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헝가리 권위주의 체제의 가속화에 관한 연구: Covid-19 전후 오르반 정권을 중심으로

        정채윤(Chaeyoon Jeong),김면회(Myeon Hoei Kim)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3

        헝가리는 체제전환 이후 성공적으로 민주주의 공고화를 이뤄낸 대표적인 구(舊)공산권 국가로 분류되어 왔다. 하지만 비교정치학계에서는 2010년 빅토르 오르반의 총리 취임 이후부터 지금까지 급격한 민주주의 후퇴를 겪으며 권위주의 정권으로 변모한 대표사례로 헝가리가 지목되고 있다. 냉전 해체와 함께 시작된 소위 ‘제3의 민주화 물결’을 겪은 이후 근래 들어 권위주의로 역행하고 있는 동유럽 구(舊)사회주의권 국가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다. 그중 본 연구는 레비츠키와 웨이의 ‘신(新) 경쟁적 권위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체제전환 이후 최근까지 진행되고 있는 헝가리 정치의 현실을 가장 적확하게 설명하고 있는 이론적 틀로 인정받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신 경쟁적 권위주의의 이론적 틀에 따라 본 연구는 우선 2010년 이후 약 10여 년간에 걸쳐 진행된 헝가리 정치체제의 권위주의화(化)를 세부적으로 추적 정리하고, 이후 가속화된 헝가리 권위주의의 실상을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특수 상황과 관련하여 논의한다. 연구 결과, 경쟁적 권위주의가 여전히 형식상 민주주의 제도 내에서 존재하는 것처럼, 신 경쟁적 권위주의에 해당하는 헝가리가 겪고 있는 권위주의의 가속화도 코로나를 전후 로 여전히 민주주의라는 형식적 틀 내에서 권력 확대와 부침의 과정을 겪고 있음을 확인했다. 오르반 정권의 거대 권력 소유가 지속적이지만, 형식적으로나마 존재하는 민주주의가 여전히 ‘완전한’ 경쟁적 권위주의로 역행하려는 시도들을 일정 정도 막아내고 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후 야당과 언론 및 시민사회의 대응 강도가 약화될 경우, 헝가리 정치의 미래는 권위주의 체제의 ‘공고화’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한다. After its transition of the regime, Hungary has been classified as the leading former Communist country that successfully accomplished democratic consolidation. However, since the inauguration of Prime Minister Viktor Orbán in 2010, in the field of Comparative Politics, Hungary has been categorized as a typical case that rapidly retrogressed in the aspect of democracy, consequently having been transitioned into the authoritarian regime. There are multiple studies on the former Communist countries that recently retrogressed to authoritarianism after undergoing the so-called “Third Democratic Wave” which coincided with the breakup of the Cold War. This research develops its discussion b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oncept of Levitsky and Way’s “New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The reason for such a selection is its recognit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most accurately explains the reality of Hungarian politics from its transition of the regime to now.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New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this research tracks and organizes the transition of the Hungarian political system into authoritarianism with details. It also discusses the actuality of the accelerated Hungarian authoritarianism during the 10 years of the Orbán administration since 2010 in relation to theunusual circumstance - COVID-19.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ve found that as the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still exists in a formally democratic system, the acceleration of authoritarianism in Hungary, which corresponds to the new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s also still experiencing power expansion and the process of ups and downs within the formal framework of democracy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possession of great power by the Orbán administration continues, yet formally existing democracy prevents the attempts to retrogress to the “complete”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to a certain extent. Nonetheless, if the responses of the opposition party and the civil society weaken afterward, it is overlooked that Hungarian politics will enter the stage of consolidation of the authoritarian regime.

      • KCI등재

        권위주의의 특성과 재생산과정의 성 차이

        이수인(Soo-In Lee)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3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권위주의에 대한 실증연구의 필요성과 기존의 국내연구들이 가지는 제한점에 주목하여 권위주의의 특성과 재생산과정에서의 성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권위주의의 핵심적 특징으로서 서열의식, 권위의존적 사고, 성 고정관념을 추출하고 권위주의를 생산하는 중요한 과정으로서 가족경험과 학교경험을 선별하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권위주의의 특성뿐만 아니라 가족경험과 학교경험에서도 성 차이가 존재하고 여학생들보다 남학생들이 권위주의적 특성이 강했다. 둘째, 가족경험에서 모-자녀관계, 성 고정적 성역할훈련, 부모의 가부장성이 권위주의의 각 요인에 효과를 나타냈다. 모-자녀관계와 성역할 훈련은 뚜렷한 성 차이를 보였고 이는 권위주의적 특성의 성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권위주의에 대해 가족경험보다 학교경험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독립변인인 성, 가족경험, 학교경험 사이에 분명한 인과연쇄는 규명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권위주의적 특성을 주조한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성차별적 경험이 성 고정관념뿐 아니라 서열의식과 권위의존적 사고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권위주의를 형성하는 직접적인 기제 중의 하나가 됨을 규명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authoritarian characteristics an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processes which create authoritarianism. Presuming that the important processes of creating authoritarian characteristics are family experiences and school experiences, this paper study with college student samples presupposed grading thought, reliance on authority, gender stereotypes as the components of authoritarianis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e gender differences not only in authoritarian personality but also in the experiences of family and school. Second, there is the mother-children relationship, discipline according to gender stereotypes, patriarchal tendency of parents that affect each factor of authoritarianism. Especially, gender distinction in mother-children relationship and the discipline of dichotomizing of sex-roles affect the gender differences of authoritarianism. Third, though school experiences have more influence on authoritarianism than family experiences, it is not obvious that the priority of causal relations among gender, family experiences and school experiences, but it is clear that they interact one another and influence authoritarianism. Fourth, the experiences of the gender discrimination affected grading thought and dependence on authority as well as gender stereotypes. This means that the gender discrimination is one of the mechanisms that causes authoritarianism.

      • KCI등재

        미얀마 민주화 과정의 역설: 느슨한 권위주의 체제에서 선거 권위주의로

        문기홍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3

        Myanmar has been undergoing a gradual democratization process since 2011. However, after the 2020 general election, which had been expected to deepe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the country fell into the military's hands after the military coup in February 2021. Amid civilian protests and Civil Disobedience Movements(CDM), Tatmadaw announced the general election plan in August 2023.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al system in Myanmar by examining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coup in 2021.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political situation in Myanmar, the research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al system in Myanmar and the reasons for the military coup from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paper unfolds in two ways: first, it attempts to provide the rationale for the recent coup from dynamics revolving around the political institutions. Secondly, the research draws the literature on electoral authoritarianism to situate the political changes in the broader regime typology discussion. This study assumes that the Myanmar regime from 2011 to 2020 as a loosened form of authoritarianism. The research defines the democratization process over the past decade as a result of the military-led system implementation plan rather than the collapse of military authoritarianism by mass protests. Since the general election is scheduled to be held according to the military's plan,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what the election will mean under an authoritarian regime. Tatmadaw already announced the change in the electoral system from the First Past The Post (FPTP) to Proportional Representation (PR). This can be considered as a prelude for Tatmadaw to mobilize the election as the instrument of the authoritarian rule rather than democratizing forces. In this regard, the democratization process over the past decade can be considered a transition from closed military authoritarianism to a loosened authoritarian rule rather than a transition to democracy. The ambiguous nature of this process of democratization will be created again in the form of electoral authoritarianism.

      • KCI등재

        권위주의적인 사람은 항상 권위에 복종적일까?: 권위주의 성격에 따른 권위관계 상황별 복종의 차이

        윤상연,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4 No.3

        권위주의 성격의 특성에 대해서는 강자에게는 약하고 약자에게는 강하다는 이분법적인 인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분법적 분류만으로는 모든 권위관계에 있어서의 복종양상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권위관계 상황을 권위의 강도가 다른 몇 가지 수준으로 분류한 후 권위주의 성격에 따른 복종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권위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에게 특히 민감한 분류기준으로 알려져 있는 ‘내집단-외집단’과 ‘실익유-실익무’의 2가지 준거를 조합하여 4가지 권위상황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복종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시나리오에 대해서 권위주의 성격의 고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권위기반이 약한 권위관계 하에서는 권위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이 권위자에게 오히려 더 낮은 복종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권위기반이 강한 수준의 권위관계 하에서는 권위주의적인 사람들이 더 높은 복종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권위주의 성격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권위주의 성격에 따른 복종의 차이는 제한적으로 확인되었지만 약한 권위관계 상황에서 권위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보여주는 권위자에 대한 낮은 수준의 복종은 오늘날 급속도로 나타나고 있는 권위상실 현상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이 될 것이다. 마지막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가능한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Existing studies show that authoritarians are obedient to the powerful even though they are coercive to the weak. However, the personal relationships are very diverse even in the range of the authority 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the obedience to authority between authoritarians and non-authoritarians in some situations which have different authority-levels. This study presumed that obedience to authority is affected by their own authoritarianism. For this study, four scenarios were used to provide subjects with the situations that are different in the strength of authority. 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eople behav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authority.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low-authority situation authoritarians tend to obey less to the authorities than non-authoritarians.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existing ones. It follows from what has been said that the loss of authority in Korea partially comes from the double standard of the authoritarian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authority.

      • KCI등재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와 소명의 조절효과

        박준서,이홍정,손승연 리더십학회 2022 리더십연구 Vol.13 No.1

        Many organizations are striving for the continuous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in a complex and unpredictable environment. In particular, as the creative performance of members is the basi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success, research interest in the factors affecting member's creativity is increasing. Among them, positive leadership is a major area of research interest. However, there is also a negative form of leadership in the organization. Authoritarian leadership is one of the type that can be easily found due to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organization. Nonetheless, previous studies have several limitations. First, there are limited studies that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s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member creativity, and in particular, studies on the mechanism of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re insufficient. Second, research on moderating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process of influencing authoritarian leadership is insufficie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research purposes to supplement this. First, it examines the influence process inher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s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creativity. Specifically, in this study, we consumed psychological ownership as an important channel of influence according to social exchange theory. Second, this study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ember's calling in the impact process of authoritarian leadership on creativity through the member's psychological ownership. To verify this, 154 pairs of military officers (commissioned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were surveyed with 6-week time interval,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uthoritarianㅋ leadership hinders creativity through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members. In addition, the higher the member's calling, the weaker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also 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in the conclusion sect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mentioned. 많은 조직들은 복잡 및 변화가 예측불가한 환경 속에서 조직의 지속 생존 및 발전을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특히 조직 성과 및 성공의 기초가 되는 구성원의 창의적인 성과가 중요해지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긍정적 리더십은 주요 관심영역이며, 연구 또한 활발한 분야이다. 그런데 조직에서는 부정적 형태의 리더십 또한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조직의 위계적 속성 상 쉽게 확인이 가능한 유형이며, 본질적으로 창의성을 낮출 가능성이 적지 않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을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닌다. 첫째, 상사의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구성원창의성 간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특히 이 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메커니즘 규명 연구가 부족하다. 둘째,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영향력 과정에서 작용하는 조절변수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수행하였다. 첫째, 상사의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구성원 창의성 간의 관계에 내재된 영향력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교환이론에 따라 심리적 주인의식이 중요한 영향력 통로가 된다고 보고 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상사의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을 경유하여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정에서 조직원의 소명이 가지는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육군 간부 상사-구성원154쌍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을 경유하여 창의성을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성원의 소명이 높을수록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심리적 주인의식 간의 부적관계는 약화되었으며,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결론에는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권위주의체제 이론의 분석적 연구: 오도넬의 모형을 중심으로

        정연택 한국행정사학회 2010 韓國行政史學誌 Vol.26 No.-

        Though the term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was first introduced in the 70’s, it was not until the 80’s that the scholars started to use the word with reference to authoritarianism in Korea. Although one might claim that the term has gone well out of use in the wake of democratization, still commonly used references to the terms like ‘control of media,’ ‘censorship on education,’ or even ‘kingship’ seem to suggest the ongoing presence of controversy over authoritarianism in Korea. This article reviews the birth and the history of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and discusses its usefulness as an explanatory tool suited for the political dynamics of Korea. Might not it be that authoritarian mentality is so deeply instilled in our understanding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at the acts of authoritarianism is all too often committed under the nominal guise of democracy? For this reason,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is a valuable topic for study as much as it is a long-established convention that needs to be overcome. 관료적 권위주의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은 70년대였으나 80년대에 와서 많은 학자들이 한국사회의 권위주의를 설명하는 틀로써 사용하였다. 이제는 민주화의 바람을 타고 권위주의라는 용어가 사라진듯하지만 여전히 정치권에서는 언론독재, 교육독재, 제왕적 등의 용어를 쓰는 것을 보면 한국사회에서 권위주의라는 개념은 정치사회적 담론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듯하다. 본고에서는 관료적 권위주의의 태동과 역사를 거슬러 살펴보고, 이 개념이 한국적인 상황에 부합한 설명의 틀로써 유용성을 지니는 것인지 논의하고자 한다. 민주라는 이름하에 권위적인 행태의 모습들이 자주 관찰되는 것은 아직도 우리의 정치, 경제 사회의식과 생활 전반에 권위주의의 모습이 깊이 드리워진 까닭이 아니겠는가? 이런 맥락에서 관료적 권위주의는 넘어서야 할 구태인 동시에 극복해야 할 과제로 연구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소수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 결정요인 연구 : 우파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적 거리감

        이상신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5 다문화사회연구 Vol.8 No.2

        This article aims to measure social distance perceived by South Korean public to five foreign groups, North Korean defectors, marriage migrants, migrant workers, Korean Chinese, and foreign students and businessmen. It also analyzes what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determine the social distances toward these groups. This study argues that the right-wing authoritarianism plays a significant role for South Koreans to distance themselves from the multicultural groups. There already exists a sizable amount of study on social distance in South Korea, but they mostly focus on cognitive or affectiv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rejudice and stereo types. This article introduces a new dimension of psychological predisposition into the discussion, which is right-wing authoritarianism. Regression analysis of survey data shows that right-wing authoritarianism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distance. Among three factors (authoritarian aggression, authoritarian submission, and conventionalism) that construct the right-wing authoritarianism, conventionalism is the most important exploratory variable for social dist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distance in South Korea is influenced by the perceived threat to the social order and Korean culture. 이 연구는 탈북자, 결혼이민자, 이주노동자, 조선족, 그리고 유학생 및 외국인 사업가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측정하고, 이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우파권위주의(Right-Wing Authoritarianism)를 상정하여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러 다문화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연구들은 기존에도 여러 가지가 존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고정관념과 편견 같은 인지적, 정서적 독립변인에 치우쳐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 논문은 개인 수준에서의 심리적 성향(psychological predisposition)을 중심으로 각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분석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구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미 해외의 기존 연구에서 외집단에 대한 차별 및 고정관념 등에 대해 매우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우파권위주의를 주요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이것이 사회적 거리감을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이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이다. 분석 결과, 우파 권위주의 성향이 강한 응답자일수록 이들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먼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우파권위주의 성향을 구성하고 있는 세 가지 요인 - 권위주의적 순종, 권위주의적 공격성, 인습주의 - 중 인습주의에 해당하는 문항들이 사회적 거리감을 설명하는 데 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다문화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이들 집단이 국내의 질서와 기존 문화에 위협을 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에 크게 영향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현대 권위주의에 대한 헌법적 고찰

        강승식(Kang, Seungsik) 미국헌법학회 2021 美國憲法硏究 Vol.32 No.2

        고전적 권위주의는 일당독재 또는 복수정당제 금지, 반대 정파에 대한 테러, 언론에 대한 검열, 특정한 이념의 절대화 등으로 요약된다. 이에 반해 21세기 이후에 나타난 권위주의는 고전적 권위주의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1세기 권위주의에서 권력자는 평화롭게 권력을 획득하며, 선거나 국민투표에 의해 자신의 지위와 권한을 정당화한다. 여기에서는 복수정당제에 기초한 선거가 주기적으로 실시되며, 선출된 의회가 입법권을 행사한다. 헌법기관에 대한 통제 역시 헌법에 제도화되어 있다. 인권을 무자비하게 침해하거나 언론을 드러내놓고 금지하거나 검열하는 일은 좀처럼 발생하지 않는다. 대신에 권력을 강화하고, 야당을 탄압하며,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교묘한 정치적 술책(術策)을 동원한다. 이런 이유에서 21세기 권위주의의 반민주적 성격을 명시적으로 발견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 이런 흐름은 세계 곳곳에서 반복되고 있다. 20세기 말에 전 세계적으로 민주화 열풍이 불었듯이, 최근에는 민주주의 해체의 분위기가 널리 감지되고 있다. 러시아와 터키는 말할 것도 없고, 헝가리와 폴란드를 비롯한 여러 국가가 이를 잘 나타내고 있다. 이런 국가들에서 보이고 있는 공통적인 특징은 비록 외관상 민주적인 법체계를 지니고 있으나, 실제로 그것이 운영되는 모습은 민주주의원리와는 상당한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들 국가와 비견될 정도는 아니지만 민주주의적 전통이 강한 미국의 경우에도 트럼프(Donald Trump) 행정부 시절에는 다소 권위주의적인 통치행태가 나타난 바 있다. 오늘날 여러 권위주의 국가들의 경험에 비추어 본다면, 헌법제도가 합법적인 정부에 대한 신뢰와 불신을 적절하게 절충해내지 못할 경우에 행정부가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게 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반대로 입헌주의의 절대적인 성공 조건은 합법적인 정부에 대한 신뢰와 불신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오늘날 권위주의 국가들도 민주주의나 법치주의와 같은 헌법원리를 강조하고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절대적인 권력을 위장하는 수단에 불과할 뿐이다. 그렇다면 결국 이상적인 입헌주의는 정부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정부의 효율성, 그리고 정부에 대한 적절한 견제를 토대로 한 정부의 책임성이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에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Past authoritarian regimes abuse their"s authority to torture and murder dissidents, jail journalists, fix elections, and incapacitate courts and legislatures. They disvalued the constitution and other laws and systematically exploited various extra-legal actions to eliminate checks on their power and perpetuate their reign. On the other hand, modern authoritarians tend to consolidate their power through the same legal devices that find in democratic regimes. In so doing, they conceal repressive practices under the guise of constitutionalism, infuse them with the gloss of legitimacy, and make anti-democratic practices much more difficult to perceive and remove. Concretely, the new authoritarian leaders take power peacefully and legitimize their power through general elections. Periodic elections based on multiparty system are held, and elected officials enacts in a legislature. Regulating constitutional institutions is laid down in the constitution. Although there are few ruthless human rights violations, other covert tactics are used to effectively reinforce power, suppress political opposition and win future elections. For these reasons, such authoritarian systems are more difficult to detect easily. This is a worldwide phenomenon. For example, Russia, Turkey, Hungary and Poland are real exemplification of this phenomenon. Plainly, these countries accommodate democratic order. Nevertheless, their democratic constitution turn into a means of justifying anti-democratic dictatorship. Even authoritarian ideas and practices can appear in a country having a long-standing tradition of democracy, such as the Trump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Such a phenomenon demonstrates that the absolute governmental power appears when a constitutional system fails to achieve the balance between the proper trust in the representative government and the valid distrust it. A deviation from balance can foreshadow subtle authoritarianism. Although modern authoritarianism advocates democratic system, it is just meant to hide dictatorship. Conclusionally, democratic system of government is unrealizable when solely constitutional checks work or, the other way, when constitutional checks completely lack.

      • KCI등재

        디지털 권위주의의 정치적 효과: 이론과 실제

        조무형(Cho, Moohyung),홍미화(Hong, Mi Hwa),류제흥(Ryu, Jeheung),문용일(Moon, Yong-il)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0 No.1

        디지털 기술이 권위주의 정권의 민주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초기의 낙관적인 견해와 달리, 최근 많은 권위주의 국가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정권을 더욱 공고히 하는 이른바 “디지털 권위주의”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권위주의 생존에 대한 비교정치학 내의 이론적 논의를 적용하여, 권위주의 정권의 디지털 기술 사용이 시민과 통치엘리트로부터 제기되는 정권에 대한 위협을 약화시키고 이들에 대한 억압과 포섭의 수단으로 기능함으로써 권위주의 정권의 안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이론화한다. 또한 개별 국가 및 지역에 대한 정성적 사례분석에 그치고 있는 기존 연구의 한계에 주목하면서, 향후 경험적이고 총체적인 연구를 위해 디지털 권위주의에 관한 국가간 정량적 데이터와 지표들 및 이를 활용한 간단한 기술통계를 소개하고자 한다. 끝으로 디지털 권위주의의 정치적 효과에 대한 엄밀한 정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향후 이 분야의 연구들이 이론적, 경험적으로 다루어야 할 연구의제를 제시한다. Contrary to the initial optimism that digital technology would bring democracy to authoritarian regimes, “digital authoritarianism” has recently emerged in many authoritarian countries, activel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to further consolidate their reign. Applying theoretical discussions within comparative politics on authoritarian survival, this article theorizes how authoritarian regimes’ use of digital technology serves as a new toolkit of repression and co-optation, weakens challenges to the regime posed by citizens and ruling elites, and thereby fortifies the regime’s grip on power. Furthermore,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focusing mainly on qualitative case study of individual countries and regions, this article introduces cross-national quantitative data and indicators on digital authoritarianism. Lastly, responding to greater calls for more rigorous political science research on the effects of digital authoritarianism, this article presents research agendas that future studies should address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 ДИНАМИКА СУБНАЦИОНАЛЬНОГО АВТОРИТАРИЗМА: РОССИЯ В СРАВНИТЕЛЬНОЙ ПЕРСПЕКТИВЕ

        ( Владимир Я. Гельман ) 국민대학교 유라시아연구소 2009 Eurasian Review Vol.2 No.-

        In the 1990s, sub-national authoritarian regimes - local-based monopolies of ruling elites - emerged in many of Russia`s regions and cities against the background of spontaneous decentralization of government and competitive electoral politics. In the 2000s, the decline of political competition and recentralization of the Russian state led to incorporation of sub-national authoritarian regimes under federal control and cooptation of local-based actors into the dominant party, United Russia. This paper is devoted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sub-national authoritarianism in Russia in light of the experience of local political machines in other countries, ranging from US cities from the 1870s-1930s to Southern Italy from the 1950s-1980s. Unlike the American political machines, which were demolished from below as a by-product of modernization processes, Russia`s sub-national authoritarian regimes were integrated from above into the nation-wide authoritarianism. One might expect further stagnation of sub-national authoritarian regimes in Russia until major regime changes will occur on the nation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