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미술 감상교육에서의 문화적 다원성 - 문화 변용의 관점에 의한 방법론 -

        류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0 造形敎育 Vol.0 No.38

        A lo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done recently. I think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 viewpoint of the culture and cultural understanding that passes the art are important.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another culture and one's culture clearly. Moreover, it is also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expecting generally the traditional culture will be plurally seen clea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ill research seeing the culture on a plural side.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discuss it concerning a social cultural viewpoint that sees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in cultural pluralism. The present study is a part of the methodological research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the appreciation education to put the base on cultural diversity at the present period was examined here. Especially,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class progressed and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e viewpoint to acculturation in Korean art.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Cultural pluralism improves communications skills through an affirmative concern for the opened attitude to the art and the culture, especially other cultures. It is necessary to deepen recognition to the culture like cultural contact and the transformation, etc. in the class to which cultural pluralism is done by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grope for the identity of one's culture through this. Through Art appreciation education, cultural pluralism expands the outlook on the world for approach to the culture. 미술 감상을 통한 문화적 다원주의의 교육과 다문화교육은 동일한 것인가,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또한 만약 다문화교육의 개념을 ‘타문화와 우리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나아가 차이가 생기는 원인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찾는 것’(류재만, 2010; 박미진, 2010)이라고 본다면, 물론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이나 미술을 통한 문화이해의 측면이 강조된다. 그러나 ‘타문화’와 ‘우리 문화’라는 구분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무엇보다도 ‘타문화’와 ‘우리 문화’는 과연 확고하게 구분될 수 있는가. 또 전통문화를 다원적으로 접근할 때와 일반적인 전통문화로 접근할 때의 차이는 무엇인가 등 특히 다원적 측면에서 문화에 대한 접근 방식에는 아직 미흡함이 보인다. 특히 문화적 다원성 가운데 한국의 전통 문화를 보는 사회문화적 관점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는 감상교육의 방법론 연구의 일환으로, 여기서는 현대에 있어서 문화적 다양성에 기반을 둔 감상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전통미술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에서 문화변용의 관점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및 수업을 진행하고 이에 대해 분석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감상 교육에서 문화적 다원성은 다음 관점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첫째, 문화적 다원성은 미술과 문화에 대한 열린 태도, 특히 타자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하도록 한다. 문화적 다원성에 대한 모색은 미술과 문화에 대한 열린 태도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다른 문화, 타자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통해 미술에 기반을 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또 그렇게 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적 다원성을 주제로 하는 한국미술 감상수업은 문화 접촉과 변용 등 문화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며 이는 자기 문화의 정체성 모색으로 연결된다. 문화의 전통과 문화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이문화간 문화접촉, 갈등, 수용의 과정을 거쳐 온 동아시아 미술 맥락에 의한 감상을 통해 더 보완될 수 있다. 문화적 다원성을 고려한다는 것은 ‘한국미술은 훌륭하다’ ‘중국 미술도 일본 미술도 모두 훌륭하다’는 식의 문화 상대주의적인 입장이나 ‘불교미술의 공통성’ ‘미적 원리의 유사성’, 그래서 문화는 다 비슷하다는 식의 보편주의만이 아니라 상호간의 관계, 그 사이의 미적 원리를 맥락에 의해 모색하고자 하는 노력인 것이다. 이러한 문화변용의 측면에서 한국미술의 특징을 모색하는 것은 정치적이며 집단적인 이데올로기를 벗어나 자기문화의 정체성을 새롭게 확립해 나가는 과정이 된다. 셋째, 문화적 다원성은 감상교육에서 문화에 대한 다원주의적 접근을 통해 세계관을 확대시키도록 한다. 한국미술 감상교육은 ‘우리 것’으로, 애호와 보존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지기 쉬운 한국미술을 과거의 전통을 주어진 방식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새롭고 흥미로운 문화를 받아들이거나 새로운 것들의 홍수에 휩쓸려 그저 순종적인 소비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 감상교육을 통해 자신의 눈으로 새롭게 발견하도록 하면서 기존 사고의 틀을 깨뜨려 가는 것이다. 자신과 타자의 만남에 의해 상호간 차이, ‘다름’의 단계를 발견하는 것, 나아가 자기 자신에게서 타자의 모습을 발견하는 것, 만남을 통해 자신과 타자의 연결점을 찾으려는 태도는 오늘날 다원주의적 접근의 중 ...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에 미친 문화다원주의(Pluralism) 영향 연구

        남미경(Mee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문화다원주의의 개념과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과의 연관성 및 표현특성을 분석하고, 21C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의 흐름을 모색하여 21C 사회와 소비자의 요구와 필요성에 대응할 수 있는 이론적 디자인 컨텐츠(Theoretical Design Content) 개발에 필요한 체계적 디자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화다원주의 개념 및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 발생과의 연관성에 관한 학술보고서, 문화다원주의 기반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 표현 경향 조사, 전문 학술지 등 자료 중심의 분석과,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주된 범위와 내용에는 문화다원주의의 개념 및 문화다원주의를 기반으로 한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의 발생배경과, 문화다원주의 기반 주요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 표현 경향에 대한 분류와 제품디자인에 대한 사례 조사, 그리고 21C 포스트모더니즘 흐름에 반영된 문화다원주의 영향과 표현방식에 대한 분석 결과가 포함 되어 진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은 다양성, 상징성, 장식성, 회화성, 암시, 역사주의, 복제된 이미지 등 다수의 양식을 하나의 제품에 혼합적용 시키려는 문화적 접근방식을 사용하고, 상징과 의미회복을 통하여 대중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제품의 형태를 제시하고자 다국적·다문화·다계층적인 양식의 표현을 즐겨 차용함으로서 문화다원주의와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은 이러한 표현특성과 문화다원주의로부터 기인한 ‘미학으로서의 일상’, 나아가 ‘디자이너와 소비자와의 제품을 통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21C에 이르러서 미학 지향 디자인과, 환경파괴와 인간정신의 황폐화 극복에 초점을 둔 사회적 책임 지향의 디자인 양식들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디자이너들이 자신이 지향하는 디자인의 사회적 가치를 제품 메시지로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어 향후 이러한 흐름은 지속적인 진행·발전 되어 질 것으로 고찰 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systematic·academical data for developing theoretical design content corresponding a necessity and demand by our society and consumer in 21C, through researching 21C post-modernism design trend, and analyzing the effect by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on post-modernism design and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post-modernism design.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ferences such as the reports about the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and its connectional origin of post-modernism design, papers about tendency of post-modernism design based on cultural pluralism, journals, and to review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Main scopes and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a background on the outbreak of the post-modernism design based on cultural pluralism, a classification and case studies on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 tendencies of post- modernism design by effecting cultural pluralism, and an analysis of main effective factors by cultural pluralism on 21C post-modernism design and their expression on the products. As the main contents and results are as follows. Conn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luralism and post-modernism design has been analyzed through symbolism and meaning recovery from the distinguishable expression by multi-nationality·multi-culture·multi-class on the product to make easier understanding for general public. And cultural approaching methods are commonly applied on post-modernism design such as utilizing various styles on the product with multi-valence, symbolism, ornamentation, picturesqueness, allusion, historicism, and copied imagery. Aesthetic-oriented design, and socially-oriented design, which intends to overcome an ecocide and desolation of human spirit, in 21C came from the value of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 and designer through the product`` advanced from ‘elevating the ordinary`` on post-modernism design idea based on cultural pluralism. Further sustainable development in design area is expected by the conveyed messages on the product from the designers who attempts to put their social-valued philosophy on it.

      • KCI등재

        한류의 신화 구조와 문화 이데올로기

        박장순 ( Park Jang-soon ),변동현 ( Byun Dong-hy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한류가 4년 넘게 장기 만성적 위기에 빠져있다. 방송콘텐츠의 해외수출 통계가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잡히기 시작한 1995년 이래 처음으로 2006년 방송콘텐츠 총 수출액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드라마 수출이 감소한다. 수출성장률 또한 2006년 이후 2009년까지 2000년대 상반기 평균 성장률의 1/5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런 만성적 위기의 근본 원인은 무엇일까? 본 논문은 문헌연구와 더불어 레비스트로스(C. Levi-Strauss)의 이항대립적 신화구조의 틀을 원용, 귀납적으로 한류의 이중적 함의가 문화제국주의와 문화다원주의에 기초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는 한류의 신화적 의미구조를 파악해가는 과정이기도 하고, 동시에 한류 위기의 근본 동인(動因)인 반(反)한류의 이데올로기적 토대가 문화제국주의에 있고, 친(親)한류의 이데올로기적 토대가 문화다원주의에 기초하고 있음을 규명한다. 위기가 무엇에 연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원인의 제거는 위기 해결의 열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debate is recently heated why the Hallyu(The flow of Korean culture into foreign countries) boom has been declining year by year. According to the government statistics which has been compiled since 1995, the amount of TV drama export occupying about 90% of the whole TV contents export`s amounts started decreasing in 2006. The rate of export growth of broadcasting contents also drastically decreased in the second half of 2000`s, to be only one fifth of the first half of the 2000`s. What i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sharp downturn of Hallyu phenomenon? This study intends to explicate the cause in the light of the cultural ideology perspectives and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s of cultural imperialism and cultural pluralism. This study argues that the dual meaning of the coined word `Hallyu` comes from the cultural ideologies in the relationship of binary opposition, and examines clos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ultural ideologies and pro/anti-Hallyu through the mythological structure theory. Based on the concept of Levi-Strauss` mythological structure, this study finds that there aroused dual meaning of `reject`(negative) and `acceptance`(positive) of `Hallyu` phenomenon in the mind of foreign people. It is argued that Hallyu phenomenon could be explained by the ideological theories of cultural imperialism and cultural pluralism, and these ideologies are the fundamental cause of pro-Hallyu and anti-Hallyu. In short, cultural imperialism ideology lies behind the anti-Hallyu(寒流), and cultural pluralism ideology lies behind the pro-Hallyu(韓流) trends in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LEGAL PLURALISM IN THE UNITED STATES: A FANTASY?

        Jae-Hyup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06 영미연구 Vol.14 No.-

          This paper discusses whether legal pluralism exists in the United States. Specifically it looks at whether and how American jurisprudence embraces pluralistic idea. Regarding courts as a cultural arena for negotiating between dominant cultural values and those of subcultur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American law can and should be modified to take into account foreign cultural practices. To illustrate this theme, this paper presents a cultural critique of the use of cultural defense in American criminal proceedings as an example. In sum, American jurisprudence has not embraced the idea of cultural pluralism. The procedural guarantee to include voices and perspectives from diverse groups has acted to produce unintended results. The increased use of cultural defense has not fundamentally altered the courts’ positions. The effective use of the cultural defense depends on court’s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ulture.

      • KCI등재

        주쳰즈의 세계문화유형론에 관한 고찰

        전홍석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1 No.-

        주쳰즈, 문화학, 문화유형론, 문화지리학, 세계문화 3원론, 복수문명론, 문명다원주의.mechanism and academic survey which diagnoses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the future world. Till the age of imperialism when the Europe ruled the world, there had been only a Christian civilization as the singular civilization in the world. Then O. Spengler and A. Toynbee, the critics on civilization, admitted and enlarged the meaning of plural civilizations against the theory of singular civilization that had been the ruling ideology in the Western world. The theory of world cultural typology of Zhu qianzhi can be a response to the history of this mentality. When discussing, his idea of three world cultures was conceived from the type and trait of knowledge culture, the whole lifeline of culturology. So to speak, there are religious culture, philosophical culture, and scientific culture in his idea. First, when metaphysically understanding this theoretical system through cultural geography of G. W. F. Hegel, the highlands culture is India as a religious culture, the plains culture is China as a philosophical culture, and the ocean culture is the Western world as a scientific culture, each in the view of geographic traits. This theory of three geographic cultures has a cultural pattern of historic people embodying the axial spirits, advocated by Karl Jaspers. It is also confirmed by cultural areas in the human history, that is to say, three areas of cultural unit according to the traits of knowledge culture. In addition, Zhu qianzhi standardizes its present identity in the theory of three world cultures by accepting three directions of cultures of Liang shuming and three types of knowledge of M. Scheler. These days where there is a clear plural civilization system, his idea of world cultural typology can be a significant model as a cultural pluralism with polycentrism to prospect the whole aspects in the world history.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theory of Samuel P. Huntington, who led the theory of alternative modern civilization, is based on the chauvinism from the western culture covered with pluralism, it is more significant to review the Eastern Asia cultural typology as the pluralism in the present aspect. 21세기 ‘문명’이 현실상황을 진단하고 미래세계를 조망하는 본원적 기제와 학문적 탐구로 안착하기까지는 지난한 문명사적 투쟁이 자리한다. 유럽이 세계를 석권한 제국주의시대에 이르기까지 세계는 오직 하나의 세계문명이라는 단수로서의 기독교문명만이 존재했다. 그런 차원에서 문명비평가 슈펭글러와 토인비 등은 서구의 지배이념이었던 단일문명론에 맞서 문명의 복수적 의미를 인정하고 확대했다. 주쳰즈의 ‘세계문화유형론’은 이러한 지성사적 반향이라고 할 수 있다. 논구컨대 그의 ‘세계문화 3원론’은 문화학의 전체 생명선인 지식문화의 유형과 특질로부터 착상된 것이다. 이를테면 종교문화, 철학문화, 과학문화가 그것이다. 먼저 이 이론체계는 헤겔의 문화지리학의 형이상학적 이해를 통해 고원문화는 ‘인도’로서 지리적 특성상 종교적 문화를, 평원문화는 ‘중국’으로서 지리적 특성상 철학적 문화를, 해양문화는 ‘서양’으로서 지리적 특성상 과학적 문화를 각각 형성한다. 이 지리적 3원론은 야스퍼스가 주창하는 기축정신을 체현한 역사민족의 문화패턴으로서 재차 인류역사시대의 문화구역, 즉 지식문화의 특질에 따른 세 영역의 문화단위로 확정된다. 주쳰즈는 여기에 더하여 량수밍의 ‘문화의 3방향설’과 막스 셸러의 ‘지식의 3형식’을 원용함으로써 자신의 ‘세계문화 3원론’의 현재적 정체성을 정형화한다. 문명의 다극화체제가 확실시되는 오늘날 주쳰즈가 구도한 세계문화유형론은 세계사 전체상을 조망하는 ‘다중심적 문명다원주의’의 중요한 모델이 될 수 있다. 더군다나 현대 문명대안론을 주도한 헌팅턴의 이론이 다원주의의 옷을 걸친 서구문화쇼비니즘에 기초한다는 사실을 감안해볼 때 그의 ‘동아시아 문화유형론’이 갖는 다원주의적 현재성은 더욱 각별하다.

      • KCI등재

        문화,비교철학 : 주쳰즈의 세계문화유형론에 관한 고찰 -세계문화 3원론을 중심으로

        전홍석 ( Hong Seok Jeon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1 No.-

        21세기 ‘문명’이 현실상황을 진단하고 미래세계를 조망하는 본원적 기제와 학문적 탐구로 안착하기까지는 지난한 문명사적 투쟁이 자리한다. 유럽이 세계를 석권한 제국주의시대에 이르기까지 세계는 오직 하나의 세계문명이라는 단수로서의 기독교문명만이 존재했다. 그런 차원에서 문명비평가 슈펭글러와 토인비 등은 서구의 지배이념이었던 단일문명론에 맞서 문명의 복수적 의미를 인정하고 확대했다. 주쳰즈의 ‘세계문화유형론’은 이러한 지성사적 반향이라고 할 수 있다. 논구컨대 그의 ‘세계문화 3원론’은 문화학의 전체 생명선인 지식문화의 유형과 특질로부터 착상된것이다. 이를테면 종교문화, 철학문화, 과학문화가 그것이다. 먼저 이 이론체계는 헤겔의 문화지리학의 형이상학적 이해를 통해 고원문화는 ‘인도’로서 지리적 특성상 종교적 문화를, 평원문화는 ‘중국’으로서 지리적 특성상 철학적 문화를, 해양문화는 ‘서양’으로서 지리적 특성상 과학적 문화를 각각 형성한다. 이 지리적 3원론은 야스퍼스가 주창하는 기축정신을 체현한 역사민족의 문화패턴으로서 재차 인류역사시대의 문화구역, 즉 지식문화의 특질에 따른 세 영역의 문화단위로 확정된다. 주쳰즈는 여기에 더하여 량수밍의 ‘문화의 3방향설’과 막스 셸러의 ‘지식의 3형식’을 원용함으로써 자신의 ‘세계문화 3원론’의 현재적 정체성을 정형화한다. 문명의 다극화체제가 확실시되는 오늘날 주쳰즈가 구도한 세계문화유형론은 세계사 전체상을 조망하는 ‘다중심적 문명다원주의’의 중요한 모델이 될 수있다. 더군다나 현대 문명대안론을 주도한 헌팅턴의 이론이 다원주의의 옷을 걸친 서구문화쇼비니즘에 기초한다는 사실을 감안해볼 때 그의 ‘동아시아 문화유형론’이 갖는 다원주의적 현재성은 더욱 각별하다. There have been hard struggles for the 21C Culture to settle as an original mechanism and academic survey which diagnoses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the future world. Till the age of imperialism when the Europe ruled the world, there had been only a Christian civilization as the singular civilization in the world. Then O. Spengler and A. Toynbee, the critics on civilization, admitted and enlarged the meaning of plural civilizations against the theory of singular civilization that had been the ruling ideology in the Western world. The theory of world cultural typology of Zhu qianzhi can be a response to the history of this mentality. When discussing, his idea of three world cultures was conceived from the type and trait of knowledge culture, the whole lifeline of culturology. So to speak, there are religious culture, philosophical culture, and scientific culture in his idea. First, when metaphysically understanding this theoretical system through cultural geography of G. W. F. Hegel, the highlands culture is India as a religious culture, the plains culture is China as a philosophical culture, and the ocean culture is the Western world as a scientific culture, each in the view of geographic traits. This theory of three geographic cultures has a cultural pattern of historic people embodying the axial spirits, advocated by Karl Jaspers. It is also confirmed by cultural areas in the human history, that is to say, three areas of cultural unit according to the traits of knowledge culture. In addition, Zhu qianzhi standardizes its present identity in the theory of three world cultures by accepting three directions of cultures of Liang shuming and three types of knowledge of M. Scheler. These days where there is a clear plural civilization system, his idea of world cultural typology can be a significant model as a cultural pluralism with polycentrism to prospect the whole aspects in the world history.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theory of Samuel P. Huntington, who led the theory of alternative modern civilization, is based on the chauvinism from the western culture covered with pluralism, it is more significant to review the Eastern Asia cultural typology as the pluralism in the present aspect.

      • KCI등재

        다문화시대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

        서은숙(Seo Eun-Suk)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본고는 현대 다문화, 다 가치 사회에서 한류의 정체성과 그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류는 지금으로부터 약 10 여 년 전 시작되었고, 한류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한류는 주로 경제적 가치로 이해되었다. 본고에서는 한류에 대한 연구들에서 한류의 실태와 그 구체적 내용을 정리하였고, 한류를 문화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을 논하였다. 이러한 다문화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한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 문제이며, 한국 문화 정체성의 기반에는 다시 인문학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 점에서 한류를 현재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대안과 인문학 위기에 대한 문제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문화정체성, 아시아 문화공동체 네트워크 형성 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여, 한류의 전개, 한류의 정체성-유교 문화, 풍류정신, 한류의 발전 방향-문화콘텐츠 개발 등을 논의하였다. 문화보편성으로서의 한류의 정체성에는 仁과 和 그리고 風流精神(대조화) 등으로 볼 수 있고, 이를 현대 사회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류 발전의 방향에는, 첫째, 인문학이 한국 문화의 기반이 되는 철학, 윤리, 문학, 역사 등을 다루며, 한국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는 이러한 인문학적인 배경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그것을 발전시키는데 있을 것이라는 의미에서 인문학 부흥의 필요성, 둘째,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연계 연구, 셋째, 열려있는 한국문화콘텐츠의 개발, 넷째, 문화콘텐츠 교과목의 개설, 다섯째, 문화 원형으로서의 다양한 한류 콘텐츠 개발 - 유교 사상, 학자 및 선비의 일대기, 향교, 서원 등의 유교문화재, 복식, 건축, 음식 등의 생활 문화, 음악, 미술 등의 예술 분야 등의 디지털 복원- 등이다. I studied on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Wave(韓流, Hallu) in a multi-cultural society. Korean-Wave arose about 10 years ago and researches interpreted it as a economic value. Based on many studies and researches of Korean-Wave, I summarized thoroughly about actual condition and concrete contents of Korean-Wave. And I discussed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Wave(韓流, Hallu)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I understood Korean-Wave as a altern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 solution to establish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a formation of network between Korean culture's identity and Asian community. Based on my understanding, I discussed about Korean-Wave's development, identity(Confucian culture, and Pungnew), and direction, as well as cultivation of cultural contents. As a cultural universality, Korean-Wave's identity includes benevolence(仁), harmony(和) and elegance(風流精神, the great harmony) and these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society. Firstly,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lise in development of Humanities. Relating to the crisis of Humanities since 2006, I think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are also problems to the Korean culture's establishment of its identity. Because the base of Korean culture is Humanities which studies philosophy, ethics, literature and history. In order to establish Korean culture's identity, the understanding of Humanities' background and its development is needed. Secondly, to develop Hallu, we cultivate Hallu as a Korean cultual archetype. Korean-Wave should be not only understood as a economic value but also interpreted as a cultural concept. As one of cultural archetypes, Korean culture, especially Confucian thoughts and Pungnew,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much more in the fields of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 KCI등재

        학교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커리큘럼 상호성

        박인기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1 한국언어문화학 Vol.8 No.1

        Park, In-gee. 2011. Reciprocality of curriculum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ol. 8-1. 23-43 Unlike traditional subject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becomes effective by pursuing reciprocality of curriculum. Reciprocality of curriculum means multi-cultural programs in various forms in school education organic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ncrease the overall effect. Reciprocality of curriculum is an idealistic concept, but it can be a practical concept that aims it.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must pursue and aim reciprocality of curriculum as the following. First, it must reciprocality between essentialism and realism. Essentialism is education that pursues a general ideal that we should understand and share various cultures. And realism is an educational aspect that solves multi-cultural phenomenons in problematic perspective that are becoming realistic problems of our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circulation of actual multi-cultural education, essentialism and realism should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have continuity. Second, When teaching Korean in multi-cultural education, we should not consider ①' Korean education that makes to learn Korean functionally ②‘Korean education that makes to learn Korean culturally as different conditions and let thos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have synergy effect. Third, we need to consider reciprocality between assimilationism and pluralism.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tries to assimilate a person in multi-cultural situation to Korean culture can be assimilationism. On the other hand, pluralism is a position approving and developing pluralistically the person's own culture and current culture. Under the structure of [assimilationism vs pluralism], we need to think about what curriculum to develop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we need to consider reciprocality through inter-subjects. And it is important to enlarge reciprocality and consilience between individual curriculum for the whole goo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e need an curriculum innovation for developing of schoo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planning and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tself is very mobile and it has a dynamic aim. Realistic multi-cultural education changes quickly on the conditions of very sensitive individuality according to situations. So we need to newly develop and provide multi-cultural programs that reflect it well. Especially we need to put effort on undergo progressive assimilat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s into multi-cultural education situations. Accordingly, we need to develop cultural talents insid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use them as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Gyeongi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문화 다원주의, 문화적 정체성, 공약불가능성

        김유신,윤상근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7 No.-

        이 논문은 문화다원주의를 상대주의를 받아들이지 않고 정식화할 수 있음을 보이려 한다. 그 전략으로서 일반적으로 다원주의가 가능한 이유를 공약불가능성에 두는데, 이 때 이 공약불가능성은 강한 공약불가능성이라기 보다는 약한 공약불가능성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이유는 강한 공약불가능성은 문화자체의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문화 간의 차이와 같음에 대한 이야기는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이 있다. 문화적 정체성은 비록 문화가 변하더라도 성공적으로 지시한다고 일반적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가 보이드의 항상속성다발이론을 사용하고, 문화가 변화더라도 고정적 지시가 가능함을 논증했다. 그리고 문화가 변화 속에서도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문화적 정체성 개념 자체를 구성적 정체성과 본질적 정체성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장치들을 가지고 문화들 간의 대화가능성을 다루었다. 문화 간의 대화에서는 타문화에 대한 우호적 태도를 보이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문화정체성을 잃어버리는 거나 또는 문화적 자부심을 잃는 것에 대한 불안이다. 문화적 대화는 창조적 대화라는 것을 주장하고, 상대방 문화의 해석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문화에 대한 해석도 올바르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이야기 했다. 공약불가능성으로 인해 문화 간의 대화는 어느 한쪽의 흡수적인 아니면 확장인 방식의 이해가 아니라, 파이어벤드의 과학철학이 제시했듯이 문화 영역의 창조적 증식이다. 따라서 만나는 두 문화 모두 창조적 변화가 필요하다. 문화 간의 대화가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대화의 장애물인 문화적 정체성 상실의 두려움을 제거하기 위해, 타문화가 스스로 변화가 필요하도록 대화의 이니시어티브를 상대방에 주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This Thesis is to show cultural pluralism without relativism. In general, cultural pluralism with relativism is claimed due to incommensurability between different cultures. But we argue that this is wrong, by showing that the incommensurability between cultures is not strong one but weak one, because. strong incommesurability cannot explain even the construction of culture itself. The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are related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identities. Cultural identies are refered by homeostatic-cluster theory of reference by Boyd, rather than constructive view. We argued that by this theory of reference the cultures are rigidly referred through the changed of cultures. We also argued that cultural identit has two components, essential component and constructive component. We also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ommunication with these weak incommensurability thesis and the proposed concept of cultural identities. The obstacle to the cultural communication is the fear of losing their cultural identities. We argue that we can our cultural identies with constructive identies of cultures. Therefore we discuss that through cultural dialogues, each culture interpret the other culture as well as one's own culture to optimize the interpretation by using Davidson's therory of interpretation. This requires change of one's own culture too. We argue that to have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one has better to give initiative to the communication partner.

      • KCI등재후보

        그러므로 문제는 문학이다- 최근 문화연구에 대한 비판적 제언 몇 가지

        류보선 돈암어문학회 2017 돈암어문학 Vol.32 No.-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o a careful reading of Munhaksa ihuui munhaksa(Literary History after Literary History) and Heoyongdoen buron(Permissible Rebellion), books that comprehensively survey the cultural research carried out after the mid-90s and also presen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Reading these two books gives us the opportunity to examine the accomplishments of cultural studies and to look at ways of future research. In Munhaksa ihuui munhaksa, cultural researchers count as the fruits of their research the return of “literatures” and “cultures” previously excluded from literary history that until then was centered on nationalism, men, and the elites, and showing the possibility of “plural literary histories.” This evaluation should not be taken as self-praise. Indeed, cultural research since the mid-90s has drawn several important elements into the realm of literary history, such as subcultures, historical geographies, gender oppression, literary debut systems, which earlier literary history did not talk about or even repressed. And thanks to this, we have the conditions to establish a new genealogy of Korean literature. Heoyongdoen buron is a compilation of research on the colonial censorship system that emerged as an important part of cultural politics studies after the late 90s. It includes almost all areas related to colonial censorship, such as what censorship devices were used by the censors that made it impossible to “write what one wanted to write” and what it was that writers of that period “couldn’t write.” The post mid-90s cultural research that broadened the horizon of Korean literary research now stands at a crossroads: Will Korean intellectuals will carry out meaningful genealogical practice or will their research decline to meaninglessly listing unordered subcultures. This is related to how researchers engaged in cultural studies after the mid-90s view literature. As they move the focus of their research from “literature to cultural studies,” they oversimplify the act, institution, form, or practice of literature. To them, literature is merely an agent of the symbolic order that suppresses subcultures. As a result, they believe that they can dismantle the existing symbolic order simply by returning the subculture to the literary form. However, this brings about the adverse effect of covering up the violence of the symbolic order by only criticizing the literary practice that resists the symbolic order. Thus, in order to invent the “literary history after literary history” or “plural literary histories” that recent cultural research dreams of, “cultural research without literature” should change to “cultural research with culture” or “cultural research with literature.” In other words, recent cultural research can attain its original purpose of dismantling the symbolic order when it compares, contrasts, and infers the research into the cultural sphere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with a serious archaeological exploration of the history and status of literature. Thus, paradoxically, the most crucial question in current cultural and literary research is what literature was, is, and will be. In other words, the issue is still literature. 이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와 『허용된 불온』을 꼼꼼히 읽는 것이다. 이 두 권의 책은 1990년대 중반부터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온 문화연구를 집대성한 문제적인 저작이다. 그러므로 이 두 권의 책을 읽는 것은 그간 문화연구가 쌓아온 업적을 점검하고 향후 문화연구의 갈 길을 조망하는 일이 된다.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에서 문화연구를 주도해온 연구자들은 그간 자신들의 연구 성과로 기존의 민족주의-남성-엘리트 중심의 문학사가 배제한 ‘문학들’ 그리고 ‘문화들’을 귀환시키고 ‘복수(複數)의 문학사’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을 꼽는다. 그들의 이러한 평가는 자화자찬이 아니다. 실제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문화연구는 이전의 문학사가 억압해 왔던 다양한 하위문화, 작가, 젠더적 억압 등등의 중요한 요소를 문학사의 영역 안에 끌고 들어왔고, 이러한 호명 덕분에 우리는 한국문학에 대한 새로운 계보학을 정립하게 되었다. 『허용된 불온』은 1990년대 말부터 문화정치학의 한 영역으로 급부상한 식민지 시기 검열제도에 대한 연구를 집대성한 저작이다. ‘쓰고자 했던 것’을 원초적으로 억압한 식민지 시대 검열 기구가 어떤 검열 장치를 작동시켰는지, 그리고 그것 때문에 당대 작가들이 ‘쓸 수 없었던 것’은 무엇이었는지 등등 식민지 시대 검열에 관한 거의 모든 영역을 포괄한다. 이렇게 한국문학 연구에 의미 있는 지평을 연 90년대 중반 이후의 문화연구는, 그러나 지금 한국지성사의 의미 있는 계보학적 실천으로 자리하느냐 아니면 단지 질서화되지 않은 하위문화들을 의미없이 나열하는 글쓰기로 전락하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다. 그것은 90년대 중반 이후 문화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문학을 바라보는 관점과 관련이 있다. 그들은 ‘문학에서 문화연구’로 그 중심을 옮겨가면서 문학이라는 행위, 제도, 형식, 혹은 실천 영역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킨다. 그들에게 문학이란 오로지 하위장르를 억압하는 상징질서의 대리인에 불과하다. 그 결과 그들은 문학 형식이 아닌 그 바깥의 하위문화를 귀환시키기만 하면 기존의 상징질서를 해체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하지만 이는 언제나 앞선 자리에서 상징질서에 저항하는 문학적 실천을 오로지, 그리고 오히려 비판함으로써 상징질서의 폭력성을 가려버리는 역효과를 낳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의 문화연구가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 혹은 ‘복수(複數)의 문학사’를 발명하기 위해서는 ‘문학 없는 문화연구’에서 ‘문화 있는 문학연구’ 혹은 ‘문학 있는 문화연구’로 그 중심을 옮겨야 한다. 다시말해 문학의 역사와 위상에 대한 진지한 고고학적 탐사 위에 그들이 관심을 갖는 문화 영역에 대한 연구를 비교, 대조, 유추시킬 때, 문화연구는 기존의 상징질서를 해체하는 문화연구 본연의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