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가모드와 자아해석이 인지와 감성 우위 대안 간 선호역전에 미치는 영향

        박세훈,손용석,김채영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7 마케팅관리연구 Vol.22 No.1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the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toward cognitively and affectively superior alternatives is influenced by evaluation mode and self-construal: In the separate evaluation condition, consumers may relatively rely on feelings and emotions in decision making and thus prefer affectively superior alternative to cognitively superior one, whereas those in joint evaluation condition may rely on reasons and logics and thus prefer cognitively superior alternative to affectively superior one. Accordingly, we predict that the consumers' relative preference between cognitively and affectively superior alternatives would be reversed by evaluation mode(H1). In addition, we predicted the evaluation mode would moderate the effect of self-construal on relative preference for alternatives(H2). Because prior research has revealed that a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makes consumers adopt a reason-based decision making strategy, while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makes consumers use a feeling-based strategy. To test our prediction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In experiment 1, we assigned participants to three conditions by evaluation modes-joint evaluation, separate evaluation 1, separate evaluation 2- and asked them to evaluate their purchase intention of each alternativ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preference for cognitively superior alternative against affectively superior alternative is higher under joint evaluation mode, compared to separate evaluation mode. In experiment 2, we conducted a 2(self-construal: independent / interdependent) x 3(evaluation mode: joint evaluation / separate evaluation1 / separate evaluation2) between-subjects design. As predict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evaluation mode was confirmed. Under joint evaluation mode, the independent(vs. interdependent) consumers relatively prefer affectively(vs. cognitively) superior alternative. Under separate evaluation mode, interdependent consumers do not prefer cognitively(vs. affectively) superior alternative because of the absence of a comparative alternative. Instead, they tended to prefer affectively(vs. cognitively) superior alternative, though the result was revealed to be insignificant.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provide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인지와 감성 우위 대안 간 소비자의 선호에 있어서 평가모드와 자아해석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즉, 분리평가 조건에서는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감성과 느낌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감성적 속성 우위 대안에 대한 선호가 높지만, 공동평가 조건의 소비자들은 인지와 논리에 의존하므로 인지적 우위 대안을 더 선호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감성 우위 대안과 인지 우위 대안에 대한 소비자의 상대적 선호는 평가모드에 따라 역전될 것이라 예상했다(가설1). 뿐만 아니라, 평가모드는 소비자의 자아해석 수준에 따른 대안 선호를 조절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가설2). 이전 연구에 따르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소비자들은 인지 중심의 의사결정 전략을 채택하는 반면 독립적 자아해석의 소비자들은 느낌 중심의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가설 검증을 위해서 두 차례의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 1에서는 평가모드의 세 가지 조건 -즉 공동평가, 분리평가1, 분리평가2-에 참가자들을 할당하여 각 대안에 대한 구매의도를 응답하게 했다. 실험 결과를 통해 공동평가에서는 인지 우위 대안을, 분리평가에서는 감성 우위 대안을 더 선호한다는 가설 1이 지지되었다. 실험 2에서는 가설 2의 검증을 위해 2(자아해석: 독립적 / 상호의존적) x 3(평가모드: 공동평가 / 분리평가1 / 분리평가2)의 여섯 개 조건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 평가모드의 조절 효과가 입증되었다. 공동평가 상황에서는 독립적(vs.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소비자들이 감성(vs. 인지) 우위 대안을 더 선호하였다. 그러나 분리평가 상황에서는 비교대안의 부재로 인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소비자들이 인지(vs. 감성) 우위 대안을 선호하지 않고, 유의하지는 않지만 감성(vs. 인지) 우위 대안을 선호하는 방향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밝히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업가의 인지편향이 사회적 네트워크에 따라 사업 기회 평가에 미치는 영향

        장효식,양동우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5

        이 논문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으로 대표되는 기업가정신이 일반인에 비해 투철한 기업가들의 인지편향이 사회적 네트워크에 따라 사업 기회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끊임없이 요구되는 기업활동과 관련한 의사결정 시 기업가들은 자신의 지식과 경험 및 외부 전문가들의 조언을 참고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 및 신속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자신의 인지편향에 따라 휴리스틱(간편 추론법)에 종종 의존하게 된다. 특히, 기업의 성장과 영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계획 중인 신사업 기회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도 휴리스틱에 의한 의사결정을 한 나머지 실패하게 되는 사례를 우리는 많이 접하게 된다. 이 연구는 거듭된 성공 경험으로 형성된 기업가의 인지편향이 때로는 사업의 실패라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업가의 인지편향이 신사업 기회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요구에서 진행하게 되었다. 그동안 대학생이나 창업을 희망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지편향이 창업 및 기회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문은 다수 있지만, 기업가만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 네트워크와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기업가들만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사회적 네트워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도 함께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중소/중견기업 기업가 1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모바일 조사와 응답자의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병행 조사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립변수인 기업가의 인지편향 중 과잉자신감과 통제 착각이 사업 기회 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 변수인 사회적 네트워크는 과잉자신감이 사업 기회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기업가들이 인지편향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영향력을 알려줌으로써, 기업가들이 신사업 기회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인지편향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와 기업가의 인지편향이 신사업 기회 평가와 관련한 구조적 관계를 사회적 네트워크가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기업가들뿐만 아니라 기업가 교육 및 정책 결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gnitive biases on business opportunity evaluation, given their strong entrepreneurial spirit, which is characterized by innovation, proactivity, and risk-taking. When making decisions related to business activities, entrepreneurs typically make rational judgments based on their knowledge, experience, and the advice of external experts. However, in situations of extreme stress or when quick decisions are required, they often rely on heuristics based on their cognitive biases. In particular, we often see cases where entrepreneurs fail because they make decisions based on heuristics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select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that are planned to guarantee the growth and sustainability of their compani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response to the need for research to clarif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gnitive biases on new business opportunity evaluation, given that the cognitive biases of entrepreneurs, which are formed by repeated successful experiences, can sometimes lead to business failur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effects of cognitive biases on entrepreneurship and opportunity evalu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people who aspire to start a busines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have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biases and social networks among entrepreneurs.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surveys of entrepreneurs only, and also conducte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network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parallel survey method using online mobile surveys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50 entrepreneur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overconfidence' and 'illusion of control',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entrepreneurs' cognitive bias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siness opportunity evalu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variable, social network, moderates the effect of overconfidence on business opportunity evaluation. This study showed that entrepreneurs' cognitive biases play a role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select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and that social networks play a role in moder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 cognitive biases and business opportunity evalu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not only to entrepreneurs, but also to entrepreneur education and policy making, by showing how entrepreneurs can use cognitive biases in a positive way and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 KCI등재

        창업가의 인지편향이 지각된 위험과 조절된 창업효능감에 따라 창업기회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대엽,박재환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cognitive bias of college students and entrepreneurs relates to perceived risks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hat represent uncertainty, and how various cognitive bias and entrepreneurial efficacy In the same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rovement poin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and to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 possibilitie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current entrepreneurs. This empirical study is a necessary to improve the decision-making of individuals who want to start a business at the time when various attempts are made to activate the start-up business and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the existing SME management. And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in opportunity evaluation, and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good opportunities together with the upbringing of entrepreneu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and entrepreneurs. A total of 363 questionnaire data were obtained and demonstra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confirms that there is som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cognitive bias. Overconfidence and control illusions among cognitive bias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wealth.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control illusion of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erceived risk. Second, cognitive bias demonstrated som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pportunity evaluation. Although we did not find evidence that excess self-confidence is related to opportunity evaluation, we have verified that control illusions and current status bias are related to opportunity evaluation. Control illusions were significant in both college students and entrepreneurs. Third, perceived risk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opportunity evaluation. All stud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college students or entrepreneurs, judge opportunities positively if they perceive low risk. Fourth, it can be seen from the college students 'group that entrepreneurial 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erceived risk and opportunity evaluation, but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entrepreneurs' group. Fifth, the college students and entrepreneurs have different cognitive bias, and they have proved that there is a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evaluation and perceived risk. On the whole, there are various cognitive biases that are caused by time pressure or stress on college students and entrepreneurs who have to make judgments in uncertain opportunities, and in this respect, they can improve their judgment in the future. At the same time, university students can have a positive view of new opportunities based on high entrepreneurial efficacy, but if they fully understand the intrinsic risks of entrepreneurship through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fully understand the cognitive bias present in direct entrepreneurial experience, You will get a better opportunity assessmen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university students and entrepreneurs are integrated, and that the survey respondents are selected by the limited random sampl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systematic research based on more faithful data in the absence of the accumulation of entrepreneurial research data. Second, the translation tool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translated and the meaning of the measurement tools might not be conveyed due to language differ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more precise scale for the accuracy of the study. Finally, complementary research should be done to identify what competitive opportunities are and what opportunities are appropriate for entrepreneurs. 본 연구는 개인이 지닌 인지편향이 지각된 위험 및 창업기회평가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창업집단에 따라 인지편향과 창업효능감이 창업기회를 다르게 평가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을 위한 창업교육의 개선점을 찾고, 현직의 창업가가 행하는 의사결정과정에서 어떤 문제점이 있으며 개선 가능성이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생과 창업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63명의 설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실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편향과 지각된 위험은 유의적인 부의 관계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인지편향 중 과잉자신감과 통제착각은 지각된 위험과 부(-)의 유의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로, 인지편향은 기회평가와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통제착각과 현상유지편향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각된 위험은 기회평가와 유의한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과 창업가집단을 나누어 살펴본 창업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창업효능감이 지각된 위험과 기회평가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하고 있다는 것을 대학생집단에서는 확인할 수 있으나, 창업가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하지 못했다. 또한 대학생집단과 창업가집단은 다른 인지편향을 가지고 있으며, 지각된 위험을 매개로 창업기회평가에 다르게 관계가 있음을 실증하였다. 불확실한 상황에서 판단을 해야 하는 예비 창업가인 대학생과 기존 창업가에게는 시간적인 압박, 또는 스트레스를 원인으로 발생하는 서로 다른 인지편향이 존재하며, 이런 편향의 존재를 인정하고 스스로 자신의 판단을 개선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은 높은 창업효능감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회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지닐 수 있지만,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위험에 대한 철저한 지각과 함께 직접적인 창업경험에 존재하는 인지편향을 충분히 이해한다면 과거보다 좋은 기회평가를 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과 창업가를 통합하여 실증하였다는 점과 제한된 방식의 임의추출법에 의해 설문응답자를 선정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두 번째로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언어 문제로 측정도구의 명확한 의미가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연구의 정확성을 위해 보다 정밀한 척도를 구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CT-R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메뉴 선택 수행 예측

        민정상(Jungsang Min),조성식(Seongsik Jo),명노해(Rohae Myung) 대한인간공학회 201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9 No.6

        Cognitive model, that is cognitive architecture, is the model expressed with computer program to show the process how human solve a certain problem and it is continuously under investigation through various fields of study such as cognitive engineering, computer engineering, and cognitive psychology. In addition, the much extensive applicability of cognitive model usually helps it to be used for quantitative prediction of human Behavior or Natural programming of human performance in many HCI areas including User Interface Usability, artificial intelligence, natural programming language and also Robot engineering. Meanwhile, when a system designed, an usability test about conceptual design of interface is needed and in this case, analysis evaluation using cognitive model like GOMS or ACT-R is much more effective than empirical evaluation which naturally needs products and subjects. In particular, if we consider the recent trend of very short-end term between a previous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next new one, it would take time and much efforts to choose subjects and train them in order to conduct usability test which is repeatedly followed in the process of a system development and this finally would bring delays of development of a new system. In this study, we predicted quantitatively the human behavior processes which contains cognitive processes for menu selection in touch screen interface through ACT-R, one of the common method of usability test. Throughout the study, it was shown that the result using cognitive model was equal with the result using existing empirical evalu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cognitive model has a possibility not only to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evaluation of HCI products or system but also to contribute the activation of HCI cognitive modeling in Korea.

      • KCI등재

        제품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인지 감성 요인 평가 프레임워크 - 주방용품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서현덕 ( Hyun-duk Suh ),신영미 ( Young-mi Shin ),차은수 ( Eun-soo Cha ),조선구 ( Sun-gu Cho ),전수진 ( Soojin J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지난 수년간 제조업 중심 산업은 서비스 중심 산업으로 변하고 있으며, 이는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사용자 중심으로 제품개발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음을 반증한다. 오늘날의 기업과 학제에서는 신제품 개발(New Product Development)에서의 사용자의 경험(User Experience)과 사용자의 인지, 감성 요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신제품 개발은 진보한 기술의 부족함 뿐 아니라,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 니즈의 이해 부족으로 인해 제품개발에 실패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감성요인은 제품개발에 있어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인지 감성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제품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평가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프레임 워크를 설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제품에 대한 사용자 인지 및 감성어휘들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어피티니 다이어그램 매핑을 통해 5개의 감성 인지 모듈에 맞게 분류하여 사용자 인지 감성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그리고 이 프레임워크의 검증을 위해 국내 주방용품 사용자/소비자를 대상으로 인지 및 감성 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자의 주방용품 구매 및 사용시 고려하는 인지 감성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사용자 인지 감성 정보지원 시스템 개발에 참고 자료로 활용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용자 인지 감성 평가 프레임워크의 실용성 검증을 위한 주방용품 사용자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 개발된 인지 감성 평가 프레임워크는 사용자의 인지 감성 중요도, 각 모듈별 인지 감성 요인 분포, 제품과 인지 감성 모듈과의 상관관계, 인구통계학적 사용자 인지 감성 요인 등 사용자 인지 감성 요인에 대한 다양한 실증 분석 자료를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제품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인지 감성 요인 평가 프레임워크는 디자인 실무에서 신제품 개발을 위한 사용자의 인지 감성 요인 평가의 중요한 척도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설계될 신제품 개발프로세스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활용한 인지 감성 정보 지원 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ackground In the past few years manufacturing-centered industry has been turning into service-centered industry, reflecting the change of product development paradigm from supplier-centered to user-centered. Research on user experience, user cognition and emotional factors regarding new product developmen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recent years,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However, most of new product developments fail not only because of insufficiency in technological advancement but also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consumer needs, especially of those whom actually use the products. Consequently, emotional factors of users are likely to act as essential elements of product development. Current research expects to analyze users`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nd utilize the results as evaluation tools for system development which can be applied to product development Methods Based on literature, cognitive and emotional vocabularies are investigated. Then the corresponding results serve as the basis for constructing affinity diagram through which user cognitive emotion framework is developed according to the five emotions. Furthermore, to verify the framework, a survey on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is conducted targeting domestic users/ consumers of kitchen appliances. The analysis of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of kitchen appliance users will be utilized as references for development of cognitive and emotional information support system. Result Results from a survey targeting users of kitchen appliances for verifying the practicality of the evaluation framework developed from the current research show that the framework is capable of deriving empirical analysis data on user cognition-emotion factors. These include the importance of user cognition-emotion, distribution of cognition-emotion factors for each module, correlation between products and cognition-emotion modules, and demographical user cognition-emotion factors. Conclusion The user cognition-emotion factor evaluation framework suggested in the present study for product design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n essential measure for estimating users` cognition-emotion factors. Results in turn can be used for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 actual field of design business. Furthermore, the framework is also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critical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cognition-emotion inform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user experience in the future planning of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프라이드의 유형과 광고유형의 광고제품평가에 대한 상호작용효과

        최낙환 한국유통과학회 2015 유통과학연구 Vol.13 No.5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self trait-advertisement versus communion-focused advertisement on product evaluations depends on a type of pride felt as ambient emotion. It also explores whether the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 to the effect of the advertisement type on product evaluation are moderated by types of pride such as hubristic pride or authentic prid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research uses a restaurant service as the experimental object and employs a 2 (pride type: hubristic pride vs. authentic pride) × 2 (advertisement type: self trait-focused advertisement versus communion- focused advertisement) between-subjects design, with cognitive response and affective response as within-subject. Each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0 undergraduate students assign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One questionnaire from the authentic pride and self-trait focused advertisement group and two questionnaires from the hubristic pride and communion-focused advertisement group were removed due to answer errors, resulting in a participant number of 157. The author conducts a 2 (pride type: hubristic pride vs. authentic pride) × 2 (advertisement type: self trait-focused advertisement versus communion-focused advertisement) ANOVA on advertised product evaluations, and to better understand the interaction effects, also conducts separate analysis of the hubristic and the authentic pride groups. Additionally, the study conducts mediated moderation analysis to check the mediation role difference of the cognitive response and the affective response to each advertisement on the interaction effects on product evaluations between the hubristic and the authentic pride groups. Results – The findings indicate that participants in the hu-bristic pride group more positively evaluate the product in selftrait focused advertisement, whereas participants in the authentic pride group more positively evaluate the product in communion- focused advertisements.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response on the positive interaction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and pride type on product evaluation is partially moderated by the pride type. However,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response on the positive interaction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and pride type on the product evaluation is not moderated by the pride type.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advertisement theory development by exploring interaction effects of ambient pride type and advertisement type on product evaluation, as well as to the theory of consumer behavior by exploring how pride type moderates the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response on the positive interaction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and pride type on product eval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rrent research, advertisers should research what kinds of events consumers have experienc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ir advertisements, and use self-trait advertisements when consumers are grouped under ambient hubristic pride, and use communion-focused advertisements when consumers are grouped under ambient authentic pride. However,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reasons why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response to advertisements in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ide type and advertisement type on product evaluation is not moderated by pride type.

      • KCI등재

        학습자 맞춤형 국어과 수업 설계를 위한 인지진단모형의 활용 방안 연구

        최숙기 ( Choi¸ Sook-ki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7

        인지진단평가는 검사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지식이나 기능인 인지요소의 숙달 여부를 토대로 학습자의 학업적 강점과 약점을 체계적으로 진단하여 실증적인 학업적 성장을 지원하는 교수적 피드백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 지향적 평가로서의 평가 패러다임 내에서 주목받는 평가 방안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평가 결과가 총점에 기반한 성취수준에 대한 서열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치는데 비해 인지진단평가는 학습자 맞춤형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도록 하는 데 보다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학습자 맞춤형 국어 수업 설계를 위해서는 첫째, 국어과 평가 맥락을 고려한 타당한 인지 요소의 표준화 목록의 개발, 둘쨰, 학습자 맞춤형 피드백이 가능한 인지 요소의 체계화, 셋째, 평가 결과를 반영한 맞춤형 학습 경로도 순서도의 개발의 방안을 체계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Cognitive diagnostic evaluation can provide instructional feedback to support empirical academic growth by systematically diagnosing learners' academic strengths and weaknesses based on their mastery of cognitive factors, which are knowledge or skills to be measured through tests. It is one of the evaluation methods attracting attention within the evaluation paradigm as a learning-oriented evaluation. While traditional evaluation results only provide hierarchical information on achievement level based on total points, cognitive diagnostic evaluation is more effective in helping learners design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owever, for personalized Korean language class design, first,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list of valid cognitive ele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evaluation context; second, systematization of cognitive elements that enable learner-tailored feedback; third, development of a customized learning path chart that reflects evaluation results.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에서 인지적 효율성의 즉시적 자기평가 효과 추이

        김형수(金亨洙),김동일(金東一),최한나(崔한나)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효율성의 자기 평가적 요소가 자기조절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기 위하여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을 구현한 후, 반복적인 자기 평가 및 평가 결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인지적 효율성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지적 효율성이 학습자 자기평가의 구체적인 지표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경인지역 중학생 54명을 대상으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을 구성하여 영어교과목에 대한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을 4주 2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되 평가는 피드백 없이 사전-사후 검사만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성취도 검사와 난이도 평정을 매주 한 번씩 총 4회 실시한 후 매번 프로그램 상에서 평가결과의 개인 간 비교치 및 개인 내 변화치에 대한 피드백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인지적 효율성은 검사에 대한 난이도를 자가 평정하여 난이도 대비성취도 점수의 형태로 산출하였다. 결과분석은 첫째, 프로그램의 효과크기 산출, 둘째,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간 성취도, 난이도 인지적 효율성 평균차이 분석 그리고 셋째, 인지적 효율성의 반복평가 추이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실험집단은 큰 효과크기(.85)를 나타냈다. 그리고 비교집단은 중간정도의 효과크기(.66)를 나타냄으로써 프로그램의 전체적 효과의 적정성과 인지적 효율성의 반복 평가 적용에 따른 상대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사후 비교 - 실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성취도와 인지적 효율성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난이도 인식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인지적 효율성은 반복 평가 과정을 통해서 유의한 선형의 상승을 나타냈다. 인지적 효율성이 산출과정에서 이미 성취도를 내포하는 변인이므로 성취도의 변화는 인지적 효율성과 변화를 같이 할 수 있다. 다만, 인지적 효율성의 반복 평가 과정에서 인지적인 부하감이 다소 줄어들고 따라서 동일한 성취도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더 쉽게 도달 할 수 있을 것으로 지각하게 한다는 덤은 인지적 효율성이 학습자의 학업 수행에 대한 선행 평가 지표로서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peated immediate self-evaluation of cognitive efficiency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this study, 54 middle school students(male: 26, female: 28) participated in 20 session web-based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for 4 weeks. 24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30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cognitive efficiency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out immediate self-evaluation in the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cognitive efficiency were evaluated once a week and monitored in the program. The cognitive efficiency was calculated by scores of participants" achievement tests depending on participants"s own rating of the difficulties of achievement tests. We examined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the difference of achievement, difficulties, and cognitive efficiency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 also analyzed the variance of repeated measures for trend of repeated immediate cognitive efficiency evaluation. The results were followings: First, the effect siz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85 while that of control group was .66. Second,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cognitive efficiency for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than those for the control group. However, participants" perceived difficulties did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linear improvement of cognitive efficiency was fou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included participants" repeated self-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cognitive efficiency c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ndexes of learners" self-evaluation o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 KCI등재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과제 수행에서 대학생들이 인식한 실재감의 자기평가 및 팀 평가 예측 검증

        원지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whether or not three types of presence: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predict self evaluation and team evaluation when university students are engaged in a team-based project learning by using KakaoTalk(One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used in Korea). The subjects were 107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guided to finish a team project by performing a collaborative interaction as a group of 3 or 4 students using KakaoTalk.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sk the levels of three presences: social, cognitive, and teaching presence that students perceive while they collaborate through KakaoTalk. Also, students were asked to self-evaluate and team-evaluate their collaborative learning that they preformed through KakaoTalk.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presence predicted self-evaluation. Second, soci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predicted team evaluat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tudents perceive high levels of soci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in order to experience the qualitative team-based project learning through KakaoTalk.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팀 과제를 수행하는 대학생들이 모바일 상에서 형성된 학습공동체의 협업 과정에서 인식한 사회실재감, 인지실재감, 교수실재감이 협력 학습에 대한 자기평가 및 팀 평가를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A 대학교 사범대생 107명을 3~4명으로 구성된 팀으로 나누어 4주 동안 팀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 협력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상호작용 활동을 하면서 팀 과제를 완성하였다. 팀 프로젝트 과제를 끝내고 설문지를 통하여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상호작용 활동을 하는 동안 그들이 사회실재감, 인지실재감, 교수실재감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분석하였고, 자기평가와 팀 평가를 실시하여 협력 학습 성과를 평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각 실재감의 자기평가 및 팀 평가의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카오톡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 과제 수행에서 자기평가를 예측하는 실재감은 사회실재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평가를 예측하는 실재감은 사회실재감과 교수실재감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카카오톡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 수행에서 양질의 협력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의해야 할 실재감 유형을 파악하고 그러한 실재감의 수준을 높이는 교수 전략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Analyzing the influence of store atmospherics on younger generation in apparel retail market with an extended S-O-R model

        Saricam Canan 한국마케팅과학회 2023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e atmo- sphere on the approach behavior of younger consumers via an extended model based on the S-O-R paradigm. To this aim,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a random sample of 300 partici- pants in Turkey. The extended model was verified, and its explana- tory power was determined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a nested model and the so-called original model. The analysis of the extended model put forward that all basic store atmospherics and stimulus signage were influential on cognitive evaluation, but only the stimulus design cue had a direct impact on affective evaluation. Both cognitive evaluation and affective evaluation were found to affect approach behavior and finally, the cognitive evaluation had a direct impact on affectiv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