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와 교우들의 삶 -문학으로 만나는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

        김윤선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9 교회사학 Vol.0 No.16

        이글은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초기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의 신앙과 삶을 재구하고 분석하였다.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 형성기부터 일제 강점기에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에서 창작, 향유, 전파된 작품을 발굴하고 이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신태보 옥중수기》, 〈빈낭유학기〉 및 정규하 신부의 서한에 수록된 이야기, 〈문베드로 자탄가〉, 〈경축가〉를 비롯한 천주가사, 〈조 마리아 할머니 이야기〉를 비롯한 구비전승된 이야기, 소설 〈용문산 김회장〉 등을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가 남긴 천주교 문학의 유산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풍수원 천주교 초기 공동체의 삶과 신앙을 조망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한국 천주교회 역사 안에서 풍수원 천주교회의 역사는 〈경축가〉에서 말한 것처럼 풍요롭다. 풍수원은 떠나온 자들의 교회, 이주자들이 모여 신앙으로 일군 새 하늘 새 땅이었다.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는 순교자들의 유가족과 박해를 피해 이주한 이들이 모여 신앙으로 교우촌을 형성하고 본당으로 이어질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였다. 풍수원 성당이 설립된 이후에는 신자와 사제가 한 공동체를 이루어 함께 성당을 짓고 신앙을 지키며, 성장하고 나이 들어간 곳이다. 그들의 삶에 녹아든 신앙은 노래와 이야기로 표현되고 전해질 수 있었다.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가 남긴 글들을 ‘풍수원 천주교 문학’으로 명명한다면 풍수원의 천주교 문학 역시 풍수원 천주교회의 보배로운 유산이다. 정제된 표현으로 승화되지 않은 날 것으로서의 구비문학뿐 아니라 풍수원의 글쓰기에는 순교자 문학, 사제의 문학, 평신도 문학의 유산이 있다. 그들은 수기와 여행기, 서간과 소설, 그리고 노래와 가사를 남겼다. 그것은 한 지역의 문학으로서뿐 아니라 한국천주교 문학의 상징성을 응축하였다. 풍수원 천주교회가 한국 교회사에서 지역 교회의 의미를 넘어서는 상징성과 대표성이 있듯이 풍수원 천주교회가 남긴 문학 활동, 글쓰기 역시 그렇다.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후속 연구를 통해 앞으로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가 남긴 문학이 제대로 평가받고 전승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has reviewed the faith and the life of early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based on the literary works. We have find the literary works that were created, enjoyed and propagated in the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from the early period of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have studied them. As the result, we verified the stories-〈Sin Tae Bo's memory in jail〉, 〈Binnang’s story of studying abroad〉, 〈the story in the letters from Jeong Kyu Ha〉, Catholic lyrics; 〈Complain to Mun Peter, himself〉 and 〈lyric for celebration (Kyung Chuk Ga)〉, words of mouth transmission; 〈the stroy of granmather Joe〉, and a novel 〈President Kim of Yongmunsan Mountain〉 were the Catholic literary heritages from the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and we had reviewed and analyzed the life and faith of the early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the history of Poongsuwon Catholic Church was rich as it was described in 〈the lyric for celebration〉. The Poongsuwon was the church for those who left, and a new heaven and a new land for those who moved, which was constructed with the faith. The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prepared the place which the bereaved families of martyrs and those who moved from persecution were able to construct a believer's community with the faith and a base which it could become the main church. In there, the believers and the priests all together have made a community, built a church, kept their faith, grew and aged since the Poongsuwon Catholic Church was constructed. The faith in their life could be described as a song and a story and be told. We can call the remained stories that the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left as 'Poongsuwon Catholic literature', so then, it also may be a holy heritage from Poongsuwon Catholic Church. There is not only oral literature as a pure expression that was not like a sophisticated expression but literature of martyr, literature of priest and literature of layperson in the Poongsuwon's writing. They have left their memorandum and travel note, letters and novel and song and lyric. It condensed the symbolism of Korean Catholic literature including literature of a region. The Poongsuwon Catholic Church has a symbolism and representativeness beyond the meaning of community church in the korean catholic history, therefore, so does the literary activity and writing that the Poongsuwon Catholic Church left. We think that in the future, with a follow-up study, literature that the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left has to be rightly regarded and to be told.

      • KCI등재

        《가톨릭연구》에 나온 조선천주교회사 기사 연구

        김규성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7 교회사학 Vol.0 No.14

        This thesis analyzed the articles about Korean Catholic History in Catholic Yeon-Gu(가톨릭연구). In particular, they focuses on the articles of the 1934 Martyrs' Holy Month and the articles of the church history in the special issue related to the 50th anniversary. In the September 1934, the special issue of the martyrs is mostly literary articles. However, there are two perspectives on martyrdom and church history in the editorial style article written by Kim Gu-Jeong(김구정). The aspect that emphasizes the superiority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perspective of the apologetics are shown at the same time. In 1935, the Catholic Half-Century Special Collective Collection covers topics related to church history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to early 20th century. In addition to the two aspects of the martyr feature mentioned above, this feature also added to the emphasis on the introduction of the New Culture and modernization. In the following month, the 150th Anniversary Special Issue featured the editorials of the general newspapers, in which there is a view that Catholicism is a contributor to the import of the New Culture. Catholic Yeon-Gu focused on the history of early Catholic Catholicism in Korea, and paid attention to Jeong Yak-Yong(정약용) who was related to Catholicism to some extent.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the articles on Jeong Yak-Yong is related to the Joseon-Hak(조선학) movement in the 1930s. This trend is reflected in Catholic Cheong-nyeon(가톨릭청년), a Catholic magazine of the same age. The ultimate goal of this magazine article was for Catholic missions. However, it can be said that Catholicism is closely related with the trend of contemporary history that is emerged Sil-Hak(실학) to emphasize that it is a modern religion. According to this understanding, the articles of the church history of Catholic Yeon-Gu conta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hey are the apologetics, the emphasis on the superiority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modernization. 본 논문은 《가톨릭연구》에 나온 조선 천주교회사 관련 기사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1934년 순교자 성월 특집호에 나온 기사와 50주년 관련 특집호에 나온 교회사 기사들에 대해 중점 분석하였다. 1934년 9월호로 발간된 치명자 특집호는 문학 형식의 기사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김구정이 쓴 논설 형식의 기사 안에는 순교 및 교회사에 대해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이 드러나 있다. 조선 민족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면모와 호교론이 동시에 나와 있다. 조선 가톨릭 세기 반 기념특집 합집호로 나온 1935년 9,10월호는 조선 천주교회의 시작부터 20세기 초까지 나온 교회사 관련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1935년에 나온 특집호에는 앞서 언급한 치명자 특집호에 드러난 두 가지 면모와 더불어 신문화 도입과 근대화를 강조하는 특성이 추가로 나왔다. 그 다음 달에 나온 150주년 기념 행사 특집호에는 일반 신문들의 사설을 소개하였는데, 이 안에는 천주교가 신문화 수입의 공로자라는 관점이 있다. 《가톨릭연구》는 초창기 조선천주교회사 역사에 대해 관심을 집중하면서, 동시대 인물이며 천주교와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던 정약용에 대해 주목하였다. 이렇게 정약용에 대한 기사 비중이 높아진 요인은 1930년대 조선학 운동과 연관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같은 시대에 나온 천주교회 잡지인 《가톨릭청년》에도 그대로 드러나 있다. 이 잡지 기사의 궁극적 목적은 천주교 선교를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천주교가 근대적인 종교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실학을 부각시킨 동시대 역사학 경향과 그 맥을 같이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악한 바에 따른다면 《가톨릭연구》의 교회사 기사는 호교론, 조선 민족의 우월성 강조, 근대화라는 세 가지 면모를 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수원 순교 성지의 성역화 조성 계획과 순교 신심의 고취

        김동욱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05 교회사학 Vol.0 No.2

        Since the Korean-French Treaty in 1886, Catholicism was gradually allowed in Korea. In July 1888, the Wangrim(a.k.a. Gatdeung-i) community became a formal parish, and there were efforts to honor the martyrs from Suwon. In addition, coinciding with a large-scale exodus from agricultural areas, the urbanization process began in Korea. These conditions allowed the birth of the Suwon parish in 1923, and the arrival of Fr. Shim Desideratus Polly in 1931 further confirmed the Suwon church's formal status. The study by Fr. Kim Hakryeol on the martyrs from Suwon ignited a movement to consecrate the martyrs' holy ground. On September 20, 2000, Bishop Choi Dukgi declared the area of Suwon citadel around the Buksudong Church as Suwon Sacred Ground and since then the Suwon Diocese has celebrated the Exposition of Martyrs every year. Currently, the author is leading various initiatives to consecrate Suwon Holy Groud. It would be very fruitful if the Catholic Church worked together with Hwaseong Project Center which is presently working on gradual restoration of Suwon-Hwaseong citadel. If the consecration project can be integrated with the cultural restoration movement of Suwon-Hwaseong, it will create a valuable opportunity to educate both the Catholic and non-Catholic public about the regional history and Catholic martyrs. The location of the Suwon Holy Ground also has an unusual advantage: it is in downtown and is well connected by the mass transportation system. Therefore, various programs can be developed to encourage the visitors to attend a mass, participate in adoration of the Holy Body of Christ, or go to reconciliation. The author plans to investigate further the theological uniqueness that is shown in the conflation of filial love with Catholicism among early Suwon Catholics, and to encourage spiritual development of the public by publicizing the Suwon martyrs' exemplary devotion. 1886년 한불조약(韓佛條約)을 계기로 한국에서 천주교회가 점차 묵인되면서, 1888년 7월, 왕림(갓등이) 공소가 본당으로 승격되었고, 점차 수원읍내에서 순교자들을 기리는 노력이 계속되었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당시한국사회의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이농현상과 도시화의 진전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1923년 수원본당이 창설되었고, 1931년 부임한 폴리(데시데라도, 沈) 신부에 의해 본당으로써의 본격적인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1995년 김학렬 신부의 수원순교자에 대한 연구를 기점으로 수원순교성지의 성역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2000년 9월 20일, 최덕기 주교에 의해 북수동 성당을 중심으로 한 수원성이수원성지로 선포되고. 그후 매년 수원지구 차원의순교자현양대회가 열리고 있다. 2005년 현재 김동욱 신부는 수원 성지를 본격적으로 성역화(聖域化)하고자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문화경쟁시대’라는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 수원순교성지의 성역화 작업은, ‘수원화성(水原華城)의 복원’을 순차적으로 진행 중인화성사업소와 상호 연대하여 화성문화 재개발과 병행추진한다면 신자․비신자에 모두에게 화성관련 역사와 천주교 순교역사를 동시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심에 위치한 성지로써, 교통의 편리함을 적극 활용하여 신자들이 언제든지 미사에 참여하거나 고해성사, 성체조배 등을 할 수 있고 순교 신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한다. 특별히 ‘효(孝)’ 사상에 바탕을 둔 수원순교 성지만의 고유한 가톨릭 영성과 신심의 개발에 주력할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진잠과 주변 지역의 천주교 신앙공동체

        이석원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7 교회사학 Vol.0 No.14

        Although Jinjam Prefecture was a small administrative unit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populace faced economic difficulties because the region had a large population of yangban (aristocrats), who did not pay taxes. Surrounded by mountains, Jinjam was on the boundary of Chungcheo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and was bordered by Gongju City to the north, Jinsan County to the southeast, and Yeonsan Prefecture to the southwest. Such historic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s served as an impetus for the transmission of Catholicism to the masses and mountainous borderlands rather than to the upper classes and central areas. With the Jinsan Incident (where a family of believers abolished Confucian ancestor worship and led to government persecution) of 1791 as the occasion, Catholic communities came to be formed in Jinsan, Geumsan County, Gosan Prefecture, and Yeonsan. With Thomas Gim Yu-san’s residence in the Sanmak-dong neighborhood in Jinjam, Catholicism came to be transmitted to Jinjam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790s. There is no extant record on the Catholic faith in the region until one confirming the residence of a group of believers in the Jang’andong neighborhood in Jinjam from before 1836. In particular, Han Jaegwon served as the head of the gongso (an assembly center without a priest) in Jinjam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840s to the first half of the 1850s. During the government’s persecution of Catholics in 1866, Paul Yi (first name unknown), Joseph Gang Sun-ji, Peter Jeon Ja-yeon, and Stanislaus Gim (first name unknown), all residents of Baranggol and Apjae Villages in Jinjam, were taken to and martyred in Gongju. Likewise, in 1878, Jang Jeong-seon, a resident of Oriul Village in Jinjam, was arrested together with believers from other areas and martyred in Seoul. According to materials, believers in Jinjam lived in what are now the Jang’an-dong and O-dong neighborhoods in the Seo-gu ward of Daejeon City, concentrated in mountainous villages on the boundary of Jinsan to the east and Yeonsan to the west. This was because mountainous borderlands, from which relocation to neighboring areas was easy and where one could avoid public attention, were appropriate for Catholics. Most believers who relocated to Jinjam had connections to Chungcheong Province. They relocated to mountainous inland areas in order to avoid governmental persecutions of Catholics in the Naepo region (an unofficial region in Chungcheong Province encompassing present-day Yesan County, Dangjin City, Seosan City, and Hongseong County) and to engage in religious practices more faithfully. On the contrary, as for cases of relocation from Jinjam to other regions, believers moved to mountainous areas in what is now northern Jeonju Soyang township(now northern Wanju County in North Jeolla Province). It was because believers who settled in mountainous villages moved along mountain routes even when relocating elsewhere and followed others’ movement routes. 조선시대 진잠현은 작은 지역이었으나 양반사족들이 많이 거주하면서 조세 부담을 지지 않아 일반 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웠다. 산으로 둘러싸인 진잠 지역은 충청도와 전라도의 접경으로 북쪽으로 공주, 동남쪽으로 진산, 서남쪽으로 연산과 접하고 있었다. 이러한 역사·지리적 배경은 천주교가 상류층이나 중심지역보다는 일반 민들과 산간 경계 지역에 전파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1791년 진산사건을 계기로 진산, 금산, 고산, 연산 지역에 천주교 신앙공동체가 형성되었고, 김유산이 진잠 산막동에 거주하면서 1790년대 후반 진잠지역에 천주교가 전파되었다. 이후 진잠에 대한 기록이 나오지 않다가 1836년 이전부터 신자들이 진잠 장안동 일대에 거주했던 것이 확인된다. 특히 한재권은 1840년대 후반~1850년대 전반 사이에 진잠의 공소 회장으로 활동했다. 1866년 박해 때는 진잠 바랑골과 앞재에 살던 이 바오로, 강순지, 전자연, 김 스타니슬라오가 공주로 잡혀가 순교했다. 1878년에도 진잠 오리울에 살던 장정선[장희철]이 다른 지역 신자들과 함께 잡혀 서울에서 순교했다. 자료에 나타난 진잠 지역 신자 거주지는 현재 대전 서구 장안동과 오동 지역으로 동쪽으로는 진산, 서쪽으로는 연산 지역과 경계를 이루는 산골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인근 지역(진산, 금산, 연산, 고산)으로 이주하기 쉽고 타인의 이목을 피할 수 있는 산골 경계지역이 신자들에게는 알맞은 생활터전이었기 때문이다. 진잠으로 이주해온 신자들 대부분 충청도 지역에 연고를 두고 있었는데, 내포 지역에서 박해를 피하고 신앙생활을 더 잘 하기 위해 내륙 산골 지역으로 이동한 것이다. 반면 진잠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경우에는 현재 완주군 북부의 산간 지역으로 옮겨갔다. 이는 산골에 터전을 잡은 신자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할 때도 산길을 따라 이동했고, 다른 신자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움직인 것이다.

      • KCI등재

        천주교 ‘박해시기’ 순교자 시신의 수습, 안장, 이장에 관한 자료 연구

        이석원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2 교회사학 Vol.- No.21

        이 논문은 천주교 ‘박해시기’ 순교자 시신의 수습, 안장, 이장 관련 자료들을 종합하고 정리하여 그 특성을 밝히려는데 목적이 있다. 1791년(신해) 이후 1879년(기묘)까지 순교한 신자들과 관련된 자료들을 통해 시신의 수습·안장 여부가 확인된 순교자는 275명[안장 231명, 안장 못함 44명]이다. 조선 정부의 기록에는 신자들의 시신이나 무덤에 대해서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 순교자 시신에 관한 천주교 측의 기록은 선교사제나 신자들의 서한[보고서], 순교자의 행적[약전], 시복 수속을 위한 증인 재판[시복재판록]에 나오는데, 시복재판록 기록이 가장 상세하고 신빙성이 높다. 재판 조목 중에 시신의 수습과 안장, 이장, 관련된 영적(靈蹟) 사실을 묻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순교자 시신의 수습·안장 관련 자료에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첫째는 상대적으로 선교사제에 대한 기록이 풍부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시신이나 무덤에 나타나는 영적에 대한 증언이 많은 반면 수습·안장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이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시신 수습과 안장 여부가 확인된 순교자 275명을 시기별 지역별로 분류해 도표로 제시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1839년과 1846년 박해 때처럼 신자들이 순교자의 시신을 수습하려는 의식을 가지고 조직적으로 나섰을 경우 수습·안장 비율이 높았다. 반면, 1801년과 1866년 박해 때처럼 천주교 박해가 혹독하여 신자들이 나설 수 없는 상황에서는 수습·안장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순교자 시신의 수습·안장 수치를 지역별로 비교하면 순교자의 지역별 수치와는 비례하지 않는다. 1866년 이후 박해가 혹독했던 경기 지역은 순교자가 많이 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신의 수습·안장 비율은 낮았다. 충청 지역은 1868년 박해가 격화되면서 순교자 시신·안장은 1866~67년에 주로 이루어졌다. 1866년 박해가 상대적으로 약했던 전라와 경상 지역에서 수습·안장된 시신은 대부분 1839년 이전에 순교한 경우이다. ‘박해시기’라는 특성 때문에 안장된 순교자의 시신이 이장되는 경우는 서양 선교사제와 김대건 신부를 제외하고는 없었다.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how the bodies of martyrs during the period of Catholic persecution were recovered, buried, and reburied by compiling relevant materials. This study identified 275 martyrs (231 buried, 44 not buried) whose recovery of bodies and burial have been confirmed based on the materials on the martyred Catholics from 1791 to 1879. Records kept by the Joseon government did not display much information about the bodies and graves of the Catholics. Catholic records of the martyrs’ bodies were found in the reports written by missionaries or Catholics, short biographies of martyrs, and the beatification trial records. Among them, the beatification trial records were the most detailed and reliable, as the questions asked in the trials raised issues such as the recovery and burial of the martyrs' bodies and their miracle stories. The records shared several common characteristics. First, there were relatively more records on missionaries. Second, while there were many testimonies on the martyrs' bodies and the miracles that appeared on their graves, not much information could be found on the recovery and burial of the bodies. This paper classified the 275 martyrs whose recovery of bodies and burial were confirmed by period and region using charts and identified their characteristics. The body recovery and burial rate were higher when the Catholics made an organized effort out of their own initiative, as in the persecutions in 1839 and 1846.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persecutions in 1801 and 1866, the bodies were rarely recovered or buried when the persecution against Catholicism was so severe that the Catholics could not make any effort. The rate of recovery and burial of martyrs by region did not coincide with the number of martyrs by region. While many martyrs were found in the Gyeonggi region, where persecution was severe since 1866, the rate of recovery and burial of bodies was low. In the Chungcheong region, most recoveries and burials of martyrs took place from 1866 to 1867 as the persecution became even more severe in 1868. The martyrs whose bodies were recovered and buried in the Jeolla and Gyeongsang regions, where persecution was relatively less severe in 1866, were mostly martyred before 1839. Since it was an era of persecution, most of the martyrs' graves remained unmoved, aside from the graves of Western missionaries and Father Kim Taegon.

      • KCI등재

        근세 중국천주교회에서 삼위일체론(三位一體論)의 부상

        신주현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2 교회사학 Vol.- No.21

        It was a major mission for Jesuit missionaries to address the Doctrine of Trinity in the Chinese Catholic Church during the late-Ming period. The rise of the doctrine lay in the publication of Jiaoyao jielue in 1615 by Alfonso Vagnoni. Vagnoni’s catechism was the very text that extensively propagated the Doctrine of Trinity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Chinese Catholic Church. By the era of Matteo Ricci, died in 1610, the Chinese Church was immature when it comes to conveying a systematic introduction of the doctrine to the local catecumens. Formerly Matteo Ricci initiated the introduction of the doctrine in his publication of Tianzhu jiaoyao in 1605, noteworthy as a genre of Doctrina Christiana, but it was limited in explicating the complex discussions on the doctrine. The rise of the Doctrine of Trinity happened after the generation of Ricci, and it tells that the second-generation Church during the late Ming was becoming more mature. It is particularly remarkable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Catholic elite converts including the famous “Three Pillars” were active in the period, which was a good reflection of growing church communit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he rise of the Doctrine of Trinity in mid 1610s reflects the confidence of the second-generation Jesuits in China who were inspired by the growth of the church. 천주교의 핵심교리에 해당하는 삼위일체론에 대한 적극적인 설파는 명말 중국천주교회에서도 중요한 과제였다. 명말 삼위일체론의 부상은 1615년 바뇨니의 『교요해략』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교요해략』은 중국 천주교사상 최초로 삼위일체론 교리를 전면적으로 드러낸 한문서학서다. 리치 시대까지는 중국에서 문인신자들에게 문서선교 형식의 체계적인 삼위일체론 제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리치의 『천주교요』는 중국교회에 최초로 삼위일체론을 제시한 Doctrina Christiana로서 의의가 있으나 교리의 전달 차원에서는 제한적이었다. 리치 시대 이후에야 삼위일체론이 교리서 체제에서 전면적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사실은 2세대 교회에 이르러 명말 중국교회가 성숙해졌음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시기가 명말 중국천주교회의 중심적 역할을 했던 삼대지주인 서광계, 양정균, 이지조를 비롯한 명망있는 문인신자들의 입교가 확대된 이후 교회의 양적, 질적 성장이 두드러진 시점이라는 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리치 사후 1610년대 중반 이후에야 본격화된 삼위일체론의 부상은 교회의 성장에 고무된 2세대 예수회 선교사들이 드러낸 자신감의 표현이라고 해석된다.

      • KCI등재

        19세기 옛한글 바티칸 필사본 Sire.L.13 연구

        서원모,곽문석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2 교회사학 Vol.- No.21

        This Study is designed to introduce the old Hangul manuscript Sire.L.13 kept in the Bibliotheca Apostolica Vaticana and to elucidate its significance. This manuscript is identified as a Korean translation of Ineffabilis Deus, an apostolic constitution promulgated by Pope Pius IX in 1854, which defined the dogma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f the Blessed Virgin Mary. This study, as the first scholarly work on this manuscript, corroborates the significance of Sire.L.13 as follows. First, Marie-Dominique Sire, the principal of the Saint Sulpice Seminary in Paris, carried out the project to translate Ineffabilis Deus into “living” languages around the world and to dedicate these translations to Pope Pius IX. This old Hangul manuscript came to be one result of this worldwide translation project. Second, the letter of Sire requesting a Korean translation arrived in Choseon in February, 1863, but the Latin text of Ineffabilis Deus did not come until the end of June. Bishop Daveluy took charge of translation from the Latin text into Korean, and Korean believers transcribed the Korean text and decorated it with beautiful flower designs. All these works of translation, transcription, and decoration were completed before September 8. Bishop Berneux, Apostolic Vicar of Korea, mentioned this translation several times in November in his letters, and ratified it with his seal on November 25, sending it to Franc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ire.L.13 was composed and dedicated to the pope through this process. Third, Sire.L.13 proves to be the first work which translated the whole text of a papal bull into Korean, as well as a rare old Hangul manuscript whose original text, translator, and the date of translation can be determined with great certainty. Besides, this manuscript demonstrates translation technique, vocabularies, usages, and notation adopted by Korean Catholics during the 1860s, and illustrates how they express into Korean the dogmatic definition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f Mary, scriptural and patristic testimonies on Mary, and technical terms related to liturgies and rites and ecclesiastical offices. For this reason, Sire.L.13 will be an invaluable source material for the 19th century Latin-Korean glossary. 이 연구는 바티칸도서관에 소장된 옛한글 필사본 Sire.L.13을 소개하고 그 의의를 밝힌다. 이 필사본은 1854년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리를 선포한 교황 비오 9세(Pius IX)의 교황칙서(Bulla) “형언할 수 없으신 하느님”(Ineffabilis Deus)을 조선말로 번역한 자료이다. 이 연구는 Sire.L.13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이 필사본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생-쉴피스 신학교 교장 시르(Marie-Dominique Sire) 신부는 비오 9세의 교황칙서를 전 세계 언어로 번역하여 교황에게 헌정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며, 이 옛한글 번역본은 이러한 세계적인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둘째, 시르 신부의 번역 요청 편지는 1863년 2월경에 조선에 전달되었지만, “형언할 수 없으신 하느님” 라틴어 본문은 6월 말경에야 도착했다. 다블뤼(Marie-Nicolas-Antoine Daveluy) 주교가 라틴어 본문을 한글로 번역했으며, 조선 천주교인들은 이를 필사하고 아름다운 꽃문양으로 장식했고, 이러한 번역과 필사와 장식 작업은 9월 8일 이전에 완료되었다. 조선대목구장 베르뇌(Siméon Berneux) 주교는 11월에 작성한 여러 편지에서 이 번역본을 언급하며, 11월 25일에 인준하여 프랑스로 보냈다. 이 연구는 Sire.L.13이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작되고 헌정된 문헌임을 밝힌다. 셋째, Sire.L.13은 교황칙서 전문을 한글로 번역한 최초의 자료로서, 저본과 번역자와 번역 시기를 확정할 수 있는 옛한글 필사본이다. 이 필사본은 1860년대 조선천주교의 라틴어 본문의 한글 번역 방식, 어휘, 용례, 표기법을 보여주며, 마리아의 무염시태에 대한 교리 정의와 성경과 교부의 마리아에 대한 증언, 또한 당대의 전례와 교회의 직책 등을 조선말로는 어떻게 표현했는지 알려준다. 따라서 Sire.L.13은 19세기 라틴어-한글 용어 사전 작업을 위한 중요한 원천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풍수원 성당의 건축적 특징과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김정신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9 교회사학 Vol.0 No.16

        풍수원 성당은 박해시대에 형성된 유서 깊은 교우촌에 지어진, 강원도 최초의 성당이자 최초의 서양식 벽돌건물이다. 또한 국내에서 일곱 번째로 지어진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당이며 한국인 신부가 지은 최초의 성당이다. 1910년 11월 뮈텔 주교의 주례로 성당 봉헌식을 거행하고, ‘예수성심’을 본당 주보로 정하였다. 이어 1912년에는 성당 뒷면에 벽돌 구 사제관을 신축하였다. 구 사제관은 원형이 잘 남아있는 벽돌조 사제관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현재는 유물전시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풍수원 성당은 형태, 규모, 평면구성이 약현 성당과 거의 같다. 즉 삼랑식에 7개의 회중석 베이(bay)와 한 개의 성단(sanctuary) 베이, 3각의 돌출 앺스(apse), 그리고 정면 중앙 종탑 등 구성이 같고 규모도 거의 비슷하다. 다른 점은 종탑이 약현 성당의 경우 3층에 뾰족한 첨탑을 올렸는데 비해 풍수원 성당은 4층에 완만한 첨탑을 올린 점이며, 약현 성당의 경우 트러스 지붕틀 구성없이 뾰죽한 목조아치가 지붕도리를 바로 받치고 있는데 비해 풍수원 성당은 반원형 아치 위에 초기형 트러스(평보 위에 대공이 있고 빗대공이 없는)가 놓여 약현 성당이 보다 천장이 높고 고딕적인 공간형태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구조개념 뿐만 아니라 의장적인 측면에서도 약현 성당이 풍수원 성당보다 고딕 양식에 가깝다. 따라서 풍수원 성당은 로마네스크양식의 한국 천주교 성당건축의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교회사적인 가치와 건축사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풍수원 성당과 사제관은 문화재로 지정·등록된 이후 적절한 보수를 통해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다만 걱정스러운 것은 교회와 지자체가 추진하고 있는 ‘유현 문화관광 단지(바이블 파크) 조성사업’으로 자칫 박해시대와 초기교회의 모습이 잃게 되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특히 천주교 유적지의 과도한 성지 개발과 관광화로 인해 전국의 많은 천주교 유산이 훼손되어가는 상황에서 얼마 남지 않은 풍수원 교우촌의 흔적마저도 사라지지 않을까 우려되는 것이다. 충분한 고증과 계획으로 유산의 보존과 개발이 조화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Pungsuwon Catholic Church is the first Catholic church and the first Western-style brick building in Gangwon-do, which was built at the time�honored Catholic village(Gyowuchon) formed during persecution. It is also the seventh Romanesque-style church in Korea and the first Catholic church built by a Korean priest. In November 1910, the dedication of the church was celebrated by Bishops Mutel, and the "Sacred Heart of Jesus" was appointed as the parish church. In 1912, a new brick priest's office was built on the back of the church. The former priest's office is the oldest building among the remaining brick-structure priest's offices in Korea, and is currently used as a relics museum. Pungsuwon church has almost the same shape, size and floor planning as Yakhyeon Catholic church. In other words, it's almost similar to Yakhyeon Catholic church in its composition including three-gallery style, 7 nave bays, 1 sanctuary bay, 3-angle protruded apse, and central bell tower in the facade, and size. The difference is that the bell tower has a sharp steeple on the third floor of the Yakhyeon Catholic church, whereas the Pungsuwon church has a gentle steeple on the 4th floor. In contrast, Pungsuwon church has an early truss on the semi-circular arch and the Yakhyeon Catholic church has a higher ceiling and forms a Gothic space. In other words, not only the concept of structure but also the design of the Yakhyeon Catholic church is closer to Gothic style than the Pungsuwon church. Therefore, Pungsuwon church is a model of Romanesque style in Korean church architecture. As such, the church and priest's office in Pungsuwon, which have considerably high value in both Catholic church history and architectural history, have been well-preserved through proper renovation since they were designated and registered as cultural assets. Worryingly, the “Yakhyeon Cultural Tourism Complex (Bible Park) project” promoted by the church and local government may lead to the loss of persecution and the appearance of early churches. In particular, it is feared that even traces of Pungsuwon Catholic village will disappear even when many Catholic heritages of the nation are damaged due to excessive development of holy places and tourism-drive in historic sites of Catholicism. It is our hope that, with sufficient testimony and planning,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heritage can be harmonized.

      • KCI등재

        족보를 통해 본 최양업 신부 가문의 몇 가지 문제

        방상근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3 교회사학 Vol.- No.23

        최양업 신부는 한국천주교회의 두 번째 방인(邦人) 사제로, 2016년 4월에 ‘가경자(可敬者)’로 선포된 인물이다. 최 신부는 시복 대상자가 될 정도로 한국교회에서의 위상이 매우 높다. 그리고 그러한 위상에 걸맞게 그에 대한 연구도 일찍부터 진행되어, 다양한 주제의 연구 성과들이 나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최양업 신부의 가계, 특히 최한일(최양업의 증조) 이전의 가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물론 최한일 이전 세대는 천주교와 무관하다. 그렇지만 이들에 대한 족보 기록은 기존에 불명확했던 사항들을 설명할 수 있는 단서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에 필자는 족보를 활용하여 최양업 가문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 즉 “최양업 집안이 서울에 정착한 시기, 청양으로 이주한 이유, 김화(金化, 즉 금성) 지역과의 관계, 이 가문에서 처음으로 신자가 된 최한일의 입교 과정과 양자설(養子說), 최양업 가문의 신분” 등에 대해 새롭게 정리해 보았다. 이 중에서 특히 최양업 가문의 신분이 서족(庶族)임을 밝힌 것은 이 글의 커다란 성과라고 하겠다. Father Choi Yang-eop is the second native priest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in April 2016, he was declared a “venerable.” Father Choi has a very high status in the Korean church to the extent that he is subject to beatification. And, befitting its status, research on it has been conducted from an early stage, and research results on various topic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few studies have analyzed Father Choi Yang-eop's family lineage so far. In this situation, the author uses genealogy to investigate several issues related to Father Choi Yang-eop's family, namely, when Father Choi Yang-eop's family settled in Seoul, the relationship with Kimhwa, why they moved to Cheongyang, and how Choi Han-il gained faith. and the status of the Choi Yang-eop family also was newly revealed. Among these, especiall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great achievement of this article to reveal that the family of Choi Yang-eop was a Seojog(庶族).

      • KCI등재

        이의창 베난시오 관련 자료 연구 - 이름과 가계, 세례명, 교회 활동을 중심으로 -

        이석원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3 교회사학 Vol.- No.23

        이 글은 김대건 신부의 복사로 알려진 이의창 관련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그의 이름과 가계, 세례명, 교회 활동에 대해 정리했다. 이의창 관련 자료는 김대건 신부의 서한과 황해 감영과 포도청 문초 기록, 1839년 문초 기록, 1884년 시복 재판 증언 기록, 광주이씨 족보와 남인 당파 족보[南譜] 등으로 분류된다. 포도청 문초에서 광주이씨(廣州李氏) 집안의 이의창(李宜昌)[이기양의 손자, 이방억의 아들]이 1839년에 체포되지 않았다가 1846년 김대건 신부의 집주인이자 복사로서 활동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의창의 이름과 가계를 광주이씨 족보나 남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1873년에 제작된 『광주이씨족보』에는 이의창이 나오지 않는다. 천주교 금압 시기에 족보 제작자들이 가문과 천주교와의 연관성이 드러나는 내용을 의도적으로 생략하거나 축소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19세기 말에 제작된 남보 중에는 이의창(李宜敞)으로 나온다. 남인 명가의 계보를 종합·정리하려 했던 남보 편집자들은 ‘사학’인 천주교와의 연관성을 표기하여 공동으로 천주교에 대응·배척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의창의 형제와 후손들에 대해서는 남보 자료마다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자료에 의하면, 이의창의 세례명은 베랑(베라노) 또는 베난시오이다. 그런데 현재까지 베라노란 세례명은 거의 언급되지 않고, 베난시오로만 알려지게 되었다. 이는 20세 초부터 현재까지 나온 김대건 신부 서한의 인용·번역문에 혼선과 오류가 있어서 복사의 세례명이 ‘베난시오’로만 알려졌기 때문이다. 당시 ‘성인전’에는 베라노 성인은 나오지 않고 베난시오 성인만 확인된다. 교회측 기록에는 ‘베라노’라는 세례명을 가진 신자가 나오지 않고, 베난시오의 세레명을 가진 신자는 여러 명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베난시오’가 이의창의 세례명일 것으로 보인다. 이의창은 1845년 1월에 김대건이 조선으로 입국할 때 의주-변문까지 갔던 안내원 중 한 명일 가능성이 있고, 소공동[석정동]에 자리잡은 김대건 신부의 집주인이자 복사로서 신자들의 모임을 주선하고 김 신부를 수행·보좌했다. 1846년 5~6월에 이의창은 김 신부를 수행하여 황해 탐사에 동참했는데 김 신부의 지시로 한문 서한을 작성했으며 중국 배로 건너가 전달하는데도 참여했다. 김 신부 일행이 체포되기 전에 배에서 내려 다른 곳으로 갔는데, 이후 행적은 찾을 수 없다. The materials related to Lee Uichang are categorized into Father Kim Daegeon's letter, the records of the Huanghai Gamyoung(黃海監營) and the Podocheng(捕盜廳) interrogation, the 1839 interrogation records, the 1884 beatification trial testimony records, and the Gwangju Lee family(廣州李氏) genealogy and the Namin Party's genealogy(南譜). In the Podocheng interrogation records, Lee Uichang(李宜昌) of the Gwangju Lee clan[Grandson of Lee Giyang, son of Lee Bangeok] was not arrested in 1839, and in 1846, he was identified as the landlord and servent of Father Kim Daegeon. Lee Uichang's name and family line can also be found in genealogies and Namin Party’s genealogies. Lee Uichang does not appear in the 1873 Gwangju Lee Family Tree. During the Catholic persecution, genealogists may have intentionally omitted or shortened information that would reveal the family's connection to Catholicism. On the other hand, a Lee Uichang(李宜敞) is identified in a late 19th-century Namin genealogy. The compilers of the Namin genealogies, who synthesized the genealogies of the Southerners, may have collectively countered and rejected Catholicism by noting the connection to Catholicis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ccounts of Lee Uichang's siblings and descendants in different Namin genealogies. According to extant sources, Lee Uichang's baptismal name was Véran(Veranus) or Venantius. To date, Veranus is rarely mentioned and only Venantius is known. This is because there was a confusion or error in the translation of Father Kim Daegeon's letter, and he was known only as Venantius. At that time, Veranus is not mentioned in hagiography, but only Venantius is identified. The church's records do not show a believer named Veranus, but several believers named Venantius. Therefore, it is likely that Venantius was Lee's baptismal name. Lee Uichang may have been one of the guides who traveled to the Uiju-Byeonmun when Kim Daegeon entered Joseon in January 1845, and was the landlord and servant of Father Kim in Sogong[Seokjeong]-Dong, where he arranged meetings of the faithful and served and assisted Father Kim. In May-June 1846, Lee accompanied Father Kim on an expedition to the Yellow Sea, where he composed Chinese letters under Father Kim's direction and helped deliver them to Chinese ships. He left the ship and traveled elsewhere before Father Kim's group was arrested, and his subsequent whereabouts are unkn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