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와 한국어 외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발화 행위에서의 담화표지의 문화적 양상

        박은정(Park Eun 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7 영미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제2외국어로서 영어 학습 능률에서 담화표지는 문화적 행위로 간주되는 측면이 많다는 가정 하에 영어와 한국어 각각의 담화표지에 대한 고찰이다. 연구 결과도 역시 제2영어를 하는 한국대학생들에게 영어의 담화표지는 어색하고 발화행위 분포가 고르지 못하다는 점을 밝힌다.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담화표지를 많이 하지 않지 만,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제2언어 학습자는 발화행위에서 평균 이상으로 많이 담화표지를 한다는 결론이다. 이에 대한 비교 분석의 그래프를 통해 담화표지의 종류와 발화 횟수, 퍼센티지를 비교분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영어의 담화표 지는 영어 모국어 화자에게는 하나의 문화행위로서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언어행위의 문화적 양태로 결론지을 수 있으며, 한국어의 담화표지는 말을 잘 할 때 담화표지의 수와 종류가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다. 때문에 한국어 유창성과 한국어 담화표지는 반비례한다고 할 수 있지만, 영어모국어 화자로서 제2 한국어 학습자는 유난히 한국어의 담화표지를 많이 함으로써 그들의 문화 발화행위의 단면을 발견하게 된다. 한국어 담화표지에 대한 학습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는 굳이 필요하지 않지만, 영어를 배우는 제2영어 학습자에게는 영어의 담화표지 학습이 필요함을 도출한다. Despite the important role discourse markers play in everyday native spoken interactions, there are only few spoken corpus-based studies on how Korean speakers use English discourse markers, particularly in their spontaneous English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English native speakers tend to use corpus-based Korean discourse markers. Using a speech task that encourages spontaneous English conversations by Korean speakers, this paper elicits the forms, relative frequencies, and usage of English discourse markers. Researching both the usage of English and Korean discourse markers by non-natives, this paper indicates that Korean ESL learners use limited and less variety of discourse markers compared with English native speakers. This paper shows that Korean speakers’ usage of certain English discourse markers may b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typical native usage. It is relatively natural that English native speakers use yeah (어, 음) of Korean discourse markers in the act of Korean speeches. It is concluded that English discourse markers need to be taught in both explicit and implicit manners in classroom settings. It is significant, since the proper use of discourse marker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abling Korean speakers to communicate in English in a more situationally and culturally appropriate manner. However, Korean discourse markers are less important for English TOPIK learners in Korean communication.

      • KCI등재

        “돌봄의 교수법”을 찾아서: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발발과 국내 온라인 영문학교육의 도전

        김유곤(Yug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1 영미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필자가 2020년 하반기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운영한 학부 온라인 영문학 수업의 사례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팬데믹 시대에 국내 온라인 교육이 어떠한 어려움과 과제를 지녔는지 함께 점검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부 신입생의 전공기초 교과목인 <영미시 입문>과 학부 고학년 학생들의 전공심화 교과목이자 국제어(영어)로 수업을 진행한 <영미 생태문학 읽기>의 사례를 소개한다. 이 글의 목적은 단순히 팬데믹 시대 비대면 온라인 강의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온라인 강의의 설계과정에서 학습자를 배려하는 민주적 소통이나 동료를 배려하는 공동체 의식과 같은 교육의 보편적 가치와 원칙을 실천하는 일이 훨씬 더 어려워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런 한계를 익명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화이트보드’, 교수와 학습자의 실시간 질의응답 활동을 돕는 ‘슬라이도’, 그리고 협업을 통해 완성하는 온라인 마인드맵 프로그램인 ‘마인드마이스터’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극복해보려는 일련의 고민의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필자가 수업사례를 통해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크게 ‘상호작용’과 ‘협력학습’이라는 대학 교수법의 보편적 원칙이며, 본문에서는 이 두 가지 요소를 팬데믹 시대의 온라인 교육이라는 문맥 속에서 각각 ‘멀리서 소통하기’와 ‘자기주도적 협력학습’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 온라인 영문학교육이 현재 응급의 단계를 넘어 팬데믹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생들의 특성과 수요에 맞춘 유연한 수업 진행방식과 함께 디지털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돌봄의 교수법”을 수업 설계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역설하고자 한다. Due to the threat of COVID-19,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begun to offer online classes to help prevent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Online education in the age of the pandemic can be best described what Charles Hodges calls “Emergency Remote Teaching” (ERT), a term that suggests the paradigm shift of instructional delivery during a crisis. This paper provides a case study that shows the challenges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online in South Korea. The move to ERT requires that instructors take more control of the cours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varying levels of digital fluency, especially in the use of educational tools for distant learning. By sharing my experience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course with emerging digital learning tools such as Zoom Whiteboard, Slido, and Mindmeister,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nline teaching pedagogi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 interaction in the virtual classroom and manage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Ultimately, I suggest a “pedagogy of care” for online literature education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at instructors should be more attentive to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challenges in this uncertain time.

      • KCI등재

        차별과 전복의 언어: 캐씨 박 홍의 시의 한국어 사용에 관한 연구

        윤희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9 영미연구 Vol.45 No.-

        This paper explores what the Korean language means for Cathy Park Hong, a second generation Korean-American poet, and how it is accepted by the dominant culture, and how she attempts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major language and minor language by analyzing the poems of her first collection, Translating Mo’um. In “Translating Mo’um,” the title poem of the collection, Hong defines Korean as the language closely associated with physical experiences caused by pain. In “Zoo,” however, the Korean language equivalent to the foreign body is compared to an unintelligible animal language which discriminates and alienates its speakers. The poet implies that bilingual subjects may experience the sense of divided identity by using “collaged,” “cracked,” and “fragments” in “Rite of Passage.” In “Translating ‘Pagaji,’” while readers rely on the poet’s contextual clues within each line to catch the proper meaning of “Pagaji,” they are expected to experience the same embarrassment of immigrants who face the multiple meanings of English vocabulary in different contexts. This experience leads readers to reconsider their self-centered supremacist view on foreign languages. “All Aphrodisiacs” shows the white male lover dominated by the female speaker who turns him on with untranslated Korean words. In this poem, Hong tries to subvert the conventional hierarchy between major language and minor language. 이 연구는 캐씨 박 홍의『몸 번역하기』를 중심으로 한국어가 사용되는 시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민자 시인에게 모국어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소수 언어로서의 한국어가 주류 사회에 어떻게 비추어지고, 시인이 어떻게 지배 언어와 소수 언어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할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표제시「몸 번역하기」에서 한국어는 시인의 감각적 경험과 밀착되어 육체의 물질성을 표현하는 몸의 언어로 규정된다. 그렇지만「동물원」에서 이질적인 동양인의 몸과 동일시된 한국어는 주류 사회에 의해 알아들을 수 없는 동물의 언어로 인식되고 인종 차별의 근거가 된다. 시인은「통과 의례」에서 “콜라주 되고,” “쪼개진,” “파편들” 등의 표현을 통해 이중 언어의 구사자로서 소수 인종의 분열된 언어적 정체성을 암시한다. 그러나 한국어를 바라보는 부정적 시선을 바로잡기 위하여 시인은「“바가지” 번역하기」에서 한국어에 생소한 독자들이 서로 다른 문맥 속에서 바가지의 의미를 추측하는 과정을 통해 미국 사회에서 이민자 여성이 겪는 경험과 이질적인 타자의 언어를 이해할 것을 요구한다. 바가지로 대표되는 한국어는 지배 언어의 독자들에게 소수 언어를 바라보는 자기중심적, 우월주의적 시각을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모든 최음제」는 여성 화자를 앞세워 한국어로 지배 언어 사용자를 지배하고 조종하는 전복적 시도를 보여준다. 시인은 백인 남성을 성적으로 흥분시키는 한국어로 그의 육체를 지배하려는 여성 화자를 통하여 지배 언어와 소수 언어 사이의 새로운 관계 설정을 모색한다.

      • KCI등재

        학부 문화번역 수업에서 기계번역을 활용한 교육방안 모색

        홍승연(Seungyeun Hong),윤미선(Miseon Yoon),최은경(Eun-Kyoung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2 영미연구 Vol.56 No.-

        번역 교육은 언어적 차원만이 아니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영미문화에 대한 이해증진 등 문화적 차원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 번역교육이 문화적 차원에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 탐구하고자 영미권에서 출판된 문화텍스트, 소설 『파친코』를 문화번역 실습과정에 적용하고 기계번역을 학습 도구로 활용하였다. 『파친코』는 한국계 미국 작가 이민진이 2017년 미국에서 출간한 작품으로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인 1980년대까지 4대에 걸친 재일교포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소설 속에는 한국 문화와 관련된 요소들이 다수 포함되어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요소는 기계번역 결과 적절하게 표현되지 않았고 오류도 많았다. 학생들은 실습 과정에서 파친코의 기계번역 결과물을 보고 원문 속 문화적 요소는 무엇이며, 그 문화적 요소를 도착문화권에 맞게 어떻게 번역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논의를 이어갔다. 연구결과 문화번역 수업에서 학부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및 문화특정항목에 대한 개념정리가 더욱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텍스트 상에 명시적으로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맥락상 문화적 요소로 판단되는 지점을 학생들이 충분히 논할 수 있도록 원문 텍스트에 대한 선행학습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문화텍스트 속에 숨겨진 문화적 암시정보를 찾아내어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번역교육 과정에서 기계번역을 학습도구로 적용하고 문화텍스트의 기계번역 결과물을 활용하면 번역에 대한 학생들의 사유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undergraduate translation course should incorporate more training in cultural aspects. The English novel, Pachinko, was used as a translation practice text in the cultural translation class, and machine translation (MT) was applied as a learning instrument. Pachinko wa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in 2017 by Korean American author Min Jin Lee, and tells the story of four generations of Korean-Japanese family membe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80s after liberation. The novel includes a large number of culture-specific items (CSI) related to Korea, as a result the machine-translated text has many errors. The students discuss what types of CSI are found in the source text (ST), and learn how to better translate these cultural elements in Pachinko's MT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ree effective methods to educate undergraduate students in cultural translation class. First, the concept of culture and CSI should be more clearly taught. Second, the source text (ST) must be thoroughly explained in order that students can discuss the cultural elements that are not explicitly expressed in the text. Third,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find implied contextual information in cultural text. This study has shown that MT can be used as a learning instrument to expand students' thoughts on translation.

      • KCI등재

        영어의 조기 습득이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구사 어린이들의 한국어 운율 발화에 미치는 영향

        오은혜(Oh, Eun Hae)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7 영미연구 Vol.41 No.-

        본 논문은 제2 외국어(영어)의 경험에 따른 한국어 운율 체계의 습득에 대한 연구이 다. 영어를 조기습득하고 경험이 많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구사 어린이들의 발화가 한국어만 구사하는 어린이들의 발화와 비교했을 때 분절음과 초분절음의 단위에서 보이는 차이를 알아보고자 두 어린이 집단을 대상으로 발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20 명으로 구성된 평균 7세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구사 어린이들(경험 집단)과 그렇지 않은 한국어 구사 어린이들(무경험 집단)에게 첫 자음이 평음, 격음, 경음으로 시작하는 4음절의 한국어 구(phrase)를 발화하게 하였다. 먼저, 분절음 단위에서 경험 집단은 한국어의 평음을 격음, 경음과 구분 짓는 기본주파수(F0)의 차이가 무경험집단의 기본 주파수보다 유의미하게 작았으며, 운율구(Accentual Phrase)에서 차이를 보이는 평음의 운율적 특징(LHLH) 역시 미미했다. 또한 초분절음 단위에서 역시 영어의 강세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향학적 특징들이(음절의 길이와 음의 강도) 한국어 발화에 현저히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2 외국어의 조기 습득이 모국어에 미치는 영향이 분절음뿐만 아닌 운율 단계에서도 나타나며 이는 모국어 발달의 지연으로 이어질 수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조기 영어 습득을 경험한 아이들의 영어 발화의 발달 정도와두 언어의 운율적 특징들이 양방향으로 미치는 언어 간의 상호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서는 이중구사 어린이들의 영어 발화도 함께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Korean prosodic features produced by Korean speaking children varying in the amount of L2 experience. The primary goal is to examine the effect of L2 (English) experience on the production of the L1 (Korean) segments and prosody. Two groups (Experienced vs. Inexperienced) of 10 Korean children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study. The four-syllable Accentual Phrases produced by the experienced child groups returned a significant effect of a two-way stop system in English. As for the F0 pattern, the experienced child group’s three-way stop contrast and the AP tonal pattern were produced in a nonnative-like manner. Also, results of syllable duration coupled with intensity showed a rhythmic pattern of a stressed-timed language. The results suggests that an early exposure to the L2 can yield a significant delay in the development of both the segmental and prosodic features of the L1.

      • KCI등재

        영국인 정체성 형성 기제에 드러난 민족주의의 증상과 불안

        정정호(Chung, Chung Ho),한우리(Han, Woo Ri)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3 영미연구 Vol.29 No.-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anxiety and symptom of the British imperial century are exposed in the early spy novels published in Britain during the early 1900's. In The Secret Agent (1907) and The Thirty-Nine Steps (1915), Joseph Conrad and John Buchan describe a defense of the British society to counter the invasion of 'the Other' and foreign enemies. To be specific, both spy novels doubt with paranoia on the contamination of 'Englishness' by depicting the enemies as monstrous figures. However, a defense enervates and turns out an impossible project since it is difficult to set up a boundary which distinguishes between the British self and the Other. Thus, the anxiety that haunts both texts is not a fear of the Other but a fear of the same; and these espionage activities between the First World countries actually connect rather than divide Britain and its rival Europe. The European male rivals cause a fear to a British male protagonist with camouflages in both spy novels. The class, gender, racial Other who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British male counterpart in both texts are erased and silenced in the other dark side of the texts, exposing the impossibility of British identity formation mechanism.

      • KCI등재

        The Role of Plausibility and Structural Information in L2 Learners’ Acceptability Judgments of English Verbs

        김지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9 영미연구 Vol.47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plausibility and structural information in L2 learners’ acceptability judgments of English sentences with verbs differing in transitivity. Results showed that both structural information and semantic plausibility significantly affected acceptability ratings. L2 learners showed a tendency to give higher ratings to sentences with NP-V-NP constructions when the verb was a transitive verb. Higher ratings were also given to sentences in which the NP following the main verb was a plausible object, or semantically associated with the subject. The results also showed an interaction between structural information and plausibility, with greater effects of plausibility for the transitive verb conditions.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L2 learners are sensitive to both structural and plausibility factors when judging the acceptability of English sentences. However, L2 learners with lower proficiency may rely more on plausibility information for intransitive verb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suggesting that intransitive verbs are a common source of difficulty in both acquisition and processing for L2 learners, and are also compatible with theories that claim L2 learners are more reliant on semantic/plausibility information than native speakers.

      • KCI등재

        상상력과 사랑: 셸리의 『인생의 개선행렬』 속 루쏘의 역할

        장성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3 영미연구 Vol.57 No.-

        This paper reads P. B. Shelley’s unfinished poem The Triumph of Life (1822), which recounts the poet’s visionary experience of beholding the triumphal procession of Life, in relation to his claims about imagination and love in A Defence of Poetry (1821). For Shelley, imaginative faculty forms the basis of a feeling of sympathy for others, which develops into love. This notion of sympathetic imagination appears to be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poem, especially the significance of Rousseau who guides the narrator through the apocalyptic vision. 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role of Rousseau in the Triumph, whom Shelley considers to be essentially a poet, i.e. a man of imagination. To Shelley’s way of thinking, Rosseau is proven highly imaginative in developing radical political ideas which had their roots in his fervent desire to remedy the ills of the world, and which profoundly impacted the outbreak of the French Revolution. However, Rousseau’s encounter with the vision of the “shape all light,” a malevolent spirit who offers him the cup of nepenthe, blots out his memories of the past, hence trampling the spark of imagination in his mind. For his ability to imagine ideal conditions for human existence is based upon his criticism of the harsh realities of the world—criticism being an act of remembering the past. However, Rousseau’s liberation from the chariot of Life is attained by his unswerving loyalty to democratic ideals, which holds true for Shelley. 본 논문은 셸리의 마지막 작품이자 미완성작 인생의 개선행렬 (1822)을 그가 시의 옹호 (1821)에서 전개했던 상상력과 사랑에 대한 논의와 연결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셸리가 환상 가운데 ‘인생’이 모는 전차와 그 앞을 행진하는 ‘인생’의 무수한 포로들을 루쏘와 함께 보면서 나누는 대화로 구성되어 있다. 셸리에게 있어 상상력은 타인의 감정과 경험에 대한 공감을 가능케 하고 이 공감이 도덕성의 근간인 사랑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가 생각하는 공감의 상상력은 난해한 시로 잘 알려진 인생의 개선행렬 을 이해하는 중요한 한 열쇠가 될 수 있다. 특히 본고는 논의의 초점을 화자 셸리의 안내자로 등장하는 루쏘에 맞춘다. 루쏘는 눈앞에 펼쳐진 아포칼립스적 광경을 셸리에게 해설해주는 인물이다. 루쏘는 시를 쓴 적이 없음에도 셸리는 그를 시인으로 간주하는데, 셸리가 보기에 루쏘가 그만큼 상상력이 풍부한 작가였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 루쏘가 공감의 상상력을 발휘함으로써 셸리적 의미의 사랑, 즉 억압받는 사람들의 고통에 공감하고 그들의 마음속에 자유와 평등의 이상에 대한 열망을 심어줌으로써 그들과 연결되는 것을 추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루쏘의 이상은 프랑스혁명의 이념적 기초를 이루어 항구한 가치를 지니게 된다. 루쏘가 자신의 환상 속에서 빛나는 한 ‘형상’을 만나 상상력을 상실하고, ‘인생’의 개선식 환상으로 들어와 개선행렬에 휩쓸려 ‘인생’의 포로가 되었다 해방되는 과정은 상상력이 자아와 세계에 대한 지식을 축적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상상력에 바탕을 둔 이상주의의 견지가 셸리에게 얼마나 큰 의미가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 KCI등재

        비교광고(Comparative Advertisements)에서 나타나는 아이러니의 사용과 구현, 그리고 적합성

        김대영(Kim, Dae-Young),안병길(Ahn, Byeongkil)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1 영미연구 Vol.51 No.-

        본 논문은 화용론적 접근(즉 적합성이론)을 통해 상업광고의 한 유형인 비교광고에서 나타나는 냉소적 아이러니의 사용과 구현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Lagerwerf(2007: 1708)는 “긍정적 프레임 속에서 등장하여 부정적인 의미전달로 종결되는 냉소적 아이러니는 최종적인 의미가 반드시 긍정적인 것이어야만 하는 상업광고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사실 이것은 상업광고의 일종인 비교광고의 화맥에서는 종종 사용되기도 하며, 오히려 광고주의 동일한 메시지를 축어적 발화로 소비자들에게 전달할 때보다 그들의 주의를 더 강하게 집중시키고, 그것이 더 오래도록 그들의 뇌리에 남아있게 만든다는 점에서 그 인지적 효과가 더 크다. 아이러니의 언어적 본질과 관련하여 적합성이론은 Grice(1975)의 ‘질의 격률’에 바탕을 둔 접근을 거부하고 ‘메아리적 언급 + 거부 또는 일탈’이라는 대안적 설명 논리를 제시한다. 그런데 이것은 여러 가지의 대화격률들을 동원하지 않고 ‘적합성원리’라는 하나의 설명논리로 모든 종류의 발화들을 설명하는 것이기에 설명적 경제성 추구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비교광고 속에 나타나는 냉소적 아이러니의 사용/구현 양상을 적합성이론의 접근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그것이 추구하는 (최소한의 설명논리로써 다양한 현상들을 일관되게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일반화와 예측가능성의 신뢰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make a pragmatic account of irony; particularly sarcastic irony used and realised in comparative advertisements as a type of commercial ones, from a relevance-theoretic point of view. According to Lagerwerf, sarcastic irony cannot be used in commercial advertisements because its purpose is negative, while they should show the positive informational intention to persuade consumers to purchase the advertiser’s products or services. However, sarcastic irony can often be used in the context of comparative advertising; rather, it has a greater cognitive effect than delivering the same message from the advertiser to consumers in a literal utterance. In relation to the linguistic nature of irony, RT proposes an alternative pragmatic account of irony, which is based on the notion of ‘echoic mentioning + rejection or dissociation’, instead of Grice’s ‘Maxim of Quality’. This pursues an explanatory economy in that RT explains all types of utterance by a single principle of ‘relevance’, without employing various conversational maxims given by Grice.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linguistic nature of sarcastic irony used and realised in comparative advertisements within a relevance-theoretic framework, this paper aims to make a contribution to strengthening the credibility of theoretical generalization and predictability of RT, which seek explaining various phenomena by the minimal explanatory logic (i.e, a single principle of relevance).

      • KCI등재

        Close Reading and Cultural Specificity: Teaching “Sonny’s Blues” in Korea

        김의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9 영미연구 Vol.45 No.-

        This essay shares my experience of teaching James Baldwin’s “Sonny’s Blues” in an “Introduction to English Literature” course, offered to second-year English majors at a Korean university. The cultural barrier between my students and the narrative world of “Sonny’s Blues” is high. Yet my students’ unfamiliarity with the codes of US race relations can be turned into a pedagogical asset. I teach the story over three weeks, focusing on three elements of fiction: point of view, setting, and plot. Teaching how to close read has proven to be an effectual way to help my students appreciate the cultural specificity of the story. The first week is devoted to exploring the unnamed narrator’s flaw. His character flaw is linked to his inability to provide the readers with a clear view of Sonny. The second week is spent exploring the urban ghetto as social space. When students begin noticing the importance of the setting, they are asked to link the social logic of Harlem to the dominant emotion in the narrator’s psyche—fear. In the final week, the students examine bebop as a situated cultural expression against racism. By momentarily relieving the narrator of the fear that led to his judgmental aloofness, Sonny’s performance allows the brothers to overcome their alienation. I conclude that paying attention to textual details can begin to redress the universalizing tendency that has dominated “Sonny’s Blues” scholarship for deca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