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明末 天主敎 敎理書의 형성과 전개 - Alfonso Vagnoni의 『敎要解略』(1615)을 중심으로 -

        신주현(Sheen, Joo-Hyun) 한국교회사연구소 2020 敎會史硏究 Vol.0 No.57

        본고는 마테오 리치 이후 예수회 선교사들의 업적과 활동, 그중 한문서학서(漢文西學書) 교리서류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간 분석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제시하고 명말 예수회 선교사 알폰소 바뇨니의 업적, 특히 『교요해략(敎要解略)』을 중심으로 하여 교리서류 계통의 문헌 간 분석을 시도하였다. 중국 천주교 교리서 계통은 1605년 마테오 리치와 동료 선교사들의 협업으로 간행된 소책자 교리서인 『천주교요(天主敎要)』로부터 시작되었다. 1615년 바뇨니는 리치의 『천주교요』를 계승하여 각 항목에 자세한 해설을 덧붙인 『교요해략』을 저술하였다. 바뇨니는 당시 유럽에서 활용되던 교리서류의 체제와 내용을 참고하되 리치의 문제의식을 충실히 계승하여 최초로 소책자 수준을 넘어서는 명실상부한 교리서를 저술함으로써 중국 천주교 교리서의 형성과 발전에 기여했다. 그 주요한 특징으로 당시 유럽 교리서의 일반적인 형태와 달리 문답형식을 채택하지 않았다는 점, 리치에 이어 새로운 음차어가 대량 고안되어 사용되었다는 점, 삼위일체 교리가 전면에 배치되어 특히 강조되고 있다는 점, 바뇨니의 해설부분에서 리치를 계승한 보유론적 접근법이 다수 확인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리치를 계승하여 바뇨니에 의해 구축된 교리서 계통은 이후 로챠의 『천주성교계몽(天主聖敎啓蒙)』, 페르비스트의 『교요서론(敎要序論)』 등으로 이어졌다. 한편, 명말 형성된 중국 천주교 교리서 계통은 조선천주교회에도 이어졌다. 직접적으로는 『천주교요』가 전래된 기록이 확인되며, 간접적으로는 바뇨니 이후 이어진 중국 교리서류 계통 한문서학서들이 조선 교회에서 적극 활용됐다는 점에서 한·중 천주교회사의 연결고리를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suggests a case study of inter-textual analysis between Catholic apologetics in Chinese Christian texts, particularly focusing on Jiaoyao jielue authored by Alfonso Vagnoni, arguably one of the most significant Jesuits of China Mission after Matteo Ricci. The lineage of Chinese Doctrina Christiana was originated with publication of the booklet Tianzhu jiaoyao around 1605 led by Matteo Ricci. Vagnoni accomplished an expansion of Ricci’s booklet by Jiaoyao jielue, a much large and extensive version of catechism published in 1615. He devoted himself to fully succeed Ricci’s jiaoyao in writing jielue while he certainly referred to other existing catechisms circulated in Europe together, which consequently allowed jielue beyond the stage of short prayer book towards a fully developed Chinese Doctrina Christiana. There are four major traits of Jiaoyao jielue : 1. Unlike typical Doctrina Christiana in Europe, Vagnoni did not adopt the dialogue format ; 2. Original terms with transliterations devised in jiaoyao are fully succeeded ; 3. The Christian doctrine of Trinity was not just fully explained but also particularly placed at the surface of main texts ; 4. The accommodative approach of “Christianity complementing Confucianism” is largely confirmed in Vagnoni’s preface and comments. The lineage of Chinese Doctrina Christiana by Vagnoni in succession of Ricci was continued with the publications of Tianzhu shengjiao qimeng (by Rocha), Jiaoyao xulun (by Verbiest), and so forth. Meanwhile, the development of Doctrina Christiana in Late Ming China also brought about direct and indirect impacts to the Catholic Church of Chosŏn Korea. They are confirmed directly with the record of Tianzhu jiaoyao as the text was circulated in the early church community, and indirectly with the fact that Chinese Christian texts of the genre of catechisms were largely circulated and actively used since the early church communities of the late eighteenth century.

      • KCI등재

        P. A. Vagnoni의 "齊家西學" 구조와 부부윤리

        김귀성(Kim, Gui-S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2

        이 논문은 예수회 소속의 전교사였던 바뇨니(P. Alphonsus. Vagnoni)가 펴낸 한역서학서인 제가서학(齊家西學)에 나타난 부부윤리를 중심으로 그 배경과 구조, 부부윤리의 구체적인 내용을 단순한 적응주의 입장을 떠나 수용과 비판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동아시아 사회에 시사하는 바를 추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만의 보인대학본과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영인본 자료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가서학의 저술배경은 적응주의 선교전략, 서구윤리학의 소개, 동서문화 교류의 측면에서 찾아 볼 수 있고 그 구조는 부부의 혼인에서부터 해로에 이르는 9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이 한역서학서에서 서구의 결혼문화에 대한 소개는 당시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결혼관에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결혼문화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동아시아의 조혼제, 일부다처제, 점성술에 의존하는 혼인문화 등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관점을 보이고 있는 반면 동서 간에 정치, 사회적 문화차이, 성속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재혼금기에는 일치된 입장을 보였다. 여기에는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권위를 유지하기 위한 기제로 활용된 점도 유추가 가능하다. 넷째, 부부의 역할 규범과 관련하여 대체로 서구의 부부역할 규범이 당시 동아시아의 그것에 비해 균형적인 관점에서 접근된 것으로 이해된다. 동아시아에서 여성의 가정 내 역할에 대해서는 수많은 지침서가 존재한 반면 남성의 가정 내 부부의 역할 규범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기 때문이다. 끝으로 이 자료가 갖는 교육사적 의의는 동서 문화 교류의 측면에서 수행한 가교역할을 들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thics on husband and wife based on western society and also it's background, structures which appeared in the Qi Jia Xi Xue(Home management of western society)written by P. A. Vagnoni. However I'd like to take it's focuses on critical view point not simply on accommodation of western cultures to the China. Finally I'd like to induce that how those materials implicated on the East Asian society. In this paper, photoprinted materials edited by Fu Ren university of Taiwan and the other photoprinted kept in national library of France were used as a primary sources, because of those materials of index only found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in 1782.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ose materials let the East Asian people at that time have a wider understanding level on the marriage cultures. The purpose of marriage at that time was to get a next generation, ancestor rite in indigenous East Asian society. On the other hand in western societies, marriage could be seen as a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he children education. those were relatively fresh image to the East Asian peoples. Though there was a inequality between male and female at least, that was to say, it suggest simply marriage condition applied to woman, however it would be accepted as important role of women in the home. Second, there was a different ideas on marriage cultures between western and eastern societies. Especially, issues would be early marriage, polygamy, marriage cultures demand upon astrology etc for them, western missionary. On the other hand those caused religious suffering at that time. also those looked as a collision between confucius and Christian ethics. Third, in role play of husband and wife, western style could be understood more balanced approach than that of East Asian approach at that time.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ose materials would be a first introduction of Western ethics on husband and wife to Asian countries, though it was based on christian cultures. and also bridge role between East Asian societies and Western societies at that times.

      • KCI등재

        알폰소 바뇨니(高一志)의 『서학제가』(西學齊家) 「제부부」(齊夫婦)권-선교의 한 방식으로서의 부부 윤리-

        박지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人文論叢 Vol.67 No.-

        Alfonso Vagnoni’s(高一志) Xixueqijia(西學齊家) is one of the texts that appeared as a result of the ‘accommodation’ position, which adhered to the strategy of cultural exchange through the fusion of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adopted by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in the 16~17th century. Xixueqijia introduced the European family ethics advocated by Christianity advocates, such as the ethics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the education of children. This Chinese volume may be seen to be connected to two other volumes, Xixuexiushen(西學修身) and Xixuezhiping (西學治平). The serial publication of these three volumes can be understood as an ‘accommodational’ reaction to the ‘Xiushenqijiazhiguopingtianxia’(修身齊家治國平天下) discourse that appears in Daxue(大學). At the root of this was the intention to summon Aristotle’s Politika, which also contains, in its discourse, the same concentric structure of individual -family-country. The aim of the article is to examin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Qifufu’(齊夫婦) volume of Xixueqijia, how attempts were made to establish some common ground regarding the ethics between husband and wife amongst the clashing of two worldviews. The ethics between husband and wife, as well as the issue of ancestor worship, represented the intersections where the Confucian worldview and the Christian worldview sharply clashed. The Christian notion of monogamy and the Confucian notion of the concubinage system stood at the center of conflict, and this issue acted as the greatest barrier in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by Chinese officials. In China, it was believed that if monogamy(一夫一婦) ought to be maintained, it was because nature needed to coexist in harmony, as Yin and Yang must always maintain a balanced state. In other words, monogamy was not something ordained by God. The main difference between Vagnoni’s perspective of marriage and that of traditional Chinese discourse is that while he regarded marriage as something that must be maintained or overcome in order to pursue a value greater than the mere individual or family, the traditional Chinese perspective regarded it as something that happens naturally as one follows Dao(道). It can be said that this also demonstr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spective of ‘Xiushenqijiazhiguopingtianxia’in Daxue which sees Dao as existing unformally throughout the levels of individual-home-country and the perspective of Politika which considers that it is at the final level of the state that Dao can arrive at the greatest virtue.

      • KCI등재

        알폰소 바뇨니(Alfonso Vagnoni)의 『동유교육(童幼敎育)』 고찰: 스콜라주의(scholasticism)와 『영신수련(靈神修鍊)』의 관점

        김학준 ( Kim Hakjoon ),신창호 ( Shin Changh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바뇨니가 편찬한 『동유교육』의 교육정신을 스콜라주의와 『영신수련』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동유교육』에는 무엇보다도 스콜라주의와 『영신수련』에 나타난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가 통합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동유교육』은 아동을 위한 교육서이자 서양의 학문과 교육을 중국에 소개하려는 목적을 지닌 저서로, 바뇨니가 예수회원이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가톨릭 예수회가 지향하는 교육적 관점이 담겨 있다. ‘스콜라’는 ‘학교’와 ‘여가’라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닌 말로, 지성에 기초한 학문적 탐구뿐만 아니라 침묵과 관조를 통한 총체적 이해의 중요성이 담겨있다. 또한 『영신수련』은 편중되지 않은 마음을 원리로 성찰 선악분별 겸손 등 다양한 실천적 가치들을 강조함으로써 도덕적 측면과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이처럼 지성과 덕성이 그 바탕이 되는 영성을 기반으로 상호 통합적 면모를 구성할 때 인간 본성의 의미가 가장 잘 구현될 수 있다. 『동유교육』은 신과의 인격적 관계(천주공경)로 나타나는 인간의 자기초월성에 대한 강조와 인간 존재에 대한 물음 및 깊은 이해를 추구하려는 ‘영성적 면모’, 끊임없는 배움을 통해 깊은 학문적 탐구로 나아가야 할 뿐만 아니라 지혜로까지 확장되어야 함을 당부하는 ‘지성적 면모’, 그리고 다양한 덕을 실천하되 편중되지 않는 마음의 원리를 바탕으로 실천적 수양을 강조하는 ‘덕성적 면모’가 체계적으로 담겨 있다. 특히, 영성을 폭넓게 이해하려는 시도는 신(神)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방향 전환을 꾀함으로써 영성에 대한 현대적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요컨대, 스콜라주의와 『영신수련』의 관점에서 검토한 『동유교육』은 정신적 가치의 통합을 보다 잘 이해하여, 현대교육에서 소홀히 하는 인간의 정신적 통합을 제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ducation of Children (童幼敎育), written by Alfonso Vagnoni, from the perspectives of Scholasticism and the Spiritual Exercises. Primarily, this book contains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s revealed in Scholasticism and the Spiritual Exercises. Education of Children (童幼敎育), published to educate children and meant to introduce the Western European medieval education to China, consists of educational views based on Jesuit education, as the author was a Jesuit priest. The word, ‘schola’, has two different meanings: school and leisure. From these dual meanings, a core concept came into being: the true meaning of academic study based on intellect and the apprehension of silence and contemplation. In addition, the Spiritual Exercises are closely connected to virtue by emphasizing numerous practical virtues ― examen, discerning good and evil, humility, etc. ― in accordance with ‘Indifferentia.’ As shown above, the true meaning of human nature can be well-implemented when intellect and virtue are integrated into one with their foundation, spirituality. Education of Children (童幼敎育) includes all three dimensions: the spiritual dimension that emphasizes the self-transcendence implicated in a loving relationship with God(reverence for God) and seeks a deep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e intellectual dimension that underlines academic study through endless learning and deep wisdom, and the virtuous dimension that stresses practical cultivation based on ‘Indifferentia’ with the practice of various virtues. In particular, the attempt to comprehend spirituality in depth can help people understand it in a modern sense by focusing on human beings and not God. In short, Education of Children (童幼敎育),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Scholasticism and the Spiritual Exercises, helps us enhance the human integration of mind and value throug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integrating three aspects of human nature, although the education of today is less interested in this.

      • KCI등재

        명말(明末) 예수회 선교노선지형 재검토 ― 롱고바르도와 바뇨니를 중심으로 ―

        辛周炫 ( Sheen¸ Joo-hyun ) 명청사학회 2021 명청사연구 Vol.- No.56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and bolster the recent historiographical trend of reassessing post-Ricci generation of Jesuit missionaries. It is crucial for better sense of missionary geography of Late Ming, in particular, to distance from dichotomy between Pro-Riccian Jesuits and Anti-Riccians. The article suggests to historicize the missionary stance of post-Ricci generation in Late Ming period. Textual analyses of Vagnoni’s Jiaoyao jielue around the Nanjing Persecution in 1616 and that of Longobardo’s Short Answers in 1623 close to the period of Jiading Conference in 1627, they reveal the coexistence of both transformation and continuation of Ricci’s accommodation strategy. By and large, Longobardo and Vagnoni shared the legacy of their formal leader Ricci, particularly his missionary vision. However, Longobardo insisted significantly disparate from Ricci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compatibility between Confucianism and Catholicism. Although it is necessary to correct a fixated understanding on Longobardo’s stance as an Anti-Riccian Jesuit, but beyond that, it is also true that the two showed a notable disparity in practicing Jesuit accommodationism in China.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 관련 용어 분석

        한용진 ( Hahn Yo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4 No.-

        본 연구는 `교육`이라는 용어가 오늘날 학습자 주도의 교육현상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다양한 교육 관련 용어들의 분석을 통해 교육개념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다만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 관련 용어들을 귀납적(歸納的)으로 분석하기보다는 연역적(演繹的) 분석을 시도하였다. 바뇨니의 『동유교육』(1620)에서 논의된 `양육-교수-학습`의 `육(育)`·`교(敎)`·`학(學)`을 핵심적 분석틀로 삼아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교육관련 용어를 유형별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교육`이라는 단어는 가르침[교(敎)]과 기름[육(育)]만을 반영하는 용어로, 배움[학(學)]의 개념이 결여되어 있기에, 이를 보완한 균형적 관점이 요구된다. 둘째, 맹자의 `교육(敎育)` 개념이나 영어 `education`의 번역어로서 `교육`은 모두 타인에 의한 `길러짐`과 `가르쳐짐`이라는 수동적 행위에 주목하고 있다. 셋째,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나는 교육 관련 용어에는 수동적으로 타인에 의해 길러지고 가르쳐진다는 `육`과 `교`의 개념 이외에도 스스로 배우는 `학`과 관련된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교수 중심의 `교육`이라는 용어는 배움의 즐거움까지도 포함하는 `학`의 관점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새로운 용어로 `육교학`을 제안해 본다. It was my subject of inquiry that the word `kyo-yuk(敎育: education)` doesn`t reflect sufficiently the learner initiative educational phenomenon these days.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build the concept of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ds of educational concept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it was executed not by inductive logic, but by deductive reasoning. In order to do this, I proposed an analysis framework of `yuk-kyo-hak`(育敎學), consisting of bringing up,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book of Dong-Yu Kyo-Yuk(童幼敎育), written by P. A. Vagnoni. Also I verified the pertinency of this analysis framework using the three typical educational concepts and the English dictionary. After that, I analyzed three types of educational concept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word `education` reflects teaching and bringing up, but is deficient in the learning concept. That means that, from now on, it needs the balance of teaching, learning and bringing up. Secondly, the concept of education by Mencious thought much of passivity as well as that of western concept. Thirdly, the words related to educatio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balanced with the teaching, learning and bringing up. Therefore I propose to use the word `yuk-kyo-hak` instead of `kyo-yuk` for including the delights of learning which was disregarded in instruction focused in modern schools.

      • KCI등재

        근세 중국천주교회에서 삼위일체론(三位一體論)의 부상

        신주현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2 교회사학 Vol.- No.21

        It was a major mission for Jesuit missionaries to address the Doctrine of Trinity in the Chinese Catholic Church during the late-Ming period. The rise of the doctrine lay in the publication of Jiaoyao jielue in 1615 by Alfonso Vagnoni. Vagnoni’s catechism was the very text that extensively propagated the Doctrine of Trinity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Chinese Catholic Church. By the era of Matteo Ricci, died in 1610, the Chinese Church was immature when it comes to conveying a systematic introduction of the doctrine to the local catecumens. Formerly Matteo Ricci initiated the introduction of the doctrine in his publication of Tianzhu jiaoyao in 1605, noteworthy as a genre of Doctrina Christiana, but it was limited in explicating the complex discussions on the doctrine. The rise of the Doctrine of Trinity happened after the generation of Ricci, and it tells that the second-generation Church during the late Ming was becoming more mature. It is particularly remarkable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Catholic elite converts including the famous “Three Pillars” were active in the period, which was a good reflection of growing church communit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he rise of the Doctrine of Trinity in mid 1610s reflects the confidence of the second-generation Jesuits in China who were inspired by the growth of the church. 천주교의 핵심교리에 해당하는 삼위일체론에 대한 적극적인 설파는 명말 중국천주교회에서도 중요한 과제였다. 명말 삼위일체론의 부상은 1615년 바뇨니의 『교요해략』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교요해략』은 중국 천주교사상 최초로 삼위일체론 교리를 전면적으로 드러낸 한문서학서다. 리치 시대까지는 중국에서 문인신자들에게 문서선교 형식의 체계적인 삼위일체론 제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리치의 『천주교요』는 중국교회에 최초로 삼위일체론을 제시한 Doctrina Christiana로서 의의가 있으나 교리의 전달 차원에서는 제한적이었다. 리치 시대 이후에야 삼위일체론이 교리서 체제에서 전면적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사실은 2세대 교회에 이르러 명말 중국교회가 성숙해졌음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시기가 명말 중국천주교회의 중심적 역할을 했던 삼대지주인 서광계, 양정균, 이지조를 비롯한 명망있는 문인신자들의 입교가 확대된 이후 교회의 양적, 질적 성장이 두드러진 시점이라는 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리치 사후 1610년대 중반 이후에야 본격화된 삼위일체론의 부상은 교회의 성장에 고무된 2세대 예수회 선교사들이 드러낸 자신감의 표현이라고 해석된다.

      • KCI등재

        알폰소 바뇨니(P. A Vagnoni)의 『동유교육(童幼敎育)』 연구

        배주연(Bae Joo ye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2

        『동유교육』은 17세기 중엽 이태리 출신 선교사 바뇨니(Vagnoni)가 예수교의 적응주의 포교 활동의 일환으로 저술한 아동 교육서이다. 본 연구는 중국 선교사 바뇨니가 지은 『동유교육(1620)』의 서지 사항을 비롯한 저술 배경과 각 장의 주요내용을 살펴 그 특징을 정리하고 조선 서학사에서 차지하는 의의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문화적 배경은 서구였으나 다년간의 중국 생활로 당시의 동아시아 문화를 수용한 점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예수회의 적응주의 선교 전략에 의해 바뇨니가 쓴 한 문서학서 『동유교육』에 대한 연구는 당시 동서 문화 교류사에서 특별한 가치를 가지는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유교육』 필사본인 대만의 보인대학본 자료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내용 분석을 통해 추출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수회 수련과정에서 서양의 철학 정치학 윤리학에 대한 숙련된 이해를 바탕으로 서학에 대한 계통적 분류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바뇨니는 서학 이라는 언급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동유교육』을 1620년 지었음을 볼 때 Aleni의 『서학범(西學凡)』보다도 앞선 시기였다. 이를 통해 서양 학문에 대한 개관적 설명으로 서학을 소개하고 있다. 둘째, 아동 교육에 있어 부모와 교사의 역할을 중요시하였으며 특히 어머니를 기르는 역할로 아버지를 가르치는 주체로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동양적 사고방식인 유교에 바탕으로 둔 본말론(本末論)이 아닌 인(仁) 을 본받는 것의 근본이 바로 천주에 있다고 함으로써 유가적 가치이자 윤리규범인 인과 천주를 경외하는 것을 일치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를 통한 동서 융합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대학(大學)』의 삼강령팔조목(三綱領八條目) 중 하나로 수신(修身)하지 않으면 집안을 바로잡을 수 없다고 하여 제가(齊家)에 앞서 수신을 그 선행요건으로 삼는데 이는 서구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서 국가ㆍ가정ㆍ개인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한 것을 윤리적 측면에서 동양적 개념으로 수용하여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童幼敎育 written by P. A Vagnoni is the book for the education of the child of which written purpose is mission work of the Christianity in the mid of 17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to find out the implication of the western literature in the Yi Dynasty. The study on the 童幼敎育 has the meaningful implication in the aspect that this book accept the culture of the Eastern Asia in those days. This study is based on the manuscript possessed by the 輔仁University in Taipei.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the classification of the line of western literature based on the well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y, politics and ethics of the West. P.A Vagnoni referred 西學 earlier than Aleni considering this book written in 1620. Second, it shows the importance of roles of the parent and teacher in education of the child. Especially it shows the role of the parent, that of the mother is the raising and that of the father is the teaching of the child. Third, it says that 인 is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 of the Lord rather than 本末論 which is the basic thought of 儒敎. Fourth, it shows the fusion thought of the East and West through the 修身齊家治國平天下. It says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nation, family and individual in the politics of Aristoteles is similar to the thought of 修身齊家治國平天下.

      • KCI등재

        마테오 리치 이후 명말(明末) 예수회 적응주의(適應主義)의 미시적(微視的) 전환점(轉換點) 탐색(探索) ― 서광계(徐光啓)와 알폰소 바뇨니의 ‘천주(天主)’ 용어사용(用語使用) 문제(問題)를 중심(中心)으로 ―

        辛周炫 ( Sheen Joo Hyun ) 중국사학회 2019 中國史硏究 Vol.0 No.121

        The introduction of Catholicism to China by the Society of Jesus during Ming-Qing Dynasty constituted a significant part in the history of intellectual encounters between East and West, and that of Chinese Church. In particular, the Jesuit mission strategy of accommodation, often called Accommodationism, enabled the European religious thinking to be respectfully admitted in the Chinese intellectual milieu as intellectual dialogues between Chinese literati and the Jesuit missionaries were mad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two incidents, the Nanjing Persecution in 1616-17 and the Jiading Conference in 1627-28, seeking for tracing the moments of micro transitions in the Jesuit Accommodationism. The special focus of the study lies in analyzing the terminology of God in the Chinese Christian texts authored by Xu Guangqi and Alfonso Vagnoni around the two incidents. An abrupt change is observed in the texts by Xu, from enjoying agency in using various terms for the translation of Christian God beyond the two terms of tianzhu and shangdi, to returning to the two representative terms suggested by Jesuits. The terminological change by Xu would presumably occur in reaction to the phase of the Nanjing Persecution as Xu himself had to act in more reserved manners. In case of Vagnoni, while the Jesuit priest was able to suggest wide variety of terms of God including shangdi in his earlier texts, he solely used tianzhu and shangzhu after the two incidents. Vagnoni became strongly reserved in using the term shangdi after he restored his mission activity by the new Chinese name Kao Yizhi, which may imply the significance of the decade between 1616 and 1627 as the moment of micro transition. It is particularly surprising to recognize that the Jesuit missionary in China who has been considered a typical pro-Riccian became strongly hesitant or concerned in following the terminology of God suggested by Matteo Ricci.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xts by Xu and Vagnoni, it is highly plausible to regard the decade as the moment of micro transitions, subtle but significant, in the practice of Jesuit mission strategy of accommodation.

      • KCI등재

        한문서학서(漢文西學書) ≷공제격치(空際格致)≸ 연구

        배주연(Bae, Joo-ye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7

        본 논문은 예수회 선교사 바뇨니가 저술한 한문서학서 ≷공제격치≸를 통해 당시 중국에 체류한 서양인의 입장에서 본 자연 과학 지식에 대한 주요 내용을 살피고 이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수용 양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공제격치≸는 중국에 온 이탈리아 선교사 알폰소 바뇨니(A.Vagnoni, 高一志, 이탈리아: 1566~1640)가 저술한 내용을 명나라 학자 한운(韓雲)과 진소성(陳所 性)이 교정하여 1633년에 간행한 한문서학서이다. 내용은 유성 · 혜성 · 바람 · 구름 · 안개 · 지진 등에 관한 천문학 지식과 우주 변화를 불 ·공기·물·흙의 근본 물질로 설명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원소설(四元素說)등에 대한 이론을 서술하고 있다. ≷공제격치≸에 대한 조선에서의 영향을 살펴보면 이익은 그의 문집에서 기상이나 지진 등에 관련된 서술 항목에서 이 책의 내용을 언급하였다. 이어 18세기 후반 조선의 학자들에게서는 사행론의 영향이 활발하게 나타났는데 홍대용 · 이청 등의 인물이 오행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그 비판에 나섰다. 특히 19세기 최한기(崔漢綺, 1803~1877)는 ≷공제격치≸를 탐독하고 그것을 자신의 저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한 인물이다. 그의 저작 ≷운화측험≸의 많은 부분은 ≷공제격치≸의 기상학 관련 기사를 발췌한 것으로 이 책이 그의 과학적 사유의 중요한 단초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1830년대부터 지구설과 기(氣)의 회전 이론을 기반으로 조석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였는데 서양의 사행설이 동양의 오행설보다 진전된 것임을 인정하면서도 제대로 된 이론은 아니라고 판단하여 화 · 수 · 토를 기의 하부구조로 말하고 만물을 기 · 화 · 지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natural science and its critical issues described in the ≷Kongje keokchi≸ written by A.Vagnoni, Jesuit Missionary, from Italy, an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intellectuals of Choseon-Dynasty. ≷Kongje keokchi≸ is ‘Hanmun Seohakseo’ written by A.Vagnoni(Italy: 1566~1640) and edited by Hanun(韓雲) and Jinsoseong (陳所性) of Ming(明) Dynasty in 1633. This book described the knowledge of astronomy such as wind, fog, earthquake etc. and the philosophy of Aristotle. The purpose of this book was to spread the providence of God of Christianity through introducing the western science. According to the ‘Thomism’, to find out the god s creatures through the rationality of nature endowed by God is considered as the way to the God and it is the main reason why this book accepted the philosophy of Aristotle actively. This paper examine the the response of the intellectuals of ChoseonDynasty on this book. This book deeply affected the view of nature of Silhak scolars and we can see that in the recognition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陰陽五行論)’ and through the Spherical of the Earths. We can see the influence of this book in the collection works of Lee-ik (李瀷) which described the climate and earthquake. After introduced this book to the Yi Dynasty, the effect of ‘Four Elements Theory’ was spread actively among scholars in late 18C and it was trigerred to make the ‘Silhak Scholars’ in the Choseon-Dynasty. As mentioned above, introduction of this book to Choseon-Dynasty was served as a momentum to prepare the various theories on the natural science. The successive work is needed to compare the works of scholars who were influenced by this 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