In the 1940’s and 1950’s, philosophical dictionaries written in Korean appeared first. They are the Dictionary of Philosophy translated by Baek Hyo-Won and the Dictionary of Philosophy written by Yi Jae-Hun. In the 1960’s, grand and concise dictionaries on philosophy including East Asian thought were published. The modern type of philosophical dictionary has been established on this stage. In 1970’s, philosophical dictionaries were published as part of encyclopedias and multi-volumed series on humanities. The second half had the three stages too. The first stage, or the 1980’s was a period of social movement and ideology, and the trend of philosophical dictionary compilation reflect the atmosphere of the period. Dictionaries on Marxism from the West and the East Europe and North Korea’s dictionaries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the 1990’s, philosophical dictionaries were diversified and deepened academically. After 2000, we see the expansion and popularization of philosophical dictionary. Various Japanese dictionaries have been translated, and many dictionaries use such titles as ‘concepts’ and ‘key words.’ Various dictionaries on East Asian philosophy have been published too. The publication of the Dictionary on Philosophy based on Korean language is a notable work during this period. At the end, this article makes suggestions for the compilation of philosophical dictionary inKorea; first, diversification in type is needed; second, a study to improve the structure ofdictionary is required; third, to secure both academic quality and popularity is needed; fourth,non-dictionary type reference works are also worth attention; fifth, we need to pay attention totranslating and introducing of Korea’s academic achievement abroad; last but not least, moreefforts to compile good dictionaries need to be put by the government and society. 본 논의는 한국 철학사전의 역사를 검토하고 향후 과제를 전망하는 것이다. 이 과제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다. 첫째, 선행 연구가 불충분하다. 둘째, 철학은 그리스에서 유래하여 19세기에 동아시아로 전래된 것이다. 셋째, 한국철학은 한국학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논자는 불교 사전을 제외하였고, 북한과 해외의 성과도 기본적으로 포함하지 않았으며, 비사전형 공구서도 제외하였다. 논자는 한국 철학사전 편찬의 역사를 전통시대와 1945년 이후의 현대로 크게 구분하였다. 이는 사용 언어와 서양철학의 수용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먼저 전통시대의 철학사전은 유서(類書)와 고전 텍스트 사전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그 특성 때문에 시대순이 아니라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일제시기에 간행된 것도 한문으로 쓰여진 경우는 전통시대에 포함시켰다. 해방이후 현재까지의 시기는 1980년대를 기준으로 전반기와 후반기로 구분하였다. 이는 1980년대에 한국사회가 크게 변화하고 철학사전의 편찬도 이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전반기와 후반기에 각기 세 단계를 설정하였다. 전반기의 첫 단계인 1940~50년대는 최초의 한국어 철학사전인 백효원 역의 『철학사전』과 이재훈 편의 『철학사전』이 출간되었다. 60년대에는 대형의 『철학대사전』, 소형의 『철학소사전』, 『東洋思想事典』 등 다양한 유형의 철학사전이 출간되며 철학사전의 원형이 정립되었다. 70년대는 철학 사전이 대형 편찬물에 예속되었던 시기이다. 백과사전의 일부로서 출간되거나 세계사상전집의 부록으로 발간되었다. 후반기의 첫 단계인 80년대는 사회 운동과 이념의 시대이며, 철학사전의 편찬도 이런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마르크스주의 관련 사전이 출간되고 북한과 동구권의 사전이 번역되었다. 90년대는 다양화와 학술화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철학에 관련된 다양한 사전이 출간되고, 철학사전의 편찬도 학술적 성격이 강화된다. 2000년 이후는 양적 팽창과 대중화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사전이 다수 번역되고 ‘개념어’, ‘키워드’의 표제가 애용되고, 대중적 사전이 다수 등장하였다. 다양한 유형의 동양철학 사전이 출간되었다. 『우리말 철학사전』의 출간은 주목되는 사례의 하나이다. 마지막으로 한국 철학사전 편찬의 과제와 전망을 모색하였다. 다음과 같은 주요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유형의 사전이 요구된다. 둘째, 편집과 체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술성과 대중성의 양면에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비사전형 공구서도 중시해야 한다. 다섯째, 한국학의 성과를 해외로 소개하는 데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그 전망은 낙관할 수 없지만 사전의 제작을 위해 정부와 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KCI등재

        이중언어사전의 유형화와 그 특성

        조남신 한국슬라브어학회 2010 슬라브어연구 Vol.15 No.2

        Bilingual dictionaries have been under a number of research works, but there are still questions to be dealt wit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ypology of bilingual dictionaries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ies about the dictionaries. First of all, Hausmann, F. J. (1977) suggests 8 types of dictionaries depending on language pairs. Kromnn H-P., Riiber T., Rosbach P.(1984) propose 4 types, Duda W., Frenzel M., Wöller E., Zimmermann T. (1986) show 6 types, and Zaiping, Wiegand(1987, 1989) have a dictionary with all four functions. However, the Williams(1960)’s two types with four functions might be the practical solution so far. It seems not right to combine active and passive dictionaries for a linguistic community, but these active and passive dictionaries are compatible in many aspects. Shcherba’s ideas and recent works about bilingual dictionaries tell that an ideal dictionary should be made just for a linguistic community. A dictionary must meet the needs of the users, not just being a combination of various dictionaries. 이중언어사전학에서 이론 형성이 추진력을 얻는다는 사실은 지난 10년 동안에 능동사전과 수동사전에 근거한 많은 이론들이 나타났다는 바로 그 사실을 통해 볼 때 명백하다. 만약 우리가 Hausmann(1977; 1988)을 보면 각 언어 짝에 대해서 8가지 사전에 대한 제안을 발견하며, Kromann, Riiber, Rosbach는 4 종류의 사전을, Duda, Frenzel, Wöller 등은(1986)은 6종류, 그리고 Zaiping, Wiegand(1987)은 단 하나의 사전에 모두 4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사전을 제안한다. 아마도 현실적인 해결책은 두 가지 사전들에 모두 4가지 기능을 부여하는 Williams(1960)의 제안이 될 수도 있다. 하나의 스피치 커뮤니티를 위한 능동적 사전과 다른 스피치 커뮤니티를 위한 수동적/설명적 사전의 결합은 얼핏 보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처럼 보일는지 모른다. 그러나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두 종류의 사전들이 직면하는 대부분의 요구들은 서로 양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Kromnn, Riiber, Rosbach 1984). 예를 들면 렘마와 대응어들은 둘 다 음운론적 또는 형태론적 데이터 – 규칙적인 경우들은 서문이나 문법적 스케치에 의해 처리하고 정보가 불규칙한 것들에게 제한되면 공간제약의 문제들은 극복될 수 있다 – 들이 수반될 수 있다. 이론에 근거한 능동과 수동사전에 대한 요구에 대한 반대가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각 언어 짝에 대하여 4종류의 사전을 만드는 것이 너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첫째로 이론 구축이 경제적인 고려에서 결정되어서는 안 되며, 둘째 능동-수동기능은 하나의 동일한 사전에서 준수될 수 있으며, 셋째 번역의 사전학에 대한 연구는 이제 겨우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오늘날에는 컴퓨터의 활용으로 방대한 양의 발전적 작업을 어렵지 않게 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실제로 이중언어사전들은 많은 약점들을 지닌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가 그것들의 ‘진정한 특성’이나 모국어로부터 외국어로 또는 외국어로부터 모국어로의 번역에서 사용자에게 이용되는 ‘적절한 목적’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중언어사전에 대한 쉐르바의 숙고와 최근의 저술들은 이상적으로 사전은 하나의 언어공동체를 대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제안한다. 그러나 우리는 ‘보편적’이라고 주장하지만 능동사전과 수동사전의 특성들을 일관성 없이 섞어 놓은 많은 사전들과는 달리 실제로 사용자의 요구들의 가능한 다양성을 가장 폭넓게 충족할 수 있는 사전들을 개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

        문학용어사전의 형성과 전후(戰後) 문학 관련 개념들의 재편 -식민지 시기 문학용어 정리 작업과의 (불)연속을 중심으로-

        강용훈 ( Kang Yong-hoon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6 사이 Vol.21 No.-

        이 연구는 식민지 시기의 문학 용어 정리 작업인 『개벽』의 「중요술어사전」(1923), 『신인문학』의 「신문문예사전」(1934), 『인문평론』의 「모던 문예사전」(1939~1940)에 담겨 있는 문제 의식을 살펴본 후, 이를 해방 이후 편찬된 단행본형태의 문학용어사전 『현대세계문학사전』(1954), 『세계문예사전』(1955)과 비교하며 문학용어사전의 형성 과정을 재구성해보려고 했다. 문학용어사전을 통해 이 논문은 해방전후 문학 관련 개념들이 어떻게 재편되었는지를 탐색하려고 했다. 식민지 시기 편술되었던 「중요술어사전」, 「신문문예사전」, 「모던문예사전」은 모두 잡지에 연재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문예용어를 정리하는 작업은 `사전`으로 지칭되었지만 식민지 시기에는 그 작업의 결과가 단행본의 형태로 발간되지는 않았다. 1954년 곽종원이 편술한 『현대세계문학사전』, 백철이 대표 편술한 『세계문예사전』에 이르러서야 문학용어사전은 오늘날과 같은 서적 형태로 간행되기에 이른다.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 개별 문학용어 정리 작업의 문제의식 및 그 용어정리 작업의 수행적 맥락을 살펴본 후, 해방 이후 발간된 단행본 형태의 문학용어사전이 그 문제의식과 어떻게 연결/단절되는지를 추적했다. 식민지 시기 문학 용어 정립 작업을 대표하는 『개벽』의 「중요술어사전」은 1923년 『개벽』에 `문학부`(1회)와 `사상부`(2회, 3회)로 나뉘어 연재되었다. 「중요술어사전」은 표면적으로 당대에 유통되고 있던 문학 및 사상 관련 용어의 의미를 정립하는 저작이었지만, 그 편술 작업의 이면에는 당대의 조선문학에 운동성을 부여하려는 편술자의 의도가 내재되어 있었다. 「중요술어사전」을 편술한 박영희는 역사적 운동을 개념화한 `~ism` 관련 어휘들을 전유하며 확장된 기대지평을 창출하려고 했다. 이후 문학용어 정립 작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한 매체는 1930년대 후반의 『인문평론』 이었다. 이 시기는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에서 `동아 신질서`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게 일어난 때이며 『인문평론』 역시 그러한 담론들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시국과 관련된 어휘들을 소개하면서도 그 경계에서 문예용어, 혹은 비평적 용어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 그 자리에 바로 『인문평론』의 「모던문예사전」이 놓여 있었다. 한국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4~55년 단행본으로 발간된 『현대세계문학사전』 및 『세계문예사전』 은 표면적으로는 세계의 문예지식을 망라하는 백과사전식 구성을 취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문학용어 역시 민족(어)문학 단위로 재편되고 있던 상황이 놓여 있다. 민족문학 단위로 분화된 용어들을 연결시켜 주고 있는 것은 문예사조와 관련된 어휘들이다. 1920년대 『개벽』의 「중요술어사전」에 수록되어 있던 `~ism` 관련 어휘들의 대부분은 두 사전에도 재수록되어 있다. 「중요술어사전」의 어휘들이 상당부분 한국전쟁 직후 발간된 문학용어사전에 계승된 것과 달리, 『인문평론』의 「모던문예사전」에 수록되어 있던 용어들은 많은 부분 그 사전들에 수록되지 않았다. 「모던문예사전」의 핵심적 문제의식을 내포하고 있던 `교양`, `세대`, 그리고 김남천이 정리했던 `모랄`, `세태소설`, `풍속`, `전형`과 같은 용어들에도 『세계현대문학사전』 및 『세계문학사전』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한국전쟁 직후의 문학용어사전이 재구성하려고 했던 민족문화는 1930년대 후반 조선문학의 고민들과 온전히 대면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비로소 형성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 대신 이 사전들은 한국전쟁 전후 재편된 문단 제도, 즉 격렬한 좌우 대립의 결과로 탄생한 문단 제도 관련 어휘를 상당 부분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그 어휘를 서술하는 두 사전의 방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곽종원의 『세계현대문학사전』이 냉전적 질서가 야기한 좌우대립구도를 문학용어사전의 형태로 재생산하려 했다면, 백철이 대표 편술한 『세계문예사전』은 그 구도와 거리를 둘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problems that compilers realized in the process of arranging and defining literary term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ttempted to resolve, based on `Dictionary of Important Predicates (1924)`, `New Writer Literature Dictionary (1934)`, and `Modern Literature Dictionary (1939 - 1940)` . In addition, it was to reconstruct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ies by comparing them with two dictionaries, `Modern World Literature Dictionary (1954)` and `World Literature Dictionary (1955)` that were published in book form after independence. With the foregoi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literature-related concepts have been redefined before and after independence.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terms compil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had one thing in common; they were serialized in magazines. All the glossaries were called `dictionary`, but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y could not be published in book form.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terms began to be published in book form, like those of today, as `Modern World Literature Dictionary` was compiled by Jong-Won Gwak in 1954 and `World Literature Dictionary` by Cheol Baek. This study reviewed the respective problems that compilers realized while arranging and defining literary term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ttempted to resolve, as well as to track how their realization and attempt influenced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published in book form after independence. `Modern World Literature Dictionary` and `World Literature Dictionary` were published in book form between 1954 and 1955 after independence. Out of their names, however, they reflected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at occurred from independence to Korean War. Ostensibly, the two dictionaries take the form of encyclopedia including all literary knowledge in the world, but internally they rearrange literary terms according to the unit of national (-language) literature.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published from 1954 to 1955 show multilayered knowledge on national literature so as to reorganize national culture of those days. The terms, divided as to the unit of national literature,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by vocabularies related to literary trends. The terms, including a suffix `ism`, were contained in `Dictionary of Important Predicates` in the 1920s and also were contained in the two dictionaries again. The vocabularies in `Dictionary of Important Predicates` are mostly grounded on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published after independence, but on the contrary to this, the terms in `Modern Literature Dictionary` published in the late 1930s were not contained in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published after independence. It shows that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published after independence did not squarely face the trace of Chosun literature in the late 1930s.

      • KCI등재

        슬라브어 단일언어사전에서 공간 어휘의 의미기술 - “오른쪽”, “왼쪽”을 지시하는 슬라브어 어휘를 중심으로-

        정정원 한국슬라브어학회 2019 슬라브어연구 Vol.24 No.2

        The article examines the definitions of the Slavic words referring to “left” and “right” in Russian, Polish, Czech, BCS, and Bulgarian monolingual dictionaries. Many English and Korean monolingual dictionaries describe “Right” as “the side of your body that is to the east if you face the north” and “Left” as “the side of your body that is to the west if you face the north”. Those cannot be the best definitions because the explaining concepts “North”, “South”, “East”, “West” are more complicated and more abstract than the explained concepts “Left” and “Right”. Moreover, “North” and “South”, on their turn, are sometimes defined as “the right/left direction of your body, if you face the east” in many monolingual dictionaries, making a chain of circular definitions. On the other hand, Slavic and other European monolingual dictionaries share the similar definition of “Left”, describing it as “the side of the body where the heart is located”, which must have begun in Le Dictionnaire de l'Académie Françoise in the 18th century and expanded to other European language dictionaries because it is more intuitive and persuasive. As for “Right”, Russian dictionaries define it as “the side that is opposed to the left”, whereas many other Slavic and European monolingual dictionaries describe it as “the side of body where the heart is not located”. The latter description seems to be better and the “heart” also can function as a core concept in defining “Right”. Some Slavic dictionaries distinguish between “the absolute left/right side” with their own inner directions (e.g. the left/right hand, leg, eye, etc.) and “the relative left/right side” varying depending on the observant’s position (e.g. the left/right tree, street, person etc.), while others do not, though they differ in semantic and syntactic valency. The definitions of “the political left / right” are very similar in most Slavic monolingual dictionaries. The Slavic dictionaries written during the Cold War describe “the political right” with negative words, while using more neutral words in describing “the political left”. Some Russian monolingual dictionaries written or revised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continue to define “the political right” with non-neutral words, such as “hostile to the progress (враждебный прогрессу)” and “reactionary(реакционный)”, though now in Russia, “the political left”, such as the Russian Communist Party (КПРФ), oppose to new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nd propose retrospective, reactionary policies. Historically, “Right” obtained positive connotations in Slavic language as well as in many other languages, while “Left” – negative connotations, because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people are right-handed. The Slavic dictionaries describe “Right”s derived positive meanings, such as “guiltless”, “correct”, “just”, “genuine”, “noble”, “legal”, etc. and “Left”s derived negative meanings, such as “secondary”, “illegal”, “clumsy”, etc. above all, with the help of their synonymous adjectives¸ but this kind of description is undesirable, because it can cause a circular definition. Though the fixed phrases, idiomatic expressions and derived forms are very important element in a dictionary that can help the users expand their vocabulary, they are added after the given word’s definition only in the Great Dictionaries such as the 17-volumed Russian dictionary БАС and the 15-volumed Bulgarian dictionary РБЕ, and 19-century Russian dictionary СД, and sometimes they even lack the proper definitions.

      • KCI등재

        국어사전에 대한 문법교육적 가능성 탐색

        이성우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In this article, We discussed three things.. First, this article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n dictionaries. It was mentioned that education on dictionaries is concentrated in the 3rd-4th grade group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ot well covered in middle school and that dictionaries are being introduced only in <Practical Korean Language>. Through this, it was analyzed that education on dictionaries was overall insufficient. Second, this article argued that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on web- based dictionary. As most of the dictionaries are currently being distributed through the Internet or apps, it was felt that education on them was urgently needed. In particular, it was discussed that the role of the web- based dictionary as a medium that connects various dictionaries. However, as education on paper dictionaries is still worthwhile, it was determined that education on web and paper dictionaries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Third, this article saw that dictionaries can help us organize our grammar education more elaborately. In order to confirm this, a plan to introduce a dictionary into currently published textbooks was discussed.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dictionaries can be used as useful reference materials in all areas of phonology, grammar, meaning, and Korean histor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rammar education using dictionaries. 이 글에서는 세 가지 사항을 살펴보았다. 첫째, 이 글에서는 사전 교육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사전에 대한 교육이 초등학교 3-4학년군에서 집중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더불어 중등 국어교육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으며, <실용국어>에서나 사전에 대한 내용이 도입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사전에 대한 교육이 전반적으로 미흡하다고 분석하였으며, 중등 공통 교과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함께 주장하였다. 둘째, 이 글에서는 특히 현재 사전 교육의 문제점으로 웹 사전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사전이 인터넷이나 앱으로 보급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다고 보았다. 특히 웹 사전을 사전의 한 종류가 아닌, 다양한 사전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이 부각될 필요가 있다고 논의하였다. 다만 종이사전을 교육하는 것 또한 아직 가치가 있다고 보아, 웹 사전과 종이사전에 대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파악하였다. 셋째, 이 글에서는 사전이 우리의 문법교육을 보다 정교하게 구성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 출간된 교과서에 사전을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음운, 문법, 의미, 국어사 분야 모두 사전은 유용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전을 활용한 문법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영한사전의 역사와 시대별 영한사전의 특징

        송은하(Song, Eunha) 한국사전학회 2013 한국사전학 Vol.- No.22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on English-Korean dictionaries, but there has not been any organized record of English-Korean dictionaries from the first one published in 1890 to the present on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history of English-Korean dictionaries and to analyze the features of major English-Korean dictionaries according to different time periods. The dictionaries analyzed in this study are classified into four periods: before 1945, in the 50s and 60s, in the 70s and 80s, and from the 90s to the present. Through tracing the history of English-Korean dictionaries and examining various English-Korean dictionaries, it is found that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and efforts to improve English-Korean dictionaries.

      • KCI등재

        개화기 우리말 기술에 반영된 서구 언어적 시각―『한불자뎐』과 『한영자뎐』을 중심으로―

        서민정,정진영,김인택 한글학회 2009 한글 Vol.- No.283

        이 연구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이른바 ‘개화기’ 우리말 모습의 한 단면을 담고 있는 개화기에 간행된 ‘대역 사전’을 통해 서구 언어적 시각이 우리말 기술에 반영되기 시작하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서양인 제작의 ‘사전’에 주목하는 것은 그러한 사전이 초기에 제작되어 그 뒤에 간행된 한국인 제작의 사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음이 예상되고, 개화기와 근대 사람들이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서양인 제작의 사전이 서양을 이해하는 하나의 통로 역할을 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이 연구는 대역 사전의 그와 같은 역할 속에서 각 어휘가 가지고 있었던 본래의 의미보다는 사전에서 서구적 시각으로 기술된 의미가 일반화되어 가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역 사전은 ‘서양인’의 눈에 비친 한국어의 한 모습이다. 그래서 서구적 관점이 사전에 반영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우리말의 모습 가운데는 서구적 시각에 따라 굴절되어 기술된 부분이 있음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당시 사전을 통해 서구적 시각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가장 초기의 사전인 『한불자뎐』(1880)과 비교적 정제되고 표제어가 많은 『한영자뎐』(1911)을 주로 대상으로 한다. 그리하여 개화기 사전의 형식적 특징, 표제어의 선정이나 배열, 사전의 뜻풀이에서 서구 중심적 시각을 포착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a European viewpoint reflected in linguistic description, through the ‘translational dictionaries’ including a phase of Korean in the so-called ‘Modern Korea’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is paper observes the ‘dictionaries’ published by Europeans since it is expected that they affected our dictionaries published by Koreans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at they played a role of the pathway to understand Europe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Western culture. In other words, this study intends to confirm the process in which meaning described from the European viewpoint is more generalized than inherent meaning of each vocabulary due to such dictionaries. Translational dictionary is a facet of Korean as seen by ‘Westerners’. Thus it may be natural that European viewpoint was reflected the dictionaries, and in doing so, some of Korean were refracted and described according to such viewpoint. Through these dictionaries, this study intends to confirm such refraction. For the sake of our purpose,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French Dictionary (Hanbuljadyeon), one of the dictionaries published in early period and comparatively refined Korean- English Dictionary(Hanyeongjadyeon) with a lot of entry words. So this paper will capture Europe-centered viewpoint by examin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dictionaries in Modern Korea, selection or arrangement of entry words, and definitions.

      • KCI등재

        한국어 사전 편찬 작업의 회고와 반성 : 연세대학교 한국어 사전 편찬 작업을 중심으로

        박형의(PAK Hyong-ik) 한국사전학회 2009 한국사전학 Vol.- No.13

        Korean-Korean dictionaries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for the past eighty years. The history of compiling korean-korean monolingual dictionaries is not long compared with that of compiling korean encyclopedia and bilingual dictionary. In this paper, we examine in brie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korean dictionaries, and we introduce some problems of korean lexicographic traditions in practice. In particular, we elaborate a critical point of view about the making of Korean-Korean dictionary entitled 'Yonsei Korean Contemporary Dictionary' following 'Yonsei Korean Dictionary' published in 1998. We note the history traditional of the dictionary making at Yonsei University and the attitude of the lexicographer who work in the Institute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udies of Yonsei University. We also referred to the object of compiling the dictionaries, the questions affecting the lexicographer and the reading public.

      • KCI등재

        태한 사전과 한태 사전 편찬에 관한 소고 (pp.25-40)

        윤경원(Yoon Kyung Won) 한국사전학회 2010 한국사전학 Vol.- No.15

        A dictionary is indispensable for studying a language. In particular, the dictionaries of dual languages are so important for the students who understand and practice foreign languages. Thai-Korean and Korean Thai Dictionaries are bilingual dictionaries. This work is to survey how the dictionaries, that were published in 1993 and 2006, are helpful for Korean and Thai students who study Thai and Korean languages in respective. In addition, it examines something to be desired in the dictionaries. The enterprise of Thai-Korean dictionary was embarked by virtue of financial assistances of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Hankuk Univesity of Foreign Studies in 1986. On the other hand,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Ministry as an effort of academic improvement enabled us to start the enterprise of Korean-Thai dictionary in 1993. No doubt, the enterprises were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the students, the upgrade of their level in study, and the expansion of Korea-Thailand intercourse. For the improvement of the dictionaries in the future, there is no doubt that not only more strict academic standards should be applied to the jobs, but also the enterprise should be consulted by its experts with the securing of abundant financial support.

      • KCI등재

        EFL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 Use of Electronic Dictionaries

        Mae-Ran Park(박매란)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06 영어어문교육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dictionary use in Korea and the attitude toward its use by Korean college students; second, to investigate to what degree e-dictionaries may be useful and effective tools in helping to improve learners" overall English skills. The subjects were 84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instrument employed was the Preliminary Student Usage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gether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developed by Koyama and Takeuchi (2004), which was modified for the study.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special instruction session on how to use e-dictionarie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users of the dictionaries. Those subjects who had received the instruction display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use of e-dictionaries. Secon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use of e-dictionarie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proper guidance on the use of e-dictionaries and their benefits sh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users.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research will shed light on the current status of electronic dictionary us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