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u-헬스 제품 디자인 기술 개발 로드맵 연구

        남미경(Mee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u-헬스 제품 디자인 기술 개발 로드맵``을 제안하여 관련 전문 서비스와 비즈모델의 다양한 창출에 필요한 체계적·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발전 배경 및 개발 동향을 포함한 u-헬스 제품 디자인 기술에 관한 보고서, u-헬스 제품 기술·디자인 현황 조사, 전문 학술지 등 자료 중심의 분석과,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주된 범위와 내용에는 u-헬스 제품 디자인 발전배경, u-헬스 제품의 국내외 기술·디자인 개발 현황 및 트렌드 분석, 그리고 국내 시장 전망과 SWAT 분석에 의한 u-헬스 제품 디자인 기술 개발로드맵 제안이 포함 되어 진다. u-헬스 제품 디자인 기술 개발 로드맵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u-헬스 제품 디자인은 웨어러블 컴퓨터제품을 기술적 기반으로, 그리고 다양한 보건의료대상자의 질높은 삶과 건강 위주의 신개념 의료 서비스의 등장을 개념적 기반으로 발전해나가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둘째, 국내외 u-헬스 제품 디자인 기술 개발 현황및 트렌드로서 앞으로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사용자경험 기술 요소에 깔끔한 디자인까지 갖춘 u-헬스 기기와 앱의 결합에 의한 사용자 경험 중심 u-헬스 제품 디자인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기술 적용의 확대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국내 u-헬스 시장규모로서 2014년 약 3조원으로 연간 12.5%로 급성장을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u-헬스 제품 디자인 기술 SWAT 분석에 의한 로드맵 도출에 의하여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분야의 글로벌시장이 개척 될 수 있도록 u-헬스제품 디자인 기술 개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systematic· theoretical data for developing various new field of special service and business model based on suggestion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of u-health product design``.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ference such as the reports about u-health care, solution, service, network system, and products, the papers and journals, about studies on the technology·design development status of u-health care goods for measur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position at home and abroad countries, and to review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Main scopes and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n idea and the development status of u-health product design, the technology·design development and trend status of u-health care goods, and the suggestion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based on domestic market outlook and SWAT analysis. As the result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of u-health product design is as follows. First, u-health care design development was progressed based on an appropriate measure technology and integration technique related with wearable computer goods as technical background, and an appearance of new medical service concept for life- enhancing and healthy living for all as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broad interests and vitalizations of development of u-health care product centered on UX design technology combined with such user-friendly, convenience technological factors, and stylish appearance based on u-health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are expected. Third, in an u-health care industry market, 12.5% an annual rate of rapid growth and totaling 3 trillion won in 2014. is predicted. Finally, it is aimed to provide a technological developing data for establishing a new sphere of global market in the near future by suggesting roadmap utilized on the analysis of u-health product design technology SWAT.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에 미친 문화다원주의(Pluralism) 영향 연구

        남미경(Mee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문화다원주의의 개념과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과의 연관성 및 표현특성을 분석하고, 21C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의 흐름을 모색하여 21C 사회와 소비자의 요구와 필요성에 대응할 수 있는 이론적 디자인 컨텐츠(Theoretical Design Content) 개발에 필요한 체계적 디자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화다원주의 개념 및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 발생과의 연관성에 관한 학술보고서, 문화다원주의 기반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 표현 경향 조사, 전문 학술지 등 자료 중심의 분석과,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주된 범위와 내용에는 문화다원주의의 개념 및 문화다원주의를 기반으로 한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의 발생배경과, 문화다원주의 기반 주요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 표현 경향에 대한 분류와 제품디자인에 대한 사례 조사, 그리고 21C 포스트모더니즘 흐름에 반영된 문화다원주의 영향과 표현방식에 대한 분석 결과가 포함 되어 진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은 다양성, 상징성, 장식성, 회화성, 암시, 역사주의, 복제된 이미지 등 다수의 양식을 하나의 제품에 혼합적용 시키려는 문화적 접근방식을 사용하고, 상징과 의미회복을 통하여 대중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제품의 형태를 제시하고자 다국적·다문화·다계층적인 양식의 표현을 즐겨 차용함으로서 문화다원주의와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은 이러한 표현특성과 문화다원주의로부터 기인한 ‘미학으로서의 일상’, 나아가 ‘디자이너와 소비자와의 제품을 통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21C에 이르러서 미학 지향 디자인과, 환경파괴와 인간정신의 황폐화 극복에 초점을 둔 사회적 책임 지향의 디자인 양식들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디자이너들이 자신이 지향하는 디자인의 사회적 가치를 제품 메시지로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어 향후 이러한 흐름은 지속적인 진행·발전 되어 질 것으로 고찰 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systematic·academical data for developing theoretical design content corresponding a necessity and demand by our society and consumer in 21C, through researching 21C post-modernism design trend, and analyzing the effect by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on post-modernism design and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post-modernism design.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ferences such as the reports about the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and its connectional origin of post-modernism design, papers about tendency of post-modernism design based on cultural pluralism, journals, and to review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Main scopes and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a background on the outbreak of the post-modernism design based on cultural pluralism, a classification and case studies on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 tendencies of post- modernism design by effecting cultural pluralism, and an analysis of main effective factors by cultural pluralism on 21C post-modernism design and their expression on the products. As the main contents and results are as follows. Conn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luralism and post-modernism design has been analyzed through symbolism and meaning recovery from the distinguishable expression by multi-nationality·multi-culture·multi-class on the product to make easier understanding for general public. And cultural approaching methods are commonly applied on post-modernism design such as utilizing various styles on the product with multi-valence, symbolism, ornamentation, picturesqueness, allusion, historicism, and copied imagery. Aesthetic-oriented design, and socially-oriented design, which intends to overcome an ecocide and desolation of human spirit, in 21C came from the value of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 and designer through the product`` advanced from ‘elevating the ordinary`` on post-modernism design idea based on cultural pluralism. Further sustainable development in design area is expected by the conveyed messages on the product from the designers who attempts to put their social-valued philosophy on it.

      • KCI등재

        그린디자인테크놀로지 기반 미래형 홈쿠킹시스템 연구

        남미경(Nam, Mee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본 논문은 그린디자인테크놀로지 기반 미래형 홈쿠킹시스템의 역할을 파악하고, 그 발전 방향을 전망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연구범위는 그린디자인테크놀로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미래형 주거시스템 분석, 그리고 미래형 홈쿠킹 시스템에 있어 그린디자인테크놀로지의 역할과 전망에 대하여 논하며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디자인테크놀로지는 제품의 기획에서 생산과 관리에 이르기까지 전 프로세스에 걸쳐 유해 물질 요소들의 발생 억제와 지속적 자원순환을 추구하여 인간과 환경 모두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미래형 주거시스템은 휴먼케어와 감성적 요소들이 결합된 융합의 형태로 스마트와 지속가능성 기반 트렌드가 주가 되어 발전하게 될 것으로 분석되어 졌다. 셋째, 미래형 홈쿠킹시스템에 있어 그린디자인테크놀로지는 스마트기술과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조리 위주의 단순 기능성 공간이었던 주방공간이 멀티 기능의 효율적 패밀리 소셜라이징의 복합적 기능과 감성적 공간으로 변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절약, 웰빙과 새로운 경험 추구라는 세 가지의 요소들을 중점으로 다양한 제품들과 연관 산업들의 발전에 큰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칠 것으로 전망 되었다. 본 연구가 향후 국내 그린디자인테크놀로지 기반 홈쿠킹시스템 산업의 이론적·체계적 학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identify the role of future-oriented home cooking system based on green design technology, and to view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theoretical study on a concept of green design technology, an analysis on the trend of future-oriented housing system, and finally come to the conclusion through a considering about a role and view the direction of future-oriented home cooking system based on green design technology.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green design technology would be made in order to help both humans and the environment to avoidanc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elements through whole production process, ranging from planning to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products, and continue to pursue the resource circulation. Second, the trend of future-oriented housing system would be developed as in the form of two convergence types which are focused on a smart and sustainability with human-care and emotional elements. Third,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 of a future-oriented home cooking system based on green design technology would be a to transmuting a simple cooking functional space-oriented kitchen area into efficient family socializing multi-function space combining with emotional element focused on smart and sustainability. Finally, it would make a major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es and a wide variety of products constantly following on three major factors such as energy saving, wellbeing, and seeking new experience. It wa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theoretical⋅systematic data for a industry of future-oriented home cooking system based on green design technology in domestic.

      • KCI등재

        국내외 인공지능형 로봇 개발 및 시장 현황 연구

        남미경(Mee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인공지능형 로봇은 산업적 측면에서 자동차산업 규모 이상의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기술혁신과 신규 투자가 유망한 신산업이며, 기술적 측면에서는 첨단 신기술 분야의 복합체로 로봇 컨버전스 신산업의 창출을 촉진할 수 있고, 사회적 측면에서는 노동력 대체 미래산업으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가진 첨단기술의 복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인공지능형 로봇청소기 시장 또한 향후 인공지능형 로봇시장과 동반한 성장가능성 측면에서 막대한 잠재력이 기대되는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사용자 중심의 인간친화형 로봇청소기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데이터와 구체적 분석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된 범위와 내용에는 인공지능형 로봇의 정의, 종류와 역할, 국내외 개발 및 지원정책 동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인공지능형 로봇의 발전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기술, 디자인 개발 및 로봇청소기 시장 현황에 대한 분석들이 포함되어진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향후 글로벌 마켓에서의 로봇청소기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자동충전, 위치인식, 저소음, 원격제어뿐만 아니라 공기정화와 가족구성원과의 메시지 전달 등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공지능기술 적용 로봇청소기 제품디자인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has the highest growth potential more than car industry that lead to a new promising business area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new investment, it could promote a new robot convergence industry as a high-tech composite in technological side, and has growth potential to the industry of future to replacing labor in sociologic side. The artificial robot cleaner market has the highest growth potential area in the future same as the artificial robot market because of the enormous economic possibility. This article is designed to provide theoretical data and definite analysis materials to explore the user centered human-friendly robot cleaner design development in the future. Main scopes and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definition, type and rol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endenc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development and support policy in domestic and abroad, technical and product design development of robot cleaner by expl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nd analysis of current robot cleaner market.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t needs to be appli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technologies like an air purification system and emotional communicable tool such as a family message delivery system, moreover automatic charge system, location recognition, noise reduction, and remote-control system for the future robot cleaner product design.

      • KCI등재

        해양폐기물 활용 친환경디자인제품 연구

        남미경(Nam, Mee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본 논문은 해양폐기물을 활용한 지속가능 친환경디자인제품 개발과 그에 대한 전망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 접근방식으로 향후 해양 오염문제 해결에 디자인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 · 출판물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폐기물은 사람에게 독성 화학 물질이 전달되는 위험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해양 생태계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둘째,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는 해양환경 보존 및 지속가능성 유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의무를 규정하고 실행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하였다. 셋째, 아디다스 등 글로벌 기업들은 제품 생산 · 인프라 · 시장 설계 추구와 해양폐기물 절감 및 재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순환경제 접근법’으로 해양폐기물활용 친환경디자인제품들을 제작 · 소개하였다. 넷째, ‘생애주기과정 생산 가치 사슬 구조’에 의거한 업사이클링과 바이오플라스틱 활용 친환경디자인제품 개발이 해양 환경오염 문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전망되었다. 본 연구가 관련 산업과 연구에 학술적 · 이론적 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systematic scholarly materials for solving marine pollution problems by design to finding a new design approach method with the sustainable design goods development utilizing the ocean wastes from now on.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not only the ocean wastes bring a toxic substance to human body in hazard, but also cause destruction of the marine life system. Second, global communities including Korea prescribes on duty, and presents diverse policies for practicing of an oceanic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a sustainability maintenance. Third, global companies including Adidas represent the eco-friendly design goods utilizing the ocean wastes by ‘Circular Economy Approaching Method’ for pursuing manufacture goods · infra · planning market and reducing & recycling the ocean wastes. Fourth, it is prospected that development of eco-friendly design goods using up-cycling & bio-plastic materials based on ‘Producing Value Chain Paradigm of The Cradle to Cradle’ would be helpful to solve the marine pollution problem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academical · theoretical data for its related design industry area in domestic and abroad.

      • KCI등재

        감성과 신기술 결합에 의한 뉴레트로디자인 연구

        남미경(Nam, Mee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본 논문은 뉴레트로 디자인 산업의 전반적 동향 분석과 발전 전망을 통하여 뉴레트로 관련 디자인 산업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 · 출판물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레트로 트렌드는 현대적 감각 요소 기반에 아날로그적 감성 요소와 신기술을 결합하여 기존 제품과의 차별화를 추구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둘째, 첨단 스마트기술제품 환경 속에서 소비자들은 쉽게 다가가기 쉬운 감성 · 신기술 결합의 뉴 레트로 디자인으로 수용 저항이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이 분석되어졌다. 셋째, 뉴레트로 마케팅 전략 성공 여부와 관하여 본질 유지와 현대화, 과거 재발견, 시간 · 세대 초월의 소비자 가치 연계, 브랜드 가치 공동체 형성 등 4가지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폭 넓은 소비계층이 형성되어 있음이 파악 되어졌다. 넷째, 감성 · 신기술 결합의 뉴레트로 디자인 제품 사례 분석을 통해 대립된 모순 공존과 역사 · 문화 · 유산에 의한 전통 가치, 세대 초월 수렴진화에 의한 영속성, 그리고 1950s - 1970s 시대 디자이너와 제품에 대한 오마쥬가 그 특징적 요소임을 파악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계층 상정, 소비자 개인적 · 공통적 특성 구별에 의한 디자인 요소 파악 및 전략 수립, 전략적 기반과 뉴레트로 디자인 특성요소의 결합, 다양한 유통 · 마케팅 방식 구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관련 산업과 연구에 학술적 · 이론적 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systematic scholarly materials for developing new retro design industry by analyzing general tendency and to finding a developing prospect of new retro design industry.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new retro trend signified a tendency to seek different factors combining a sensory element of analogue and new technology based on sensory element of modernity. Second, resistance capacity of consumers would get lower by new retro design combining elements of emotion · new technology through taking consumers easy approach under the cutting-edge smart technology environment. Third, relating with measure success of new retro marketing strategy were figured out with four meaningful act factors, which are stay true but contemporizing, allow for rediscovery, connect with timeless consumer values, and build a brand value community, all built on an wide range of consumer group. Fourth, distinct elements were represented as a contradictory coexistence, a traditional value of history · culture · heritage, a perpetuality by transcending generations and convergent evolution, and the hommage to designers and products in 1950s – 1970s through new retro design product, combining with elements of emotion · new technology, case analyzing. Finally, developing suggestion was delivered with ways of bring in main consumers from diverse aging groups, a strategy build by identifying design elements focused on individual · common consumer characteristic distinction, combining characteristic elements of new retro design on strategic basis, and realization of various marketing · distribution implement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academical · theoretical data for its related design industry area in domestic and abroad.

      • KCI등재

        스마트 팜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미래 주방가전제품디자인 연관성 연구

        남미경(Nam, Mee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본 논문은 향후 글로벌 마켓에서의 빠른 성장이 예측되는 스마트 팜 기술 주방가전제품디자인 관련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팜 테크놀로지는 1차 산업인 농업과 사물인테넷(IoT), 그리고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의 결합으로 누구나 손쉽게 식용작물의 재배를 유도하는데 기술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둘째, 현재 주방가전제품에 적용되어지고 있는 스마트팜 테크놀로지 기술은 수경재배(Hydrophonics), 수직재배(Vertical Farming), 아쿠아포닉스(Aquaphonics) 등이 보편적 추세이다. 셋째, 주방가전과 결합된 스마트 팜 테크놀로지의 적용은 그린에너지(Green Energy), 융⋅복합(Convergence), 그리고 자연주의(Nature-inspired) 주방가전제품 등으로 분류 된다. 넷째, 주방 내 ‘스마트 팜 테크놀로지(Smart Farm Technology)’는 인텔리전트 파밍 주방가전제품(Intelligent Farming Kitchen Appliances)으로의 진화와 함께 관련 글로벌 마켓 또한 빠르게 성장할 것이 예측 된다. 마지막으로 국내에서도 다변화된 미래형 스마트 팜 테크놀로지 기반 주방가전제품 개발 확산을 위해 민관 협력의 구체적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 되어졌다. 본 연구가 관련 산업의 학술적⋅이론적 자료로서 활용 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systematic scholarly materia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sign industry related to smart farm technology kitchen appliances expected rapid growth in global market in the future.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 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smart farm technology focused on inducing an easy cultivation of agricultural plants by anyone to combine agriculture as a primary industry with IoT and ICT. Second, general trend of smart farm technology applied to kitchen appliances now includes a hydrophonics, vertical farming, and aquaphonics. Third, smart farm technology applied to kitchen appliances categorized sorts as a green energy, convergence, and nature-inspired. Fourth, smart farm technology in th kitchen could be developed to an intelligent farming kitchen appliances, and to be expected a rapid growth of related industry in global market in the future. Accordingly, a necessity of definite strategy by public-private partnership suggested for developing proliferation of diversify smart farm technology kitchen appliances in the future. It wa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academical⋅theoretical data for its related design industry area in domestic.

      • KCI등재

        신체기능 및 위치 측정 웨어러블제품 디자인 개발 현황 분석

        남미경(Mee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신체기능 및 위치 측정 웨어러블제품의 기술·디자인 개발 현황``을 분석하여, 관련 전문 서비스와 비즈모델의 다양한 창출에 필요한 체계적·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개념 및 개발동향을 포함한 웨어러블 컴퓨터 및 제품에 관한 보고서, 신체기능 및 위치 측정 웨어러블제품 기술·디자인 현황 조사, 전문 학술지 등 자료 중심의 분석과,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주된 범위와 내용에는 웨어러블 컴퓨터의 개념 및 개발동향, 신체기능 및 위치 측정 웨어러블제품의 국내외 기술·디자인 개발현황 분석, 그리고 신체기능 및 위치 측정 웨어러블제품 개발의 필요성과 기대효과에 대한 고찰내용이 포함 되어 진다. 신체기능 및 위치 측정 웨어러블제품 디자인 개발현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개발의 기반으로서 웨어러블제품 기술력은 생체신호와 위치 측정을 통하여 빠른 시간내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및 이와 연관된 기술력의 통합 개발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이 분석되어졌다. 둘째, 이러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안경, 반지, 팔찌, 목걸이 혹은 펜단트, 이어폰, 티셔츠, 조끼, 자켓, Beeper, Wristphone 등 수많은 형태와 크기, 재질로 패션화된 바이오단말기디자인제품 개발이 활성화 될 것임이 전망되어졌다. 셋째, 신체기능 및 위치 측정 웨어러블제품 개발은 특히 의료분야를 중심으로 군사, 재난방제 분야 등에서 그 필요성이 점차 높아질 것이 분명하며, 관련 기관과 기업들의 집중적 투자와 연구에 의하여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분야의 글로벌시장이 개척될 것으로 고찰되어졌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systematic·theoretical data for developing various new field of special service and business model based on analysis of ``the technology·design development status of wearable goods for measur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position``.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ference such as the reports about wearable computer and products, the papers and journals, about studies on the technology·design development status of wearable goods for measur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position at home and abroad countries, and to review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Main scopes and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n idea and the development status, the technology·design development status of wearable goods for measur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position, and th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iveness about the technology·design development of wearable goods for measur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position. As the result of the design development status analysis of wearable goods for measur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position are as follows. First, design development was progressed based on an appropriate measure technology and integration technique related with wearable goods for measur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position. Second, vitalizations of development of fashionable digital-bio appliances such as eye-glasses, ring, bracelet, necklace, pendant, earphone, t-shirts, best, jacket, beeper, and wristphone made of various shape, size, and material is expected. Third, there is growing need in military, and disaster prevention especially in medical field to develop the wearable goods for measur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position. New sphere of global market will be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by investing and R&D from related organization, assosiation, and companies.

      • KCI등재

        사용자 경험과 감성기술 기반에 의한 즐거움 지향 가전제품디자인 연구

        남미경(Nam, Mee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본 논문은 즐거움 지향 제품디자인의 전반적 동향분석과 발전 전망을 통하여 관련 디자인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 · 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최적화 된 방법의 현실적 구현으로 사용자의 반응을 디자인제품에 분석 · 적용하는 것이다. 둘째, 감성기술디자인은 인간의 편의를 생각하는 디자인(Design)과 기술(Technology)의 결합으로 사용자의 주관적 경험을 높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모든 경험과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 경험 디자인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즐거움 지향 디자인은 기술적 부분을 중요시하는 제품 공급자 관점 보다 물리적 · 지적 · 감성적 즐거움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사용자 관점을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 접근방식의 한가지로 그 적용범위가 확산되고 있다. 넷째, 즐거움 지향 디자인은 이상적 즐거움 추구 모델(Ideo-pleasure Model), 사회적 즐거움 추구 모델(Socio-pleasure Model), 물리적 즐거움 추구 모델(Physio-pleasure Model), 그리고 심리적 즐거움 추구 모델(Psyco-pleasure Model) 등 네 가지 개념적 프레임 워크 모델들을 기반으로 디자인 영역에 적용 · 확산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즐거움 지향 디자인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면밀한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해 지속적 즐거움 을 느낄 수 있는 사용자 관점의 제품디자인 제안이 필요하며, 이로써 확장된 또 다른 표현의 즐거움 지향 디자인제품 발전이 가능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가 관련 산업과 연구에 학술적⋅이론적 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systematic scholarly materials for developing pleasurable product design industry by analyzing general tendency and to finding a developing prospect of design industry for pleasurable.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user experience design is the optimal way of realistic implementation for enhancing user satisfaction with a product by analyzing⋅utilizing user response. Second, emotional technology design is combined with design for the convenience of humans think and technology, and it has a deep connection with user experience design because of satisfaction through all experiences while using product or service by making the subjective user experience higher. Third, design for pleasurable is spreading range of application recently which is one of design approach method focused on the user’s perspective by user satisfaction with physical⋅ideological⋅emotional pleasure rather than product provider perspective considering on technology. Fourth, design for pleasurable has become more widespread on design sphere with four conceptual framework models such as a ideo-pleasure model, a socio-pleasure model, a physio-pleasure model, and a psyco-pleasure model. Finally, developing creative expanded representation for pleasurable design would be possible by product design suggestion centered on viewpoint of user keeping through continuous pleasure as a result of analyzing user experience closely.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academical⋅theoretical data for its related design industry area in domestic and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