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Zoomable User Interface를 활용한 EPG 디자인 개발

        최준렬(Jun Ryul Choi)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애니메이션연구 Vol.10 No.2

        TV시청 환경은 디지털로 급변하고 있지만, UI는 1980년대부터 사용되던 기존의 Gemstar의 EPG 형태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제 사용자에겐 신문 편성표 같은 EPG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TV 전원을 켜는 순간 지금 볼 만한 게 무엇이 있는지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EPG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니즈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EPG의 틀을 벗어나 보다 높은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EPG UI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에서 시도되었지만 아직까지 이렇다 할 해결책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EPG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편성표 방식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컨셉의 UX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최근까지 시도되었던 EPG 디자인의 UI 문제점이 무엇인지 밝혀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디자인 컨셉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상용화된 EPG UI 현황 조사를 통해 Zooming에 기반한 적용 가능성을 파악해 보고, 이를 근거로 현재의 Grid EPG UI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디자인 컨셉을 도출하여 연구자의 디지털 TV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EPG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우선적으로 보여주고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자인 컨셉에 대해 주목하면서 기존 사례 연구와 관련 문헌을 통해 ZUI를 적용한 EPG 프로토타입 디자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가 제시한 프로토타입은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EPG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고 탐색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s release of ministry of Science, ICT, Future planning, Analog TV broadcasting service was completely finished and conversion to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s completely done through the support and active promotion of government. In terms of service environment, TV viewing condition is changing into digital rapidly. However, UI is not actually changing form EPG type in existing Gemstar that was used in 1980s. Now for users, EPG of TV guide in the newspaper which has to be read repeatedly is not necessary. Intuitive EPG which can be perceived as soon as the TV power is on is necessary for users to know what programs to see. In order to meet the users’ need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EPG UI to provide higher usability escaping from existing the framework of EPG. However, there are not solutions so far. Therefore, new concept of UX which does not rely on existing guide table to solve EPG problems is necessary. Especially, it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UI for EPG designs which have been tried recently and new design concept is necessary to improve this. In this study, possibility of applying UI based on Zooming through the research on EPG UI status that have been commercialized so far is checked and application to prototype of researcher’s digital interface by extracting detailed UI scenario and GUI design concept by improving Grid EPG UI based on the possibility is tried. For th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asier and more intuitive interface to EPG users by developing EPG design that is applied Zoomable UI. Scope of study regarding EPG UI that is trying to be researched in this thesis is decided to be EPG UI that can be applied in the TV set-top box commercialized since 2003, when the EPG was commercialized. Especially, it is limited to dynamic EPG UI which can be actualized in the set-top box which can process various animation including various menu composition of mainly contents with poster, contents screenshot and 3D. And scope of scenario and case that is analyzed in this study limited to type of real time channel scan generally provided in digital TV. Based on the result analyzed the existing EPG cases, there were movements to reinterpret the mosaic EPG method which visualization of contents and real time were emphasized as the development technologies and change of EPG user viewpoints are progressed. And Z axis was checked to move limitedly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various contents has to be scanned through research of the ZUI proceeding study and cas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by analyzing information arrangement standards x and y axis of existing EPG and reinterpreting as a morphological property, x axis is set to scan the channel in the same category and y axis is to move into different category. Also, ZUI, the fixed type in the z axis is suggested to scan huge contents easily and for availability of scanning EPG based on ZUI, wheel manipulation method of four directions is added. As a solution to provide user experience to scan TV contents that mosaic EPG is getting bigger utilizing spatial metaphor centered for the current time, I put the meaning ton this study.

      • KCI등재

        18세기《팔의기八義記》공연본 연구

        오수경,김수경 한국공연문화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본고에서는 『철백구』본을 통해 청대 무대에서 공연되던《팔의기》의 공연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철백구』본을 통해 에피소드 중심의 옴니버스 공연으로 특징적인 장면들을 엮어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절자희 공연의 규범이 확립되었음을 볼 수 있다. 재자가인극才子佳人劇이 절대적인 수적 우위를 보이던 명청 극목 가운데서 정淨과 말末, 외外, 생生 등 남성적인 배역이 골고루 등장하여 다양한 인물 형상을 보여준 작품이다. 절자희 공연을 통해 다양한 각색의 연기가 균형적 발전을 보이게 된다. 『철백구』본《팔의기》는 곤곡으로 연창되는 판본이다. 명 중엽 이후 곤곡 연창의 전승이 규범화되면서 여러 텍스트들이 비교적 일치된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당시 최대의 통행본이었던 『육십종곡』본과 차이를 보이기도 해서, 다른 성강에 비해 규범화된 곤곡도 시기적으로 변화를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출본으로서 절자희 공연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철백구』본의 경우, 고른 배역 운용과 생동감 있는 대사와 지문, 그리고 축의 골계 연기가 장엄한 비극을 장엄하지만은 않은 놀이로의 연극으로 만들어가는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e Orphan of Zhao family(Zhaoshi-Guer)’is one of the famous Chinese drama constant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from Yuan Dynasty to Qing Dynasty. The plot of the play in the transmitting process has not been changed much, but added new characters or episodes. The Kunqu, one of the Chinese drama styles was characterized by graceful music and refined literature, being very popular among the gentry of Ming and Qing Dynasty. The ‘Zhaoshi-Guer’ play in ‘chuanqi’ style of the ‘The Sixty Plays’ collection, is called ‘Ba-yi-ji’, which was sung in Kunqu崑曲 stage. Because ‘The Sixty Plays’ collection was widely read throughout the late Ming and Qing Dynasty, the ‘The Sixty Plays’ version became the model of Kunqu lineage example and so it was in the case of “Ba-yi-ji”. In the end of the Ming, new performing type of drama that is called as Zhe-zi-xi(折子戱) was appeared. Zhe-zi-xi refers to make only some pieces, not the whole. With the new form of performance appeared many of the selected texts of plays have come out including ‘Zui-bai-qiu’.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ices of two Kunqu version, ‘The Sixty Plays’ and ‘Zui-bai-qiu’, I tried to observe the charisteristics of the Ba-Yi-ji performance of Qing dynasty. The latter succeded the former, but more performance oriented, such as using lively and easy word with the acting direction intensified and comic characters.

      • KCI등재

        일반논문 : 18세기《팔의기(八義記)》공연본 연구-『철백구(綴白구)』본 절자희(折子戱)를 중심으로-

        오수경 ( Soo Kyung Oh ),서수민 ( Soo Min Seo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본고에서는 『철백구』본을 통해 청대 무대에서 공연되던《팔의기》의 공연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철백구』본을 통해 에피소드 중심의 옴니버스 공연으로 특징적인 장면들을 엮어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절자희 공연의 규범이 확립되었음을 볼 수 있다. 재자가인극才子佳人劇이 절대적인 수적 우위를 보이던 명청 극목 가운데서 정淨과 말末, 외外, 생生 등 남성적인 배역이 골고루 등장하여 다양한 인물 형상을 보여준 작품이다. 절자희 공연을 통해 다양한 각색의 연기가 균형적 발전을 보이게 된다. 『철백구』본《팔의기》는 곤곡으로 연창되는 판본이다. 명 중엽 이후 곤곡 연창의 전승이 규범화되면서 여러 텍스트들이 비교적 일치된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당시 최대의 통행본이었던 『육십종곡』본과 차이를 보이기도 해서, 다른 성강에 비해 규범화된 곤곡도 시기적으로 변화를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출본으로서 절자희 공연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철백구』본의 경우, 고른 배역 운용과 생동감 있는 대사와 지문, 그리고 축의 골계 연기가 장엄한 비극을 장엄하지만은 않은 놀이로의 연극으로 만들어가는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e Orphan of Zhao family(Zhaoshi-Guer)`is one of the famous Chinese drama constant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from Yuan Dynasty to Qing Dynasty. The plot of the play in the transmitting process has not been changed much, but added new characters or episodes. The Kunqu, one of the Chinese drama styles was characterized by graceful music and refined literature, being very popular among the gentry of Ming and Qing Dynasty. The `Zhaoshi-Guer` play in `chuanqi` style of the `The Sixty Plays` collection, is called `Ba-yi-ji`, which was sung in Kunqu崑曲 stage. Because `The Sixty Plays` collection was widely read throughout the late Ming and Qing Dynasty, the `The Sixty Plays` version became the model of Kunqu lineage example and so it was in the case of "Ba-yi-ji". In the end of the Ming, new performing type of drama that is called as Zhe-zi-xi(折子戱) was appeared. Zhe-zi-xi refers to make only some pieces, not the whole. With the new form of performance appeared many of the selected texts of plays have come out including `Zui-bai-qiu`.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ices of two Kunqu version, `The Sixty Plays` and Zui-bai-qiu`, I tried to observe the charisteristics of the Ba-Yi-ji performance of Qing dynasty. The latter succeded the former, but more performance oriented, such as using lively and easy word with the acting direction intensified and comic characters.

      • KCI등재

        ≪대명률(大明律)≫ 여동죄(與同罪)에 관한 연구

        趙志晩 ( Cho Jiman ) 명청사학회 2016 명청사연구 Vol.0 No.46

        In the Great Ming Code(Daminglu; 大明律) is, Yu-tongzui(與同罪) means that one ‘shall be punished by the same penalty’ with the original offender. Only death penalty is mitigated, for the punished person got implicated in other’s crime but he did not commit crime himself. Between yu(與) and tongzui(同罪), the original offender―for example the prisoner or the thief― is inserted in order to show the criterion. On the other hand, Zuitong(罪同) and Zui-yi-ruzhi(罪亦如之) means that one shall be punished on the ground of his own crime, and they used when one offender’s aspect of crime is similar to that of the other. Daemyeongnyul-jikhae(大明律直解) which is Korean adaptation of the Great Ming Code, with inconsistency, took notice of the difference of Yu-tongzui and Zuitong. From her national codes and annals, Chosun Dynasty seems to have taken notice of the difference of Yu-tongzui and Zuitong. This is very important and the reason is: Tongzui and Zuitong are just reverses of each other and have almost the same meaning in common language, but they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used as legal terms.

      • KCI등재

        『묘승정경』 연구사

        서정원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8 불교학 리뷰 Vol.23 No.-

        『묘승정경』은 중국 남북조 시대에 제작된 위경(僞經)으로, 천태종과 선종을 이해하는데 고유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경전이다. 다만 수, 당 시대 이후 누락된 결본(缺本)으로 근래까지 경전의 전모를 알기 힘들었다. 헌데, 돈황사본에서『묘승정경』의 사본이 나옴으로써 관련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묘승정경』을 세 가지 측면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첫째로『묘승정경』의 사본과 번역들을 개괄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묘승정경』이 단순한 결본이 아니라 티베트어로 번역되어 실제 티베트대장경에 편입되어 있었음을 지적할 수 있었으며, 관련 사본 5종(한문본 3가지, 티벳어본 2가지)의 서지학적 사항도 검토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사본의 여러 교정들과 과단을 비교 및 분석하고 현대어역 2 가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둘째 현대의 『묘승정경』 연구들을 빠짐없이 소개하고자 하였다. 다만 이를 80년대를 기준으로 앞뒤를 나누어 소개하였다. 80년대 이전에는 『묘승정경』의 실체가 밝혀진 이후, 티베트어로 번역된 사본까지 발견되면서 매우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가 시도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 연구들은 그 시도와 전망을 그리는 것으로 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90년대 이후에는 오히려 한국에서 『묘승정경』과 관련한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이 밝혀졌는데, 이는 크게 주목받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향후 기대되는 『묘승정경』의 연구 분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남북조 선관과 천태학의 두 분야에서 『묘승정경』은 재고(再考)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티베트의 전승과 관련하여도 매우 흥미로운 연구가 가능하지 않을까한다. This study takes a bibliographical approach to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pseudepigrapha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explores related contemporary research,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First, the study bibliographically approaches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in three areas: copy, revision and translation, and resolution. Three copies of Chinese and Tibetan texts of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are considered; the study describes the process of discovering each copy and the condition in which each has been preserved. In terms of revision and translation, the study first examines three revised editions, and applies the assessments of the two textual bibliographies regarding the three revised editions. In terms of translation, the study finds one French and one Korean translation. Lastly, the study considers three types of resolutions, but they will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because two of the resolutions are almost identical from a general perspective. The contemporary research regarding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demonstrates that despite the heightened attention given to the Tibetan translation of this scripture, the corresponding research is rather lacking. In addition, while there is an interpretation connecting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and the Council of Lhasa, there also seems to be confusion regarding this interpret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considers the citation of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in the Seokgayeoraehaengjeokson≪釋迦如來行蹟頌≫.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elevance of Zen (禪) as a promising research field regarding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and pseudepigrapha (僞經), especially the pseudepigrapha recorded in the list of Dào ān (道安 CE 314-385), the first pseudepigrapha, which illustrates the Zen tradition that led to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Moreover, the study shows the need to investigate further the effect of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on Tibetan Zen (Nyingma school).

      • KCI등재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의 제 문제: 일본 에도시대 아미타구품인 도상의 형성, 확산 그리고 일반화

        정진영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0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6 No.-

        This paper examines that the ‘Mudra-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is newly created by the Japanese in the Edo period (1615-1868). Moreover, I try to trace the previous stages of how they were formulated and spread.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a-bha Buddha’ are commonly used to describe the hand gestures of Amitābha Buddha, although the term, concept, shapes and figures are never mentioned in any texts including the Amitāyurdhyāna Sūtra.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as is well known, first appeared in the Butsuzō zui (Illustrated Compendium of Buddhist Images), compiled in 1690, which explicitly contains nine different Amitābha images with the respective mudrās. Those are Dhyana Mudrā, Dharmachakra Mudrā, and Welcoming Mudrā, the three most popular hand gestures of Amitābha Buddha since the Heian period (794-1185). The book respectively redefines them as Upper, Middle, and Lower Birth, and classifies them again Upper, Middle, and Lower Level according to the finger (index, middle, ring finger) that touches the thumb tip. It is not clear by whom and why this iconography was created. However, due to the publishing background and encyclopedic character of the Butsuzō zui, it seems that it is not the author’s own creation. In addition, there are nine Amitābha statues, almost identical to those in the Butsuzō zui, in Joushinji which was built 10 years earlier. A large number of temples enshrining nine corresponding forms of Amitābha based on the theory of the nine grades of rebirth were built during the 11-12th centuries in Japan. Interestingly, contrary to the scale of the popularity, there was no distinct standard including hand gestures. The same is true of the Edo period because not only the typical type of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which we are familiar with, but also others existed. What we take for granted would be just one of the many types, thu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is very special or unusual. Then, from when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began to be called and came to be considered special? The countless printing and distribution of the Butsuzō zui played a vital role in the creation of the term. But Japanese modern scholars who established the Buddhist iconography based on the Butsuzō zui should not be ignored. Moreover,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began to appear in late 1970s Korea. The term and concept of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spread in academia rapidly afterwards. As a result, it became the common notion that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is the most general iconography of Amitābha Buddha. Some Japanese scholars have raised questions about this iconography since the late 1960s. They argued that this was a newly created iconography without any scriptural evidence so that it should be reconsidered and reexamined. However,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is still in use in the Korean academia. It is time to revisit and reexamine the term and concept of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이 글은 ‘아미타구품인’에 관한 오류를 바로잡고자 시작되었다. 필자는 아미타불의 대표 수인이라 여겨졌던 아미타구품인이 후대에 만들어진 도상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필자는 이를 위해 아미타구품인을 구성하는 아홉 가지 수인의 본래 의미는 무엇인지, 또 아미타구품인이라는 이름 아래 하나로 조합된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이 용어 및 개념이 언제부터 우리의 인식 속에 당연한 것으로 이해된 것인지, 그 일반화의 과정을 추적하고자 했다. ‘아미타구품인’은 아미타불상의 손 모양을 묘사할 때 흔히 사용되어 온 도상이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譯 424-442)을 포함한 어떤 경전에서도 아미타구품인의 용어, 개념, 형상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아미타구품인의 전형은 일본 에도시대(江戶時代)에 편찬된 불교 도상집인 『불상도휘(佛像圖彙)』(1690)에 처음 등장한다. 이 책에는 헤이안시대 이래 일본 아미타불의 수인으로 가장 많이 선택되어 온 ‘묘관찰지인’, ‘설법인’, ‘내영인’이 각각 상생, 중생, 하생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양 엄지와 맞닿은 손가락을 검지, 중지, 약지로 바꿔가며 상품, 중품, 하품으로 이름 붙여졌다. 결과적으로 상생, 중생, 하생의 삼생과 상품, 중품, 하품의 삼품이 교차하게 되면서 총 9개의 수인(手印)인 ‘아미타구품인’이 만들어진다. 누가, 왜 이와 같은 도상을 만들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런데 『불상도휘』 서문에 실린 “이 책에서 추려 모은 것들은 ……”의 구절, 책이 갖는 백과사전적·학술서적인 성격, 그리고 『불상도휘』보다 약 10년 일찍 조성된 토쿄 죠신지(浄真寺)에 있는 구체아미타여래좌상(1664-1680년경)의 선례 등을 보면 아미타구품인은 『불상도휘』의 저자가 홀로 만들어낸 도상일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즉, 이미 잘알려져 있던 도상을 저자가 옮겨 그렸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11-12세기 일본에 서는 ‘구체아미타당’ 혹은 ‘구체아미타불’의 조성이 크게 유행하였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당시의 유행 규모와 달리 9구의 불상을 구분 짓는 도상에는 일정한 기준이 없었다. 이는 에도시대에도 마찬가지였던 듯한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아미타구품인의 전형 이외에도 또 다른 유형들이 확인되며, 또한 전형으로 여기는 형식도 『불상도휘』와 죠신지 불상, 단 두 건뿐이다. 우리가 아미타구품인이라 당연시하는 것 역시 적어도 당시에는 구체아미타불 손 모양의 여러 유형 중 하나에 불과했던 것은 아닐까? 만약 필자의 견해가 맞는다면 아미타구품인은 아주 특별하거나, 혹은 이례적인 도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즉, 예로부터 관습적으로, 또 일정한 기준 없이 조성되어왔던 구체아미타상의 손 모양 중 하나인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언제부터 이 도상을 ‘아미타구품인’이라 확신하고, 또 특별한 것으로 취급하였던 것일까? 물론 무수히 인쇄, 배포된 『불상도휘』가 주요한 역할을 했지만 이를 기준으로 불교 도상을 정립한 근대기 일본 연구자들의 역할 또한 무시할 수 없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는 다소 늦은 1970년대 후반의 연구물에서부터 아미타구품인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매우 빠른 속도로 학계에서 이 용어 및 개념이 확산되었다. 특히 당시 출판된 불교미술 개설서는 아미타구품인의 일반화·대중화를 가속화시켰으며 ‘아미타구 ...

      • KCI등재

        朝鮮 中期 吳派畵風의 전래

        유미나(Yu Mina) 한국미술사학회 2005 美術史學硏究 Vol.- No.245

        본 논고는 오파회화와 화풍이 조선 화단에 전래된 시기와 그 경위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회화 혹은 화풍의 전래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이 가능한데 하나는 회화 작품의 전래이며 또 하나는 판본의 전래이다. 본 논고에서는 회화 작품 전래의 측면에서 오파회화와 화풍의 전래 문제를 다루었다. 먼저 기록을 통하여 조선에 전래된 오파의 회화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 吳派의 그림을 감상ㆍ소장한 인물들은 대부분 燕行 使臣이었거나 병자란 후 심양에 억류되었던 인물들로서 중국 문물 수용의 최전선에 있었던 이들이다. 오파 회화의 전래 시기는 17세기 후반에 집중되었는데, 明의 몰락과 사회변화에 따른 서화소장품의 유동성 증가, 그리고 16세기 이래 蘇州에서 제작된 안작의 대량 유통이 작용하였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조선 文士들의 서화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고씨 화보」ㆍ왕세정의 문집 등 서적을 통한 오파 화가와 회화에 대한 이해의 증진도 일조했을 것이다. 이 시기에 전래된 吳派의 회화로는 文徵明, 唐寅, 仇英의 작품을 꼽을 수 있는데 탈속적 취향의 문인 산수화가 주를 이루며, 그 밖에 구영의 工筆眞彩의 장식적이면서도 문인적 취향이 내재된 고사인물화와 도석인물화, 미인도 등이 고루 유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오파 회화의 전래와 관련하여 더 주목을 끄는 것은 明의 使토 朱之蕃이 조선에 전한 《千古最盛》이라는 제목의 詩文書畵岾이다. 朱之蕃이 손수 글씨를 쓰고 吳輞川이라 불린 화가에게 그림을 그리게 하여 제작한 《천고최성》은 역대 名家들의 詩文을 그림으로 그리고 그 원문을 필사하여 첩 형식으로 꾸민 것으로서 모두 20점의 詩文과 그림이 이어진 방대한 작품집이었다. 선조에게 바쳐졌던《천고최성》은 그 후 許筬이 주도하여 摸本을 제작한 이래 여러 本이 제작되었음이 기록에 확인되며 현존작도 다섯 본에 이른다. 현존하는 《천고최성》으로는 조선후기 文臣인 尹得和가 주도하여 1747-1748년에 제작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서화첩과 세 점의 그림만이 유존하는 개인소장본, 17면의 그림과 글씨로 이루어진 선문대학교 박물관 소장본, 8면의 그림만이 남아있는 또 하나의 국립중앙박물관 본, 그리고 大院君 李昰應의 所藏印이 찍힌 19세기 중반의 서화첩본을 꼽을 수 있다. 《천고최성》은 수 세기에 걸친 傳寫의 과정을 겪으면서 다양한 수준의 본이 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서화첩을 살펴보면 도상과 기법에 있어 시대 화풍이 반영되기는 하였으나 대체로 원본에 충실한 그림이 수 세기에 걸쳐 제작되었음이 주목된다. 따라서 현존본을 통해 17세기에 전래된 오파화풍의 양상을 추정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우선 《천고최성》은 역대의 名詩ㆍ名文章을 주제로 그림을 그리고 그 원문을 필사하여 문학과 書畵가 어우러진 합벽작을 꾸민 것으로 이는 明代의 吳派에서 유행했던 주제이자 작품 형식이었다. 또한 그림의 도상이나 구도, 인물 묘법, 설채법 등은 吳派의 양식적 특정을 갖추고 있어, 아직 吳派의 회화가 본격적으로 조선에 전래되기 전인 17세기 초이래 새로운 화풍으로서 조선 화단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에 능각형의 윤곽선이나 피마준과 태점 등의 준법과 수지법에서는 오파의 화풍 경향이 부분적으로 반영되면서도 임모본 제작 시기의 시대화풍 및 작가의 역량에 따라 다소의 표현 차이가 감지되어 새로운 화풍 수용의 양상을 짚어볼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천고최성》은 충실한 ?摸를 통해 그 맥이 19세기 중반까지 이어졌으며 이와 함께 吳派 화풍은 17세기 이래 조선 화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조선 후기 그림 가운데는 《천고최성》중의 그림과 도상 면에서 통일하거나 일부를 취하여 그런 것으로 보이는 작품이 상당수 눈에 띄어 이 서화첩이 조선 화단에 미친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when and how the Chinese Wu School painting was introduced in Joseon (朝鮮). The introduction of the works and style of Wu School (吳派iJR) painting can be regarded in two aspects; one is the introduction of the paintings and the other is the prints. A focus is given to the introduction of the Chinese Wu School paintings in Joseon. First, a study is made of the written records from the Mid - Joseon Period. An analysis of the gathered information leads to the judgement that those who had the chance to appreciate or to own the works of WU School painters as collection were mostly officials who had the chance to travel to China as state envoys or those who were held in custody in Shenyang (瀋陽) after the Manzhou Invasion of 1636. The introduction of the Wu School paintings in Joseon was concentra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art works in the collection of the Chinese court and the aristocrats during the Ming dynasty were scattered after the fall of the dynasty and that access to those paintings became easier for the Joseon’s scholar-officials. Another factor can be an increased interest of the Joseon's scholar-officials in art. The poems and essays written about the paintings tell that landscape paintings of literati tastes and decorative colored paintings illustrating themes from the classic literature constitute the major part of the Wu School paintings introduced in Joseon in the 17th century. However, what requires our attention the more is the album of calligraphy and painting named Qian-gu-zui-sheng (千古最盛), which the Ming state envoy Zhu Zhi-fan (朱之蕃) presented to King Seon-jo (宣祖, r.1567-1608) when he visited Joseon in 1606. The album contained 20 works of painting worked by an artist called Wu Wang-chuan (吳輞川) and calligraphy done by Zhu himself on themes from the Chinese classic literary masterpieces. The album gathered the keen interest of the Joseon scholar-officials at the time of its introduction. Written records have it that later, Huh Seong (許筬) had the Qian-gu-zui-sheng Album copied, and ever since then, numerous copies were produced during the 17th century. Also. five sets of Qian-gu-zui-sheng copies are extant today in Korea: One is the copy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scholar-official from late Joseon Period, Yoon Deuk-hwa (尹得和), took the lead and compiled between 1747 and 1748. Another is the set in the private collection of which only three paintings remain. There is also a set in the collection of the Sunmoon University Museum (鮮文大博物館) which consists of 17 paintings and calligraphy pieces. Two more sets are available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one consisting of eight paintings, and another consisting of ten paintings and calligraphy pieces done in the mid-19th century and which contains the collection seal of Yi Ha-eung (李昰應). It can be inferred that through centuries of copying processes. various quality copies were produced: from the high - quality copies the production of which was participated in by renowned scholar - officials of the time to lower - quality copies showing the workmanship of folk painters. Although each copy shows slight differences in iconography and painting techniques reflecting the style of the time, generally, the paintings have faithfully followed the original copy for centuries. Thus, the aspects of the Wu School painting style which was introduced in the 17th century can be traced through the Qian-gu-zui-sheng copies extant today. First of all, we can note the fact that Qian-gu-zui-sheng borrowed the theme from the time-old classics in literature and illustrated it in painting and wrote the text, thus, arranging literature painting and calligraphy in one set of album. This was the subject matter and art form that was in fashion among the Wu School painters of Ming. Also. the iconography. composition, techniques for rendering houses and figures. and colors ref

      • KCI등재

        BCC 말뭉치에 기반한 ‘最+前面’ 구문 연구

        김은희 대한중국학회 2023 중국학 Vol.85 No.-

        본 연구에서는 BCC에서 2000년 이후의 ‘最+前面’ 예문을 376개 선별하여 현실 언어생활에서의 사용 추이와 그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最+前面’ 구문의 연도별 사용 추이를 분석해본 결과, 2000년 초반에 급격히 증가하다 감소하고 2016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는 N자형의 추이를 보였다. 둘째, ‘最+前面’ 구문의 다수가 ‘V+在+最前面’ 형식을 취하였고 문법상 공기하는 동사는 ‘冲>走>排>跑>站>放>挤>在, 坐> 处, 派, 是>摆, 挡, 行进>游, 抢, 带, 位于’의 순서로 고빈도를 보였다. 셋째, ‘最+前面’ 구문의 전후로 어휘 의미상 결합하는 명사는 [+사람], [+사물], [+동물], [+상태], [+처소], [+시간], [+순서], [+범위], [+개념]의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最+前面’ 구문은 문장 성분상 개사 빈어나 주어 등으로 충당된다. 다섯째, ‘最+前面’은 ‘的’를 첨가하여 명사화 특징도 보였다.

      • KCI등재
      • KCI등재

        生根的流星: 论韩华诗人初安民《愁心先醉》中的跨国认同

        梁楠 ( Liang Nan )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7 中國現代文學 Vol.0 No.80

        The transnational migration history of Chinese Korean live in South Korean has been 134 years old. In the 1970-1980's the chinese Korean has a phenomenon of massive relocation. We weakening the sense of identity for them, we think that they are likely to leave at any time because they are too concerned with the mobility of the transnational migration. In fact, transnational migr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mobility, bu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Locality is defined by taking root in origin and migration refers to the social、economic、political, and expand or maintain a series of social relations in particular places. And locality is that the migration of transnational practice must be in a specific place to take root. Korean is the intersection of departure and moving home for these peoples, Korea is both origin and migration, and has the dual nature of origin and migration, the study about Chinese Korean is very important. Transnationalism can be understood as emphasize the activities of agents and practice, the daily life about migrator (work, dating, amateur, consumer, religiou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formed a regional, national, global-scale networks and play a variety of roles, so each migrant's case is a vivid history of international life and need to be concerned. In this case, The study of works about poet Chu-anmin as transnational migrant is essential. The poems of Chu-anmin with a strong color of autobiography, The poems recorded the experience and journey about Chinese Korean poet Chu-anmin as a transnational migrant, and for many other transnational migrant who desire one inch of true ownership of shelter in endorsements. Through his work, we can know why those Chinese Korean has lived a century in Korea. They removed with which kind of mood. Korea has which kinds of significance when they migration another land. How they feel when they recall the land which hosting their joys and sorrows. If the moved land become a new residence, then Korea which lived in will become what kind of exist. korea is only a passing place or will form a mix features with two moving area at the same time. Chinese Korean migrant rooted is what kind of a process. Their identity has change throughout the process and it is what kind of change and so on. Many questions will answered from his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