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시마을에서의 마을신앙 변화

        이용범(Yi, Yong-bhum)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3 民俗硏究 Vol.0 No.27

        이 글은 전통적인 마을제의의 변화를 중심으로 도시마을에서 전승되는 마을신앙의 성격과 기능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현재 도시마을에서 전승되는 마을제의는 새롭게 창출된 것이기 보다는 이전부터 전승되어 오던 마을제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기존 전통 마을제의가 도시화된 마을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전통적인 마을제의는 마을이라는 지연공동체에서 이뤄지는 공동체적 삶에 대한 종교적 의미부여를 통해 마을공동체의 사회적 통합과 전승에 기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런 점에서 전통적인 마을제의는 지연공동체 제의라고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에서 전승되는 마을제의는 이와는 다른 성격을 보여준다. 서울지역 도시마을의 마을제의를 중심으로 살펴봤을 때, 도시의 마을제의는 지연 공동체 제의의 성격에서 벗어나 관계 공동체 제의의 성격을 보여준다. 또한 한 마을에 한정된 마을제의에서 보다 더 큰 지역의 전통문화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현재 서울이라는 도시에서 행해지는 마을신앙은 반드시 마을과 같은 일정한 지역 삶의 공간을 전제하지 않음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즉 마을은 점차로 희미해지거나 사라져 가는데, 제의만 살아남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도시마을의 마을제의는 일정한 공동체 통합을 위한 나름의 사회적 기능은 여전히 담당할 것이다. 그러나 그 공동체가 반드시 일정한 삶의 공간을 전제로 한 지연 공동체에 제한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도시마을에서 마을신앙은 전통적인 마을신앙과 질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tries to grasp the character and functions of the urban village beliefs focusing on the changes of traditional village rituals. The reason is that the present urban village beliefs are not newly created but handed down from the pa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is paper is to understand how the traditional village beliefs have been changed in urban village. The traditional village rituals function to contribute to the social cohesion and transmission of village community through the religious sanctification of the communal lives in regional community like a traditional village. In this regard we can say that it’s a regional community rituals. The urban village rituals take on a different character. The urban village rituals in city like Seoul reveal the character of rituals of relation-community different from regional community rituals. And they are becoming to establish themselves as one of the traditional cultures of a broad region including villages differing from the traditional village rituals limited to a village. It seems to be certain that the existing village beliefs in Seoul don’t presuppose the space of community life like a village. Namely while village seems to be receding or disappearing, rituals only will seems to be survive. Of course the urban village rituals will function to contribute to the social cohesion of a community as ever. But the community is not limited to a regional community presupposing a certain space of community life. In this respect it is enough to say that the urban village beliefs show a new character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village beliefs.

      • KCI등재

        마을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 관계 분석

        정선기(Chung, Sun-kee),송두범(Song, Doo-bum),임현정(Im, Hyun-jung) 한국지역사회학회 2015 지역사회연구 Vol.23 No.4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village residents and the village activities for the villages in the city of Daejeon, which is considered to have formed village communities comparatively wel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ifference in the sense of community according to the personal traits of the village residents seem to be high in the elderly of 50s and older and in married women. Secondly,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residence, it was higher with longer duration of residence, higher number of family members, owner-occupied hom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appeared higher in people residing in apartments. However,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Thir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active in the village, the people who are aware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of the village and activities showed higher sense of community. Likewise,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residents was analyzed on the villages with relatively active community activities in the village, and though there were no regional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ye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ense of community was realized according to the awareness. Also, differences in the sense of community appeared according to the personal traits or residence. This signifies that the village community organizations must be approach the residents and the region in more familiar manner in order to heighten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residents. The direction of the village communication activities being actively enforced are suggested.

      • 서울 백사마을 여성 공동체의 형성과 변화

        최성희(Choi, Seonghui) 서울민속학회 2014 서울민속학 Vol.- No.1

        백사마을은 1967년 이후 청계천, 중랑천 등지의 도심지역 환경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철거된 판잣집 거주자들이 강제로 이주되어 형성된 지역으로 재개발 대상 구역이다. 백사마을의 일부지역은 보존적 재개발의 방식으로 기존의 경관이 보존되는데 필자는 전면 재개발이 진행될 예정인 1통과 2통 일대 35년 이상 거주한 여성 세 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및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서울의 도시마을 사례들과 비교해 볼 때 각기 상이한 출신지를 지닌 서울 백사마을의 구성원들은 비자발적인 강제이주로 백사마을로 이주하게 되었고 여성 공동체 구성원들의 마을 내 사회적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특징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 백사마을의 여성 공동체의 특징과 변화에 대해 통시적으로 고찰하기위해 자료제공자 A, B, C를 통해 각각 백사마을 여성 공동체 구성원들이 여성 공동체를 구성하게 된 동기와 재개발이라는 마을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을 알 수 있었다. 도시마을(Urban Village)의 사례인 서울 백사마을의 여성 공동체 구성원들은 골목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비공식적 소규모 모임으로서 여가 및 친목 그리고 생활 전반에 있어 품앗이적인 요소의 생활 공동체를 지속한다. 구체적으로 화장실, 빨래터, 우물, 골목 등 생활공간의 공유는 여성 공동체를 형성과 유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백사마을에의 공통된 기억과 경험은 여성 공동체로의 참여에 대한 조건이며 여성 공동체의 구성과 지속은 재개발이라는 삶의 공간의 변화에 대한 생존 대응방식으로서 작용한다. This research is focused on a women’s community in 104-Village. The 104-Village is cultivated by settlers migrated from the demolished illegal shacks in downtown near Cheonggye-stream and Jungnang-stream of Seoul. That village is located in Joonggyebon-dong, Nowon-Gu, Seoul. The Range of 104-village is from 1-tong to 8-tong. The 104-Village were designated by Seoul City for redevelopment. In this research, the writer has interviewed and observed residents of 104-Village, living in the full redevelopment area. Three women designated A, B, and C who have lived in 104-Village for over thirty five years were interviewed. In comparison Urban Village like 104-Village in Seoul has the some similar characteristics. All the residents of 104-Village have different birthplaces. In 104-village women’s social particip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village. As a result, the 104-Village is a case of ‘Urban Village’. The members of women’s community are cooperating with each other while living in the same area. Because the number of members in women’s community is so small, it is formed and maintained by a informal methods. It consists of trust and exchange of services without compulsion. The cooperations on public ownership of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public spring waters, public lavatories, and alleys. Also, preserving and remembering the history of 104-Vill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formation of women’s community in 104-Village.

      • KCI등재후보

        도시마을 민속 연구의 필요성과 접근 방법

        정형호(Jung, Hyung-ho)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3 民俗硏究 Vol.0 No.27

        이 글에서는 도시마을 민속 연구의 필요성과 접근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우선 도시마을이란 개념 설정부터 필요하며, 이것을 규명하기 위해 도시 속에 공동체가 존재하는가라는 문제부터 풀어가야 한다. 그리고 도시마을 민속의 조사연구 지역과 대상을 어떻게 설정하느냐도 중요하다. 아울러 이를 위해 생활사로의 확대와 개인생애사 중심 접근이라는 방법론적 모색도 시도하겠다. 도시는 속성상 공동체가 쉽게 잡히지 않기 때문에 기존 마을조사와 달리 접근해야 한다. 대체로 과거 도시화되기 이전의 자연부락 단위 지역 접근, 장기 거주자와 이주자의 관계 중심의 접근, 도시 속 특정 목적을 가진 근래의 인위적 공동체 접근, 특정 계층 중심의 접근 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시의 급격한 지역민의 변화 속에서 선주민과 이주민들의 상호 관계, 이주민들의 지역 사회에 대한 대응 방식은 도시마을 민속의 연구에 중요하다. 이주민들은 선주민의 개방성 여부, 생업과 토박이와의 친밀성, 지역 영향력 확대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대응한다. 또한 도시 속 공간은 일부 동제 중심 지연공동체에 부분적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대체로 지연을 뛰어넘어 상호 이해관계에 따라 소공동체 중심으로 급격하게 재편되어 간다. 이제는 각종 보존회, 향우회, 계, 노인회, 각종 친목회, 상인회, 동창회 등 다양하게 분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도시마을 민속의 조사연구를 위해 방법론적으로, 기존 민속조사의 영역을 확대하고, 개인의 생애사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도시는 일찍이 생산보다 소비 중심이기 때문에 기존 마을 중심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않은 물질 중심의 접근이나 생활사가 중요하게 대두된다. 또한 도시민들은 직업의 변화, 개인적 경험, 역사적 사건에 대한 대응 방식 등에 따라 민속에 대한 인식과 대응이 달라지기 때문에 개인생애사를 통한 접근도 필요하다. This article was aimed at the study necessity or approach method of urban village folklore in the course of the rapid urbanization. Thus, it was approached by focusing on urban village or urban community. And next, approached the subject of investigate and study of urban village folklore. And the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were why people are still oriented to the community and how the local community has been break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pace in urban. Also it focused on the remaining aspects of Dongjedang centered-community, response styles and roles of migrants against the native people and differentiation phenomenon toward the little community. Eventually, the traditional community of (urban) were almost weakened and diversified into a variety of the little community based on the change of space, transmission patter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For the study necessity or approach method of urban village folklore, it is necessaty approach by focusing on daily material instrument or individual life story.

      • KCI등재

        도시화에 따라 새로이 형성된 공동체의 속성과 마을신앙의 의미 - 인도 벵갈루루의 만트리 에스파냐 아파트의 사원을 중심으로 -

        권선경 ( Kwon Sun-kyung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0 No.-

        본고는 인도 벵갈루루의 만트리 아파트 공동체와 만트리 사원을 통해서 도시화에 따라 변모된 공동체의 속성과 그에 따른 마을신앙의 기능과 의미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도시화에 따라 새롭게 만들어진 공동체는 비슷한 수준의 물적 토대를 가진 사람들로 이루어진 경제적 이익 공동체였고, 공동체 신앙인 마을신앙 역시 변화된 공동체의 속성에 따라 물적 토대를 수호할 수 있을 때 전승이 원활해질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만트리 공동체는 도시화에 따라 인도의 공동체가 앞으로 이러한 방향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울의 마을신앙도 만트리 사원과 같이 거주공간을 보호하면서 재산권을 보호하는 의미를 지닐 수 있을 때 전승의 문제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The main focus is on the properties of the newly formed community and the meaning of village religion due to urbanization based on the temple which is located in Mantri Espana Apartment, Bengaluru, India. The newly formed community, based on urbanization, is an economic benefit community composed of people with similar levels of material foundation. And the community faith in the community can become smoother when they are able to maintain a physical foundation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changed communit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Indian community is likely to be reorganized in this direction due to urbanization like Mantri community. The village religion in Seoul also can have similar meaning that it can be solved from the issue of inheritance when it can protect the living space and its property rights such as the Mantri temple.

      • KCI등재후보

        밝은누리의 문화, 현재와 전망

        조기성(Cho, Ki-Su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1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2 No.-

        이글은 밝은누리에서 한몸살이를 하고 있는 내부자가, 밝은누리가 이제껏 일궈 온 문화를 외부에 소개하는 글이다. 인류학과 사회학에서 글쓰기 방법론으로서 ‘자기기술지(autoethnography)’의 전통이 있다. 이 글은 밝은누리에 대한 필자의 자기 고백이 개인주의와 나르시시즘에 빠져들지 않고, 사회적(공동체적)인 것이 개인적인 것을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개인적인 경험의 서사를 ‘이론’과의 긴밀한 왕복 운동 속에서 보여주려는 데 의의가 있다. 유념할 것은 이러한 자기기술지가 근본적으로 수행(수련)의 의의를 지닌다는 사실이다. 뜻은 거창하지만 늘 역량의 부족을 절감한다. 애쓰고 노력할 따름이다. 머리말에서는 밝은누리가 한몸살이를 하며 나름대로 정리한 사람과 생명, 마을과 공동체에 대한 생각, 그리고 공동체 문화란 무엇인지에 대해 썼다. 고백 담은 어떤 서술이 이론을 토대하면서 이론을 그저 덧입는 형태가 아니라 재전유(reappropriation)의 방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싶었다. 공동체 문화는 사람이 하늘을 이고 땅을 디디고 주변 뭍생명들과 어우러져 사는 삶 그 자체다. 사람이 개체가 아닌 몸의 확장과 관계망으로서의 마을을 일구는 동안 생성하는 삶의 모든 것이 공동체 문화다. 마을로 살아가는 공동체가 내딛는 발걸음마다 공동체 문화는 생성되고, 그렇게 생성된 공동체 문화는 마을로 함께 걷는 이들을 살리고 추동한다. 공동체 문화는 생명평화를 일구며 어울려 살아가는 사람들의 걸음 속에서 피어나고 열매 맺는다. 밝은누리의 문화를 소개하며 두 가지 전제, 대표성과 언어의 한계를 썼다. 필자는 밝은누리에서 한몸살이를 하는 개체이고 부분으로서 밝은누리 문화를 소개하는데 대면할 수밖에 없는 한계, 그리고 그것을 언어(글)로 표현해서 소통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썼다. 한계는 곧 또 다른 가능성과 소통의 시작이다. 소통의 불가능성을 전제로 할 때 제대로 된 소통은 시작될 수 있다. 밝은누리는 현재 서울 인수동과 강원도 홍천 서석면, 그리고 경기도 수리산에서 마을 공동체를 일구고 있다. 각각의 장소에서 시간이 빚어낸 공동체 문화를, 생애주기와 식(食)․의 (衣)․주(住)․락(樂), 농도상생공동체라는 구분을 통해 정리했다. 각각의 구분 기준은, 밝은 누리가 걸어온 걸음을 뒤돌아볼 때, 매우 중요하다. 공동체 문화가 시, 공간을 점유해서 사는 이들의 생애 주기와 먹고 입고 자고 노는 일상의 삶에서 유리할 때, 문화는 상품이 되기 시작한다. 삶의 토대에서 솟아나지 않은 문화는 전시(展示)되고 급기야 고사(枯死)하기 마련이다. 공동체 문화의 구분 기준을 음미해주기 바란다. 팬데믹 시대를 맞고 있다. 밝은누리도 처음 경험하는 위기이자 기회 앞에 지난 1년 동안 고민하고 공부하고 있다. 밝은누리는 공동체 문화의 중요한 요소가 밤마실 갈 수 있는 공간적 거리라고 생각한다. 코로나는 그 물리적 거리를 무력화시켰다. 돌림병 시대를 거치며 밝은누리는 어떤 걸음을 걸게 될지 밝은누리도 잘 알지 못한다. 밝은누리는 늘 그렇듯 모호함 속에서 또 새로운 걸음을 걸을 것이다. 이제껏 쌓아왔던 공동체 문화를 새롭게 허물기도 하고 또 새로운 선택을 하며 받은 명(命)따라 살 것이다. 이후 또 다른 기회에 지난 돌림병 시대와 더불어 살아가는 밝은누리 걸음을 다시 소개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is written by a member of the Bargn Nuri Community to present its culture that has been cultivated for thirty years. In anthropology and sociology, there is a tradition of ‘autoethnography’ as a writing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narrative of personal experience in a close reciprocal movement with ‘theory’ to show how the social(community) constitutes the personal without falling into individualism and narcissism in the author’s testimony about the Bargn Nuri. It is noteworthy that the autoethnographic method fundamentally signifies self-discipline. The preface covers Bargn Nuri’s philosophy on humans/people and life, village and community as well as community culture. The intention was not just to interpret the theories but to demonstrate how the narrative of confessions can be described as a form of reappropriation. The community culture in itself is the life in which people live in harmony with the heaven above while standing rooted on the earth with many forms of life in their surroundings. It is about everything that a person creates while cultivating a village not as an individual but as an extension/expansion of the body and relationships. Every step that a community takes as a village life adds to building the culture, and in turn, it inspires those who walk the life together. The community culture develops, prospers and bears fruits in the steps of those people who live together rooted in the values of life and peace. This article on the culture of Bargn Nuri is built on two pillars of representation and the finiteness of language. The author could not help facing limitations both as an individual member of the Bargn Nuri and telling it through a language. Limitations however can mean a new possibility and the beginning of conversation. When a conversation is assumed to be unlikely, can a true communication begin. The Bargn Nuri finds its home in three different villages: Insu in Seoul, Hongcheon in Gangwon, and Gunpo in Gyeonggido. The community culture that has been cultivated in each place over time i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one’s lifetime, through the lifestyles that reflect the values of life and peace in the way of food, clothing, housing, and enjoyment, as well as a rural-urban saangsaeng1) village community. Each of the categories above bears significance when looking back at the steps of the Bargn Nuri. When a community culture is detached from the life cycles of its people and how they eat, get clothed, provision their homes, and have fun, the culture becomes a commodity for purchase. A culture without a foundation in livelihoods is destined to be ephemeral. The author pleads its readers to appreciate the categories employed in describing Bargn Nuri’s culture. Everyone is living through this pandemic era. Facing the unprecedented crisis and opportunity, the Bargn Nuri has taken the past year to reflect and study.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the Bargn Nuri culture is that everyone resides in the walking distance of each other by children’s standard for an easy evening visit. The coronavirus has rendered such distance moot. The pandemic presents much uncertainty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but the Bargn Nuri will take its familiar walk of treading uncertain, unchartered paths. It will continue to live its life as it discards the culture that has been built and creates new cultures only to respond to its calling. The author wishes to share about the Bargn Nuri in the post-pandemic era at another opportunity.

      • Urban Regeneration Utilizing Art : A Case Study of the Samlye Art Village, Korea

        Jin-Young Kim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media and Ubiquitous Vol.10 No.11

        The Samlye Art Village was one of the poorest villages in North Jeolla Province with only few attractions. Its history dated back to the colonial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has many tragic stories behind. The village was originally the warehouse in which Japanese stored the plundered rice. Japanese colonists founded it in 1920 and continued to use it as rice storage. After gaining independence, Wanju-gun remodeled the village into a cultural complex cultural.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l for urban regeneration by introducing a successful case of the Samlye Art Village.

      • KCI등재후보

        도시화 과정에서 서울 지역 마을 공동체의 지속 요인과 변화 양상 – 성북구 정릉공청회를 중심으로 -

        류영희 국립민속박물관 2023 민속학연구 Vol.- No.52

        This paper exammines a specific case of Jeongneung 2-dong, Seongbuk-gu, Seoul, with a focus on the Jeongchinhoe (Jeongneung Associ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After liberation, the Jeongneung-Gongcheonghoe went through a process of property formation and reorganization. Additionally, the Jeongneung-Daedongchinmoghoe(Fellowship Association), which expanded its reach by incorporating the senior citizens' association, and adapting to the influx of migrants during urbanization, and the Jeongneung-Gongcheong-Chinmoghoe, which emphasized traditionality after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are examined. Through this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strategies and the changing situation of the village community in Jeongneung 2-dong, which has persis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present, as well as common property, is explored. The Jeongchinhoe, also known as the Jeongneung-Chinmoghoe, was established in 1915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friendly circle of local leaders in the Jeongneung area. However,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Gongcheong in 1930, it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village community in Jeongneung-ri. After liberation, a new public office was built to replace the one that had been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land on which the Gongcheong was built was acquired to establish basic property. Furthermore, the reconstruction of the Jeongneung-Gongcheonghoe began with the enactment of new rules and regulations. Although the membership qualifications were expanded from ‘local leaders’ to ‘residents’ in the rules and regulations, the members of the Jeongneung-Gongcheonghoe at that time were already composed of mainland residents, specifically. elite members focused on natives. However, they possessed property rights to the basic property of Jeongneung-Gongcheonghoe, which served as a mechanism to differentiate them from migrant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Jeongneung-Gongcheonghoe. As urbanization progressed, the massive influx of migrants demanded changes to the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organization of Jeongneung-Gongcheonghoe. The Jeongneung-Gongcheonghoe accommodated the senior citizens’ association, a public system, to reduce costs. Additionally, while using the senior citizens' association and the Gongcheong together, some immigrants were also accommodated to expandits reach. Furthermore, the Jeongneung-Daedongchinmoghoe was reestablished to maintain a sense of community organization. However, even within the Jeongneung-Daedongchinmoghoe, latent discrimination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persisted as long as members of the Jeongneung-Gongcheonghoe, who possessed property rights to basic property, coexisted. Since 2001, with the support of the Seongbuk-gu Office for local traditional culture, and through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anagement team of Jeongneung-Daedongchinmoghoe from 2018, the Jeongneung-Daedongchinmoghoe has attempted further changes. Specifically, the name was changed to ‘Jeongneung-Gongcheong-Daedonghoe’, to emphasize continuity with the previous Jeongneung-Gongcheonghoe, and added sansinje to the rules and operating rules or made a separate ‘Bongjehoe Rule’ to emphasize the tradition of Jeongneung-Gongcheong-Daedonghoe. In addition, they tried to correct the tradition by revisiting the leadership of the Sanshinje(sacrifice to the god of the mountain), which had been passed on to the the old people's association. The emphasis on the traditionality of the Jeongneung-Gongcheong-Daedonghoe was evident not only in the rules but also in the Sanshinje, which led to the Jeongneung-Gongcheong-Daedonghoe's attempt to continue the village rites and include them in the institutional system. However, during discussions on how to handle the Gongcheong in anticipation of redevelopment, conflicts arouse between the natives residents and the migrants within the community. The criteria for natives were divided base...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성북구 정릉2동이라는 구체적인 지역 사례를 들어 일제 강점기 정친회(정릉친목회)에서 시작하여 해방 후 재산 형성과 재정립 과정을 거친 정릉공청회, 도시화 속에서 공적 체계인 노인회를 수용하고 이주민의 유입에 대처하여 외연을 확장한 정릉대동친목회, 그리고 지방 자치제 실시 후 전통성을 그 특징으로 내세우는 정릉공청친목회를 통하여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지속되어 온 정릉2동 마을공동체의 지속 전략과 변화 양상, 그리고 공동 재산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정친회, 즉 정릉친목회는 정릉지역 유지들의 친목계로 일제 강점기인 1915년 9월 2일에 창건되었으나 1930년에 공청을 짓고 점차 정릉리 마을공동체 성격으로 변모한다. 해방 후 한국전쟁으로 전소된 공청을 새롭게 짓고 공청이 세워진 토지를 불하받아 기본 재산을 형성한 정릉공청회는 회칙과 규약을 새롭게 제정하면서 정릉공청회의 재건 작업을 시작한다. 비록 정릉공청회 회칙과 규약에서 회원 자격을 ‘유지’에서 ‘동민’으로 확대하였으나 이 당시 정릉공청회 구성원 자체는 이미 본토 주민, 즉 토박이 위주의 정예 회원으로 구성되었고 이들은 정릉공청회 기본 재산에 대한 재산권을 가지는데 이는 향후 정릉공청회 발전 과정에서 이주민과의 ‘구별짓기’를 형성하는 기제로 작용한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이주민들의 대량 유입은 전통 마을공동체 조직인 정릉공청회의 변화를 요구했다. 정릉공청회는 경비 절감을 위하여 공적 체계인 노인회를 수용하였고, 노인회와 같이 공청을 사용하면서 이주민 일부를 수용하여 외연을 확장해 나갔다. 또한 정릉대동친목회를 재정립하여 공동체 조직의 존립을 이어 나갔다. 그러나 정릉대동친목회라고 하더라도 내부에 기본 재산에 대한 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정릉공청회 회원, 즉 토박이들과 이주민이 함께 존재하는 한 토박이와 이주민의 차별은 여전히 잠재되어 있었다. 2001년 이후 지역 전통문화에 대한 성북구청의 지원 속에서, 또 2018년을 기점으로 정릉대동친목회 운영진이 세대교체 되면서 정릉대동친목회는 또 한 번의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 즉 ‘정릉공청대동회’라고 하는 명칭에서부터 예전 정릉공청회의 연속성을 강조하려고 하였고, 회칙과 운영 규칙에 산신제를 추가하거나 별도의 ‘봉제회 회칙’을 만들어 정릉공청대동회의 전통성을 강조하고 노인회에 넘어갔던 산신제 주도권을 다시 찾아와 전통을 바로잡으려고 하였다. 정릉공청대동회의 전통성 강조는 회칙뿐만 아니라 산신제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는데, 이는 정릉공청대동회가 마을의례를 지속하고 이를 제도권에 포함시키기 위한 시도로 이어졌다. 그러나 재개발 논의를 앞두고 공청의 처분 논의에 이르자 회원 내부의 토박이와 이주민 갈등은 표면화되었다. 토박이에 대한 기준도 1959년 공청 준공기를 기준으로 나뉘어 그 이후 들어온 사람들은 아무리 정릉2동 지역에 40년 이상 거주하였다 하더라도 이주민으로 취급되었다. 이는 재산권의 유무와 관련된 것으로 마을공동체에서 공동 재산의 의미가 마을공동체가 지속하게 된 요인으로도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측면에서는 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아닌 사람의 차별을 만들어 내어 마을공동체 구성원들 내부에 토박이와 이주민의 ‘구별짓기’를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공동 재산은 마을공동체의 ...

      • KCI등재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안녕마을 사례를 통한도시재생 마을의 지속가능성 방안 탐색 연구

        최아라,김설인,김수연,구혜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VillagesThrough the Case of Hello Villagein Eoeun-dong, Yuseong-gu, DaejeonAra Choi, Seolihn Kim, Suyeon Kim, & Hyegyoung Ko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revitalize a sustainable village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 consumption for Hello Village in Eoeun-dong, Yuseong-gu, Daejeon, where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has ended. First, this study evaluated the case of Hello Village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and second, after considering the Hello Village and Hello Festival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on ethical consumption, and finally suggested a plan to revitalize the sustainable village. It was suggested that strengthening the branding of ethical consumption is required for continuous activation in the future, and empirical studies for this need to be conducted in subsequent studies. Key Words: Urban Regeneration, Revitalizing Village, Local Community, Sustainability, Ethical Consumption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안녕마을 사례를 통한도시재생 마을의 지속가능성 방안 탐색 연구최 아 라*ㆍ김 설 인**ㆍ김 수 연***ㆍ구 혜 경**** 요약: 본 연구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종료된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안녕마을을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마을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재생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어은동 안녕마을 사례를 평가하고, 둘째, 윤리적 소비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어은동 안녕마을과 안녕축제를 고찰한 후 그 함의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어은동 안녕마을의 지속가능한 마을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윤리적 소비의 관점에서 제언하였다. 분석 결과, 어은동 안녕마을 사례는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성공적인 사례임과 동시에 윤리적 소비의 측면에서도 지역공동체 활성화 차원의 의미를 가지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기대되는 사례로 평가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윤리적 소비의 브랜딩 강화 방안에 대해 안녕마을의 주민, 상인 및 주요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식 및 요구도 등을 정량화하여 향후 과학적 타당성의 검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핵심어: 도시재생, 마을활성화, 지역공동체, 지속가능성, 윤리적 소비 □ 접수일: 2022년 1월 6일, 수정일: 2022년 1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orzr1@cnu.ac.kr)** 공동저자,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석사(Co-author, Master,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cture513@naver.com)*** 공동저자,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석사과정(Co-author, Master’s Course,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su_yeon@cnu.ac.kr)**** 교신저자,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sophiak@cnu.ac.kr)

      • KCI등재

        신자유주의적 공간재편의 맥락에서 본 구룡마을 경관에 대한 비판적 해석

        지명인(Myung-In Ji)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2 문화 역사 지리 Vol.24 No.2

        본 논문에서는 신자유주의적 전환에 따른 도시공간의 재구조화를 이해하기 위해 자본주의적 공간 속에서 침탈되어가는 장소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논의의 중심에 도시공간의 가장 어둡고 차가운 곳에 소외된 무허가 정착지, 구룡마을을 두었다. 신자유주의가 도입되었던 1980년대 후반 다양한 이해관계 속에서 형성된 구룡마을은 빈민층에게 새로운 삶의 터전이 되었으며, 구룡마을 공동체는 이웃을 통해 친목을 도모하고 자치회를 형성하여 마을의 대소사를 공동으로 해결하였다. 한편으로 구룡마을은 개발이익을 노리는 지주와 개발업자들에게는 새로운 잉여가치의 산실이었다.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구룡마을을 덮친 축적의 논리는 구 룡마을 자체에 내재하여 있던 개발이익에의 기대와 조응하였고, 개발을 둘러싼 이해관계에 따라 구룡마을 자치회는 분열되었다. 결과적으로 서울시의 공영개발이 발표되면서 구룡마을이라는 삶의 장소는 자본주의 도시공간 속에 실질적으로 포섭되고 있다. 사라지는 장소를 지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은 구룡마을의 정 체성을 대표하는 사람들을 지키는 일일 것이다. 따라서 구룡마을의 개발은 주민에 대한 이해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그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This study pits the place against the space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restructuring of capitalist urban space driven by neoliberalism. In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is the squatter settlement of Gyruong village which was formed at the foothill of Gaepo-dong’s Mt. Guryong in Gangnam District in 1988. In the time of the flood tide of Neoliberalism, the poor who moved into the village escaping from clearances and redevelopments formed a shelter to protect their lives. The village community promoted friendship with neighbors and established the town council to manage all the events in the village. On the other hand, Guryong village has become a new resource of surplus value for landowners and developers in pursuit of development profits. The logic of accumulation which surged into village in the name of developments corresponded to expectations for development profits that inhere in residents. As the city announced the public development for the Guryong village, the place of life has been virtually subsumed into capitalist urban space. The realistic alternative to protect the endangered place against neoliberal restructuring is to defend residents who represent identity of that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