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소진 경험과 극복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윤소영,임민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phenomenon of burnout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to derive a contextualized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factors of burnout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it.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current childcare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vercoming burnout the burnout experience and overcoming process were analyzed inductively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procedure(1998). As a result, the experience and overcoming of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were derived through open coding into the categories of 'factors of burnout, job reality, symptoms of burnout, strategies of overcoming voluntary burnout, external factors, and results of overcoming burnout', and paradigm models and step-by-step processes for overcoming burnout were formed through axial coding. Overall, the process of experience and overcoming burnout was described based on the core category of live as a continuously developing childcare teacher,' and a situational model that integrates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presented. The process of overcoming burnout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provided opportunities for personal maturity and growth,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On the other hand, potential concerns have been raised that if unresolved tasks remain, the burnout situation may repe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measures to help childcare teachers prevent and overcome burnout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보육교사들이 경험한 소진의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소진의 요인과 극복 과정에 대한 맥락화된 이론적 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진 극복의 경험을 지닌 16명의 현직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수행하고, Strauss와Corbin(1998)의 근거이론 절차에 따라 소진 경험과 극복 과정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소진 경험과 극복은 개방코딩을 거쳐 ‘소진의 요인, 직무 현실, 소진의 증상, 자발적 소진 극복 전략, 외부 영향 요인, 소진 극복의 결과’ 범주로 도출되었고, 축코딩을 통해 패러다임 모형과 단계별 극복 과정이 구성되었다. 종합적으로 소진 경험과 극복의 과정은‘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한 보육교사로 살아가기’ 핵심범주를 토대로 기술되었으며, 연구결과를통합한 상황모형이 제시되었다. 보육교사들이 경험한 소진 극복의 과정은 개인적 성숙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 전문성 발전의 계기로 작용하였다. 반면 극복되지 않은 미해결과제가 잔존할 경우 소진 상황이 반복될 수 있는 잠재적 우려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소진 예방과 극복을 돕는 지원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상담자 소진(burnout)에 대한 체험분석

        윤은주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the resolution tactics for the burnout in counselors. The common psychological variables of burnout and the general procedure of emotional resolution have been studied. In the experiential analysis, people who experience the phenomena go into their own experiences,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ubject experiences, and search for the effective strategy to overcome the phenomena. The current study involved 11 counselors who had the experience of more than 3 years. These collaborative researc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group tried to reach to an agreement. The summary of results is as follows: 1. The common emotional variables during burnout in counselors were guilty conscience, emotional burden, and anger. 2. The psychological procedures of burnout in counselors could be categorized in 6 sequential steps as: the recognition of burnout, perceptional analysis, triggering emotions by self-judgement, triggering behaviors by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nout, burnout, and finally, the resolution of burn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signify the followings. 1. The perceptional analysis has been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step of burnout in counselors. According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perceptional arbitration is required to prevent and resolve the burnout. 2.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the experiential analysis where the counselors report and analyze the mentalities and cognition observed during their own burnout experiences. 3. The experiential analysis entails the vivid understanding of the counselors' own burnout and self-examination motivating and facilitating the comprehension and resolution of burnout.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소진 유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공통요인과 정서 대처과정이 어떤 것인지를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양적 접근이 아닌 현상을 체험하는 상담자가 자신의 체험 속으로 직접 들어가 주관적 체험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그 현상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전략을 찾는 방법인 체험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3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상담자 11명이었다. 이들은 공동연구자의 자격으로, 2개 집단으로 나뉘어져 집단합의과정을 거쳤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상담자가 소진하는 과정에서 체험하게 하는 감정적 공통 요인은 자책감, 부담감, 화남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가 소진하는 심리과정은 소진 유발 상황인식단계, 인지적 해석단계, 평가에 따른 감정유발단계, 신체적․정서적 소모 및 태도유발단계, 소진단계, 소진대처단계의 6단계로 개념화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소진 과정에서 인지적 해석과정이 중요한 단계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상담자의 소진대처방법을 위해 인지적 중재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상담자가 체험하는 소진에 포함된 정서와 사고를 자신의 언어로 보고하고 분석한 체험연구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 체험분석 방법은 상담자에게 자신의 소진에 대한 살아있는 이해를 하게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성찰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소진에 대한 동기유발, 이해와 대처에 도움을 주었다.

      • KCI등재

        심리적 소진으로부터 회복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학상담자를 대상으로

        최혜윤 ( Hye-yoon Choi ),김은하 ( Eunha Ki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7 人間理解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의 구조 및 과정을 탐색하고자 대학에서 4년 이상 전일제 상담자로 근무하면서 심리적 소진과 회복을 경험한 14명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근거이론으로 면접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183의 개념, 51개의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나타났고, 대학상담자들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의 구조 및 과정을 반영하는 이론 모형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소진으로 인해 `탈진하여 상담자로서의 기능을 상실함`을 경험했고, 소진에서 회복하는 과정은 `심리적 소진`, `외적 변화와 개인적 노력`, `회복`, `내적 성장`의 4단계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소진` 단계는 근무환경과 개인적인 특성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데, `회복` 단계 이후에도 열악한 근무환경에 처하면 다시 `심리적 소진` 단계가 나타나 소진과 회복은 순환 과정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회복` 단계에서 내적 변화와 자기 돌봄 전략을 추구하면 `내적 성장` 단계에 진입하면서 심리적 소진과 회복의 순환고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소진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모델과는 달리 회복과 내적 성장의 과정을 포함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o explore the process that involves burnout and recover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14 college counselors who experienced burnout and recovery.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revealed 183 themes, 51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impairment in functioning as a counselor due to exhaustion,” and the model encompasses 4 stages, including `burnout`, `external changes and personal efforts`, `recovery,` and `internal growth.` The first stage of `burnout` occurred because of several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factors, and those who reached the `recovery` stage could return to the `burnout` stage, or recycle through the stages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However, if college counselors pursued internal changes and utilized self-care strategies during the `recovery` stage, they could proceed with the `internal growth` stage and break the recycling pattern of burnout and recovery.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offers a theoretical model that encompasses the burnout and recovery process.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직무소진 극복과정

        강성례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3 간호행정학회지 Vol.1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cess of overcoming professional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2 clinical nur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bout their actual experiences. The main question was “How do you describe your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overcoming professional burnout?" Qualitative data from the field notes and transcribed notes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developed by Strauss & Corbin.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professional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was identified as “Keeping a balance by awakening-relaxing-coexisting". The participants used six interactional strategies such as ‘Confronting problems', ‘Exposing problems', ‘Laying the mind's burdens down', ‘Taking a breather', ‘See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ccepting realities'. The results of overcoming process of professional burnout were ‘Coexisting' and ‘Revitaliz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signing supportive programs and policies to solve professional burnout in clinical nurses.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 회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차미성,송미경 한국재활심리학회 2024 재활심리연구 Vol.30 No.4(S)

        This study explores the psychological change proces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burnout recovery among play therapists. Fifteen play therapists, each with over five years of experience and having undergone psychological burnout recovery, participated in the study. Utilizing grounded theory as the analysis method with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his study delved deeply into the psychological burnout recovery process of these professionals. The analysis revealed interactions between psychological changes, influencing factors, and the ways in which play therapists re-established their personal growth and professional roles through the recovery process. This study also revealed the factors affecting the recovery proces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of play therapy patients, the meaning of recovery, and recovery factors, and created a substantive theory on the recovery proces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of play therapy patients.

      • KCI등재

        완벽주의와 학업열의 및 학업소진과의 관계: 동기와 목표과정의 매개효과 검증

        이현아,조한익 한국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5 No.3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model in which the complex interplay of perfectionism(adaptive, maladaptive), academic engagement, academic burnout and mediators(autonomous motives, controlled motives, functional goal process, dysfunctional goal process) was hypothesized. In order to examine those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employed and fitted to data from 439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The hypothesized model fit the data well. Findings in the study showed that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the academic engagement and the academic burnout were mediated by motives (autonomous, controlled) and goal processes(functional, dysfunctional). Particularly, even if the maladaptive perfectionism predicted the academic burnout, it also influenced the academic engagement through the controlled motives. This study also exhibited that the perfectionism(adaptive, maladaptive) influenced the academic engagement and the academic burnout through the academic goal processe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근거와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완벽주의 두 차원(적응적 완벽주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학업열의, 학업소진 그리고 관련 매개변인들(자율동기, 통제동기, 기능적 목표과정, 역기능적 목표과정) 간의 복합적인 인과적 관계를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439명(남자 317명, 여자 122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자료 분석 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와 학업열의 및 학업소진과의 관계에서 동기(자율, 통제)와 목표과정(기능적, 역기능적)이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을 예측하지만 통제동기를 통해서 학업열의에 이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기와 일치된 목표를 추구한다기 보다 오히려 부모 또는 다른 사람의 바람이나 죄송함, 외적인 보상 등을 위해서 목표를 추구함으로써 학업열의에 이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적응적 및 부적응적 완벽주의 모두 학업목표과정을 통해서 학업열의와 학업소진에 이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 및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손자녀 양육 조모의 소진회복과정

        이호선(Lee, Hosun) 한국노년교육학회 2020 노년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 중인 여성 노인들의 소진과 회복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조부모 대상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석자들 중 현재 2년 이상 손자녀 양육을 하고 있는 58세 이상의 조모 8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고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59개의 개념과 39개 하위범주, 23개의 상위범주가 나타났고, 손자녀 양육 조모들의 소진-회복 과정을 보여주는 이론모형이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소진으로 ‘소진이 심해 손주 양육 불가’를 경험했고, 소진에서 회복하는 과정은 ‘체력 소진’, ‘손주가 주는 기쁨과 개인적 노력’, ‘지원과 회복’, ‘통합성 경험’의 4단계로 나타났다. 시간 지나거나 손자녀 숫자가 증가는 손자녀 양육환경 변화에 의해 소진이 다시 발생하는 순환적 과정으로 나타났다. 회복과 수용단계에서 가족의 지지경험과 조부모 교육이 통합성 경험으로 이어진 경우 재소진 단계에서 보다 빠르게 벗어날 수 있었다. 손주 육아 조부모의 소진을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할 맞춤형 교육서비스와 육아 조부모 전담 상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urnout-recovery process of Korean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With the results of MBI,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8 grandmothers who experienced burnout and recovery in caring grandchildren.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159 themes, 39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were deriv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burnout as a caregiver” as a central phenomenon and the model showed 4 stages, including ‘limits of health’, ‘the happiness experiences that grandchildren gave and personal efforts’, ‘supports and recovery,’ and ‘integration and growth.’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integration and growth’ stage could return to the ‘limits of health’ stage again according the conditions of caring grandchildren. There needs professional counseling-educational care programs and continuous supports to prevent the burnout and promote the recovery of the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 KCI등재

        교권침해 경험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과정

        장일영,기영화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 to and recover from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burnout.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heir teaching rights.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until the intended sampling and saturation had been reache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gathered in a snowball sampling method, through introduction by acquaintances. The data collected was subjected to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were coded into 91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8 upper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ausal conditions displayed ‘psychological burnout’, as the central phenomenon, through the ‘negative behavior of students’, ‘conflict with parents’, and ‘uninterested/indifferent teaching work culture’. Contextual conditions that imparted effects on these factors included ‘discrepancy between laws’, ‘teaching work culture’, ‘critical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 ‘absence of a mediator’, while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found to be in the category of the recovery process -including ‘support from surrounding people’, ‘affirmative interpretation’, ‘opportunity for expression of emotion‘ and ’dissipation of elements of civil complaint’- and the category of the worsening of burnout- including ‘lack of resources in the surroundings’, ‘psychological difficulties’, ‘continuous demand for civil complaint’, and ‘personal variables of teachers’. The ‘utilization of support resources’, ‘consolation by experience of sympathy’, ‘assertive efforts in problem-solving’, ‘efforts to improve specialization’, and ‘changes in the strategy of the teacher’ were deduced as the interaction strategy. The ensuing results included a manifestation of affirmative changes in the growth of the teachers such as ‘flexibility in thinking’, ‘foundation for a stable teaching profession’, and ‘attitude towards educational issues’, etc. However, the passion of the teachers towards education also decreased in the process. On the basis of aforementioned study results, proposals including systematic improvement of teacher’s authority, introduction of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protection of teacher’s authority, and means of restoration of trust between educational communities, etc. are made. 본 연구는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초등교사가 어떻게 반응하고 회복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위해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과 포화가될 때까지 반구조 인터뷰 질문지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지인의 소개로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이루어졌다. 이들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1개의개념과 30개의 하위범주, 8개의 상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연구결과 인과적 조건은 ‘학생의 부정적 행태’, ‘학부모와의갈등’, ‘비관심/무관심 교직문화’를 통해 중심현상인 ‘심리적 소진’이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조건은 ‘법간의 괴리’, ‘교직 문화’, ‘위기의 교실 환경’, ‘중재자의 부재’로 나타났고, 중재 조건은 ‘주변 사람들의 지원’, ‘긍정적해석’, 감정표현 기회‘, 민원 요소 사라짐’의 회복과정과 ‘주변 자원 부족’, ‘심리적 어려움’, ‘민원 지속적 요구’, ‘교사개인 변인’의 소진 심화 범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전략은 ‘지지 자원 활용’, ‘동병상련 경험의 위안’, ‘적극적인해결 노력’, ‘전문성 향상 노력’, ‘교사의 전략변화’가 도출되었다. 그에 따른 결과는 교사의 ‘사고의 유연성’, ‘안정적교직생활 기반’, ‘교육 문제를 대하는 태도’ 등 교사 성장의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교육에대한 열정이 저하되기도 하였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권의 제도적 개선, 교권보호를 위한 실질적 지원시스템 도입, 교육 공동체간 신뢰 회복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융의 분석심리학적 차원에서 본 직업인의 심리적 탈진에 관한 연구

        김영희 한국성인교육학회 2007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0 No.2

        최근 성인 직업인의 심리적 탈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왔으나, C. G. Jung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성인 직업인, 교사의 심리적 탈진을 분석하고, 그 극복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는 아직 출발점에 서 있는 것 같다. 한국의 특수한 교육현실에서 경험 할 수 있는 교사의 심리적 탈진의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Jung이 개념화한 "페르조나(Persona)" 와의 지나친 동일시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교사가 한국사회집단에서 요구하는 '교사상'만을 따르게 되면 자아는 자신의 내적인 정신세계와의 관계를 상실하게 되고, 그 결과 자아의식의 에너지는 고갈되고 지쳐버리게 된다. 교사가 탈진하게 되면 내안의 또 다른 인격은 교사로 하여금 '그 사람 자신'이 되게 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교사가 심리적 탈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외부세계와 관계를 맺고 있는 교사 페르조나와의 동일시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야 한다. 따라서 탈진한 교사는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내적인격인 무의식과의 관계를 회복함으로써 자아(ego)가 중심이 된 삶에서 자기(Self, 전체성)가 중심이 된 삶으로 변환하는 인격의 성숙을 스스로 경험하게 되는데, 그 과정을 Jung은 자기실현, 즉 개성화 과정이라고 하였다. There have been much research done on adult workers' psychological burnout, but there has not been a study done from C. G. Jung's analytical psychology perspective. This study points out that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originating from the educational reality in Korea results from teachers' excessive identification with the "persona" conceptualized by Jung. If the teachers follow only the "teacher's image" required by Korean society, they lose the relationship with their internal spiritual world and, as a result, run dry of all the energy of ego consciousness. When teachers are burnt out, their unconsciousness, which is their other personality, is inclined to make the teachers be "themselves". In order to overcome their burnout at this stage, they have to free themselves from their identification with the "teacher persona" of the outside world and have to be able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m. By examining their inner world and restor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unconsciousness, they come to experience the maturing process from an ego life to a Self(wholeness)-centered life. Jung refers to this process as self-actualization, namely, the individuation process.

      • KCI등재

        해외선교사의 탈진과 회복과정

        이호선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process that involved the burnout and recovery of Korean Missionaries having been abroad over 4 yea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8 missionaries who experienced burnout and recovery.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revealed 163 themes, 43 subcategories, and 21 categorie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malfunction as a missionaries due to burnout,” and the model showed 4 stages, including ‘burnout,’ ‘The changes of mission field environments and personal efforts,’ ‘recovery and healing,’ and ‘spiritual growth.’ The first stage of ‘burnout’ was for some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factors, and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spiritual growth’ stage could return to the ‘burnout’ stage again according the conditions of the mission field. There need professional counseling-educational care programs and continuous supports to prevent the burnout and promote the recovery of the missionaries. 본 연구는 선교사의 탈진과 회복 구조와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기독교선교사역을 위해 4년 이상 타문화권에서 선교사역을 하고 있는 8명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63개의 개념과 43개 하위범주 그리고 21개의 상위범주가 나타났고, 선교사들의 탈진과 회복 구조 및 과정을 보여주는 이론모형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탈진으로 ‘탈진하여 선교사로서 기능 불가능’을 경험했고, 탈진에서 회복하는 과정은 ‘탈진’, ‘선교 환경 변화와 개인노력’, ‘회복과 치유’, ‘영적 성장’의 4단계로 나타났다. ‘탈진’ 단계는 선교환경과 개인특성 원인으로 발생했으며, ‘영적 성장’ 단계를 거친 후에도 사역지 환경변화에 의해 탈진이 다시 발생하는 순환적 과정으로 나타났다. 회복단계에서 경험이 영적 성장 과정으로 이어진 경우, 탈진의 악순환에서 보다 빠르게 벗어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교사들의 탈진을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할 지원과 전문상담-교육 돌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