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법학방법으로서의 행동법경제학

        김성원(Kim, Sung Won) 국제법평론회 2019 국제법평론 Vol.0 No.53

        The effort to answer questions concerning whether international law relevantly reflects the reality of international community, especially in terms of the explanatory capability, goes hand in hand with the study on the methodologies of international law. Twenty years ago, the interesting opportunity was given to seven methodologies of international law to express their respec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to handle with a given same international law questions. Positivism, policy-oriented jurisprudence, critical legal studies were invited at the feast of international law methodologies. Surprisingly, law and economics was also invited to it. Despite of its strength to explain cause and effect of international actors’ behavior through empirical approach, law and economics is not fully welcomed by international law scholars because its approach does not seem to pay due attention to the normative aspect of international law. Contrast with the passive reception of law and economics approach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law, law and economics is actively employed to improv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legal norms an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domestic law including contract law, criminal law and litigation procedure. Shared with the fundamental assumptions of neo-classical economics, law and economics explore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legal norms and institutions through the lens of the perfect rationality. Put it differently, law and economics usually begins its analysis on assumptions that Homo economicus has the perfect rationality which enables Homo economicus to make a rational choice at any circumstance. However, empirical and psychological experiments give much reason to doubt over assumptions of law and economics: Homo economicus is undoubtedly subject to the bounded rationality rather than the perfect rationality. With the help of cognitive psychology,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based on behavioral economics fiercely challenges the unreality of law and economics. The core concepts including heuristics, framing effect, loss aversion and status quo bias are used as the powerful weapons by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to expose the bounded rationality embodied in Homo economicus. As yet, international law does not appear to take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seriously as a method of international law. There are lots of reasons to explain this phenomenon. Generally, the reluctance of international law scholars to apply economic analysis to international law can be suggested as the main reason. International law scholars criticize law and economics as an empty method because it does not focus on the normative nature of international law. In this sense,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which is harshly criticized by neo-classical economics, seems to have a hard time to occupy the right place in the international law methodologies. But this should not be the end of story.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as a method of international law. Despite of its above mentioned weaknesses, advantages of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clearly exist in the field of studies concerning how to design treaty text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compliance, and to create a new international institutions’ mechanism to assist the cooperation of states regardless of their respective interests. Moreover,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makes a bold attempt to redirect the path towards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law methodologies which is overwhelmingly dominated by the mainstream international law methodologies. In other words,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discloses the hidden reason why international law scholars ardently sticks to the mainstream international law methodologies, especially positivism, despite of its incapability to address international law problems effectively.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can serve as a visible, enriching alternative and complement

      • KCI등재

        Understanding the Real Economy through Behavioral Economics

        ( Sung-baig Choi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3

        일반적으로 경제학에 대한 비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예측의 불확실성이다. 경제는 많은 변수들의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또 다른 하나는 현실 경제 활동과 경제학과 괴리이다. 전통 경제학은 모든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생각한다는 전제가 있다. 그러나 전통 경제학에서 전제하는 합리성은 비현실적으로 실제 경제활동과 괴리가 있다. 즉 경제학에는 가장 최선인가 차선인가라는 사고가 있다. 가장 최선이란 완전경쟁이 성립하는 영역이다. 완전경쟁의 경우 인간은 모두 합리적인 경제인이고 모든 정보를 가진다는 전제가 있다(정보의 완전성). 이는 장래를 확실하게 예측 가능하며(확실성), 수요자나 공급자는 가격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가정이다. 이와 같이 완전경쟁이 성립할 경우 전통 경제학은 시장 메커니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대로 차선은 완전경쟁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정보의 비대칭성 등 정보 경제학이나 불 완비계약이론이 차선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즉 의료·개호 등 소비자가 완전한 정보를 가지지 못한 분야에 정부가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에 응용된다. 행동 경제학이나 게임이론도 차선에 해당한다. 노벨 경제학 수상자를 보면 과거 신고전파(최선)가 압도적이지만 최근에는 차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시장 메커니즘에 의문을 가진 사람들은 차선 경제학에 관심이 높다. 복잡한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제인과 같은 극단적인 가정에서 사물과 현상을 간략화하게 설명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행동경제학은 전통경제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비합리적인 행동 설명이 가능하다. Generally, criticism on economics can be summed up largely in two ways. One is the uncertainty of prediction. Uncertainty increases in economy on account of many related variables. The other is doubts about economic activities and economics. Classical economics assumes that every human being thinks reasonably. But reasonability presupposed in classical economics involves a gap between the unrealistic premise and economic activity resulted from that. In other words, economics is based on the notion of the best and the second best. The best is the area where perfect competition comes into existence. In perfect competition, it is presupposed that all humans are reasonable economists and are equipped with information (the completeness of information). This assumes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future exactly (certainty) and either consumers or suppliers are not influenced by price. When this kind of perfect competition comes into existence, classical economics plays crucial roles in the market mechanism. On the contrary, the second best is the case that perfect competition does not come into existence. The typical example of the second best is information economics like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or incomplete contract theory. This applies to how the government should intervene with the area where consumers are not equipped with complete information, for instance, medicine or caring. Behavioral economics or game theory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best. Considering the winners of the Novel Prize in Economic Sciences, we can see that neoclassicists (the best) were dominant in the past while the second best is increasing recently. Those having doubts about the market mechanism show keen interest in the second best economics. To understand a complex society, it is needed to have wisdom for explaining things or phenomena briefly within the extreme presupposition of economists. Behavioral economics can explain unreasonable behavior that classical economics has failed to explain.

      • KCI등재

        Understanding the Real Economy through Behavioral Economics

        최성백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3

        Generally, criticism on economics can be summed up largely in two ways. One is the uncertainty of prediction. Uncertainty increases in economy on account of many related variables. The other is doubts about economic activities and economics. Classical economics assumes that every human being thinks reasonably. But reasonability presupposed in classical economics involves a gap between the unrealistic premise and economic activity resulted from that. In other words, economics is based on the notion of the best and the second best. The best is the area where perfect competition comes into existence. In perfect competition, it is presupposed that all humans are reasonable economists and are equipped with information (the completeness of information). This assumes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future exactly (certainty) and either consumers or suppliers are not influenced by price. When this kind of perfect competition comes into existence, classical economics plays crucial roles in the market mechanism. On the contrary, the second best is the case that perfect competition does not come into existence. The typical example of the second best is information economics like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or incomplete contract theory. This applies to how the government should intervene with the area where consumers are not equipped with complete information, for instance, medicine or caring. Behavioral economics or game theory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best. Considering the winners of the Novel Prize in Economic Sciences, we can see that neoclassicists (the best) were dominant in the past while the second best is increasing recently. Those having doubts about the market mechanism show keen interest in the second best economics. To understand a complex society, it is needed to have wisdom for explaining things or phenomena briefly within the extreme presupposition of economists. Behavioral economics can explain unreasonable behavior that classical economics has failed to explain.

      • KCI등재

        사회적경제에서 행동경제학의 활용

        이재민 한국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연구 Vol.31 No.3

        새롭게 주목을 받는 시민경제학은 기독교공동체주의에 기반한 이탈리아 북부의 고유한 사회적경제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1944년 출간 된 폴라니의「거대한 전환」과 2020년에 출간된 부르니의 「코뮤니타스 이코노미」의 시각과 연구방법론을 비교해 보면, 전자는 구사회적경제, 후자는 신사회적경제의 시각을 담고 있으며, 후자는 시장에 우호적이며 보완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있다. 또한 둘 다 제도적 개체론으로 사회변화를 설명하지만, 전자는 경제인류학 이론에 기반해서 제도변화에, 후자는 진화심리학, 행동게임이론, 행동경제학 등에 기반해서 경제밈의 변화와 개인 간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적경제의 이론적 틀을 공고히 하기 위해 인접학문을 수용한 것이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 행동경제학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행동경제학은 전통경제학의 경제인모형을 현실의 인간행태로 대체함으로써 많은 패러독스를 해결하며 발전했다. 뇌과학, 진화심리학, 인지심리학, 행동게임이론 등 다양한 학문적 연구성과를 받아들여 경제행위와 판단의 예측가능한 오류와 제거방법을 연구한다.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인간의 판단 및 행동에 대한 연구성과를 축적해 왔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의 규범(이타성 및 도덕성, 자발성, 호혜와 상호성, 인간중심성 등)을 확대·유지하는데 행동경제학이 이론적이고 실천적으로 매우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특히 자유온정주의 철학을 담은 넛지정책은 사회적경제와 시각이 맞닿아 있고, 실제 운영에서도 매우 활용가치가 높다. 사회적경제의 이론적 기반을 공고히 하고 그 실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민경제학의 이론적 한계를 벗어나 행동경제학 성과를 보다 적극적으로 확대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Civic economics, which is receiving new attention, is known as a theory that explains the unique social economy of northern Italy based on Christian communitarianism. However, comparing the perspectives and research methodologies of Polanyi's 「The Great Transformation」 published in 1944 and Bruni's 「Communitas Economy」 published in 2020, the former contains the view of the old social economy and the latter the view of the new social economy. And the latter is both market-friendly and complementary. In addition, both explain social change with institutional individualism, but the former focuses on institutional change based on economic anthropology, and the latter focuses on changes in economic memes and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behavioral game theory, and behavioral economics. Behavioral economics studies predictable errors in economic behavior and judgment and how to eliminate them. This study shows that behavioral economics is very likely to be us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 expanding and maintaining the norms of social economy (altruism and morality, reciprocity, anthropocentrism etc.). In particular, the nudge policy(libertarial paternalism) is very useful in actual operation of the social economy. In order to solid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ocial economy and enhance its practicality, it is desirable to actively expand and accept the achievement of behavioral economics beyond the theoretical limits of civic economics.

      • KCI등재

        행동경제학의 경제수업 적용을 위한 이론적 탐색

        박하나 ( Park Han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수업에 행동경제학의 논의를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탐색을 하고, 이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우선 행동경제학 이론의 발전, 비합리적 의사결정 유형, 정책에의 활용을 살펴보았다. 이는 개인의 바림직한 의사결정을 이끄는 방안, 소비자보호 및 환경보호 정책 등 공공의 의사결정에 넛지를 활용하는 방안 등 경제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또한 사상적 배경인 자유온정주의를 둘러싼 논쟁이 경제교과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였다. 적용방안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수업에서 휴먼(Human)의 경제행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기회를 주는 방안이다. 학생들이 경제적 유인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인을 균형 있게 고려한 이콘(Econ)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현실 속 실질적 의사결정역량을 키울 수 있고, 경제인의 행위를 메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줄 것이다. 둘째, 경제수업에서 바람직한 소비를 이끄는 넛지와 소비자를 현혹하는 넛지의 양면성을 다루는 방안이 있다. 기업의 광고와 마케팅 전략이 넘쳐나는 시장에서 우리 주변의 넛지를 돌아보는 기회는 비판적 의사결정역량을 키워 줄 것이다. 셋째, 경제교사는 행동경제학의 한계를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사회과의 시민’은 ‘행동 경제학의 인간’과 다소 거리가 있다. 개인의 선택이라는 미시적 초점을 뛰어넘어, 사회구조적 요인을 고려하고, 힘의 차이에 의한 선택의 문제도 적극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행동경제학의 논쟁과 한계를 통해 시민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넛지를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투명성 확보와 공론화, 숙의과정이 필수적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경제교과와 관련된 다학문적 토대를 공고히 하는 작업을 통해, 2022 교육과정 개정과 경제수업의 외연 확장에 기여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oretical exploration for applying the discussion of behavioral economics to economic classes. First, the development of behavioral decision theory, types of irrational decision-making, and applications in policy were examined. These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be used in economic classes, as a way to guide an individual's desirable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a way to utilize nudges in public decision-making. In addition, the debate over liberal paternalism, which is the ideological background, has implications for economic education as follows. First, there is a way to giv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review human economic behavior in economic classes.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the rational decision-making of economics that considers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economic incentives in a balanced way. Second, there is a way to deal with the duality of a nudge that leads to desirable consumption and a nudge that deceives consumers. In a market overflowing with corporate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ies, the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nudges around us will increase our critical decision-making competencies. Third, economic teachers need to clearly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behavioral economics. A ‘citizen in social studies’ is somewhat different from a ‘human in behavioral economics’. Going beyond the microeconomic focus of individual choice, social structural factors and the problem of choice due to differences in power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ortance of civic education was emphasized through the debates and limitations of behavioral economics. It showed that transparency, public debate, and deliberative processes are essential parts of the classes.

      • KCI등재

        소비자는 합리적인 존재인가

        마정미(Mha, Jungm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광고연구 Vol.0 No.111

        이 연구는 행동경제학이 학문으로서의 광고학 연구 확장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그 개념과 이론의 적절성을 탐색하였다. 합리성과 관련된 최근의 학문적 논의들은 합리성과 대칭되는 개념으로서의 비합리성과 이를 벗어나 탈합리성 영역까지 아우르고 있다. 행동경제학은 이러한 조류 속에서 인간의 의사결정에 관한 패러다임으로서 자리를 잡아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합리와 비합리, 탈합리에 대한 논의와 함께 최근 광고학계의 새로운 연구 경향으로 확장되고 있는 행동경제학을 소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소비자들이 어떤 메시지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며, 언제 반응하는지에 대한 미묘한 심리적 구조를 살펴보지 않고는 소비자들의 행동 구조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 이 연구는 휴리스틱, 사후 과잉확신 편향, 프레이밍, 손실 회피, 기준점 효과와 조정, 해석 수준, 조절 초점, 전망 이론과 같은 행동경제학의 다양한 개념과 이론을 차용해 광고학 이론 확장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이 연구는 시론적 연구에 불과하지만 향후 심층적인 분석과 논의를 통해 광고학의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행동경제학에 관한 관심은 연구 영역에서의 동기뿐 아니라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광고학과 소비자 행동 연구에 활기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the theories of behavioral economics can contribute to advertising researches, focusing on their validity and its relevance to the field of advertising. In the academic field, rationality, as a ground of behavioral economics, in the recent years has been discussed by including both irrationality and arationality. In this trend, behavioral economics has been recognized as a major paradigm for human decision. Thus, this study attempts to introduce this trend to the field of advertising by exploring the theories of behavioral economics. Specifically, it is difficult for us to know consumers’ behaviors without a consideration of their psychological structure relating to how consumers react to and when consumers react to the messages of advertising. In this wa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imitations of consumer behavior researches can be complemented by drawing on the theories of behavioral economics: heuristic, framing, hindsight bias, loss aversion, anchoring and adjustment, construal level, regulatory focus, and prospect theory. Subsequently,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one for attracting much more researchers’ interest from the field of advertising, which would draw further their analysis and application. I hope to thereby offer provocative motivation not only for academicians who are interested in developing the theories of behavioral economics, but also for practitioners who make constant efforts to applicate relevant theories to their practical performance.

      • KCI등재

        누적 프로스펙트 이론을 반영한 통행수단선택 행태에 관한 비교연구

        김관용,황기연,추상호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edictability of traveler mode choice behavior based on the cumulative prospect theory originated from the behavioral economics that challenges the limits of expected utility and rational choice theory of mainstream economics. The behavioral economics insists that the economic units do not always make a rational decision as upheld by mainstream economics. It places emphasis on the cumulative prospect theory and prospect theory which have been widely applied in many academic fields. This study adopts the cumulative prospect theory to recalcuate the values of travel time and cost, and compare them with those used in the existing mode choice model. For this study, a multinomial logit model is developed based on travelers' behavioral survey on the travel time and cost when they determine their modes of travel. It analyzes the differences of error rate between CWV and general travel time and travel cost, and then draw a conclusion that the results derived from cumulative prospect theory have higher level of accuracy than those from the general travel time and travel cost. As shown, the cumulative prospect theory of the behavioral economics can be adopted for researches and projects for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when decision in the fields of transportation and urban planning be requ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주류경제학의 합리적 선택이론과 기대효용이론의 한계점을 반영한 행동경제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누적 프로스펙트 이론을 활용해 교통수단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행동경제학은 프로스펙트 이론과 누적 프로스펙트 이론의 두 가지 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비합리적인 사고 방식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통수단선택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통행시간과 통행비용을 중심으로 행동경제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누적 프로스펙트 이론을 반영하여 분석했다. 이를 위하여 수단별 통행비용과 통행시간을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다항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통행비용과 통행시간을 적용하는 경우와 누적 프로스펙트 이론에서 제시하는 CWV 파라메타 값을 적용하는 경우 실제 응답비율과의 오차율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단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누적 프로스펙트 이론을 반영한 결과가 일반적인 통행비용과 통행시간을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행동경제학에서 주장하는 경제주체의 비합리성의 개념이 반영된 결과라 사료된다. 행동경제학의 누적 프로스펙트 이론은 교통 및 도시 등 다양한 분야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의사결정자의 선택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연구 및 프로젝트 등에 활용가능하며, 보다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향후 관련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실험경제학 방법에 의한 부동산 시장 참여자의 합리성 분석 -공인중개사의 매몰비용 효과와 선호의 외생성 분석-

        김진환,김경욱,정준호 대한부동산학회 201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6 No.3

        The human rationality and exogeneity(consistency) of preference is the basic premise of mainstream economics. Behavioral economics is a major discipline that criticizes the basic premise of mainstream economic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cepts at the opposite end of mainstream economics and behavioral economics is sunk c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nk cost effect and exogeneity(consistency) of preference of certified real estate agents who are representative participants of real estate mark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ponses of 1,013 certified real estate agents by experimental economics method, it is found that certified real estate agents are slightly lower than social studies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44.9% are affected by sunk cost. In addition, when unreasonable alternatives were added, this figure rose to 84.8%, revealing that the preference system changed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alternative approach ther than mainstream economics is needed to develop a proper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real estate market and to develop effective policies. 인간의 합리성과 선호의 외생성(일관성)은 주류경제학의 기본 전제이다. 주류경제학의 기본 전제에 비판적인 이의를 제기하는 대표적인 학문 분야는 행동경제학이다. 주류경제학과 행동경제학의 대척점에 위치한 대표적인 개념 중 하나가 ‘본전 생각’, 즉 매몰비용이다. 본 연구는 부동산 시장의 대표적 참여자인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매몰비용 효과와 선호의 외생성(일관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경제학 방법에 의해 1,013명의 공인중개사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사회과 교사와 대학생 및 초등학생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반응자의 44.9%가 매몰비용에 영향을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비합리적 대안이 추가되자 이 수치는 84.8%로 높아지며 선호체계가 크게 변화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분석 그리고 효과적인 정책을 입안하기 위해서는 주류경제학 이외의 대안적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울러 공인중개사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이 요청된다 하겠다.

      • KCI등재

        경찰의 과잉진압과 내재적 편견에 대한 연구: 공공정책에서의 행동경제학의 적용

        정지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Research on Police Brutality and Implicit Bias:An Application of Behavioral Economics in Public PolicyJeein Chung Abstract: U.S. Police brutality and systemic racism on African American people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over the years. Protests around the world regarding root causes of racism and excessive authority by the police force, are raising calls for new countermeasures and reforms. Increasing evidence suggests that behavioral-economic models can be applied to public policy in its ability to influence attitudes and behaviors of police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behavioral economics and its application to Lipsky’s theory of street level bureaucracy. Then a behavior-scientific model -composed of three scenario-based case interviews- are presented to examine how implicit biases and stereotyping can lead to reflex errors and irrational behaviors. This paper uses a snowball sampling method to limit the sample to patrol police officers who have direct contact with everyday citizen to obtai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xperiment. In addition to the current practices and training used by the U.S. police force such as Implicit Assessment Tests and situational judgement tests, this paper concludes by providing behavioral-based interventions in reducing police misbehavior and gives future directions for putting this model into practice for future research. Key Words: Behavioral Economics, Street Level Bureaucracy Theory, Public Policy, Police Brutality, Implicit Bias 경찰의 과잉진압과 내재적 편견에 대한 연구:공공정책에서의 행동경제학의 적용정 지 인* 요약: 흑인에 대한 미국경찰의 과잉진압 및 인종차별 논란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인종차별 및 경찰의 과도한 공권력 행사에 항의하는 시위가 전 세계적으로 번지며 이러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종차별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행동경제학은 정책학 분야에서도 폭넓게 활용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Lipsky의 일선관료제이론에 행동경제학을 적용하여 현재 경찰의 과잉진압 및 인종차별 사태를 설명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의 고정관념 또는 내재적 편견이 경찰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3가지 시나리오 사례 인터뷰로 구성된 행동과학 모델을 제시한다. 연구자는 눈덩이표집 방법을 통해 현재 미국에서 근무하고 있는 patrol police officer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한다. 인터뷰를 통해 일선관료들의 뿌리깊은 고정관념과 반사적 오류가 어떤 비합리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암묵적 태도 검사 또는 객관적 형식 Situational Judgement Test를 보완할 수 있는 본 인터뷰모델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핵심어: 행동경제학 일선관료제이론, 공공정책, 경찰 과잉진압, 내재적 편견 □ Received: Mar. 6, 2022, Revised: Mar. 21, 2022, Accepted: Apr. 20, 2022* Doctoral Course, Seoul National Univ.(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과정, Email: jic285@snu.ac.kr)

      • KCI등재

        행동경제학 기반 정보보안 연구 동향 분석

        오명옥,김정덕 한국융합보안학회 2019 융합보안 논문지 Vol.19 No.2

        Recently, information security accidents are becoming more advanced as social engineering attacks using new types of malicious codes such as phishing. Organizations have made various efforts to prevent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but tend to rely on technical solutions. Nevertheless, not all security incidents can be prevented completel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information security approach that depends on these technologies, many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People-Centric Security. On the other hand, some researchers have applied behavioral economics to the information security field to understand human behavior and identify the consequences of the behavior. This study is a trend analysis study to grasp the recent research trend applying the concept and idea of ​ ​ behavioral economics to information security.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research themes, research methodology, etc. As a result, the most part of previous research is focused on ‘operational security' topics, and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expand research themes and combine behavioral economics with security behavioral issues to identify frameworks and influencing factors. 최근 피싱(Phishing)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악성코드를 이용한 사회공학 공격이 빈번해짐에 따라 정보보안 사고가 점차 고 도화되고 있다. 조직에서는 정보보안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대부분 기술적 보안솔루션에 의존하 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보안사고를 완벽하게 예방할 수 없다. 최근에는 보안기술 기반 정보보안 접근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접근방법인 인간 중심 보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부 연구 자들은 인간의 실제적 행동을 이해하고 그 행동에 따른 결과를 규명하는 행동경제학을 정보보안 분야에 접목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행동경제학의 개념과 방법을 정보보안에 적용한 최근의 연구 흐름을 파악하는 동향 분석 연구로서, 141개의 관련 논문 을 대상으로 연구 추세, 연구 주제, 연구방법론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행동경제학의 개념과 아이디어를 ‘운영 보안’ 분야 에 적용한 실증연구가 대다수이며, 향후 폭넓은 연구 주제 선정과 문헌연구를 통해 실제로 사람의 행동을 바꾸는 문제에 행동 경제학을 적용하여 프레임워크 정립, 영향 요인을 식별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