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인의 성장단계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등급 분류

        김진모,이용환,정철영,이찬,이진화,이정은,오창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levels of farmers training programs by systematically evaluating them according to farmers' developmental stages and training content domains and levels. Classification of the levels of training programs for farmers was defined as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tandards and methods for sequencing farmers training program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irst,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farmers were determined as farming technology & management competency, social role, and farming career. The developmental stages of farmers were divided by three stages such as entrance stage, growth stage, and expert stage. Also, the farm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required time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above criteria. Second,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classification of the levels of farmers training programs were established using training contents & attainment levels as the main criteria and training methods as the additional criterion. Third, the comprehensive standard tables for classification of the levels of farmers training programs were developed by the combination of three criteria such as training contents, attainment levels, and training methods. Fourth, the procedures and methods for classification of the levels of farmers training programs were developed using the above comprehensive level classification standard tables. The final levels of farmers training programs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raining objectives and training contents. 이 연구는 농업인의 성장단계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의 등급분류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각 프로그램의 등급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농업인의 성장단계 설정, 등급분류기준 설정, 등급평가 절차 및 방법 개발의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농업인의 성장단계 설정을 위한 준거로서 농업인의 영농기술능력, 경영관리능력, 사회적 역할, 영농경력을 설정하고, 농업인의 성장단계는 진입단계, 성장단계, 전문단계 등 3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성장단계 설정을 위한 준거에 기초하여 각 성장단계별 농업인의 성장 특성 및 소요 연한을 설정하였다. 둘째,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등급분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핵심 준거로 교육내용과 도달수준을, 보조적인 준거로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각 준거별 등급기준을 설정하였다. 셋째, 교육내용, 도달수준, 교육방법이라는 3가지 준거의 조합에 따라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등급분류를 위한 종합 등급분류 기준표를 개발하였다. 넷째, 종합 등급분류 기준표를 바탕으로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등급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을 개발하였다. 등급평가는 교육목표 분석과 내용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등급을 결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 KCI등재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를 중심으로

        이윤수,김형범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9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제지질자 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생태 만족도 결과를 분석하여 교원연수 프로그 램이 초등교원과 중등교원에게 어떠한 만족도와 교육 효과를 보이는지와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향후 교원연 수과정 운영에 개선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따라서 2017년 7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총 4회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및 중등교원 98명을 대상으로 학습생태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 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생태 만족도 결과 는 초등·중등교원연수 모두 4.58 이상의 다소 높은 결 과 값을 나타내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 시한 교원연수가 연수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습동기와 학습발달을 나타내는 내부 요인에서는 초등교원연수 4.70, 중등교원연수 4.64였으 며, 지질과학 및 지구과학 전공과 이외의 전공으로 구 분하여 연수 콘텐츠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내용과 교육과정을 평가하 는 중간요인은 초등교원연수가 4.67, 중등교원연수가 4.72를 나타내었다. 또한 교원연수가 과학기술문화라 는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과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 타났다. 넷째, 학습자 지원과 강사의 질을 나타내는 외 부요인에서는 초등교원연수가 4.83, 중등교원연수가 4.72로 초등교원연수가 중등교원연수보다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연수중 수업의 흥미유발과 학교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연수교재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satisfaction for learning eco-system o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conducted at the IS-Geo (International School for Geoscience Resources) which is KIG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and to determine the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hen, to suggest improvement points in the future operation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t the IS-Geo. Therefore, we conducted questionnaire of satisfaction for learning eco-system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a survey of 98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t the IS-Geo, from July 2017 to August 2018.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atisfaction for learning eco-system showed high values of 4.58 or higher in bo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programs, and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conducted by the IS-Ge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aining participants. Second, internal factors indicating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development were elementary teacher training 4.70 and secondary teacher training 4.64,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contents and programs by classifying them into majors other than the earth science department. Third, intermediate factors indicating contents of education and learning curriculum were 4.67 for a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4.72 for secondary teacher training program. In addition, in order to operate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Fourth, external factors indicating learner support and quality of instructors were 4.83 for a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4.72 for a secondary teacher training program.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in school classes and can generate interest.

      • KCI등재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전이의도 영향요인

        박종선 ( Park Jong-sun ),김진모 ( Kim Jin-mo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6 HRD연구 Vol.1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의 전이 메커니즘에서 전이의도의 역할을 규명하고 전이 영향요인들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A그룹 리더양성 프로그램 중 차장진급, 부장진급 대상자 과정 참가자 172명을 대상으로 2014년 6월부터 11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훈련 전[T1], 교육종료 직후[T2], 종료 3개월 후 [T3]에 12개 독립변인과 함께 전이기회, 교육훈련 전이 수준을 측정하였고, 위계적 회귀 분석과 모형비교분석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첫째, 리더십 교육의 교육훈련 전이에 대한 예측 지표로 전이의도를 지속 측정 및 관리해야 한다. 둘째, 교육 참가 전 학습동기, 기대, 경력개발 인식을 촉진해야 한다. 셋째, 리더십교육 설계 시 현업 관련성을 확보하고 현업 적용에 대한 자기관리를 촉진하는 전략을 활용해야 한다. 넷째, 자기효능감을 리더십 교육의 단기적 성과지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리더십 교육 종료 이후 학습내용 적용 기회를 마련하고 상사의 관심과 지원을 확보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 of transfer intention in the transfer mechanism of a leadership training progra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xamined L leadership training program of A group`s training and development institute. While L program is offered to all levels of employees, this study focused on the 6 programs for intermediate managers. We investigated 174 trainees who attended L program from June to November in 2014. 173 trainees answered the questionnaire before the training [T1],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T2], and the online questionnaire 3 months after the training [T3].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 in charge of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needs to measure transfer intention consistently during the training. Second, the participants of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need to be motivated and have substantial expectancy of the program from the beginning. Thir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the learning contents need to be closely tied to issues of the workplace, and the lesson plans ought to contain instruction strategies that facilitate participants` self-reflection. Fourth, short-term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need to be rearranged in terms of the predictability to transfer, and post-training self-efficacy needs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dicator. Fifth, after returning to the workplace,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needs to be securing the concern and support of the supervisor, and the HRD practitioner should be sure not to overlook the agreement with the supervisor in the workplace.

      • KCI등재

        <자료> 국립국악원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향 모색을 위한 수요조사 분석

        우해인(Woo, Hae-In) 국립국악원 2021 국악원논문집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국립국악원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방법, 신규 연수 등에 대한 참여자 수요를 파악하여 국악원 교원연수 중장기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등 음악수업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무선표집)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초등 483명, 중등 239명, 총 722명이 참여하였다. 연수 내용 면에서 연수 영역 희망 비율은 실기(52.9%), 감상 및 이론(22.6%), 수업설계(24.5%)로 나타났다. 국악 수업 관련 희망 강좌는 ‘놀이형’, ‘교과연계형’, ‘학생공연형’ 등 순이며, 실기 희망 강좌는 사물놀이, 장구 반주, 민요/ 판소리 등 순으로 나타났다. 연수형식 면에서 원격연수 방식 도입에 대해 블렌디드형 찬성, 원격연수 별도 개발, 원격연수 도입 반대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연수 시수는 초급과정은 15시간, 중급과정은 30시간이었다. 희망 신설 연수로는 ‘선택실기 지역거점형(30시간)’, ‘타악 집중 연수 3박 4일 숙박형(20시간)’, ‘다양한 국악수업 집합형 1일 연수(6시간)’ 등 순이었다. 국립국악원 교원연수 중장기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 대상 규모를 온·오프라인 양방향으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현장 맞춤형 연수 내용 적용 및 다양한 운영 방식의 신규 연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립국악원 교원연수와 자체 국악교육 사업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국립국악원은 국악교원연수 전국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needs of participants for the ideal contents and management methods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design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the time and supervision direction for the mid-and long-term improvement of the Center 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examiner conducted a (random sampling) of online survey with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to music lesson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round the nation. A total of 722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483 and 239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respectively. In terms of in-service training contents, 52.9% of the respondents hoped to receive in-service training in the area of performance practice, followed by music appreciation and theory classes (22.6%), and class model (24.5%). The majority of teachers wanted “play-type” lectures, preceded by “subject-connected” and “student performance” styles. They chose Samullori first for the performance practice class, followed by janggu accompaniment and Minyo (folk song)/Pansori classes. When asked about the introduction of remote in-service training program, the biggest percentage of teachers asked for a mixed-type, heralded by separate devices of remote in-service training classes and by the disagreement to the introduction of distant in-service training program. They preferred 15 and 30 hours of in-service training classes for elementary and intermediate courses, respectively. The biggest number of the respondents hoped to add a “local-based selective practice type training program (30 hours),” followed by an “accommodation style classes, concentrated on percussion instruments courses for three nights and four days (20 hours)” and “one-day in-service training type program with a collection of various gugak lessons (6 hou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or the mid-and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First, the scale of teachers eligible for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expanded, both online and offlin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apply so called “customized-to-field” content to the training program, and also to develop new in-service training sessions applying various management methods. Thirdly,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onnection between the Center 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its in-house Gugak education projects. And finally, the Center should serve as the platform to build a nationwide ecosystem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ugak.

      • KCI등재

        초등교사 도예 직무 연수 프로그램 평가 연구

        이진복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5 No.-

        Since The value-added of modern society depends on the outcome of the artistic activities,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arts is necessary as arts education is essential to support such activities in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a cornerstone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eramic job training program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ceramic job training program in the specialized field in the first half of 2018 supervised by Gyeonggi Yulgog Training Center and hosted by Korea Women Ceramist Association. The ceramic job training program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have conducted 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t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s the foundation courses (1, 2) for 10 years, and it was nominated as an excellent program in 2010 by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The program which consists of 'Pottery Making Technique Course' and 'Traditional Pattern Technique Course' was restructured under the supervision of two education experts to carry out the job training. The training was held in an English classroom of Bucheon Sangdo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for the total 30 hours(6 hours a day), from July 30 to August 3 (Pottery Making Technique Course), and from August 5 to 10 (Traditional Pattern Technique Course), 2018.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on the last day of each program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raining environment. For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 and the opinions for the future follow-up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Even though the siz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minimal, it was meaningful to have a small workshop because of the nature of ceramic training. In the first half of 2018, the ceramic job training program in the specialized field in Gyeonggi Province was assigned to 98 specialized courses, but 66 courses were conducted due to the dismissal of 32 cour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88.3% of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very satisfactory" implying that the program was well-structured. Second, the most common feedback was that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collect themselves through concentration which suggests that the program could have a meaningful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education. Third, all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gain which showed the needs for the continuous provision of the training by the high preference for the program. Fourth, based on the expressed confidence in conducting art classes, the program could be considered to have helped teachers' practical ability. In addition to the assessment of the program’s, furthermore, there was a strong agreement (average 98.5% agreement) on the researcher's proposal for the future research on linking the program with the education system and with the culture and developing the program by stage. Henc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grams that consider the field utilization, apply traditional Korean culture, are systematized by levels, and intrigue various interests to develop more advanced programs. 현대 사회의 부가 가치는 예술 활동의 결과물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 교육과정의 기초 예술 교육이 사회 예술 활동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만큼, 초등 교사들에게 예술 분야 연수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율곡연수원이 주관하고 (사)한국여류도예가협회가 주최한 2018년 상반기 특수 분야 초등교사 도예 직무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향 후 도예 직무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연구의 초석이 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도예 직무 연수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개발하여 경인교대 평생교육원에서 10여 년 간 기초 과정(1, 2)으로 실시해왔으며, 2010년 평생교육진흥원으로부터 우수프로그램으로 선정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도예 제작 기법 과정’ 과, ‘전통 문양 기법 과정’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직무 연수를 실시하기 위해 재구성한 다음 교육 전문가 2인의 감수를 받았다. 도예 직무 연수는 2018년 7월 30일∼8월 3일(도예 제작 기법 과정), 8월 5일∼10일(전통 문양 기법 과정) 2차례에 걸쳐 하루에 6시간씩 총 30시간을 경기도 부천상도초등학교 영어실에서 실시되었다. 각 연수 종료일에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연수 환경 등에 대한 만족도 등을 알아보기 위해 연수에 참여한 경기도 및 서울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평가와 후속 연구를 위한 의견 수렴을 위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크기가 매우 작은 점이 아쉬우나, 도예 연수의 특성상 소규모 워크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의하다고 보았다. 2018년 경기도 상반기 특수 분야 직무 연수는 98개 과정이 지정받았으나, 32개 과정의 폐강으로 66개 과정만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평가의 “매우 만족 정도”는 88.3%를 얻었으므로 본 프로그램의 구성은 성공적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총평에서 몰입을 통한 치유를 체감 할 수 있어서 좋았다는 내용이 가장 많아, 이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감성 교육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셋째, 향 후 도예 직무 연수에 전원이 다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점을 들어, 본 프로그램의 높은 선호도를 통해 도예 직무 연수의 지속적인 개설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향 후 미술수업에 자신 있게 임할 수 있다고 한 것으로 보아 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실기능력 향상 효과를 확인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평가에 더하여, 후속 연구로 본 연구자가 제안한 교과와의 연계, 문화와의 연계, 과정별·단계별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에 강한 긍정평가(평균 93.5%)가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발전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현장 활용도를 고려하고, 우리나라 전통 문화를 적용하면서, 수준별로 체계화, 단계화되고 다양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 된다.

      • Effects of the Agility Training Program with Integration of Thai Traditional Plays on Agility Development of Football Players between the Ages of 15 - 17 Years Old

        ( Archavit Choengklinchan ) 한국체육학회 2015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5 No.1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and to compare with the agility training program with an integration of Thai traditional plays and the regular agility training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the agility of football players between 15 - 17 years old. Methods: Twenty - four male football players of youth team Osotspa M-150 football club were purposively selected to be the subjects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twelve players. In addition to the regular training program, experimental group no.1 trained the agility training program with an integration of Thai traditional plays, while experimental group no.2 trained the regular agility training program. Both groups were trained with a football training program. The courses of agility training supplementary program were for two days per week. The total duration of training was eight weeks.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two agility tests: the regular agility by Illinois Test run - Agility and the football agility skill by Wargner Dribbling Test. The subjects were tested at 3 different periods, i.e. before experiment, after the fourth and after eight week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and multiple comparison by Tukey - a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significant at the .05 level. Resul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mparison of the agility training program between groups. Means of the regular agility Illinois Test run - Agility and the football agility skill by Wargner Dribbling Test after four weeks and eight weeks of experiment,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no.1, no.2 and no.3 weren`t significantly at the .05 level 2. The comparison of the agility training program inside groups. All groups have means of agility by the regular agility Illinois Test run - Agility and the football agility skill by Wargner Dribbling Test after four weeks and eight weeks of experiment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before experiment at the .05 level Discussion: The agility training program with integration of Thai traditional plays on regular agility and football agility skill development of football players between the ages of 15-17 years old better than the regular agility training program

      • KCI등재

        한-아세안 관광협력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교육연수 협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효연 ( Hyo Yeun Park ),조한나 ( Han Nah Jo ),김봉석 ( Bong Seok Kim ),김대관 ( Dae Kwan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4 유라시아연구 Vol.11 No.2

        기존의 개도국 대상 국제관광협력사업은 주로 공여국의 입장에서 진행되어 온 수혜성 사업으로 수원국의 현실을 고려하거나 효과를 간과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수원국의 요청과 필요에 맞는 사업 진행을 통해 협력 효과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날과 같은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교육과 훈련은 개도국의 인적자원의 개발과 능력향상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한국과 개도국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국제관광협력을 통한 실질적 효과를 높이고 지속가능성을 갖기 위해서는 여러 사업 분야 중에서도 개도국의 인적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춰야할 것이다. 아세안은 한국의 무역과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 중의 하나로 부상하였다. 아세안은 우리나라의 2대 교역 및 투자 파트너로서 다방면에 걸쳐 교류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2012년 한국인 해외여행자 중 아세안 지역을 방문한 여행자는 전체의 30%를 차지하였으며, 아세안 국가에서는 140만 명이 한국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세안 지역에서 한류가 크게 확산되고 있고 2015년 아세안공동체의 출범으로 인해 한-아세안간 교류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관광분야에서도 한국과 아세안간 연계성 확대 및 강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세안국가들을 대상으로 국제관광협력사업 중 교육연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지속가능성제고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먼저 관광분야 국제협력에 대해 이해하고,주요 사업 추진 현황과 전반적인 문제점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아세안국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아세안국가의 관광교육 관련 수요를 파악하였으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관광분야 교육협력사업 현황 및 문제점, 교육분야 성공사례에 대해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먼저 지금까지 추진된 관광관련 교육협력 프로그램은 수원국의 빈곤퇴치 등 사업 추진 배경및 목적에 있어서 당위성은 충분하나 규모가 작고 빈도도 상당히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도 ODA, 한식세계화 등 정부 대외협력정책 반영, 참가국의 수요 반영 및 사업성과 관리 등 효과성 제고, 상호호혜 및 지속가능한 관점에서의 접근 등 변화하고 있는 국제협력사업 방향에는 부합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광분야 국제협력은 지원 규모보다는 내용과 과정이 더 중요한 소프트파워 성격의 협력형태로 정부의 대외적인 사업 방향과 연계하여 장기적인 계획아래에 실시된다면, 목표 달성 및 국가 이미지 제고에 효과적인 자산이 될 것이다. 아세안국가 중 총 6개국 3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아세안국가 관광 관련 종사자들은 한국과의 관광교육 협력프로그램으로 모국에서의 활용도 및 개인 역량 강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있는 현장 실무 중심의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과 관련해서는 숙박시설과 참가국에 대한 문화적 배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세안 국제협력, 교육관련 국제협력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 심층인터뷰에서는 관광분야 교육협력 프로그램의 지속성 제고를 위해 사업 브랜딩을 통한 정체성 확립, 강사 Pool 도입 및 수요자 맞춤형 교육 운영, 사후 관리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세안국가와의 관광분야 국제협력 교육프로그램의 지속가능한 노력은 컨설팅, 개발 등 다른 형태의 협력 추진 및 문화교류 등 타부문의 파급효과 발생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아세안국가 대상 관광분야 국제협력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초기단계 연구로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아세안 및 개발도상국 대상 교육연수분야 관광국제협력사업의 구성 및 정책적인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한국형 관광국제협력모델에 관한 연구를 보다 폭넓게 진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SE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ner in investment and trade with Korea. Especially, ASEAN is a new emerging market in tourism. Korea-ASEAN tourism exchange will be expanded and relationship will be strengthened. To expand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tourism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ASEAN countries, tourism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should be emphasized and operated to improve capacity of human resource in ASEAN countries.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ays for sustainable improvement of Korea-ASEAN tourism cooper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Detailed objectives were; 1) to underst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ourism field; 2) to identify overall status, conditions, issues, and features relating to the tourism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ASEAN; 3) to determine demands of ASEAN countries on tourism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through inquiries; 4) to identify the status and issues of tourism cooperation which were made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best practice relating to the tourism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the specialists in the fields of tourism, international relations, cooperations, and ASEAN. It was found that tourism related training and education cooperation programs which have been conducting were mostly sufficient to achieve their goals to alleviate recipient countries’ poverty. However, the scales of those programs were small and the frequenc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perating aspects, it was verified that those programs were not comply with the new direc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which should reflect government’s international cooperation policies, respond to the participating countries’ demands and their needs, and administer program achievements or fruits. A survey with a total of 38 employees in tourism related businesses in six countries of ASEAN countries was conducted. They prefer field oriented and practice based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be applied in their home countries, and can strengthen their personal empowerment. They also emphasized that accommodation facilities and careful concerning on cultural differences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training and education condi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8 experts in the field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ourism training and educatio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ASEAN. They mentioned that it is very required to sustainable improve of tourism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Those are establishing identification through program branding, managing instructors’ pool,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programs based upon consumers’ needs, operating post-programs, maintaining expertise, and so on. This study is a kind of pilot study to deal with tourism training and education cooperation programs for ASEAN countries which expect to further expansion expecially in tourism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further researches on structuring international tourism cooperation and tourism training and education cooperation programs for ASEAN countries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and could contribute to develop and expand researches on international tourism cooperation models.

      • KCI등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C교대 교육연구원 직무연수 사례

        구원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ontents and management process in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within Educational Research Center of C-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 attain this goal, I collected data regarding design,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 used a mixed method to analyze collected data. In a qualitative method, I observed teacher activities during the training period and interviewed with 10 participants. Participants in this in-service training program were confused and felt conflict by changing their views or perspectives on teaching practices. Participants in thi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asked for the well-designed and well-prepared training program to the program organization staff, for the specified topics, advanced level course open, the highly qualified lectures, new information about good teaching and for secondary classroom teaching video clips. I discussed the positive effects of a university-bas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reflected expectation and needs, training experienc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to achieve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this type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eacher training program organizers and researchers have to fully reconsider how they can operate and develop such training programs consistently and how they can resolve the external, cultural, and systemic obstacles to teacher professional growth. 본 연구의 목적은 C교대 교육연구원에서 실시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연구자는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기획, 운영, 평가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양적・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으로는 연수를 참여관찰하고, 10명의 참여교사들과 면담을 하였다. 참여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고민을 해소하고 수업을 개선하고 싶어서 연수에 참여하였다. 참여교사들은 연수에서 자신의 생각과는 다른 여러 가지 수업을 보는 관점을 만나면서 혼돈과 갈등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수업을 보는 안목이 변화하면서 자발적인 변화의 의지를 생성해내고, 초등과 중등 교사간의 상호 이해를 증진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교사들은 연수가 좀 더 내실있게 운영되어 자신들의 고민을 해소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기를 바랐으며, 연수 주제의 세분화, 심화 과정 개설, 질높은 강의와 좋은 수업과 관련한 새로운 정보 제공, 중등 수업 동영상 제시 등을 프로그램 개선에 필요한 것으로 요구하였다. 연구자는 학습활동의 다양화, 프로그램의 다양화・세분화, 운영의 정교화・내실화, 홍보 강화, 연수 자체에 대한 메타 분석 연구 등을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시대 연수디자이너 역량 강화 연수프로그램 개발

        홍유나,임유진,하영자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22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strengthen program with the aim of training designers who respond to changing national policie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five step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lated to the role of training designers and HRD manager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based on related prior research, theoretical and academic grounds for training designer competency modeling were prepared. In the second stage, a draft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training designers based on the needs analysis of stakeholders and advice from education experts. In the third stage, a pilot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the draft training program. In step 4,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was confuted and the deficiencies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derived from the pilot program. Finally, the final draft of the training program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training designer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developed. The final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10 modules and was designed to run for three days. The details of specific training program are presented in the article.

      • KCI등재후보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남승권,최완식,윤자룡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s educational activity effects.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developed a training program for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research.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develop a systematic teacher training program to raise the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s instruction.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for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 organizes the 46 subjects and 121 educational contents, and this educational program is worthwhile to be facilitated when a teacher-training institution like the Ministry of Eduction, Science and Technology, local education offices and universities organizes a teacher-training program. Third, as the result analyzing teachers' training demands abou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a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training program, it was appeared that the most demand wa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ctivities for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 and following demands were the 'production of various evaluation tools', the 'effectively epilogue strategy', and the 'technology to increase the learning motivation' in order. Therefore a training program for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 should deal these educational contents importantly, and a future teacher-training program developer need to refer to them.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가정과 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교육활동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 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체계화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은 46개 과목과 121개 교육 내용으로 구조화 되었는데,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및 대학 등의 교사 재교육 기관에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활용할 가치가 있다. 셋째,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기술·가정과 교사로서의 전문성 계발 활동’, ‘다양한 평가도구의 제작’, ‘효과적인 발문 전략’ 및 ‘학습의욕을 높이는 기술’ 순으로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교육 내용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며 추후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