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 개발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은현,J. C. Kaufman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3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to measur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various domains of creativity according to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 questionnaire for creative home environment (measuring both psychological support and creative/intellectual stimulus) and Kaufman-Domains of Creativity Scale (K-DOCS) were administered to 463 university students. The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about both their current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what they believed to be an important creative home environment. We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current home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t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udents in the high creative home environment group achieved higher scores than students in the low creative home environment group in the domains of Everyday, Scholarly, Writing and Music, and Artistic creativity. Valuing creative achievement at home was needed to promote a creative home environment. Finally, we discussed the meaning and limi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를 제작하고, 창의적 가정환경에 따라 영역별 창의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며, 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창의적 가정 환경 조성을 위해 보완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충남, 경남 지역의 4년제 대학교 학생 463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와 영역별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를 실시할 때 각 문항에 대한 현재 가정환경의 일치 정도를 묻는 질문 뿐 아니라 응답자가 생각하는 중요성 정도에 대해서도 평가하도록 하여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현재정도와 중요정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지지와 창의적/지적 자극 요인을 측정하는 9문항으로 구성된 간편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둘째, 높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가진 학생이 낮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가진 학생보다 일상생활에서의 창의성, 학문적 창의성, 음악/문학에서의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가정에서 자녀의 창의적 성취에 가치를 두는 것이 창의적 가정환경 조성을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창의적 가정환경 조성을 위해 초점을 두어야할 점들이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아동의 창의적 가정환경에 관한 고찰

        김경민,임정하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onceptual framework for creative home environment that integrates perspectives from published literature of creativity and home environments and implicit theorie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8 children and 40 parents living Seoul. Seventy three children and thirty five parents responded to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five children and five parents participated in interview. Based 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bout creativity, home environments and creative environments and a survey on implicit theories on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it was proposed that creative home environment would conceptualized with the following general areas: space and time for creative performance, creative activity tools, creative role model, variety of experience, respect and acceptance, encouragement and absence of excessive pressu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children’s perception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하는 창의적 가정환경에 관한 고찰을 통해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 및 가정환경에 관한 이론과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창의적 가정환경의 특성을 정리하였고, 창의성 발달을 촉진하는 환경과 저해하는 환경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조사하였다. 서울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73명과 부모 35명이 질문조사에 답하였고, 아동 5명과 부모 5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개방형 질문지의 응답은 연구자가 유사한 응답끼리 범주로 묶은 뒤 해당 범주의 응답 빈도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 및 가정환경에 관한 이론 및 선행 연구결과들과 창의적 가정환경에 대한 암묵적 지식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가정환경을 창의적 활동공간 및 시간, 창의적 활동도구, 창의적 롤 모델, 다양한 경험, 존중 및 수용, 다양한 사고 격려, 과도한 억압 부재의 일곱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개념이라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적 가정환경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가정환경 조성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알려주며, 향후 창의적 가정환경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모의 창의효능감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하여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최형윤(Choi, Hyung Yoon),이경화(Lee, Kyung-Hwa),배희라(Bae, Hee Ra),김해리(Kim, Hae R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창의효능감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유아의 창의적 성격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의 창의효능감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하여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시 동작구에 소재한 국공립어린이집 5개소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의 부모 262명이었다. 이들에게 창의 효능감 검사,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 유아 창의적 성격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 3.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부모의 창의효능감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유아의 창의적 성격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부모의 창의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모의 창의효능감과 창의적 성격의 관계에서 창의적 가정환경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부모의 창의효능감과 창의적 가정환경은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의 창의적 성격의 발달을 위해서는 부모가 지닌 창의효능감과 창의적 가정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실제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따라서 부모 자신이 지닌 창의적 능력에 대한 이해와 창의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모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유아의 창의적 성격 발달을 위한 물리적⋅심리적 지원이 적절히 반영된 창의적 가정환경의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창의적 성격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reativity self-efficacy,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and to verify the effect of parents creativity efficacy on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the mediation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2 parents of 3-5 years old children attending fiv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 They were tested for creativity self-efficacy,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3.6.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reativity self-efficacy of parents,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In addition, the direct effect of creativity self-efficacy of parents on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was confirmed, and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ha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self-efficacy of parent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Conclusions Since parents creativity self-efficacy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affect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practical strategies are required to effectively create parents creativity self-efficacy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for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arent education plan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creative ability of the parents themselves, and to make efforts to prepare a creative home environment that properly reflec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적 환경수준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유경훈,강순미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을 포함하는 창의적 환경수준에 따라서 창의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수도권 소재 대학의 15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검사와 함께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적 학교환경 검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향은 창의적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과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가정환경 수준에 따라 창의성의 몇몇 하위요인들은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창의적 학교수준에 따른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향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창의적 가정환경 및 창의적 학교 수준에 따른 차이에 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을 위한 창의적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방법들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고자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ould exist som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creative personalities as well as differences due to external factors(environmental factors) on the basis of undergraduates’ creative home environment including their creative school environment. The 154 subjects were selected from univers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o whom some tests for three areas were carried out; integrative creativity,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undergraduate creative home and school environment has relevance to creative thinking and personality. Second, creative home environment has relevance to both creative thinking and personality, bu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environments they are involved in. Final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creative thinking,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with respect to creative personalit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creative school environment. The findings proved there were important correlations between creative environment and undergraduates’ creativity, and there were also needs for programs to support creative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어머니의 내외통제성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자녀의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성은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3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composed of autonomy, openness and curiosity. Tests for mothers'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administered to 120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to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it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autonomy, openness and total score of creative personality but not with the curiosity. The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 a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reative environment. Final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factors of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utonomy, openness and total score). And the effects of the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on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were mediated by a creative home environment.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내외통제성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자녀의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120명에게 어머니의 내외통제성을 측정하는 검사와 창의적 가정환경 진단검사 및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내적통제성은 창의적 가정환경 및 자녀의 창의적 인성 요인인 독자성, 개방성, 창의적 인성총점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호기심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의 외적통제성은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내적통제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은 자녀의 독자성과 개방성 및 창의적 인성총점을 예언하는데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호기심을 예언하는 데는 유의한 설명력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내적통제성은 자녀의 창의적 인성총점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과 창의적 리더십의 구조적 관계

        심명보(Shim Myung Bo),이신동(Lee Shim D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Creativity as a cognitive fact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s an affective factor and the creative family environment as an environmental factor were selected to prov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with creative leadership of 408 5th and 6th grade students. We looked at how cognitive, affective,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ed creative leader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reativity, self-regul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 creative leadership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creativity, self-regul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and creative leadership. Second, self-regulation abil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creative leadership among potential variables. Third,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reative leadership, but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as a mediator, and the total effect was next to self-regulation ability and crea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teachers and parents were suggested to develop creative leader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창의적 리더십은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모두영향을 받는다는 관점으로 인지적 요인으로서 창의성, 정의적 요인은 대인관계형성능력, 자기조절능력, 환경적 요인으로 창의적 가정환경을 선정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리더십과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 창의적 리더십의 구조적 관계에서 창의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은 창의적 리더십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잠재변인 중 자기조절능력이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컸다. 셋째, 창의적 가정환경은 창의적 리더십에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매개변인으로서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총 효과에서는 자기조절능력과 창의성 다음으로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창의적 리더십을 계발하기 위해 교사와 부모들에게 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김형재(Kim, Hyoung Jai),구성수(Koo, Sung Soo),이경철(Lee, Kyeong-Cheo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에서 그들의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에 위치한 6곳의 어린이집에 재학 중인 유아들로, 4세 85명(남아 45명, 여아 40명), 5세 140명(남아 69명, 여아 71명), 전체 225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유의 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의 정서지능은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에서 그들의 정서지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간접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유아기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며, 이때 유아의 정서지능은 아버지 의 창의적 가정환경의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5 young children from daycare center in Bus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creative home environment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emotional or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worked as a part mediation variable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during early childhood predict their creative personality.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especially is the impact factor that can mitigate effects of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 KCI등재

        어머니의 성격특성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로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심소라,안동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sonality traits and children’s creativity. Participants were 269 children at the age of 4-6 years and their mothers. We measured mothers’ Big 5 personality traits (neuroticism,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creativ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Baron and Kenny’s (1986) method and Sobel Test (Sobel, 1982). Results showed that mothers’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influenced children’s creativity significantly through three sub-constructs of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respect for the child, enriched learning environment, and stimulation of independence). Specifically, three sub-constructs of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openness and children’s creativity.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conscientiousness and children’s creativity was fully mediated by the three sub-constructs. Mothers’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enriched learning environment of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유아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수도권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4세, 5세, 6세 유아 269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성격5요인(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창의적 가정환경(아동존중, 풍부한 학습환경, 독립심 자극), 유아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방법과 Sobel Test(Sobel, 198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개방성과 성실성은 창의적 가정환경의 하위요인(아동존중, 풍부한 학습환경, 독립심 자극) 모두를 매개하여 유아 창의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창의적 가정환경의 세 하위요인 모두 어머니의 개방성과 유아 창의성 간의 관계는 부분매개하고 성실성과 유아 창의성 간의 관계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신경증과 외향성은 창의적인 가정환경 하위요인 중 풍부한 학습환경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물리적, 심리적 가정환경이 미치는 영향: 유아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매개효과

        임미나(Mina Im),신나나(Nana Shin)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물리적, 심리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유아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만 4~6세 유아 30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어머니 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가정환경 중 심리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이 유의하였다. 즉, 심리적으로 지지적인 가정환경일수록 유아가 창의적 행동특성을 더 보였다. 둘째, 물리적, 심리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내적 동기를 통해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이 유의하였다. 즉, 가정환경이 물리적, 심리적으로 지지적일수록 유아가 높은 내적 동기를 가지고, 내적 동기가 높을수록 창의적 행동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유아의 외적 동기는 창의적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가정환경이 유아의 동기를 통해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유아기 자녀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가정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primarily aimed to explor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s through preschooler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Methods: A total of 301 (119 boys and 182 girls) children aged 4 to 6 years constituted the study subjects. All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those on the home environment, children’s motivation, and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completed by mot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Results: First,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cond,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Finally, extrinsic motivation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preschoolers’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ome environment plays a critical role in predicting children’s creativity,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supportive home environment.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유아의 창의적 성격간의 관계

        성은현(Sung Eun Hyun),조경자(Jo Gyeong Ja),이문정(Lee Moon J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08 육아지원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유아의 창의적 성격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남 지역에 위치한 2개 유치원의 만 4, 5세 유아 148명과 그들의 어머니 148명을 대상으로 유아 창의적 성격검사, 어머니 양육 행동 검사와 창의적 가정환경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행동은 자녀의 창의적 성격 중 특히 모험심의 발달을 방해하였으며 창의적 가정환경과도 유의한 부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일관성 있는 양육 행동과 성취지향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창의적 성격 및 창의적 가정환경과 긍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과보호적 행동과 성취지향적 행동, 일관성 있는 양육행동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과보호적 행동, 성취지향적 행동, 일관성 있는 행동은 자녀의 창의적 성격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behavior,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if so, to find out which elements of maternal behaviors have relations to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were 148, 4 and 5 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99 children were from H kindergarten and 49, from S kindergarten in Chungnam, Korea. They participated in creative personality test, creative home environment questionnaire and maternal behavior inventory. The data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verprotection, achievement, limit setting maternal behavior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to creative home environment. More precisely, overprotection influenced negatively to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achievement and limit setting influenced positively. Second, achievement and limit setting were related significantly the elements of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independence, run-a-risk, persistence). Achievement and limit setting maternal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but overprotection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it. Especially limit setting maternal behavior among various maternal behaviors was the most effective predictor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